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의 비교

        성기혁,성재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를 비교연구하기위해서 30명의 정상교합자와 20명의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츄잉검을 사용하고 BioPAK system을 이용하여 전두면상에서 저작운동을 기록, 분석하였다. 각 개체마다 대표하는 저작경로를 정하여 저작폭경, 개구거리, 개구각, 폐구각,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를 알아보았다. 또 저작경로의 형태에 따라 특징적인 7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수직적인 저작양상을 나타내었다. 2. 저작폭경의 비교에서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좁게 나타났다(P<0.01). 3. 개구거리에서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작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4. 개구각과 폐구각에서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정상교합자군보다 더욱 예각으로 나타났다(P<0.01). 5.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에서는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느리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저작운동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정상교합자군에서는 Type Ⅱ가 73.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Ⅲ가 35.0%, Type Ⅱ가 30.0%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7. 저작운동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Ⅳ(chopping type)가 25.0%로 정상교합자군 3.3%에 비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was made on the chewing movements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Thirty normal occlusion subjects and twenty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atients were given chewing gums for the study ; using BioPAK system, the chewing movement on the frontal plane was recorded and analyzed. With a typical chewing path chosen representing each subject, chewing width, opening distance, opening and closing angl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ies were observed. Seven characteristic pattern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ypes of chewing path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Compared with the normal occlusion group, th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varied and vertical chewing patterns. 2. In comparision of chewing widths,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narrower path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P<0.01). 3. In opening distanc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appeared shorter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4. In opening and closing angles,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acute angles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P<0.01). 5. In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ies,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was slower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6. In the classification of chewing movement pattern, the normal occlusion group had TypeⅡ as the highest rate at 73.4%;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the highest rate was TypeⅢ at 35.0%, followed by TypeⅡ at 30.0%. 7. In the classification of chewing movement pattern, Type IV(chopping type)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a higher rate with 25.0% over 3.3% of normal occlusion group.

      • KCI등재후보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치열궁 폭경에 관한 연구

        이해경,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Ⅰ급 정상교합군과 Ⅲ급 부정교합군을 비교하였고, Ⅲ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Hyperdivergent군과 Neutral군으로 나누어 폭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Ⅲ급(ANB<0°) 부정교합자 중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하악 평면각(SN-Mandibular plane; 정상인의 평균 32 ± 5°)이 1.5 SD이상(39.5°이상)인 환자 37명(남자 18명, 여자 19명)을 hyperdivergent군(Group B)으로, 하악 평면각이 정상치의 0.5 SD 이내인(32 ± 2.5°)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을 neutral군(Group C)으로 분류하였고 11개의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선별한 정상교합과 정상적인 안모를 가진 성인 24) 중 41명(남자 20명, 여자 21명)을 정상교합군(Group A)으로 하여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양상에 따른 폭경 비율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교합군과 Ⅲ급 부정교합군의 상, 하악 기저골에 대한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상악에서는 Ⅲ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더 컸고(p<0.001),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 부분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Ⅲ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작아서(p<0.001) Ⅲ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에 비해 기저골에 대해 상악 치아가 더 협측으로 경사되고, 제1대구치를 제외하고 기저골에 대해 하악 치아가 설측 경사되어 횡적인 치성보상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정상교합군과 Ⅲ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4. 정상교합군과 Ⅲ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기저골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위에서 Ⅲ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커서(p<0.0001) Ⅲ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폭경이 하악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rch width of the hyperdivergent group with that of the neutral group in Class Ⅲ malocclusion based on the vertical patterns and to compare the arch width of Class Ⅲ neutral group with that of normal occlusion group based on sagittal patterns. The subjects consisted of 118 pairs of study casts, divided into three groups ; 37 Class Ⅲ hyperdivergent group(18 males and 19 females, SN-Mn plan angle>39.5°), 40 Class Ⅲ neutral group(20 males and 20 females, SN-Mn plane angle : 32 ± 2.5°) and 41 Class Ⅰ normal occlusion group(20 males and 21 females). The intercanine, interpremolar, and intermolar width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tudy casts were measured, then the ratios of dental width to basal width and mandibular width to maxillary width were obtained. Basal arch width and dental arch width were measured to obtain the pure basal arch relation in transverse plane as ruled out the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ratios between Class Ⅲ hyperdivergent group and Class Ⅲ neutral group as different vertical pattern. 2. As the ratios of dental arch width to basal arch width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Class Ⅲ neutral group were compared, the maxillary teeth flared buccally to the basal bone, and the mandibular teeth tilted lingually to the basal bone in Class Ⅲ neutral group. 3. The ratios of mandibular arch width to maxillary arch width in basal arch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regions. Maxillary basal arch width of Class Ⅲ neutral group was narrower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ratios of mandibular arch width to maxillary arch width in teeth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Class Ⅲ neutral group. In spite of discrepancie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basal arch width, the dental arch width of Class Ⅲ malocclusion group compensated very well. At the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in clinic, it would not be desirable to decompensate for compensated dental arch width too much, for obtaining an appropriate arch compatibility and good results for orthognathic surgery.

      • KCI등재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의 입술두께 비교 연구

        박채희(Chae-Hee Park),오민희(Min-Hee Oh),김형민(Hyung-Min Kim),조진형(Jin-Hyoung Ch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상·하순두께를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성인 정상교합자와 반대교합을 갖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단층사진을 촬영하여 3차원 입체영상으로 재구성한 다음, 중절치, 측절치, 견치부위 연조직 홍순경계부에서 해당 치아 순면까지 수직거리를 각각 입술두께로 계측하였다. 이를 각각 치아 부위별, 상·하순 및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검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 상·하순 모두 중절치부가 가장 두꺼웠으며, 측절치부, 견치부 순으로 얇았다. 2. 치아부위별 입술두께 차이는 상순보다 하순에서, 그리고 그 정도는 III급 부정교합자보다 정상교합자에서 크게 나타났다. 3. 정상교합자의 중절치부는 하순이, 견치부는 상순이 두꺼웠고, 측절치부는 상·하순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III급 부정교합자는 모든 부위에서 상순이 하순에 비해 두꺼웠다. 5. III급 부정교합자의 상순은 정상교합자보다 두꺼웠으나, 하순은 차이가 없었다. 6. 정상교합자의 상순두께는 SUM, SN/MP, gonial angle과 음의 상관관계를, PFH, PFH/AFH, 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순두께는 SUM, gonial angle, SN/MP과 음의 상관관계를, PFH, PFH/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7.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상순두꼐만 OJ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골격형태에 따른 입술두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교정환자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III급 부정교합자의 입술두께가 정상교합자와 차이가 있음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To achieve an ideal facial appearance,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on the soft and hard tissue to make and evaluate a treatment plan. Especially, in case of adults with skeletal malocclusion,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lip as it showed various values as a result of the morphologic discrepancy with skeletal dentition and discordance with adjacent neuromuscular tissues.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lip thickness around vermilion border of Class III subjects with normal subjects. Also it is to analyse the difference between two subjects. After taking the Computed Tomograph (CT) on the chosen adults with normal and Class III occlusion, the CT images were reconstructed into 3-dimensional images. Lip thickness was measured around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area to the buccal surface of the each tooth. And then the lip thickness were compared and analysed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ea in normal and Class III subjects. Also,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27 points in cephalogram, overjet, overbite and lip thickness was do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p thickness of Class III subjects is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subjects. The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on the lip thickness caused by skeletal discrepancy in diagnosing and making a treatment plan.

      • SCOPUSSCIEKCI등재

        약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임한호,윤영주,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로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Ⅲ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Ⅲ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P<0.001)과 하악골 과성장(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각과 go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 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thor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 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 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cases with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For this study, 74 students at the dental college of Chosun University volunteered as a normal occlusion group. They had well-balanced faces and good occlusions with acceptable Class I molar relationship. They had not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and had no sings or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45 malocclusion patients enrolled for orthognathic surgical treatment with skeletal Class Ⅲ maloclusion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was largely due to the overgrowth of mandible in man and the undergrowth of maxilla in woman. 2. The mandible was antero-inferiorly overgrown by large MP-HP angle and large gonial angel in orthognathic sugical case with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nd also, upper incisors were severely labioversioned, but on the other hand lower incisors were linguoversioned. 3. In female, lower-third facial height was characteristically shortened in comparison with middle-third facial height and also, lower facial throat angle was small in male.

      • KCI등재후보

        Modified FR-4의 임상적용례

        송재혁,이긍호,최영철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2

        전치부 개교합은 상·하악 전치부가 폐구 시 절단 기능에 필수적인 수직피개가 결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손가락 빨기, 혀 내밀기, 유아성 연하, 비호흡 부전, 골격성장의 이상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어떤 종류의 부정교합과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전치부 개교합을 위한 치료 방법은 다양하지만, Rolf Fra ***** nce에 의해 고안된 Fra ***** nkel appliance(FR-4)는 골격성 I급 혹은 II급 부정교합과 함께 나타난 개교합의 치료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인에서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개교합도 이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빈도가 높고, 개교합 또한 이와 같은 골격형태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gms히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갖는 환자에 있어서 전통적인 FR-4의 사용이 개교합의 교정에 도움이 되었을지라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교정하기 위하여, labial bow를 하악 전치부에, labial pads를 상악 전치부에 위치시킨 modified FR-4를 고안하게 되었다. 다음의 임상례는 전치부 개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FR-4와 modified FR-4를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첫 번째 임상례는 전통적인 FR-4를 사용한 경우로서 전치부 개교합은 개선되었으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형태가 심해졌다. 그러나 두 번째와 세 번째 임상례에서는 modified FR-4를 사용한 결과, 전치부 개교합과 III급 부정교합이 동시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Anterior open bite is one in which the teeth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re vertically apart and lack the overlapping necessary for the incisive function when the mandible is in closed position. Anterior open bite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many different etiologic factors including thumb and finger sucking, lip and tongue habits, airway obstruction, skeletal growth abnormalities and its tendency may appear with any type of skeletal patterns, such as Class I, II or III malocclusion types. Though the treatment methods for anterior open bite are various, the conventional FR-r, designed by Rolf Fr ***** nkel, is kn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open bite cases with Class I or II skeletal patterns. It is �� 새 that an incidence of skeletal Class II is high in the Occidentals, and open bite is accompanied by these malocclusion type in many cases. However, an incidence of skeletal Class III is high in the Orientals, and open bite is sometimes accompanied by skeletal Class III in many cases. Although the use of the conventional FR-4 wa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open bite, skeletal Class III would be worsened. So, a modified FR-4(placing the labial bow in the lower, the labial pads in the upper) was designed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showing skeletal Class III and open bite.

      • 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Yang, Kyu-Ho,Choi, Nam-Ki,Choi, Bong-Sun,Lee, Young-Jun,Ryu, Sun-Youl,Kim, S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 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sim}6$ 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sim}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sim}6$경추의 수직 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Normal occlusion (172 girls)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191 gir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agnosis stone model and lateral cephalogram of Korean girls aging from 8 to 12 years.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vertico-horizontal ratio of cervical vertebrae were observed and measured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2.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of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and in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The results in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6경추의 수직·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6경추의 수직·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Normal occlusion (172 girls)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191 gir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agnosis stone model and lateral cephalogram of Korean girls aging from 8 to 12 years.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vertico-horizontal ratio of cervical vertebrae were observed and measured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2.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of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in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and in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The results in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홍성규,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을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Ⅲ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 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 (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아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아골 폭경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e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ASHAI CS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p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o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Cg-ANS) but to increased of the lower face height(ANS-M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Song-Woo Chong),홍성규(Sung-Gyu Hong),김정기(Jong-Ghee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알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정모 두구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졍(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 (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컷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이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 (ASHAI CX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t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 (Cg-ANS) but to increase of the lower face height(ANS-N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 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관한 연구

        임한호(Han-Ho Lim),윤영주(Young-Jooh Yoon),김광원(Kwang-Won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 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렸한 상악골 열성장 (p<0.001)과 하악골의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 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o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하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 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ㅣ.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 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case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For this study, 74 students at the dental college of Chosun University volunteered as a normal occlusion group. They had well-balanced faces and good occlusions with acceptable Class I molar relationship. They had not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and had no signs or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45 malocclusion patients enrolled for orthognathic surgical treatment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keletal Class f malocclusion was largely due to the overgrowth of mandible in man and the undergrowth of maxilla in woman. 2. The mandible was antero-inferiorly overgrown by large MP-HP angle and large gonial angle in orthognathic surgical case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also, upper incisors were severely labioversioned, but on the other hand lower incisors were linguoversioned. 3. In female, lower-third facial height was characteristically shortened in comparison with middle-third facial height and also, lower facial throat angle was sgrall in m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