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마을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유성과 무대화된 고유성 개념의 적용-

        이후석 ( Hoo Suk Lee ),맹창호 ( Chang Ho Maeng ),오민재 ( Min Jae Oh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안동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이 방문한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고유성 인식과 만족의 차이 그리고 고유성 인식과 만족 간에 영향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성 인식은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차원으로 요약되었고 관광만족은 만족의 단일요인으로 요약되었다. 둘째, 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과 만족에 대한 지역별 차이에서는 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차원에서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고유성 인식 모든 요인에서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구성적 고유성, 객관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순으로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Z- Score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것은 안동하회마을과 한국민속촌 관광객의 고유성 인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지역 간 차이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verify that the differ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Andong Hahoe Folk Village and Yongin Korean Folk Village) perceived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stination, ex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authenticity was summed up by objective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Tourism satisfaction was summed up by the sole factor of satisfaction. Secondly, in perceived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between Hahoe Folk Village tourists`` and Korean Folk Village tourists``,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dimensions of objective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Thirdly, in the effect which perceived authenticity had on satisfaction, every factor of perceived authenticity had an meaningful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obje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order, Ye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Z-Score to confirm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Hahoe Folk Village and Korean Folk Village existed,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ffect which Hahoe Folk Village tourists`` and Korean Folk Village tourists`` perceived authenticity had on satisfaction.

      • KCI등재

        절대고유수익률과 미래 주식수익률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김류미(Ryumi Kim),채준(Joon Chae) 한국증권학회 2015 한국증권학회지 Vol.44 No.5

        자산가격결정이론에 따르면, 개별 주식의 실질 가격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체계적 위험요인과 기업고유 위험요인이다: 체계적 위험이 기대수익률을 결정하므로 시장에서 실현된 주식수익률과 예측된 주식의 기대수익률의 차이는 결국 기업 고유정보가 설명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차이를 나타내는 기업고유수익률의 크기, 즉 절대고유수익률(absolute firm-specific returns)과 미래 주식수익률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비금융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1987년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주간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고유수익률은 Fama-French 3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절대고유수익률이 큰 기업으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는 이후에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포트폴리오의 구성기간과 보유기간에 상관없이 항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건성 검정을 위해, 기업규모, BE/ME, 체계적 위험, 과거 고유변동성, 거래량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유의하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어느 특정 시점에서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현상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전체표본을 5년 단위로 세분화 하여 기간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 5년 동안에는 절대고유수익률과 미래 주식수익률 사이의 음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으나 그 이후 기간은 모두 유의하였으며, 과거보다는 최근으로 올수록 그런 관계가 점점 더 강해졌다. 이처럼 절대고유수익률과 주식가격에 예측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기업 고유수익률이 지니고 있는 정보성, 또는 기업고유수익률이 드러내는 모형의 추정오차에 대한 기존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정보비대칭이 존재하는 실제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정보성이나 모형의 불확실성은 미래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기업고유정보로 유발되는 절대고유수익률이 미래 주식가격에 대한 예측력을 가지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According to the asset pricing theory such as APT or factor model, both systematic risk factor and firm-specific risk factor affect real movement of individual stock price: firmspecific risk factor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realized stock return in market and expected return by asset pricing model, as systematic risk factor determines expected retur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absolute firm-specific return and future stock return, using all non-financial firms in Korean stock market for the period from 1987 to 2011. Firm-specific return is estimated by Fama-French 3 Factor model. We find that portfolio with low absolute firm-specific return outperforms portfolio with high absolute firm-specific return over the next period. This result is always significant regardless of formation period and holding period of portfolio. Furthermore,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bsolute firm-specific return and future stock returns is robust to controlling for firm size, book-to-market ratio, systematic risk,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trading volume. Finally,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this result is induced from specific short period, we divide the sample into 5-year subperiod sample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our study. Except the first 5-year subperiod, the portfolio with low absolute firmspecific return outperforms in every subperiod, and this relation is increasingly stronger in recent period than in the past. As a result,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show that the absolute firm-specific return caused by idiosyncratic component has the predictability of future stock price in Korean stock market.

      • KCI등재

        기업고유위험 측정오류가 고유변동성 퍼즐현상에 미치는 영향

        김우현 ( W. H. Kim ),박종해 ( J. H,Park ) 한국금융공학회 2021 금융공학연구 Vol.20 No.3

        Ang et al.(2006)의 연구가 제시된 이후 대다수 국내연구들이 국내주식시장에는 고유변동성 퍼즐현상이 존재함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 연구의 공통점은 Ang et al.(2006)이 제시한 기업고유위험 추정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FF3요인 모형에서 추출한 잔차의 표준편차를 기업고유위험의 추정치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정된 기업고유위험이 올바른 추정치가 되기 위해서는 FF3요인 모형이 주식수익률을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가격결정모형이라는 것이 가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Fama and French(2015)에서 기존의 3요인 모형에 새로운 위험요인을 추가한 5요인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만 보아도 이러한 가정을 하는데 무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FF3요인 모형에서 누락된 위험요인을 기업고유위험요인으로 가정하고 이 위험요인이 가격결정 요인으로서 평가가 가능한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만약 기업고유위험요인이 주식수익률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검증이 된다면 많은 연구자들이 기업고유위험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했던 FF3요인 모형에는 누락된 체계적 위험요인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된다. 즉, 그들이 주장하는 고유변동성 퍼즐현상이 모형설정오류로 인해 나타난 결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는 KOSPI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1988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업고유위험은 주식수익률에 대해 횡단면적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고유위험요인에 대한 민감도를 이용하여 Fama-McBeth 2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프리미엄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F3요인 모형에 기업고유위험요인을 추가한 이후 모형에 대한 적합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FF3요인 모형에는 누락된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FF3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고유변동성 퍼즐현상을 주장하고 있는 연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fact that most domestic studies after Ang et al. (2006) have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iosyncratic risk and stock returns as a puzzle phenomenon that cannot be explained as a risk-return trade-off relationship. In the Korean stock market, many studies claiming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phenomena have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phenomenon or not the result of an error in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idiosyncratic risk. This study assumes that the risk factors that are missing from the existing FF3 factor model as a idiosyncratic risk factor, and attempts to verify whether this risk factor can be evaluated as a risk factor. If the idiosyncratic risk factors proposed in this study are verified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that can explain the stock return, it means that there is a systematic risk that is missing in the FF3 factor model that many researchers used to measure the idiosyncratic risk.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phenomenon they argue is not a result of a phenomenon that actually exists in the Korean stock market, but rather a simple statistical result caused by a model misspecification of the factor model.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예측치가 기업의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옥(Kim, Jeong Ok),신유진(Shin, Yoo Jin)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가 발표하는 예측치의 특성이 기업의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유변동성이란 시장변동성과 함께 투자변동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통제가 불가능한 시장변동성과는 달리 투자자들이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통제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다수의 연구들이 고유변동성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기업이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특성이 고유변동성에 의미 있게 반영된다는 다수의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이들 선행연구의 관점과 달리 자본시장에서 정보중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무분석가가 제공하는 정보의 특성이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는데 그 차별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더 나아가 재무분석가의 특성이 이익예측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재무분석가의 특성이 이익예측치의 특성과 고유변동성과의 관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분석가가 발표하는 이익예측치 및 예측치의 표준편차는 고유변동성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즉, 이익예측치의 평균 및 예측치의 표준편차가 높을수록 고유변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상되는 수익률이 높을수록 위험도 높아진다는 자본시장의 원리와 일맥상통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높을 경우 이에 대한 위험도 높아져서 이것이 고유변동성에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표준편차의 경우에도 재무분석가 간 예측치의 차이가 크다면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성과 불확실성이 높아 고유변동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 및 표준편차가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재무분석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체로 재무분석가의 특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다고 알려진 표본에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 및 표준편차가 고유변동성에 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본시장에서 재무분석가의 역할을 재조명할 수 있으며, 고유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재무분석가의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earnings forecast on idiosyncratic volatility. Investment risk is well-known for being influenced by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market volatility. Generally, because that is determined by overall market circumstances, market volatility can not be controlled by investor. But idiosyncratic volatility can be reduced by adjusting investment portfolio. The reason why idiosyncratic volatility is a factor that is affected by firm specific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diosyncratic volatility is increasing and lots of prior research suggest the results about idiosyncratic volatility. Our research focus on earnings forecast. When investor decide their investment, they focus on firm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earnings forecast can influence on idiosyncratic volatility. Because role of analyst is to provide firm information and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company and investor. Our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earnings forecast and standard deviation of earnings forecast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diosyncratic volatilit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analyst have a significant role to relationship between the earnings forecast(or standard deviation of earnings forecast)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 KCI등재후보

        1950년대 일본 고유영토설의 정치적 분쟁화 모순점에 대한 고찰

        서인원(SEO, In won) 동북아역사재단 2018 영토해양연구 Vol.15 No.-

        고유영토설은 일본 정부가 만들어낸 정치적 용어로 타국과의 영토 분쟁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역사적 권원을 부정하는 주장이다. 그래서 1950년대 전후 일본의 영토 처리 문제를 중심으로 고유 영토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면서 고유영토설의 모순점을 분석하였다. 1950년대 이후 일본 정부가 쿠릴열도, 센카쿠제도, 독도를 고유 영토라고 주장하는 것은 이 섬들이 역사의 어느 시점에서 획득되었던 토지임에 지나지 않고 그 이전에는 일본의 영토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에 일본 정부는 다른 나라가 점령하지 않은 영토는 고유 영토에 해당하기 때문에 무주지 선점론은 고유영토설이 성립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이런 논리는 1950년대 일본 외무성 영토 연구에서 나왔고, 1959년 1월 일본 정부 견해(4)에서 처음으로 ‘일본 고유 영토(日本固有の領土)’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이때부터 일본 외무성은 고유영토설과 무주지 선점론을 양립하는 논리 전개 양상을 보였고1 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고유 영토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의 영토 개념은 동양의 화이질서에서 나온 것이고 이를 유럽식 국제법 논리에 적용하다보니 상반되는 모순점이 드러났다. 또한 독도 영토 편입을 영유권 재확인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의미를 부정하는 것이다. 전후 일본 외무성의 영토 문제에 대한 연구는 내셔널리즘적 측면에서 일본 고유 영토라는 논리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였고 이 연구가 나중에 발전해서 외무성의 「다케시마를 이해하기 위한 10포인트」로 정리되었다. 이런 일본 정부의 논리는 1946~1954년 대장성 고시 등의 일본 법령들로 고유영토설을 반박할 수 있다. 이 법령들은 일본 국내법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강화조약 체결 전후에도 SCAPIN 677호를 계승하면서 쿠릴열도와 독도를 일본의 부속 섬에서 제외하고 있다. 이것은 쿠릴열도와 독도가 일본영토가 아님을 증명하는 것이며 이런 법령들을 통해서 독도가 국제법적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완전히 반환되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독도에 대한 일본의 고유영토설은 1959년 이후 개발된 정치적 용어로 1950년대 러시아와의 쿠릴열도 분쟁에서 함께 만들어졌다. 이 논리는 일본의 우경화와 국내 여론을 통일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략이었고 고유영토설은 정치 · 외교상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낸 용어에 지나지 않는다. The inherent territory theory is a political term cre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is is a term referring to territorial disputes with other countries and is a claim to deny historical authorit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ntrariety of the inherent territory theory by focusing on the problem of territorial disputes in Japan in the 1950s. Since the 1950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claimed that the Kuril Islands, the Senkaku Islands, and Dokdo are inherent territories, indicating that these islands are not Japanese territory that was acquired at any point in history, but were not previously Japanese territory. Recently, the Japanese government claims that territories that have not been occupied by other nations belong to their own territory, so that the terra nullius theory establishes the inherent territory. This logic came from the study of Japanese foreign ministry in the 1950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used the first Japanese territory in the Japanese Government Views(4) in January 1959.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Japan combined the inherent territory theory and the terra nullius theory from this time, and began to use the inherent territory from the 1960s. The concept of the territory of Japan comes from the Sinocentrism and there are contrarieties when applied to the logic of European international law, and the expression ‘reaffirming the sovereignty of Dokdo’ is a denial of the meaning of Japan’s own territory. This logic of the Japanese government can refute the inherent territory with the Japanese ordinances such as the legislations of the finance ministry’s notice of 1946~1954. These laws also exclude the Kuril Islands and Dokdo from Japan’s attached islands, succeeding SCAPIN 677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is proves that the Kuril Islands and Dokdo are not Japanese territories, and these laws prove that Dokdo was fully returned from Japan to Korea under international law. In addition, Japan’s inherent territory theory on Dokdo is a political term developed after 1959, and it is a logic created together in the Kuril Islands dispute with Russia in the 1950s. This logic is created by Japan’s right-wing and political and diplomatic needs.

      • KCI우수등재

        감사인의 특성이 기업의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감사인 규모와 산업전문성을 중심으로

        신유진 ( Yoo Jin Shin ),김정옥 ( Jeong Ok Kim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학연구 Vol.42 No.6

        본 연구는 감사인 규모와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으로 측정한 감사인의 특성이 기업의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투자변동성을 구성하는 고유변동성과 시장변동성 중 투자자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성이 크다고 알려진 고유변동성을 대상으로 감사인 특성에 의해 고유변동성이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즉, 시장변동성은 시장전반에 걸친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음에 반해 고유변동성은 개별기업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따라서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구성 등을 통해 고유변동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특성이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모가 큰 감사인이 감사한 경우 기업의 당해년도 고유변동성이 규모가 작은 감사인이 감사한 경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뿐만 아니라 차년도의 고유변동성까지 감사인 규모에 의해 유의한 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당해년도 고유변동성이 낮아진다. 그러나 감사인 규모의 경우와는 달리 차년도의 고유변동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감사인 규모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그리고 감사인이 산업전문성을 가질수록 투자자 입장에서 바라 본 기업의 고유변동성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규모가 큰 감사인이 감사하거나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할수록 회계정보의 품질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감사인의 특성을 회계정보의 질과 연결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특성을 기업의 위험을 결정하는 요소인 고유변동성과 직결하여 조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udit characteristics on idiosyncratic volatility. Specifically, using auditor size and industry specialist auditor, we study whether those have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idiosyncratic volatility or not. Investment volatility consist of two kinds of volatility. That is market volatility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Market volatility is known as being affected by general market condition. Therefore investor have difficulty to control and reduce market volatility because market volatility is not the factor of firm’s own. However, idiosyncratic volatility is influenced by firm’s own situation. Because of that kind of characteristics of idiosyncratic, invertor can control and manage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using investment portfolio. But idiosyncratic volatility can not be measured by investor directly. So investor acquire the information about idiosyncratic volatility in a roundabout way. That is, investor will measure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y including company governance and accounting information. Our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when company hire big size auditor,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i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dition, this relationship continue until next year. Second, if company hire industry specialist auditor,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decrease. But unlike auditor size,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of next year do not have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hiring industry specialist auditor. Our research results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role of auditor to investor directly. And investor discern the differences of auditor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 eligibility. For example, auditor who has auditor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 eligibility was evaluated as a auditor providing high quality audit service.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의 변천에 대한 연구

        박교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2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는 1946년에 군정청 문교부에서 각계의 의견을 들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당시에 만들어진 고유어 수학 용어의 대부분은 대개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고유어를 사용하거나, 그렇게 만든 것을 축약하여 만든 것이다. 그러나 20년도 지나지 않아 고유어 수학 용어의 반 정도가 다시 한자어 수학 용어로 환원되었고, 대부분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수학 교수・학습에서 한자어 수학 용어의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고,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이 도움이 될 것으로 주장되고 있지만,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을 서두르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한자어 수학 용어를 고유어 수학 용어로 바꾸는 시도는 신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성공적인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제언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고유어 수학 용어를 만들려는 시도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현재 잘 존속하고 있는 고유어 수학 용어가 가진 생존력의 정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존속되지 않는 고유어 수학 용어의 실패 요인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In 1946, many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re coined new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USAMGIK(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rough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various circles. 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created at the time, many of them are coined, either by using native korean word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chines characters, or by abbreviating newly coin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However, in less than 20 years, about half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made in 1946~1947 has been went back to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and most of those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has been used up to now from then. Althoug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the discomfort of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s pointed out and it is claimed that the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s helpful, it is not everything to hurry to use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ttempts to convert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nto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prudent. When a certa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is used, if it must be used only because it is a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then the term has no choice but to fai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as conclusions for the successful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n this viewpoint. First, attempts to co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continu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urvival power of well-preserv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ilure factors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which does not survive today.

      • KCI등재

        한국 주식시장에서 3요인 모형을 이용한 주식수익률의 고유변동성과 기대수익률 간의 관계

        김태혁(Tae Hyuk Kim),변영태(Young Tae Byun) 한국증권학회 2011 한국증권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주식수익률의 고유변동성(idiosyncratic volatility)과 기대수익률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Fama-French 3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고유변동성을 측정하였고,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크기에 따라 분류된 포트폴리오의 동일가중평균 및 가치가중평균 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강건성(robustness) 검정을 위해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기본적 변수인 기업규모, 장부가/시장가 비율, 거래량, 거래회전율, 주식/순이익 비율, 주식/현금흐름 비율, coskewness 등을 통제한 경우에도 고유변동성 효과가 존재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주식수익률의 행태인 모멘텀 효과, 포트폴리오 구성기간과 보유기간에 변화를 주는 거래전략의 수정 그리고 신규상장종목을 통제한 후에도 고유변동성 효과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유변동성과 동일가중평균수익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유변동성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는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낮은 수익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유변동성과 가치가중평균수익률 간에는 음(-)의 관계를 보였지만 Ang et al.(2006)과는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변동성과 동일가중평균수익률 간의 음(-) 관계에 대한 강건성 검정에서 기업규모, 장부가/시장가 비율, 거래량 등 기본적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고유변동성 효과인 고유변동성이 높은 주식들이 낮은 수익률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멘텀효과, 체계적위험의 통제, 거래전략의 수정, 신규상장종목을 통제한 후에도 고유변동성 효과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고유변동성은 주식수익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expected returns in Korean stock market. For equal-weighted and value-weighted portfolios classified by size, this study measured idiosyncratic volatility employing Fama-French three factor model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returns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Then, several robustness tests were conducted to control for potential cross-sectional pricing effects due to size, book-to-market ratio, trading volume, turnover ratio, PER, PCR, and coskewness. Such factors as short- and long-run behavior of stock returns, changes of trading strategies, exclusion of IPO firms were also considered for additional robustness check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ock returns are negatively related to idiosyncratic volatility for equal-weighted portfolios. It means that portfolios with high idiosyncratic volatility have significantly lower return than portfolios with low idiosyncratic volatility. 2)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stock returns is robust to controlling for fundamental variables, short-and long-run behavior of stock returns, systematic volatility, change of trading strategies, and continuous listed firms. It implies that idiosyncratic volatility is one of important asset pricing determinants in Korean stock market.

      • KCI등재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주식시장 고유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구진웅 ( Jin Ung Ku ),강상훈 ( Sang Hoon Kang ) 한국금융공학회 2021 금융공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고유변동성과 주식 수익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유변동성 측정을 Aslanidis et al.(2019)의 연구 방법과 같이 거시경제변수들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 및 거시경제 불확실성을 반영할 수 있는 기대고유변동성을 측정하였다. 전체 기간을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인 2008년 9월을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고유변동성퍼즐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모든 기간에서 나타났으며, 고유변동성 퍼즐 반전 현상 역시 모든 기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분석 기간과 상관없이 누락된 체계적 위험을 거시경제 요인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에 의해 설명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고유변동성과 거시경제요인이 통제된 고유변동성을 5분위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기대고유변동성과 초과수익률의 횡단면 관계를 확인하였다. 거시경제 요인을 통제하지 않은 경우 고유변동성이 높을수록 평균적으로 수익률이 감소하는 고유변동성 퍼즐현상을 확인하였다. 고유변동성에 거시경제 요인을 통제한 포트폴리오의 경우 동일가중 포트폴리오에서 1에서 5분위 까지 평균 수익률이 점차 증가하지만 통계적으로 5분위 포트폴리오만 유의한 값을 보였다. 하지만 가치가중 포트폴리오는 1분위 포트폴리오를 제외한 모든 분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대고유변동성과 주식수익률의 양(+)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이는 전통적 재무이론에서 벗어난 고유변동성 퍼즐 현상은 거시경제 변수들을 통해 주식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으며 합리적인 자산평가를 할 수 있게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in the Korean stock market. Following the Aslanidis et al.(2019), this paper include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to generate the expected idiosyncratic volatility. From our empirical analysis, we find that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is explained by the macro economic uncertainties in the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finding indicate that the including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influences on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in the Korean stock market.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 the cross 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excess returns in quintile portfolio. Excluding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shows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However, controlling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show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atility and returns. This finding indicates the including the macro economic uncertainties help us to understand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puzzle in the Korean stock market.

      • KCI등재

        고유 변동성, 체계적 변동성과 개인투자자의 비이성적 거래

        이형철(Lee, Hyung Chul)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고유변동성과 체계적 변동성이 개인투자자의 자기과신이라는 비이성적 투자행태와 주식시장 정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 고유변동성과 체계적 변동성의 크기가 크고 작은 기업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의 손익 발생 시 보유성향의 차이가 있는지, (2) 고유변동성과 체계적 변동성의 크기가 다른 기업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의 투자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3) 고유변동성 등 변동성 크기에 따라 주식 비유동성 또는 역선택 비용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에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상장된 기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한다. 먼저 (1) 주식 투자자가 평가이익이 발생할 때 매수를 선택하여 계속보유를 선택하는 날짜의 비율과 평가손실이 발생할 때 계속 보유를 선택하는 날짜의 비율 각각을 구한다. 그리고 (2) 그 차이를 이용하여 주식보유성향 측정치를 구한다. (3) 매도거래 후 그리고 매수 거래 후 일정 기간 후의 수익률 간의 차이를 구하여 이 세 가지로 투자자의 자기과신 정도를 측정한다. 기업 고유 및 체계적 변동성의 크기가 다른 기업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 간에 이 측정치의 크기 즉 자기과신의 크기가 어떠한 지 검증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예상한 것처럼 주식 고유변동성이 큰 종목일수록 손익발생시 보유 성향이 크게 나타났고, 투자성과도 좋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고유 변동성이 큰 기업일수록 주식 비유동성과 역선택 비용이 큰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체계적 변동성은 고유변동성과는 달리 유의하지 않거나 고유변동성과는 반대방향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연구의 시사점] 투자자가 투자하는 기업의 고유변동성과 체계적 변동성의 크기에 따라 평가손실을 일찍 실현하는 경향이 다를 수 있고, 그 고유변동성의 크기가 주식시장 정보환경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의 고유변동성의 크기를 살펴보는 것이 해당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성향을 살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학문적으로도 유용한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redictions about the effects of stock return volatility on individual investors’ irrational trading behavior.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total, idiosyncratic, and systematic volatility are related to the level of investors’ emotions such as the feeling of fear and the feeling of hope, and whether the level of each volatility worsen the Korean stock market’s informational environment. [Methodology] The paper reviews prior literatures and researche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investor’s irrational behavior. Four testable hypotheses were drawn. To look into the testable hypotheses, stock return and accounting data of companies listed on Korea Exchange from 2001 to 2018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tested using panel regressions. [Findings] This research finds that idiosyncratic volatilit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investors’ irrational trading behavior related to the feeling of hope or investors’ overconfidence. Further, this study finds that there exist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information asymmetry in stock market. [Implications] This work find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the feeling of hope of investors as well as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idiosyncratic volatility and adverse selection cos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 in stock market volatility such as idiosyncratic volatility may cause investors to be hopeful and them to sell stocks too late. In addition, the increase in idiosyncratic volatility may lead managers and investors to worse information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