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형과 무시멘트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결과 비교

        임수재 ( Soo Jae Yim ),유재호 ( Jae Ho Yoo ),서유석 ( Yu Seok Seo ),김병민 ( Byoung Min Kim ),정기진 ( Ki Jin Jung ),서유성 ( You Sung Suh ),( Seng Chamroeun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3

        목적: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으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군과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군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3명 59예와, 같은 기간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8명 6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Harris 고관절 점수, WOMAC 점수를 사용하였고, 최종 추시상 고관절부 불편감, 대퇴부 동통 여부를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방사선 투과음영, 대퇴 스템의 침강, 시멘트 맨틀의 등급, 고정의 안정성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Harris 점수는 시멘트형 군에서 수술 전 평균 62.7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92.4점으로 향상 되었으며, 무시멘트형 군에서는 수술 전 평균 61.5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91.8점으로 향상 되었다(p>0.05). WOMAC 점수는 시멘트형 군에서 수술 전 평균 37.9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7.0점으로 향상 되었고, 무시멘트형 군에서는 수술 전 평균 38.5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12점으로 향상 되었다(p<0.05). 시멘트형 군에서는 고관절부 불편감과 대퇴부 동통은 없었으며, 무시멘트형 군에서는 고관절부 불편감 5예, 대퇴부 동통 9예가 있었다. 양 군에서 비구 컵의 골성 고정을 얻었고, 삽입물의 이동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시멘트형 군에서 대퇴 스템의 침강은 57예에서 1 mm 이내, 2예에서 2 mm 이내였으며, 무시멘트형 군의 모든 예에서 대퇴 스템의 골성 고정을 얻었다. 결론: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은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 비해 유의하게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높은 강성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하기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ceramic-on-ceramic bearing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using cemented femoral stems and cementless femoral stem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59 cases (52 patients) of THAs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cemented femoral stems and 64 cases (58 patients) of THAs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cementless femoral stems. All THAs were performed between January 2004 and February 2005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3 year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HHS), WOMAC score, sense of discomfort, and thigh pain. Radiographic results were assessed with serial radiographs. Results: The mean HHS improved from 62.7 points preoperatively to 92.4 points at the last follow-up in the cemented stem group and improved from 61.5 points to 91.8 points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p>0.05). And mean WOMAC score improved from 37.9 points to 7.0 points in the cemented stem group and from 38.5 points to 12 points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p<0.05). There were 5 patients with a sense of discomfort and 9 patients with thigh pain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and no cases in the cemented stem group. There were no instances of acetabular loosening in either group. Subsidence of the cemented femoral stem was less than 1 mm in 57 cases and less than 2 mm in 2 cases. All cementless femoral stems acquired firm bony union. Conclusion: Ceramic-on-ceramic bearing THA using a cemented stem showed clinical results superior to those achieved using a cementless stem. Cemented THA is thought to be good for complement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hardness of ceramic-on-ceramic bearings.

      • KCI등재

        고관절 감염 후유증 환자에서 시행한 3세대 알루미나-알루미나 고관절 전치환술

        이혁진(Hyuk-Jin Lee),유정준(Jeong Joon Yoo),구경회(Kyung-Hoi Koo),윤강섭(Kang Sup Yoon),김영민(Young-Min Kim),김희중(Hee Jo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3

        목적: 고관절 감염 후유증 환자는 고관절의 해부학적 변형 정도가 심해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기 어렵고 이환 연령도 낮은 관계로 치환술 후 합병증 발생률과 실패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모와 골 용해 발생이 적다고 알려진 알루미나-알루미나 고관절 전치환술로 치료한 고관절 감염 후유증 환자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관절 감염 후유증으로 무시멘트성 알루미나 알루미나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5년 이상 추시(평균 6년 10개월, 5년-8년 7개월)가 가능하였던 48 고관절(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36.7세(18-63세)로 41명이 50세 이하였다. 전례에서 알루미나 관절면(BIOLOX<SUP>®</SUP> forte)을 장착한 PLASMACUP<SUP>®</SUP>SC-BiCONTACT<SUP>®</SUP> system이 사용되었다. Harris 고관절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실시하였고 방사선학적 검사로 삽입물의 고정 상태, 골 용해 발생 여부, 수술 전 후 환자의 하지 부동 정도, 수술 전 후 고관절 회전 중심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1.6점에서 최종 추시 시 92.2점으로 향상되었다. 전예에서 감염의 재발은 없었으며 삽입물의 안정적 고정을 확인하였다. 최종 추시 시 삽입물의 해리는 없었으며 추시 도중 골 용해가 의심되는 경우가 1예에서 관찰되었다. 하지 부동은 술 전 평균 26.2 ㎜에서 술 후 평균 9.5 ㎜로 교정되었다. 고관절 회전 중심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수술 후 평균 11.7 ㎜ 내측으로, 평균 5.2 ㎜ 하방으로 이동하였다. 대전자의 불유합이 2예 있었으나 술 후 감염 및 세라믹의 파손은 없었다. 결론: 알루미나-알루미나 고관절 전치환술로 치료한 고관절 감염 후유증 환자들의 5년 이상 추시 결과는 만족스러웠다. 감염에 의한 고관절의 해부학적 변형이 심한 젊은 환자들에게 알루미나-알루미나 관절면은 유용한 대체 관절면이라 판단된다. Purpose: THA in patients with dysplastic hips secondary to infection of the hip joint is a technically challenging procedure because of long-standing anatomic abnormalities of the bone and soft tissues. Low friction, low wear, alumina-on-alumina bearing surfaces ar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etal-on-polyethylene articulation, and may offer a promising option for young, active patients. Her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 modern alumina-on-alumina THA performed in patients with sequelae of the hip joint infection, with a 5-year minimum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48 primary cementless alumina-on-alumina THAs that had been performed in patients who had sequelae of the hip joint infection between November 1997 and December 2000.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the index arthroplasty was 36.7 years (range, 18-63 years) and41 patients were younger than 50 years old. They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5 years (average, 82 months range, 60-103 months). Results: All hips had no recurrence of a hip joint infection. The mean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61.6 points preoperatively to 92.2 points at the latest follow-up. All of the implants had radiographic evidence of bone ingrowth and no radiological loosening. During the follow-up period, nocup or stem was revised. Periprosthetic osteolysis was suspected in one hip. Leg length discrepancy was corrected from 26.2 ㎜ preoperatively to 9.5 ㎜ postoperatively. Postoperatively, the hip center migrated 11.7 ㎜ medially and 5.2 ㎜ inferiorly. Nonunion of the osteotomized greater trochanter occurred in two hips, but no postoperative infection or ceramic failure was observed. Conclusion: The 5-year minimum follow-up clinical results of modern alumina-on-alumina THA in patients with sequelae of the hip joint infection were encouraging. Our results show that alumina-on-alumina articulation offers a reliable alternative solution for young patients with technically difficult arthroplasties.

      • KCI등재

        고관절 전치환술 후 하지 부동

        박원로 ( Won Ro Park ),문규필 ( Kyu Pill Moon ),서근택 ( Kuen Tak Suh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1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femoral offset과 하지 길이 등 고관절의 생역학적인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의 하지 부동은 요통, 좌골 신경통, 보행장애, 환자의 불만족, 탈구 등을 초래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다. 심한 하지 길이 연장은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고관절 전치환술 후 법적 소송의 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하지 길이와 고관절의 안정성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정확한 하지 길이의 회복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고관절의 전치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고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안정적인 고관절의 재건을 위해서 하지 길이의 회복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의 하지 부동을 완전히 예방하기는 어렵지만, 이학적 검사, 방사선학적 평가, 술전 templating, 술 중 확인 등의 여러 단계를 통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다. Restoration of the hip biomechanics, including the femoral offset and leg length, are the desired goals when performing total hip arthroplasty. A leg length discrepancy following total hip arthroplasty is a significant source of back pain and sciatica, gait disorders, general dissatisfaction and dislocation. Significant lengthening of the leg can be a risk factor for nerve injury and it is a relatively common cause of litigation. There is a fundamental interrelationship between leg length and stability when performing hip arthroplasty. There are a multitude of situations in which achieving both stability and perfectly equal leg lengths is simply not possible. Stability is the primary objective, and the surgeon may need to sacrifice leg length equality on the altar of stability. Although a leg length discrepancy cannot be eliminated after hip arthroplasty, it can be minimized through a series of steps, including a physical examination, radiographic evaluation, preoperative templating and intraoperative confirmation of the preoperative plan.

      • KCI등재

        동시에 시행한 양측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17년 추시 -편측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과 비교연구-

        황성관 ( Sung Kwan Hwang ),박장희 ( Jang Hee Park ),윤원식 ( Won Sik Yoon ),차재학 ( Jae Hack Cha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1

        목적: 양측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와 편측성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 추시 결과를 비교한다. 대상 및 방법: 양측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 중 17년 이상 추시 가능한 48예, 편측성 환자 4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9.1세, 66.7세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21.5년, 22.4년이었다. Harris 고관절 점수와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양측성군에서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44.3점(표준편차 3.78) 최종 추시 시 81.2점(10.75), 편측성군에서는 46.5점(3.27), 80.1점(12.05)이었다. 비구컵의 안정도와 대퇴주대의 고정도는 두군 모두 최종 추시 시 안정적 위치를 보였다. 비구컵 주위의 골용해는 26.3%, 31.4%에서 발생 하였고, 대퇴주대 주위의 골용해는 16.6%, 17.1%, 폴리에틸렌 연평균 마모율은 0.17 mm/yr, 0.16 mm/yr으로 계측되었고 비구컵 및 대퇴주대의 17년 생존율은 양측성군 78%, 89%이고 편측성군은 78%, 86%이었다. 결론: 동시에 시행한 양측성 고관절 전치환술은 편측성과 비교할 때 17년 이상 장기 추시 시에도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concurrent bilateral or unilateral cementless hip arthroplasty we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Forty eight and 49 patients with concurrent bilateral and unilateral hip artrhoplasties who had more than a 17-year follow-up time were selected. At final follow-up, mean ages were 69.1 and 66.7 years old in the bilateral and unilateral groups, respectively. Mean follow-up times were 21.5 and 22.4 years in the bilateral and unilateral groups, respectively. Clinical results were attained using Harris hip score and standardized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 X-rays. Results: The bilateral group had mean Harris scores of 44.3(standard deviation 3.78) preoperatively, and 81.2 (10.75) at final follow-up. For the unilateral group, the mean scores were 46.5(3.27) preoperatively, and 80.1 (12.05) at final follow-up. At final follow-up, an acetabular cup was securely located in 78.9% and 82.8% of the bilateral and unilateral groups, respectively, and all cases showed firm fixation of the femoral stem in both groups. Osteolysis around the cup and stem were found in 26.3% and 31.4% of the bilateral group and 16.6% and 17.1% of the unilateral group, respectively. Polyethylene wear rate was 0.17 mm/yr and 0.16 mm/yr in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groups, respectively.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17-year survival rates for cup and stem were 78% and 89% in the bilateral group, respectively, and 78% and 86% in the unilateral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In 17-year long-term follow-up, concurrent bilateral hip arthroplasty was insignificantly different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from the result of unilateral hip arthroplasty.

      • KCI등재

        강직성 고관절에 시행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문경호 ( Kyoung Ho Moon ),강준순 ( Joon Soon Kang ),최성욱 ( Sung Wook Choi ),정새롬 ( Sae Rom Jung ),정세진 ( Se Jin Jung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고관절 강직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추시 분석 하고, 이를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의 수술 결과와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강직성 고관절로 수술을 시행 받은 19명, 21례 고관절을 대상으로, 술 후 정기적으로 시행된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 사진을 추시 분석하였고,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Harris hip score (HHS)는 술 전 평균 59.2점에서 85.8점으로 향상되었다. VAS(visual analog scale)는 술 전 6.5점에서 2.2점으로, 하지 부동은 평균 27.5 mm에서 12.5 mm로 교정되었다. 합병증으로 감염이 3례, 이소성 골화는 8례, 습관성 탈구가 1례에서 발생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비구컵 4례와 대퇴 주대 6례에서 방사선 투과 선이 관찰되었으나, 진행 소견은 없었다. 골용해는 비구컵에서 1례 관찰되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고관절의 운동 범위의 증가량과 하지 부동의 교정 면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최종 HHS, 하지 부동, 운동 범위 및 합병증 발생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강직성 고관절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양호하였고, 대조군에 비하여 비교적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performing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in patients with a fused hip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at of patients with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ur head (AVNF). Materials and Methods: 19 patients (21 hips) with a fused hip(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e analyzed them clinically with using the Harris hip score (HHS), and radiologically with performing serial radiograms and we then compared them with the results of the patients in the AVNF group. Results: The mean HHS was improved from 59.2 to 85.8. The VAS improved from 6.5 to 2.2 and the leg length discrepancy (LLD) improved from 27.5 mm to 12.5 mm. As complications, wound infection occurred in 3 hips, heterotopic ossification occurred in 8 hips and recurrent dislocation occurred in one hip. Although a radiolucent line was found in 4 acetabular cups and 6 femoral stems, there was no progression. Osteolysis was found in 1 acetabular c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A in patients with a fused hip were excellent. Comparing with the AVNF group, improvement of the hip motion and LLD were much better. The improvement of the VAS and HHS showed similar result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final results of the HHS, VAS, LLD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hip were worse, and the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 KCI등재

        65세 이상의 고령에서 사용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이상 추시 결과-

        이송 ( Song Lee ),김진학 ( Jin Hak Kim ),고동오 ( Dong Oh Ko ),전영원 ( Young Won Jeon ),양승진 ( Seung Jin Yang ),류창욱 ( Chang Wook Ryu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2

        목적: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만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5년 이상의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65세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7명(47고관절)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29명(29고관 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9세(65~73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74.6 개월(61~107 개월)이었으며 최소 5년 이상 추시하였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21예, 퇴행성 고관절염 2예, 류마티스 관절염 1예, 대퇴 경부 골절 4예, 결핵성 고관절염 1예였다. 임상적으로는 Harris Hip Score(HHS)를 측정하고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 유무를 평가하였고, 방사선 학적으로는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변 각각의 골 용해, 응력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불안정성, 비구 전염각과 경사각, 경부 전염각 대퇴 스템의 고정 위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56.3±1.4점에서 최종 추시시 92.3±1.1 점으로 향상되었고(p=0.013), 우수가 21 예 (72.4%), 양호가 8 예(27.6%) 였으며,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은 없었다. 최종 추시 방사선 소견 상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위 골용해가 발생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고, 응력 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소견은 비구측 6예(20.7%), 대퇴부 3예(10.3%)에서 보였고, 안정성의 평가에서 비구컵은 모든 예에서 골성 안정성이였고, 대퇴스템은 1예(3.4%)에서만 가능성 해리를 보였다. 비구 전염각 평균은 18.4°±1.1, 경부 전염각 평균은 13.1°±0.9였고, 비구 경사각은 평균은 41.5°±1.3였고, 대퇴 스템은 모든 예에서 중립으로 삽입되었다. 합병증으로 고관절 후방 탈구는 1예(3.4%),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이 1예(3.4%)였고 세라믹 관절의 파손은 없었다. 결론: 65세 이상의 고령에서의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inimum five-year results of hybrid type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9 to November 2002, a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performed in 47 patients (47 hips) older than 65 years of age. Among the 47 patients, 29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5 years. The mean age of these patients was 68.9 years (65~73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4.6 months (61~107 months). The postoperative diagnosis included AVN of the femoral head in 21 hips, Osteoarthritis in 2 hips, rhematoid arhthritis in 1 hip, femoral neck fracture in 4 hips and Tuberculosis in 1 hip.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y the Harris hip score (HHS), hip and thigh pain, and radiologically by the level of osteolysis around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bone re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instability,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acetabular inclination and the femoral stem fixation site. Results: After surgery, the overall HHS improved from 56.3 ± 1.4 to 92.3 ± 1.1 points (p=0.013). Excellent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21 (72.4%) and 8 hips (27.6%), respectively. There was no case of thigh pain. Radiologically, there was no acetabular and femoral component osteolysis. 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was observed in 6 cases (20.7%) with an acetabular cup and 3 cases (10.3%) with a femoral stem. Bony stability was observed in all cases treated with an acetabular cup and possible loosening in 1 case (3.4%) treated with a femoral stem.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was 18.4°± 1.1 and 13.1°± 0.9 respectively. Acetabular inclination was 41.5°± 1.3. The femoral stem was inserted centrally in all cases. Complications included posterior dislocation of 1 hip (3.4%) and periprosthetic fracture of the femur in 1 hip (3.4%). There was no fracture of the ceramic component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effective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10년 이상 추시 보고-

        문도현 ( Do Hyun Moon ),최장석 ( Jang Seok Choi ),김동환 ( Dong Whan Kim ),김광희 ( Kwang Hee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2

        목적: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후 10년 이상의 추시 관찰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8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10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44명, 51예의 고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44명의 환자 중 남자 28명, 여자 16명이었으며, 수술시 평균연령은 49세(26~77세)였다. 원인 질환으로는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36예, 퇴행성관절염 4예, 고관절 이형성증 4예, 화농성 및 결핵성 고관절 후유증 7예였다. 임상적 평가는 Harris 고관절 점수에 근거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대퇴삽입물의 경우 수직침강의 정도, 삽입물 주위의 골용해, 골내막 신생골의 형성, 피질골 비후의 유무, 삽입물의 최종 고정 상태를 관찰하였다. 비구컵의 경우 비구컵 주위의 경화선, 골내막 신생골 형성, 비구 골용해, 비구컵의 수직, 수평 이동을 관찰하였다. 결과: 임상 결과는 Harris 고관절 점수가 술 전 평균 59점에서 최종 추시 시 93점으로 향상되었다. 비구컵과 대퇴 삽입물 주위의 골 용해 소견은 없었고, 대퇴 스템의 침강은 평균 2 mm 이하로 의미 있는 침강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합병증으로 수술시 대퇴골 선상골절이 6예, 술 후 재발성 고관절 탈구가 1예, 세라믹 골두 파손이 1예, 라이너 파손이 2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51예의 10년이상 추시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의 향상과 전례에서 골용해 소견 관찰되지 않았고 안정적인 골침습적 고정을 보이는 양호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세라믹 골두의 파손이 1예, 라이너의 파손이 2예에서 발생하여 향후 보다 많은 예의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ceramic on ceramic bearing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with a minimum of 10-years follow up.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44 patients and 51 hips, and the patients were recruited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ceramic-ceramic type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from August 1998 to February 2000 and they were available for 10-years or longer follow up. The gender ratio was 28 males and 16 females, and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49 years (range: 26~77 years). Regarding the causality of disease, osteonecrosis was noted in 36 cases, degenerative arthritis was noted in 4 cases, acetabular dysplasia was noted in 4 cases and septic or tuberculous hip sequelae was noted in 7 case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Harris hip score, and for the radiological evaluation of the femoral component, we assessed the degree of subsidence and the presence of periprosthetic osteolysis, endosteal new bone formation and cortical hypertrophy, and the final fixation state of the implant. In the cases with an acetabular cup osteoscleostic line in the vicinity of the acetabular cup, endosteal new bone formation, acetabular osteolysis and the vertical migration as well as the horizontal migration of the acetubular cup were assessed. Results: Regarding the clinical outcomes, the Harris hip score was improved from an average 59 points to 93 points at the final follow up. For the radiological results, osteolysis was not detected in the acetabular and femoral components, the subsidence of femoral stem was not beyond 2 mm on average and significant subsidence was not detected. In regard to complications, linear fracture during surgery was noted in 6 cases and postoperative hip dislocation was noted in 1 case. A ceramic head fracture occurred in one case and a ceramic liner fracture occurred in 2 cases. Conclusion: This type of articulation is a promising option at a minimum of 10-years follow up of 51 hips that underwent ceramic-ceramic bearing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However,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surgeons should be aware of the potential risks of ceramic fracture when using ceramic-on-ceramic bearing surfaces. Additional longer-term follow-up is necessary.

      • KCI등재

        고관절 고위 탈구 환자에서 전자하 횡형 단축 절골술을 이용한 무시멘트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김교욱 ( Gyo Wook Kim ),이경재 ( Kyung Jae Lee ),민병우 ( Byung Woo Min ),배기철 ( Ki Cheor Bae ),장형규 ( Hyung Gyu J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4 Hip and Pelvis Vol.26 No.1

        목적: 고관절 고위 탈구 환자에서 전자하 횡형 단축 절골술을 이용하여 무시멘트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그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12년까지 고관절 고위 탈구로 대퇴 전자하부 횡형 단축 절골술과 함께 금속판 또는 케이블 고정 및 절골부위의 골이식을 시행하여 무시멘트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18명(18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2년(2-8.3년)이었다. 임상적으로 Harris 고관절 점수, 파행, 하지 부동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골용해, 삽입물의 해리 및 절골 부위의 유합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전 예에서 Harris 고관절 점수, 파행 및 하지 부동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 감염이 발생했던 2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삽입물의 해리, 골용해 등을 보인 경우는 없었으며, 전 예에서 절골부의 유합 소견을 보였다. 합병증으로 감염 2예, 탈구 1예가 있었으며 감염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2예 중 1예에서 좌골 신경 마비가 발생하였다. 결론: 고관절 고위 탈구 환자에서 전자하부 횡형 단축 절골술을 이용한 무시멘트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감염 등의 합병증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나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cement less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 subtrochanteric transverse shortening osteotomy in patients with high hip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with high hip dislocation who underwent cement less THA combined with a subtrochanteric transverse shortening osteotomy, plate or cable fixation and bone graft on the osteotomy site between 2001 and 2012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5.2 (2- 8.3) years. We evaluated Harris hip score, limping, limb length discrepancy as a clinical parameter and osteolysis, loosening and union of the osteotomy site as a radiographic parameter. Results: Harris hip scores at the final follow-up showed improvement of limping and limb length discrepancy in all cases. And, with the exception of two cases of infection, there were no loosening and osteolysis. All cases showed union of the osteotomy site. There were two cases of infection and one case of dislocation as a complication. Infection occurred in two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on and one patient developed sciatic nerve palsy. Conclusion: Cement less THA with subtrochanteric transverse shortening osteotomy showed relatively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However,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is relatively high, therefore, careful attention is needed.

      • 고관절 전치환술에서 비구컵의 위치에 대한 고찰

        유진선,원중희,최의성,서중배,이호승,지종훈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8 忠北醫大學術誌 Vol.8 No.1

        연구목적 : 고관절 전치환술후 가장 중요한 목표는 안정된 고관절의 기능을 얻는 것이다. 고관절의 아탈구 및 탈구는 고관절치환술의 중요한 합병증중 하나로 이는 부적절한 장력, 삽입물의 위치잘못, 충돌증후(impingement), 과도한 운동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나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은 부적절한 비구컵의 위치라 할 수 있다. 저자들은 고관절 전치환술시 비구컵의 해리 및 탈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절한 비구컵의 위치를 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은 1993년 8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실시한 고관절 전치환술중 무혈성 괴사, 대퇴골두 및 경부골절, 퇴행성관절염등 비교적 비구의 변형이 없는 68명의 환자, 78예를 대상으로 전경사각(anteversion)과 비구경사(acetabular inclination)를 측정하여 비구컵의 위치를 분석하였으며 재치환술(revision) 및 비구의 이형성이 심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수술은 57예에서 비구컵의 압박삽입법과 21예에서 나사못 고정법을 실시하였으며 비구골에 의거한 비구컵 삽입법을 사용하였다. 비구컵의 내고정물로는 Harris-Galante컵을 사용하였다. 결과 : 술후 평가상 총 78예의 고관절 전치환술후 전경사각(anteversion)은 12.9°±6.3°였고 비구 경사(acetabular inclination)은 46.1°±6.4°였다. 술후 추시상 압박삽입의 경우 1예에서 고관절의 후방탈구가 발생하였는데 이때 전경사각은 1°, 비구경사는 35°였다. 결론 :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고관절 전치환술 시행시 저자들이 발견한 비구컵의 위치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컵의 위치를 비구골에 의거하여 설정한 후 압박삽입법으로 수술한 예에서 새로운 측정방법을 통해 방사선사진으로 전경사각과 비구경사를 측정한 결과, 기존 저자들의 컵의 위치에 비해 이상적인 각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비구컵의 압박삽입법과 나사못 고정법을 비교한 결과 압박삽입법에서 나사못 고정법에 비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total hip arthroplasty is obtain stability of hip joint function.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hip joint is one of the main complic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Several causes of this complication are inappropriate tensional force, malposition of acetabular cup, impingement, hypermobility. Among these causes, the main cause seems to abnormal position of acetabular cup. The authors tried to obtain adequate cup position to prevent acetabular loosening and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e authors analyzed anteversion and inclination in 68 patients, 78 cases of total hip arthroplasty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93 to december 1994 due to avascular necrosis, femur head or neck fracture, degenerative arthritis, but exclusive of revision and severe acetabular dysplasia. Acetabular cup inserted by press fit methods in 57 cases and screw fixation methods in 21 cases. Positioning the acetabular cup by bony acetabular rim without any reference to gross patient position. The implant is porous coated acetabular cup of Harris-Galante type. Results : The measurement of acetabular cup position after total hip anthroplasty, mean anteversion is 12.9°±6.3°and mean inclination is 46.1°±6.4°. Postoperative follow up, posterior hip dislocation was found in press fit methods, in this case anteversion was 1°and inclination was 35°. Conclusion : Positioning the acetabular cup by bony acetabular rim without any reference to gross patient position, produced fairly acceptable acetabular cup position. In our cases, the bony acetabulum is the best guide for the acetabular cup position and press fit methods is obtained superior result than screw fix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