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성과작업체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심용보(Yong Bo Shim)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2 연세경영연구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성과작업체계 지수를 통해 한국 기업의 작업장 혁신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고성과작업체계 및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그리고 이 관계에 대한 경영전략과 노사관계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체계 지수의 측정항목을 설계하고 가중치를 확정한 이후 1,108개 한국 기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기업들의 고성과작업체계수준은 300점 만점에 134.5점으로 나타났다. 고성과작업체계의 구성요소 중에서 고몰입인적자원관리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고관여 작업조직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보면 고성과작업체계의 수준이 높은 군집 1은 고성과작업체계의 수준이 낮은 군집 2, 3에 비해 전문경영지배구조, 노조조직, 시장경쟁, 차별화경영전략, 기업규모, 노사협력, 인당매출액, 인당영업이익에 있어 일관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인 고성과 작업체계 및 구송요소 대부분은 종속변수인 인당매출액과 인당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고성과작업체계와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노사관계 분위기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지만 차별화 경영전략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has become a widely held premise that people provide organizations with an important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core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is that work is organized to permit front-line work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hat alter organizational routin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mpact of HPW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erentiate management strategy and industrial rel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n companies. HPWS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High-commitment HRM, High-skill HRD, High-involvement work organizat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agers and union officers in 1,180 samples which were extracted from 13,639 Korean companies. The result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otal level of HWPS in Korean companies registered 134.5 point out of 300 point. Examined subcategory, the highest variable in score was the High-commitment HRM and the lowest was the High-involvement work organiz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HPW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 annual sales and operating profit. The interaction of HPWS and partnership in industrial rel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 annual sales and operating profit.

      • KCI등재

        유통서비스 업종에서의 작업장혁신에 관한 통합적 연구

        이호창 ( Ho Chang Lee ),심용보 ( Yong Bo Shi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유통서비스 업종에서의 작업장혁신과 관련하여 저원가 경쟁전략과 차별화 경쟁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유통서비스 업체에서 고성과작업체계의 지향성을 갖는 작업장혁신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분석과 양적 통계분석을 평행하는 통합적 연구(triangulation)를 시도하였다. 질적 사례분석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유통업체 중에서 저원가경쟁전략을 강조하는 월마트와 차별화 경쟁전략을 강조하는 웨그먼스를 추출하여 다수사례 연구방법(multi-case study)을 적용하였다. 양적 통계분석에서는 유통서비스 업종에 속한 100인 이상 한국 기업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245개의 기업을 표본추출하여 고성과작업체계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질적 분석의 경우 월마트는 저원가 경쟁전략을, 웨그먼스는 차별화 경쟁전략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서로 상이한 작업장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월마트는 저비용-저가격 전략과 프로세스 주도적 혁신을 통해 엄청난 성장을 거두었지만, 그 성공 뒤에는 저임금, 저숙련, 단순노동, 높은 이직률로 얼룩진 열악한 일자리가 지배적이었다. 반면 웨그먼스는 차별화 경쟁전략과 고성과작업체계를 통해 양호한 경영성과와 양질의 일자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고 있었다. 한편 양적 분석의 경우, 한국의 유통서비스업체에서도 차별화 경쟁전략과 고성과작업체계의 구성요소간의 외적 적합성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나아가 고성과작업체계는 이직율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인당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core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is that work is organized to permit front-line work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hat alter organizational routin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HPW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triangulation research method and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urnover rate in Korean distributive service companies. A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W-Mart case suggested that the low cost strategy resulted in the excellent management performance but was composed of the work system in which the working conditions W-Mart were inferior and made clear low-skilled, low-pay and high-turnover rate. But, WegmansFood Markets case was showing that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was commensurate with HPWS and Wegmans Food Markets case was composed of the work system in which the working conditions were superior and made clear high-skilled, high-pay and low-turnover rat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HPW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rate and per annual sales. The turnover rate partially mediated between HWPS and per annual sales.

      • KCI등재

        작업장혁신과 노사파트너십간의 상호작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노사협의회 활성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심용보,허찬영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성과작업체계론을 통해 한국 기업의 작업장혁신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작업장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그리고 이 관계에 대한 노사협의회 활성화 정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고성과작업체계 및 노사협의회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1,180개 한국 기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기업의 고성과작업체계 수준은 240점 만점에 110.9점으로 나타난 반면 조절변수인 노사협의회 활성화는 5점 척도의 중간 값을 약간 상회하는 3.6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보면 노사협의회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군집 1은 수준이 낮은 군집 2, 3에 비해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고참여 작업조직 그리고 고성과작업체계에서, 종속변수인 인당매출액에서, 통제변수인 공공/기타서비스 더미, 상장사 더미, 전문경영 더미, 유노조 더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성과작업체계는 인당매출액과 인당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간이직율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노사협의회의 활성화는 고성과작업체계와 인당매출액·인당영업이익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has become a widely held premise that people provide organizations with an important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core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is that work is organized to permit front-line work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hat alter organizational routin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HPW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tnership at work in Korean companies. HPWS was composed of two factors: High-commitment HRM, High-involvement work organizat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agers and union officers in 1,180 samples which were extracted in 13,639 Korean companies. A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otal level of HWPS in Korean companies registered 110.9 point out of 240 poin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HPW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 annual sales and operating profit but a negative effect on labor turnover. The interaction of HPWS and partnership in industrial re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 annual sales and operating profit.

      • 직장 마음챙김, 직장영성 및 고성과작업체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조직 적합도의 매개효과

        이대형(Lee, Dae-Hyrong),이진춘(Lee, Jinchoon) 한국의사결정학회 2020 의사결정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ICT 기술의 디지털화로 인한 점차적으로 파괴되고 있는 조직의 자아정체성과 가치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마음챙김, 직장영성, 고성과작업체계(HPWS)의 도입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 한 연구 모델을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여 직장마음챙김, 직장 영성, 고성과작업체계가 조직 적합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직무 만족도, 조직성과, 부가적인 조직시민 핸동 등의 성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통해 첫째, 직장 마음챙김이 부분적으로 조직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드러났으나. 아직까지는 적합성에 결정적인 선행요인이 아니었다. 둘째, 직장 영성은 개인-조직적합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요인임이 밝혀졌으며, 이는 현재 업계에서 주장되고 있는 가치관 경영과 같은 맥락이다. 셋째, 고성과작업체계가 가장 중요한 조직적합성을 결정하는 요인이었다. 이는 전통적인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유효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넷째, 개인-조직적합성은 조직성과로 귀결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의 외생변인인 직장마음챙김, 직장영성 그리고 고성과작업체계가 조직성과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조직적합도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고성과작업체계와 직장영성이 미치는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직장영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workplace mind-build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high-performance work system (HPWS) as a way to address the increasingly destroyed organization"s self-identity and values due to the digitization of ICT technology. Based on the research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workplace mind-tak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high performance business system we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organizational suitability, resulting i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dditional organizational citizen hand movement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workplace mind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uitability in part. So far, it has not been a decisive prerequisite for suitability. Second, workplace spirituality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organizational fitness, which is in the same vein as the value management currently claimed in the industry. Third, high-performance industri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organizational suitability. This proves that tradi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re valid. Fourth, individual-organizational suitability was resulting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in par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Fifth,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organizational compatibility in the work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he effect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which are external variables of this stud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the mediated effects of high-performance businesses and workplace spirituality were not significant.

      • KCI등재

        고성과 작업체계와기업 내 여성의 관리직 진출

        민현주,신은종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5 No.2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HPWS)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on the proportion of women managers in the organizations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While organizations have been trying to develop and adopt new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in particular is characterized as a scientif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It is yet clear as to whether/how the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influences women's care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bundle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are likely to reduce the proportion of women managers in the organizations. Regarding the individual strategies’ impacts, the strict recruiting strategy and scientific evaluation are likel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women managers while workers’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incentive linkage are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proportion of women managers in the organizations.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체계(High performance work system)의 도입이 기업 내 여성 관리직 비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업들은 고성과 작업시스템 도입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객관적이고 과학적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으나, 이러한 제도 도입이 여성들의 관리직 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인적자본 기업패널(HCCP)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고성과 작업체계 도입의 번들효과는 기업차원에서의 여성 관리직 비중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관행들의 효과분석에서는 채용전략의 엄격화와 평가의 과학성은 기업 내 여성 관리직 비중을 높이는 반면, 근로자 참여의 활성화와 보상-성과연동성은 오히려 여성의 관리직 진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심용보(Yong-Bo Shim)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6 경영경제연구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있어 고성과작업체계라는 조절변수의 영향을 살펴봄으로 무형식 학습을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조직성과로의 영향관계를 촉진시키는 상황적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무형식 학습의 구성요소 및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그 후 노사발전재단의 ‘2012년 일터혁신지수로 본 한국기업체 진단·평가’ 조사자료를 토대로 연구목적에 적합한 1005개의 기업을 추출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기업의 무형식 학습 노력은 근로자들의 이직율을 낮추며 혁신활동과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과 작업체계는 무형식 학습과 혁신활동, 노동생산성간의 인과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고 있었다. 한편 고성과작업체계는 무형식 학습과 이직율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act of informal learning on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agers in 1,005 samples which were extracted from 13,639 Korean companie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indicated that informal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ivity, and innovative activity, and negative effects on labor turnover. The interaction of HPWS and informal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ivity, and innovative activity, but no effect on labor turnover.

      • 조직학습, IT역량, 변혁적 리더십과 고성과작업체계가 조직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지능의 매개효과

        서경호(Seo, Kyung-Ho),이진춘(Lee, Jinchoon) 한국의사결정학회 2021 의사결정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취약성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조직적 대응력은 매우 중요한 비즈니스 역량이 된다. 따라서 비즈니스 조직은 역동적인 조직으로서 끊임없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의 민첩성을 기반으로 경쟁해야 한다. 제품, 서비스, 솔루션, 비즈니스 모델 및 내부 프로세스에서 크고 작은 혁신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기능을 기반으로 한다. 이런 맥락에서 기업의 다양한 분야를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이 도출될 수 있다. 이전 연구 결과를 검토한 결과, 민첩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직 대안으로는 IT역량, 조직 학습, 혁신 리더십, 고성과 업무체계, 조직 지능이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학습, IT 역량, 변혁적 리더십 및 고성과 업무 체계를 사용하여 조직 지능의 구축 및 개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직의 민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한 연구가설을 기반으로 연구 모델을 설계하고 모델에 도입된 구성개념에 대한 조사를 준비한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전국 2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AMOS27을 활용한 가설검정을 실시했다.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학습은 조직지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됐고, 이전 연구에서는 조직학습이 원인변수이고 조직지능이 매개 역할을 하는 만큼 둘의 혼재된 관계가 명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IT 역량이 조직의 지능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적 대안임을 확인했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의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었다. 넷째, 고성과작업체계는 조직지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직경직성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의 민첩성에 조직지능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In this study, organizational agility becomes a very important business capability in a situation where environmental vulnerability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business organizations, as dynamic organizations, must compete based on market agility to respond to constant changes. It is based on the capability to continuously create large and small innovations in products, services, solutions, business models, and internal processes. In this context, strategic alternatives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fields of the company.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IT capability, organizational learn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nd organizational intelligence are used as factors influencing agility as organizational alternatives that can bring about agility. In this study, organizational learning, IT competenc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can be us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agility by influencing th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intelligence.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designs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designed basic research hypothesis and prepares a survey on the constituent concepts introduced into the model. A survey of 200 SMEs nationwide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a hypothesis test was conducted using amos27.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learning has prov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intelligence, and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ixe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larified as organization learning is the cause variable, and organizational intelligence plays a mediating rol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capability is an effective strategic alternative to enhancing organizational intelligence.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not a factor influencing organizational intelligenc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igh-performance work system is a cause of organizational rigidity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intelligence. Fifth,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intelligence is a strong influence on organizational agility.

      • KCI등재

        노사관계와 지식공유

        박용승(Park, Yong-Seu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5년 조사실시한 직업능력개발원의 1차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의 표본에 포함된 320개 제조업체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노사관계가 작업장의 종업원 지식공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사관계 변수는 노동조합의 유무와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노동조합의 작업장 존재유무의 지식공유에 대한 효과에는 본원적인 발언효과(voice effect)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인 효과와 독점효과(monopoly effect)를 바탕으로 한 부정적인 효과가 혼재할 것으로, 그리고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는 노동조합의 발언효과를 극대화시켜 작업장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종업원 참여제도와 같은 고성과작업체계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노사관계변수의 조절효과도 분석하였다. 조직 변화관리에 대한 노동조합이 가지는 발언효과를 고려하여 특히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가 고성과 작업체계의 지식공유에 대한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체로 본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장의 노동조합은 종업원의 지식공유행위 참여의지에 부정적 효과를 미치는 반면 노사관계의 협력적 풍토는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성과 작업체계의 지식공유행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도 노동조합은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반면 노사관계 협력적 풍토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대상에 포함된 업체의 경우 노동조합의 독점효과를 바탕으로 부정적인 효과가 지배적인 현실이지만, 노사공동의 노력으로 협력적인 작업장의 풍토를 이루었을 경우 지식공유 활성화를 통해 노사관계가 조직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effects of union and labor-management climate on employees' knowledge- sharing.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320 firms included in the first round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nion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have been hypothesized following monopoly vs. voice effects propositions suggested by Freeman and Medoff(1984).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operative labor management climate consistently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sharing while presence of union at the union h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s' participation in the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Moderating effects of labor-management climate o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knowledge sharing were also positive.

      • KCI등재

        일터 혁신이론에 대한 문헌 고찰

        이영면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2

        This abstract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reexamining the theory of workplace innovation (WPI) in the context of Nordic countries and Korea. The concept of WPI emphasizes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technological factors, but also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order to improve bo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dividual working life quality, thereby ensuring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However, Korean companies have been passive in adopting workplace innovation, focusing instead on technology-driven manufacturing innovation. The government's efforts have been limited to promoting workplace innovation consulting projects. Given this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revisit the theory of workplace innovation, which has received insufficient attention,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its social diffusion.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existing theories of workplace innovation by following the workplace innovation flow chart modified by the author. This abstract presents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frameworks and perspectives relevant to workplace innovation. Firstly, the organizational design perspective at the structural level encompasses the Modern Social Technology System Design Theory (MSTSD), Job Demand-Control (JD-C) Theory, Job Demand-Control-Support (JDCS) Theory, and Job Demand Resource (JDR) Theory. Secondly, the cultural level perspective focuses on worker participation and encompasses theories such as Employee-Driven Innovation (EDI) theory, democratic dialogue theory, labor process theory, relational adjustment, and sociocracy. Thirdly, the strategic choice perspective of management incorporates resource-based theory, dynamic competency, high-performance work system, knowledge capital theory, lean management, management technology, high-reliability organization (HRD), and distributed leadership. Moreover,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presented through the Integrated Workplace Innovation (TWIN) theory and the fifth factor model, which aim to integrate the perspectives of theorists,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Finally, the abstract concludes by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북유럽 중심으로 일터 혁신(workplace innovation: WPI)이 논의된 지 반세기가 지났고,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도 20여 년이 넘었다. 일터 혁신의 핵심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생산방식과 같은 기술적인 요인만이 아니라근로자의 태도와 행동, 조직구조와 설계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만 조직의 성과와 개인의 근로생활의 질이 동시에 제고되고, 그래야조직이 지속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은 기술 중심의제조 혁신을 강조하면서, 근로생활의 질 제고를 포함하는 일터 혁신에 대해서는 소극적이고, 정부도 일터혁신 컨설팅 사업만을 추진하고 있는 정도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분하게 논의되지 못한 일터 혁신이론을 재검토하는 것은일터 혁신의 사회적 확산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터 혁신에 대한 이론을 일터 혁신흐름도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먼저구조 차원의 조직설계 관점에서는 현대사회기술체계설계이론(MSTSD)을 포함하여 이론들을 제시하였고, 다음으로 문화 차원의 근로자 참여 관점에서는근로자주도혁신(EDI) 이론을 포함하여 이론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경영진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관점과 통합적 관점에서 여러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논문의 마지막에는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