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STRENGTH AND FOREARM BONE MINERAL DENSITY IN ADOLESCENT

        Shin, Young-Ho(신영호)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청소년들의 전완 골밀도와 악력, 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들은 D광역시에 거주하는 65명의 여중생들로 구성되었다. 전완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연구 결과 전완 골밀도와 악력, 전완 골밀도와 체중이 골밀도와 악력보다 더 큰 상관으로 나타났다. 전완 골밀도에 대한 체중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든 피실험자들의 우세한 전완과 비우세한 전완의 요골과 척골의 골밀도와 악력을 비교했다. 우세한 전완의 악력은 요골 골밀도(r=0.276; p<.05)와 전완 골밀도(r=0.270; p<.05)와 상관이 있었으며, 비우세한 전완의 악력은 척골 골밀도(r=0.416; p<.01), 요골 골밀도(r=0.357; p<.01) 와 전완 골밀도(r=0.402; p<.01)와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악력이 전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향후 골다공증 예방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여자 중,고등학생의 무용 활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오덕자(Duk Ja Oh),신말연(Mal Ryun Shin),이종도(Chong Do Lee),강호율(Ho Yul Kang),최혜진(Choi Hea Jin) 한국무용과학회 200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4 No.-

        본 연구는 13세에서 18세의 여자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전공 여학생 123명과 동일 연령의 건강한 전문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일반여학생 63명이며, 측정 시 이중 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이용하여 요추(Lumbar spine, L₂-L₄), 대퇴 경부(Femoral neck), 대퇴 전자부(Greater trochanter), 대퇴 삼각부(Ward's triangle) 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의 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일반 선형 모형 General Linear Model (GLM)을 이용하여 골밀도에 연령, 월경의 규칙과 불규칙, 초경의 나이, 운동경력, BMI를 보정한 후, 비교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총 요추 골밀도(Lumber spine, L₂-L₄)의 무용전공 학생(0.94g/㎠)과 비교집단 여학생(0.91g/㎠)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7). 총 대퇴 골밀도(Proximal femur)의 경우, 무용전공 여학생이(0.82g/㎠) 비교집단 여학생(0.73g/㎠)보다 12%나 높은 골밀도를 나타내었다(p<.001). 또한, 대퇴경부(Femoral Neck)의 골밀도는 무용전공 여학생(0.91g/㎠)이, 비교집단 여학생(0.81g/㎠)보다 14%나 높은 골밀도를 나타내었다(p<.001). 대퇴전자부(Greater trochanter)의 골밀도는 무용전공 여학생이(0.73g/㎠) 비교집단 여학생 (0.65g/㎠) 보다 14%나 높은 골밀도를 나타내었다(p<.001). 그러나 대퇴삼각부(Ward's triangle)의 골밀도는 무용전공 여학생이(0.83/㎠) 비교집단 여학생(0.74/㎠)보다 14%나 높은 골밀도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 결론적으로 무용전공 여학생들의 무용 활동이 일반 여학생들보다 총 요추 골밀도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총 대퇴 골밀도에서는 무용 활동이 대퇴 골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ancing activity relates to bone mineral density (BMD) in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123 dancers and 63 controls aged 13 to 18 years. Areal bone density in lumber spine (L₂-L₄), femoral neck, femoral trochanter, and Ward's triangle were measured by using duel energy x-ray absorptiometry(DXA). General linear models were used to test mean differences for BMDs between dancers and controls after adjustment for age, menstrual abnormality, age at menarche, years of exercise, and body mass index. Scheffes post-hoc tests were also used to detec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adjustment for age, menstrual abnormality, age at menarche, years of exercise, and body mass index,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BMD in lumbar spine between dancers and controls (p=0.17). However, female dancers had greater proximal femur BMD as compared with controls (p<0.001). Similarly, female dancers had greater BMDs in femoral neck (p<0.001) and femoral trochanter (p<0.001),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controls. Female dancers also had moderately greater BMD in Ward's triangle compared with controls (p=0.07). In conclusion,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dancers had greater BMDs in proximal femur, femoral neck, and trochanter, compared with controls, but had similar BMDs in lumbar spine.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대퇴부와 요추부 골밀도에 의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

        이승혜(Seung-Hye Lee),윤정은(Jeong Eun Yun),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2

        Background: Lumbar spine and total hip are widely used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We want to evaluat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osteoporotic diagnosis between lumbar spine and total hip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n both hips and lumbar spine of 100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BMDs of total hip and lumbar 1~4 were classified into normal (T-score>−1.0), osteopenia (−1.0≥T-score>−2.5), osteoporosis (T-score≤−2.5) using WHO definitions. Results: Based on L1~4 T-score there were 15 osteoporotic, 35 ostepenic, 50 normal persons, and based on total hip T-score there were 1 osteoporotic, 20 ostepenic, 79 normal perso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BMDs (r=0.695). For all age groups, lumbar BMDs are lower than hip BMDs and the gaps are severe in older group. The discordance rate was 43% for all cases, and this was 36% in their 50’s, 65% in 60’s, and 60% in 70’s with the highest rate in 60’s (P<0.05). The discordance rates of the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groups were 39, 60 and 0%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rate in osteopenic group (P<0.05). Conclusion: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spine was as high as 43%, and was the highest in the osteopenic group in their 60’s. Therefor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BMD of both sites should be checked together, but if not, the lumbar BMD should be checked first. 연구배경: 현재 골밀도 측정은 요추와 대퇴골 부위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상태로, 저자들은 만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골밀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진단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DEX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퇴 총골밀도와 제 1~4요추 골밀도를 WHO 정의에 의하여 각각 정상(T-score>−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진단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 1~4요추 T-score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5명, 골감소는 35명, 정상은 50명이었으며,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명, 골감소는 20명, 정상은 79명이었다. 제1~4요추 평균 T-score와 총대퇴 T-score의 상관계수는 0.695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는 전 연령대에서 요추부가 총대퇴부 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하였다. 제1~4요추 골밀도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도는 100예중 43예에서 불일치를 보여 43.0%였다. 연령대별 불일치율은 50대, 60대, 70대가 각각 36%, 65%, 60%로 50대에 비해 60, 70대에서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각 군에 따른 불일치율은 정상인군, 골감소군, 골다공증 군에서 각각 39%, 60%, 0%로 골감소 군에서 가장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결론: 요추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율은 43.0%로 높았으며, 특히 60세 이상과 골감소 군에서 높았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측정시 가능하면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함께 측정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한 곳만의 골밀도를 측정한다면 요추부 골밀도를 우선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생화학적 표식자에 따른 성인들의 골밀도 분석

        김순근(Sun-geun Kim),권대철(Dae-Cheol Kweon),송운흥(Woon Heung So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4

        성인들의 생화학적 표식자를 검사해 골밀도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적 또는 생화학적 인자들을 규명하고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등과의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2007년 9월 12일부터 2008년 3월 18일까지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남성 568명 여성 430명으로 총 998명 수진자를 대상으로 양 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에 직접 관여하는 혈액의 생화학적 표식자는 인, 칼슘, 관절염, 헤모글로빈, 글루코오스, 간 기능검사의 GOT, GPT, γ-GTP를 측정하여 성인들의 골다공증 병태생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에 생화학적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남성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은 대퇴경부의 골밀도가 20대에서 가장 높았으나 척추는 40대에서 골밀도가 가장 높았고, 60대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의 골밀도가 가장 낮았다. 여성들 중 폐경 후의 여성들보다 폐경 전의 여성들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의 생화학적 표식자 인에서 정상 기준치 이상 군에서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았으며 여성은 정상치군일 때가 대퇴경부와 척추에서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골밀도는 낮아지고 체중이 높아지면 골밀도는 높아졌다.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iochemical markers. We evaluated the BMD of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s of 998(male 568, female 430) persons who took a regular health screening in Woosu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7 to March 2008 by dual energy bone mineral densitometry. Results of BMD are different in terms of biochemical markers. Especially aged people showed osteoporotic change progressively. Degree of osteoporosis increases with age. A steep decrease of BMD can be found in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low level of female hormone. More persistent effort is need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can reduce BMD values for prevention of problems by osteoporosis. In essence,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other biochemical markers must be studied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성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의 관계

        박성옥(Soung-Ock Park),이인자(In-Ja Lee),신귀순(Gwi-Soon Shi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4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내원한 환자 중 설문에 응해준 268명(여성 136명, 남성 132명)의 연령, 체질량지수(BMI)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BMD)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요추(lumbar spine)와 대퇴경부(femoral neck)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성의 평균키는 155.8±6.0 cm, 평균체중은 56.8±7.9 kg, 평균체질량지수는 23.4±3.1 kg/m2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평균키는 169.1±6.0 cm, 평균체중은 69.0±9.5 kg, 평균체질량지수는 24.1±2.7 kg/m2이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감소되었으며, 연령과 골밀도는 매우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 < 0.01). 그러나 여성의 골밀도는 50대 이후에 급격히 감소되는데 비해, 남성의 골밀도는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남녀 모두 요추의 골밀도가 대퇴경부의 골밀도보다 낮았다. 체질량지수가 증가 할수록 골밀도가 대체로 높아졌으며, 특히 50대에서는 뚜렷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골밀도 범주의 분포를 보면, 여성은 40대까지는 정상이 대부분이었으나, 50대에서는 정상과 골감소증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60대 이상에서는 골다공증이 많았다. 그러나 남성은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대부분 정상의 골밀도 범주에 속했다. 커피나 탄산음료는 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음주는 영향을 주었다. 음주집단이 비음주집단보다 골밀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관련성(p < 0.05)을 보였다. 또한 흡연과 운동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We studied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MD) by age, body mass index (BMI), coffee, carbonated drink, alcohol, smoking, and exercise in adults who checked in health center.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total 268 persons (women of 136 persons and men of 132 persons). The BMD was determined in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we got some results as below : 1. In women, mean body height was 155.8±6.0 cm, mean body weight was 56.8±7.9 kg, and mean BMI was 23.4±3.1 kg/m2. In men, mean body height was 169.1±6.0 cm, mean body weight was 69.0±9.5 kg, and mean BMI was 24.1±2.7 kg/m2. 2. BMD decreased as age increased, and the age was the most determinant factor for BMD (p < 0.01). Women's BMD decreased rapidly in the groups aged ≥ 50 s, while men's BMD decreased gradually with age. In addition, for both sex, lower BMD was measured in lumbar spine than in femoral neck. 3. BMD increased in high BMI, and BMD with BMI increased distinctly in the group aged 50 s.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4. In view of the distribution by three BMD categories, women's BMD was mostly normal in the groups aged ≤ 40 s, but the rat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as similar in the group aged 50 s, and the rate of osteoporosis was the highest in the groups aged 60 s and 70 s. Men's BMD was mostly normal through all groups except the group aged 70 s. 5. Coffee and carbonated drink were not influenced in BMD. But alcohol-drinking group showed higher BMD than non-drinking group, and alcoh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for BMD (p < 0.05). Smoking and exerci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BMD.

      • KCI등재

        한국 폐경 전후 여성에서 요추골밀도 예측인자

        양윤석 ( Yun Seok Yang ),노흥태 ( Heung Tae N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4

        목적: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예측인자를 통해 골밀도를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방법: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위험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환자연령, 초경나이, 폐경연령, 폐경 후 기간, 신장, 체중, 신체량 지수, 분만 횟수, 유산 횟수, 수유 횟수 등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결과: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 (BMD, g/cm2)= 0.563-0.0077 (폐경 후 경과기간) + 0.0054 (환자 체중) (p<0.001, R2=0.30)이며 폐경전 여성의 골밀도=0.23+0.0048 (height) (p<0.001, R2=0.05)이다. 폐경 전후 골밀도 감소 예측인자가 서로 달라 폐경 후 여성은 폐경 후 경과기간과 환자의 체중인 반면,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 예측인자는 신장이었다. 전체여성에서 골밀도 예측 인자를 가지고 척추 골밀도 설명은 52%로 변별력이 있으나 폐경 후 여성에서 30% 정도밖에 되지 않아 정확한 골밀도를 예측하기엔 부족하며, 폐경 전 여성은 폐경 후 여성에 비해 골밀도 결정계수가 더욱 낮았다. 결론: 전체 여성과 폐경 전후 여성에서 골밀도 예측 인자 및 예측도가 다르기 때문에 골밀도 예측 모델은 폐경 전후 여성으로 구분하여 만들어야 하며, 향후 폐경 전후에 따른 다양한 인자를 추가하여 정밀한 골밀도 예측 모델을 만든다면 한국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터 분석 골밀도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Objective: The need for early and correct prescription for bone densitometry led to the research for decision model useful for clinicians to address women to bone densitometry.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both pre- and postmenopausal groups simultaneously in healthy pre-and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The authors analyzed the easily obtained biometrical variables such as factors used at clinical decision rules for BMD testing and evaluated predictive values and robustness of a decision model for prediction of lumbar BMD in total , pre-and postmenopausal Korean women. Results: Afte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umbar BMD in total population is 1.083-0.153 (status of menopause)-0.007 (age of menopause)+0.0039 (body weight) (R2=0.52). Postmenopausal women is 0.563-0.0077 (duration after menopause)+0.0054 (body weight) (R2=0.30) and premenopausal women is 0.23+0.0048 (height) (R2=0.05). Although its validity (52%) in total population was sufficiently high for the prediction of lumbar BMD in clinical settings, In postmenopausal women only 30% of the decision model can be explained by the predictors of bone demineralization which is not completely satisfactory in determining lumbar BMD and in premenopausal women 5% is the very low explanatory value which is necessary for identifying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BMD. Conclusions: Because of difference in underlying risk,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risk factor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this study present different robustness of prediction model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and suggest that it be need to design prediction models divided by menopausal status. More research is needed for computer-based screening aids useful to clinician which overcome some limitation of our study.

      • KCI등재후보

        기저 골밀도 및 이전 호르몬 치료 골반응에 따른 호르몬 치료 골반응

        전성욱 ( Sung Wook Chun ),김미란 ( Mee Ran Kim ),이병석 ( Byung Suk Lee ),윤병구 ( Byung Koo Yoon ),강병문 ( Byung Moon Kang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oung Moo Park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한국폐경여성에서 기저 골밀도 및 이전 호르몬 치료 후 골반응에 따른 호르몬 치료 후 골반응과, 호르몬치료에 대한 비반응군의 빈도 및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7개 대학병원에서 호르몬 치료를 받은 총 1,836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 리뷰를 시행하였고, 호르몬 치료 전과 치료 1년, 2년 및 3년째 요추, 대퇴골 경부, 대퇴골 전자 및 총관골의 골밀도 자료를 얻었다. 모든 환자들은 기저 골밀도에 따라 정상 골밀도, 골감소증, 골다공증군으로 분류되었다. 결과: 모든 골밀도 측정 부위에서 호르몬 치료 1년째 골밀도 감소가 클수록 2년째 골밀도 증가율이 높았다. 호르몬 치료 3년째 골밀도 변화는 1년째 골밀도 변화와 무관하였다. 호르몬 치료 1년째 평균 골밀도 증가는 네 부위 모두 골다공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2년째 평균 골밀도 변화는 요추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세 군간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치료 중 1년간 골밀도가 3% 이상 감소한 경우를 비반응군으로 정의할 때, 호르몬 치료 첫해 비반응군의 빈도는 정상 골밀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요추, 대퇴골 경부 및 전자 세 부위에 대한 2년연속 비반응군의 경우 부위별 평균 기저 골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세 부위 3년 연속 비반응군의 경우는 대퇴골을 제외하면 부위별 평균 기저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호르몬 치료 후 골반응은 전년도 호르몬 치료에 대한 골반응이 떨어질 경우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다. 비반응군의 빈도는 기저 골밀도가 높은 군일수록 높으며, 기저 골밀도가 낮은 환자일수록 호르몬 치료에 보다 나은 골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bone responses to hormone therapy (HT) according to basal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previous responses to HT,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T non-responde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 total of 1,836 postmenopausal women who received HT from seven university hospitals. BMD data at the lumbar spine (LS), femur neck (FN), femur trochanter (FT) and total hip (TH) before HT, and at one, two, and three years after HT were collected.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asal BMD: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Results: Women with a greater loss of BMD during the fi rst year of HT were more likely to gain BMD in the second year at any of the four skeletal sites. Bone responses to HT during the third year were not related to the responses during the first year. Mean BMD changes during the fi rst year were signifi cantly higher in the osteoporosis group, but mean BMD changes during the second year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ree groups except in LS. The frequency of non-responder (annual BMD losses more than 3%) during the fi rst year was signifi cantly higher in the normal basal BMD group. Mean basal BMDs were higher in the twoyear consecutive non-responder group at LS, FN and FT, but those of the three-year consecutive non-responder group were not signifi cantly higher except in FN. Conclusion: Most women who lose BMD after HT are likely to gain BMD during the next year. The frequency of non-responders is higher in the higher basal BMD group, and patients with lower basal BMD will be likely to respond better to HT.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골밀도와 사회분위기 및 생활습관과의 관계

        이인자,고요한,김청경,김희솔,박다정,윤현민,정유진 대한방사선과학회 2013 방사선기술과학 Vol.36 No.4

        골밀도 감소는 골다공증의 발생과 골절 위험성 증가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건강문제로 대두된다. 골다공증은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며, 골밀도가 감소되는 중년기 이후보다 골밀도가 형성되고 최고로 발달되는 시기인 청년기에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전적요인, 신체적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최근, 사회분위기가 많이 바뀌면서 생활습관, 식습관 등이 이전과는 달라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해 사회 분위기 변화에 따른 젊은 층의 생활습관 변화가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남보건대 재학생 중 여자 134명, 남자 75명(총 209명)을 대상으로 하여 골밀도 측정과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골밀도 측정은 이중에너지 X-ray 흡수장치(DEXA)를 사용하여 넙다리뼈 목(femoral neck)과 허리뼈(Lumbar spine, L1 ~ L4)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생활습관에 대해서는 미리 작성한 설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골밀도와 신장, 체질량지수의 관계는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음주, 흡연, 운동 유무 집단에서의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골밀도(BMD)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음주, 흡연과 골밀도(BMD)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카페인 섭취량에 따라 골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여성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여성과 남성 모두 넙다리뼈 목에서 운동량과 통게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식사습관에 따른 골밀도의 관계에서는 여성의 허리뼈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남성의 허리뼈와 여성의 넙다리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다이어트와 골밀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후 1시간 이내에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을 삼가는 게 좋다. 또한 걷거나 뛰기 등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영양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decrease of bone mineral density gives rise to the outbreak of osteopenia and makes the possibility of a bone fracture. It makes health problems in society. It's very important to prevent osteopenia in advance. Also it's critical to prevent and take care of it in adolescent because it's the most developing period comparing to middle ages because that bone mineral density decreases. There are genetic, physical and enviromental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Recently, a lifestyle and eating habits are also changing as the society atmosphere is gradually doing. This study have shown that 134 women and 75 men was chosen and responded to the survey of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and investigating a lifestyle. The measure of bone mineral density is to us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and check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Also questionaries was required to pre-made survey about their lifestyles.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SPSS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rel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the heigths and BMI. The sample of Groups are checked for drinking, smoking or excercising about differences by t-te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firs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s between BMD and BMD. But there isn't any special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smoking and BMD. Secondly, bone mineral density becomes low related to an intake of caffeine. Particularly, this is statically significant on women. Also there is sta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moral neck and quantity of motion for both men and women. Third,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bone mineral density on women's lumbar spine.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men's lumbar spine and women's one. Therefore, to prevent osteopenia, it's good to abstain from intaking caffeine within an hour after a meal. In addition, it's helpful to walk or run regularly and have a balanced meal.

      • KCI등재

        노인에서 신체 조성과 골밀도와의 관계

        이길상(Gill Sang Yi),오미경(Mi Kyeong Oh),김하경(Haa Gyoung Kim),강주안(Joo An Kang),김진영(Jin-Young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2 No.4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체중이 증가 할수록 골밀도가 증가하고 골절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는 몇몇 연구가 발표되면서, 이는 체중을 구성하는 제지방과 체지방의 량에 따라 골밀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에서 신체 조성과 골밀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60세 이상의 남성 121명과 여성 41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체중, 제지방량, 체지방량 그리고 허리둘레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신체를 상지, 하지, 몸통으로 구분하여 골밀도와 각 신체 부위의 근육량 및 지방량간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골밀도는 높았으며, 체중을 구성하는 성분 중 제지방량이 체지방량보다 골밀도와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연령과 생활습관, 체중, 키를 보정한 후 남성의 골밀도는 제지방량,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허리둘레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의 경우는 제지방량을 비롯한 모든 근육량은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몸의 근육량보다 사지 근육량이 더욱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허리둘레를 비롯한 모든 지방량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노인에서 체성분 중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은 체지방량보다 제지방량이었으며, 노인 허리둘레가 클수록 낮은 골밀도를 보였다. 따라서 노인에서 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바람직한 체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raditionally, It is known that bone mineral density (BMD) increases as body weight increases. However,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have described an opposite events. There are controversial issues as to whether lean mass or fat mass might to the most determinant of BMD. Our aim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both lean body mass or fat mass and BMD in elderly. Methods: The design is a cross-sectional analysis. 121 male and 416 female elderly who were all over 60 years of age were had participated in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for BMD and bioimpedance analysis for body composition. The relationships of BMD and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body composition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In elderly, BMD was higher as body mass index, and lean body mass ha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D than body fat. After adjusting for age, life style, weight and height, waist circumfer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BMD in man. In women, lean body mass and muscle mass were positively, waist circumference and fat ma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BMD. Limb muscle mass was more correlated with BMD than trunk muscle mass. Conclusion: Lean body mass among body composition, seems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BMD than fat mass in elderly. Waist circumference as a visceral fat index showed negative effect on bone mas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increase the muscle mass through exercises and to keep desirable body shape for the increasing BMD.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나이와 성별, 지역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2003~2004)

        홍상모,안유헌,최웅환 대한골다공증학회 2010 Osteoporosis and Sarcopenia Vol.8 No.2

        목적: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의 골다공증 진단 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골밀도 자료를 아이와 지역, 성별, 부위에 따라 분석하여 보았다. 방법: 2003~2004년에 시행한 골밀도 검사 50,208 예의 요추와 50,026 예의 대퇴골의 골밀도를 각 연령군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골밀도 검사는 DEX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여성 요추 골밀도는 35~44세 군에서 0.985 ±0.129 g/cm2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폐경기에 골밀도의 감소가 가장 컸다. 남성에서는 25~34세의 골밀도(1.011±0.118 g/cm2)가 가장 높았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여성의 경우 35~44세에서 0.864±0.114 g/cm2로, 남성의 경우 25~34세에서 골밀도가 0.960±0.133 g/cm2로 가장 높았다. 지역에 따라서는 서울 이외의 지역의 peak BMD가 높았으나 오히려 골밀도의 감소 속도는 빨랐다. 결론: 우리나라인구 집단에서의 골밀도는 남성에서는 30살 전후로 여성에서는 40세 전후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서울보다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의 골밀도의 감소가 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