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경제 과목 응시에 나타난 고등학교의 특성 분석

        한경동 한국경제교육학회 2018 경제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과목별 응시 학생 수 통계와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uData Service System, EDSS, http://edss.moe.go.kr)의 데이터를 활용해 2011년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 과목에 응시하는 학생 수의 급감 현상을 진단하고,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사회탐구 영역 과목의 응시 학생 수를 고등학교의 특성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2007학년도 총 88,068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경제 과목 응시 학생 수는 2012학년도부터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8학년도에는 5,423명에 불과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특성에 따라 경제 과목 평균 응시 학생 수를 보면, 읍면의 고등학교보다 시 또는 특별/광역시의 고등학교가, 국공림보다 사립 고등학교가, 비평준화보다는 평준화 고등학교가 응시 학생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유형으로 볼 때는 특성화고, 특목고, 일반고, 자율고의 순으로, 남녀 공학 여부로 볼 때는, 여고, 남녀 공학, 남고의 순으로 평균 응시 학생이 더 많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In this study, a sharp decrease phenomenon of the number of students who take economics examinat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fter 2011 is diagnos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social inquiry examination area in the 2017 CSAT is analyz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taking economics examination in the CSAT, which peaked at 88,068 in 2007, started to decline in earnest in 2012 and is only 5,423 in 2018. Seco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taking economics examination of high schools in citie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s in municipalities, and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taking economics examination of private high school is higher than that of public high schools. In terms of high school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students in the order of specialization school, special high school, general high school, and autonomous high school, and in order of girls’ school, coeducation, and boys’ school.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 응시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의 특성 분석

        한경동 한국경제교육학회 2020 경제교육연구 Vol.27 No.1

        In this study, using school information and student information of the EduData Service System (EDSS, http://edss.moe.go.k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took economics and those who did not take it in the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ere compared, and the factors that took economics in CSAT were analyz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the 3rd year students/graduates, Korean percentile score, math percentile score, school types, school establishment types, co-education classification, whether or not the principal competition system was implemented. Second, the more male students, the higher graduates, the higher the percentile score in mathematics, the more private and public schools than the national public schools, and the students in non-standardized schools than the leveling school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take economics in CSAT. In the future, significant changes will be expected in high school economic educ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 40% increase in the ratio of CSAT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Prior to finding a countermeasure, more objective and accurate diagnosis of economic education is expected through empirical studies using various economic education statistics. 본 연구에서는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uData Service System, EDSS, http://edss.moe.go.kr)의 고등학교 알리미 정보, 고등학교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관련된 학교 정보 및 학생 정보를 활용해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에 응시한 학생과 응시하지 않은 학생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에 응시하는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제에 응시한 학생과 응시하지 않은 학생은 성별, 재학/재수 구분, 국어 백분위 점수, 수학 백분위 점수, 학교 유형, 설립 유형, 남녀공학 구분, 교장 공모제 실시 여부, 평준화 여부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보다는 남학생, 재학생보다는 재수생, 수학 백분위 점수가 높을수록, 국공립보다는 사립, 교장 공모제를 실시하는 학교보다 실시하지 않는 학교, 평준화 학교보다는 비평준화 학교의 학생일수록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에 응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향후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정시 수능위주 대입 전형 비율의 40% 상향 조치 등으로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심대한 변화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응 방향 모색에 앞서 다양한 경제교육 통계자료 등을 이용한 실증 연구를 통해 경제교육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진단이 기대된다.

      • KCI등재

        영국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고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강현영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국은 2017년 이후 16세 이후 수학을 강조하고 평가를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 해당되는 Key stage 4, Core Maths, A-level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공동과목, 일반선택과목, <기하> 과목과 비교하였다. 영국에서는 고등학교 단계에서 수학교육을 강조하며 학생들의 수학 선택권을 확대하고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학 교과목 및 평가를 함께 개발하여 시행하고, 기존의 A-level 수학 평가를 개선하였다. 또한 주제 중심의 내용을 Key Stage 3부터 고등학교 단계에서도 발전적이고 지속적으로 다루고 다른 영역의 주제와 연결하여 다룸으로써 수학의 내적 외적 연결성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대해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첫째, 미래사회 대비를 위해 학습 내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수학 학습 선택권을 위한 지원과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 개발과 동시에 평가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통계교육 개선을 위해 통계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변천 분석

        도종훈(Jonghoon Do)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암묵적으로 혹은 명시적으로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하는 공통 교육과정 혹은 공통 과목으로서 의미를 부여해 온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본 고에서는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변화를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성격과 과목 명칭 및 고등학교 1학년 수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수 영역의 내용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시기별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수학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보고서와 도서, 학술 논문 등 교육과정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은 제3차 교육과정을 제외한 모든 교육과정에서 별도의 과목으로 존재했는데 그 명칭들로부터 고등학교 수학 학습의 출발점으로서 공통의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과목 혹은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서의 성격을 유지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1학년 수학 대수 영역의 내용 중에서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지기도 하고 2-3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지기도 한 내용으로 수열, 지수와 로그 등이 있고,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다루다가 특정 교육과정 이후 더 이상 고등학교 수학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으로 실수 연산의 성질과 대소 관계, 다항식의 약수와 배수, 유리식과 무리식의 계산,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 부등식의 성질, 상용로그의 지표와 가수, 지수 방정식과 부등식, 로그 방정식과 부등식, 순서도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대수 영역의 하위 영역별 주요 내용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학교 교육을 통해 모든 학생이 학습하고 형성하기를 기대하는 수학 내용과 수학적 소양의 범위 설정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High school 1st year mathematics has been considered explicitly or implicitly as a common curriculum or a common subject in Korea. Which changes have occurred in high school 1st year mathematics according to changes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changes of high 1st year mathematics according to changes of curriculum focused on changes of contents of algebra. For this we first analyze literature including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from the 1st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e 2022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reports, mathematics textbooks and so on. As the result of our analysis, we identified that high school 1st year mathematics has always played a role as a basic and common subject in view of its subject name and its place in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r each curriculum period. And we alo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ome contents of algebra, that is, sequence, exponent and logarithm, etc. included in high school 1st year mathematics and 2nd or 3rd year mathematics alternately, and other contents of algebra disappeared in mathematics curriculum. Our analysis results seem to be basic data in discussing the range of contents of common mathematics curriculum for citizens in future.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문법분석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법문항과의 연계성연구

        구현정,박은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학습자의 정확한 문법이해와 사용은 모든 언어영역 발달에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교과서는 학습자의 언어사용의 정확성을 키우는 문법교육의 기본교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에 제시되는 문법항목과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되는 문법문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계고등학교 한 곳에서 3년 간 사용하는 총 5권의 영어 교과서에 제시되는 문법항목과, 1994학년도 1차부터 2012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법문항에 출제된 문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과서는 다양한 문법을 고루 제시하고 있으나 각 문법이 차지하는 비중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5개 교과서에 70개 항목의 문법이 169회 제시되었다. 3년 동안 한 번만 제시된 항목이 있는가 하면 반복적으로 제시된 문법항목이 있었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58개 문법항목이 152회 제시되고 있다. 출제 비중에 있어서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항목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교과서에서 제시된 문법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문법을 비교해 본 결과 교과서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문법을 대부분 다루고 있었지만 강조하는 문법사항은 서로 달랐다. 교과서가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된 문법을 대부분 다루고는 있으나 이는 3년간 제시되는 문법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학년별로 시기적절한 구성이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grammar of high school textbooks and in the CSA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the textbook for the CSAT, and to identify the grammar in the CSAT that does not match the textbook grammar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 grammar in fiv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for three years in a high school and the grammar questions in the 19-year CSAT were analyzed and compared for these purpo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textbooks include various grammar items, but the emphasis differs among them. Five textbooks presented 70 grammar items in 169 instances. Some grammar items appeared just once over three years, while others appeared in the textbooks repeatedly. Second, 58 grammar items appeared 152 times in the CSAT. As in the textbooks, the importance of each grammar item was different 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textbooks. Some items were presented just once, but others were included 16 times in the 19-year CSAT. Third, the textbooks dealt with most of the grammar items included in the CSAT;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textbooks can help students in each grade to prepare for the state-led test or private mock exams in a timely fashion. The grammar items that most often appeared in the textbooks were conjunctions and relative pronouns, which were each offered 12 times. Thus, the grammar items emphasized differed between the textbooks and the CSAT.

      • KCI등재

        실업계(實業界) 고등학교(高等學校)에서 수학교육(數學敎育)의 문제점(問題點)에 대한 고찰(考察) - 상업계(商業界) 고등학교(高等學校) 학생(學生)을 대상(對象)으로 -

        조봉식,이정하,Cho Bong-Sik,Lee Jung-Ha 한국수학사학회 2006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력 실태와 진로 희망, 수학에 대한 인식을 정확히 파악하고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여러 가지 수학 교수 방안을 찾아보고 셋째, 현행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을 통하여 수학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at underst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cholastic ability, dream and conception about mathematics exactly and that we find a educational mathematics program suitable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Through this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 we will find the way that increase efficiency.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김민석,오광식,Kim, Minsuk,Oh, Kwang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3 No.6

        특성화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를 비교 검토하고, 수학교과의 기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특성화고에서 수학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효율적으로 수학교과를 교수 학습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등학생 6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하고, 그 자료에 대하여 카이제곱검정과 감마값을 통하여 학교급 및 학년과 내 외적 요인들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또한 수학교과 기초학습능력이 학교급과 학년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일반화선형모형을 적합해 본다. 그리고 기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내 외적 요인을 회귀분석의 단계적 변수선택방법을 이용하여 찾아본다. In order to suggest the basic resources of mathematics education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we investigate the attitude of student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Questionnaires survey was carried on 654 students and we use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chi-square test, gamma, generalized linear model, Anova, regression. Several result can be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 analysi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terest, pre-learning ability etc. The specialized school students think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more importantly, while the general school students think more closely related to their course.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수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직선의 방정식 중심으로

        박정인(Jeong In Park),김성백(Seong Bae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21학년도 2학기부터 인공지능 분야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수학’ 과목이 진로선택 과목으로 개설되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학 기초 학력이 약하고 수학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 수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인공지능 수학 교육방법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대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의 원리 이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단순선형회귀와 서포트 벡터 머신 중심으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AI 가치 인식의 변화’, ‘AI 효능감의 변화’, 그리고 ‘수학의 가치 인식의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I 가치 인식의 변화 등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수학 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습능력의 분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구웅(朴九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3

        개별학교 내의 학생들의 학습능력의 분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학교별 학생선발이나 학교 내 학급운영 등에 있어서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공교육에 있어서 평준화와 비평준화 중 어느 체제가 바람직한지에 대한 논의는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한편 현실에서는 학생선발 방식, 중점교과목, 학교운영의 자율성 등에 있어서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수 고등학교 사이에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자립형 사립고 사이에도 여러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을 상대적으로 동질성을 갖는 과학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1999∼2010년 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있어서 14개 과학고와 15개 외고의 표준점수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능력의 분포가 수능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수학, 영어의 표준점수는 여타의 학교 특성을 통제했을 때 모두 해당과목의 표준편차에 음(-)의 영향을 받고 있다. 둘째, 국/공립학교의 경우가 사립학교보다 그리고 지역단위 선발 학교의 경우가 전국단위 선발 학교의 경우보다 성과가 더 높게 나온다. 셋째, 대도시 지역의 학교들은 중소도시 또는 읍/면 지역의 학교들 보다 일반적으로 성과가 더 높다. Analysis of the impact of students’ ability distribution within school on the academic performance may hav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students recruitment or class allocation practices within school. It has long been discussed whether equalization or non-equalization policy is desirabl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especially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Meanwhile, in reality, we witness many fundamental differences in students recruitment method, major academic subjects, school operations autonomy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high schools, and more specifically between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science high schools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which are perceived to share more commonalities. I use the test scores in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CSAT) for 1999-2010 to test the impact of students’ ability distribution within school on the students’ performance for the sample of 14 science and 15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Main findings are; first, standardized scores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all depend negatively on standard deviation in the corresponding subjects, controlling other school characteristics. Second, schools under public foundation and local catchment perform better than those under private foundation and nationwide catchment, respectively. Third,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perform generally better than schools in small & medium sized cities and rural area.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맞춤형 인공지능 수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박정인,김성백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3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o understand and use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ly necessary. From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1 academic yea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subject, which can learn how mathematics is used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opened as a career elective cours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generally weak in basic mathematics and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athematics. Therefore, effective teach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is required.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help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nalyzed through classes focusing on straight equations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n understand.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change in ‘AI value perception', ‘change in AI efficacy', and ‘change in mathematics value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items. such as changes in AI value perception.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me up with measures to effectively educate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each high school. 인공지능 발달에 따라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21학년도 2학기부터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인공지능 분야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수학> 과목이 진로 선택 과목으로 개설되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학 기초 학력이 부족하고,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인공지능 수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인공지능 수학 교육 방법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의 원리 이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직선의 방정식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인공지능 가치 인식의 변화', ‘인공지능 효능감의 변화', 그리고 ‘수학 가치 인식의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 가치 인식의 변화 등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 고등학교 특성에 적합한 인공지능 수학 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