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혜석의 「경희」에 나타난 자아 정체성 탐색

        김원희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1

        나혜석의 단편소설 「경희」는 한국 현대소설의 고전이자 근대 여성소설사의 첫장을 여는 정전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한 문학성과 진지한 인생 탐구의 의미를 보여준다. 1918년 발표된 「경희」에는 보여주기 서술기법의 공간 지향성의 심층에서신여성의 자아 정체성의 각성에 따른 성장 수사학을 지성과 영성의 지도로 그려낸나혜석의 예술가로서 소명의식이 환기된다. 「경희」의 서사는 다섯 단계 의 플롯 중심의 스토리 전개보다는 1-4장까지 장면구성에 따른 인물 형상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근대 신여성 교육을 받은 경희라는캐릭터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기-승-전-결’의 시학적 원리를 ‘발단-전개-위기-대단원’의 입체적 서사 플롯으로 활용하여 입체화한 것이다. 단일한 기법으로 단일한 인물의 성격을 창출하는 단편소설 구성 원리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살린 장면화의 구성에 따른 네 개의 장은 각기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경희의 자아 정체성의 변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 인물 형상화의 심층에서는 서사구성의 인과성에 따른 예술가 소명의식을 작가의 성장 수사학으로 실현한 것이다. 먼저 1-2장의 서사 구성에서는 근대 신여성 교육을 받은 신여성 경희의 자아 정체성이 ‘비본래적인 그-자기’의 타자의식으로 발현됨으로써 신여성에게 대한 주변인의 긍정적 태도변화와 연대의식을 주변인과 조화되는 경희의 존재성이 부각된다. 이에 비하여 3-4장 서사에서는 ‘비본래적인 그-자기’에서 ‘본래적 자기’를 성찰하는 정체성의 변화가 인과성의 원리로 부각된다. 3장에서 경희에게 관습적인결혼을 강요하는 아버지와 갈등 상황을 외적 초점화로 보여주는데 비하여 4장에서는 내적 초점화로 경희의 깊은 고뇌와 사유를 천착하여 보여주는 심층에서 ‘본래적 자기’로서 예술가의 소명의식을 강조한 것이다. 예술가의 소명의식은 어둠을밝힌 새벽의 빛과 같이 유무생물의 존재성을 확인하는 신성의 발현을 거쳐 금수와다른 자율성으로 만물의 영장인 사람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경험으로 구체화된다. 경희의 황홀한 정신은 엿처럼 늘어지듯 키가 큰 것으로 지각되는 영적 성장과 얼굴만큼 눈이 커지듯 영안과 심미안이 확장되는 수사적 비유로 예술가의 소명의식과맞닿아 있는 영혼의 지도를 보여준 것이다. 이렇듯 나혜석은 「경희」에서 관습적 길을 따르기보다 신성을 향한 경외와 맞닿아 있는 예술가의 소명의식으로 영성을 발현하는 자아 정체성 탐색의 경험을 통하여 한국 근대여성 성장 수사학의 아름다운 백미를 그려준 것이다. 나혜석이 추구한신여성의 실천적 삶으로서 자기 성찰과 예술가로서 소명의식을 「경희」의 독창적서사 경험에 반영된 성장 수사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유다. 결과적으로 「경희」에나타난 자기 성찰의 탐색 과정은 예술가의 소명의식을 보여준 나혜석의 성장 수사학으로 한국 문학의 세계적 소통을 미래지향적 가치로 바라보게끔 하는 효과를 낳는다. Na Hye-seok's short novel "Gyeong-hee" shows the meaning of aserious search for life and literary sensibility enough to be regardedas a classic Korean novel and opening the first chapter in modernfemale novels. "Gyeong-hee," published in 1918, has the effect ofevoking Na's sense of calling as an artist of Na Hye-seok from thedeep layer where the self-identity of a modern educated newwoman is explored by modern growth rhetoric. "Gyeong-hee," consisting of chapters 1-4 of the lyricist, vividlyillustrates the process of Gyeong-hee’s search for self-identity,which was taught in modern times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scene painting of characters, rather than plot-oriented storytelling. By 1-2 the preacher by 3-4 chapters of the preamble, compared toshowing the solidarity of the presence of the person in harmonywith the person around him or her, shows the dynamic experienceof female growth reflecting the artist's calling, in other words, the'original self' identity, which has been deeply distressed andconflic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elf-identification search,which chooses one's own path as an artist's calling rather thanfollowing the conventional path given to women, Na Hye-seokportrays the beauty of modern Korean women's developmentrhetoric. This is the reason why Na Hye-seok sought the concept ofself-reflection and calling as an artist can be identified by the growth rhetoric reflected in the original epic experience of"Gyeong-hee." As a result, the search process of self-reflectionshown in "Gyeong-hee" is Na Hye-seok's "growth rhetoric" thatshows the artist's will to self-indulgence through the artist's sense ofcalling, which brings the world's communication of modern literatureto a future-oriented value.

      • 대학생의 일상 Ⅱ : 경희대학생의 시간활용에 대한 실태연구

        권준모,심정아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2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8 No.-

        경희대학교 서울 캠퍼스에 재학중인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갖는 수업시간, 수업준비시간, 교양독서시간, 운동시간, 대화시간, 오락시간 등을 설문지에 분단위로 기록하였다.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하루 평균 약 2시간 40분의 수업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수업을 위하여 약 1시간 16분 정도를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랍게도, 학생들은 교양독서를 읽으면서 보내는 시간이 약 27분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신체적인 운동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 역시 13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의 결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211 students in Kyunghee University were questioned on how they spent a day to investigate their everyday life. They were asked the time spent on the lecture-taking lecture-preparation, the autonomous liberal reading, exercise, conversation, pleasure, etc. It was found that on the average the students spent 2 hours 40 minutes a day for the lectures and about 1 hour 16 minutes to prepare them. Surprisingly, they spent only about 27 minutes on the average for autonomous liberal reading. Moreover, they spent less than 13 minutes on physical exercise.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학생과 교수입장에서 본 면학분위기 향상 요인에 대한 차이점 연구 :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강인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21세기에 한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중의 하나는 그 나라의 대학의 경쟁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대학의 경우는 외국 선진국가에 비해 아직은 많은 점에서 부족한데, 특히 면학분위기와 관련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1999년 10월 경희대학교에서 270명의 교수와 440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학분위기 향상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과연 교수와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보는 면학분위기 향상 요인은 무엇이며, 이들간에는 어떤 인식의 차가 있는지, 그리고 면학분위기 향상을 위한 요인과 학생들로부터 좋은 강의평가를 받기 위해 필요한 요인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면학분위기 조성에 중요한 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순위에 있어서 교수와 학생들의 입장이 비슷하였나 가장 특이한 사항으로서, 교수들은 '성적평가의 엄정성'을 제일 중요한 항목으로 생각하는 반면, 학생들은 '교수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항목을 가장 중요시 여긴다는 점이다. 나아가 면학분위기 조성에 필요한 항목과 좋은 강의 평가를 받기 위해 필요한 항목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간의 인식도 대부분의 경우 비슷하였으나, 약간의 차이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곧 공부를 많이 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일 중요한 사항을 엄격한 성적 평가로 본 반면, 인기 있는 강의가 되기 위해서는 강의방식의 다양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점이다. 중요한 것은 앞서 지적했듯이 교수와 학생들 모두 현재보다는 좀더 공부를 열심히 하고, 열심히 시키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는 일치한다는 점이다. 대학의 경쟁력, 학생들의 경쟁력은 결국 대학에 들어와서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고 공부시키는가에 좌우된다고 볼 때, 좀더 구체적이고 실천성 있는 '면학분위기 조성'에 대한 제도적, 행정적, 그리고 교수-학습 환경적 차원에서의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competencies of a county.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in Euro-American countries, universities of Korea are relatively in a low level in terms of general qualities and atmospheres related to education. Among many factors and ways to improve the general qualities of universities of Korea,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particularly how faculty and students respectively perceive and rank important factors needed to produce effective teaching and loaming environments, i.e., how to make students study hard during their school years. A survey composed of 10 questions was distributed to 270 faculty and 4409 students at Kyung Hee University during October, 1999. The result shows that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aculty and the students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ere not obviously observed: In fact, the ranking order of factors were mostly similar to both sides, except one: The faculty ranked 'strict grad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environments, while the students,'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faculty and the students.' As for ranking factors needed to acquire a good course evaluation result from the students, the faculty perceived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mportant is, as this case study shows, that both the faculty and the students realize and agree with necessity that they all should study harder than now and pedagogically and administratively diverse methods and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for constructing better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분석적 읽기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재의 경향과 특성 고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의『 나를 위한 글쓰기』와 동국대학교 파라미타 칼리지의『 글쓰기 1』 교재를 중심으로

        이채영(Lee, Chae 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1

        본 연구는 두 대학의 글쓰기 교재를 살펴봄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의 경향과 현황을 부분적으로나마 분석하고 이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교재는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글쓰기교과고재편찬위원회의 『나를 위한 글쓰기』와 동국대학교 파라미타 칼리지 글쓰기교재개발위원회의 『글쓰기1』이다. 대학 글쓰기 교재 읽기와 그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탐색과 고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대학 글쓰기 교재를 통해 각 대학별 글쓰기 교육 커리큘럼을 탐색할 수 있고, 나아가 부분적으로나마 정착기에 이른 국내 대학 글쓰기 교육의 경향 및 지향점이 흘러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각각의 교재가 어떤 목적으로 집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재 설계 및 구성의 의도를 분석하고 3장에서는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그 특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아울러 4장에서는 이러한 두 교재의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면서 이 두 교재가 실제 수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고 또 더 활용될 가능성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textbook of two universities to partially analyze the trend and statu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observe its meaning. The textbooks focused in this study are 『Writing for me』 of Kyunghee University Humanitas Writing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and 『Writing 1』of Dongkuk University Parameter College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committee. Reading University Writing Textbook and discussion on it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enables a variety of research and study because we can explore writing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writing textbook and understand the trend and direction of domestic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which reached partially to the settlement period. For this, chapter 2 examined what the purpose of each textbook is to analyze the design and intention of textbook and chapter 3 examined its content in detail to grasp what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both textbook were summarized to explore how they are used in the class and if any possibility of future uti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승자총통의 과학적 연구

        오일환,정연중,조남철,강형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1

        승자총통은 중국 화기를 모방하여 선조(宣祖,1552-1608) 시기에 독자적인 화기 제작방식으로 만들어진 우리나라 유통식 소화기(小火器)이다. 이 연구는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승자총통을 중심으로 명문 판독 결과와 함께 과학분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승자총통 3점은 각 원소의 함량차이가 크지 않은 Cu-Sn-Pb 삼원계 합금으로 제작되었고 분석대상 중 미세조직 분석이 가능한 승자총통 1의 미세조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주조방식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추가적인 열처리나 담금질 흔적은 관찰되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 또한 승자총통 제작 시 사용한 납의 출처를 알아보고자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 남부 zone 2 지역(경상북도 북부와 강원도 남부지역)의 납광석을 사용하여 승자총통을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Seungja Chongtong is a small korean tubular arm that made by particular arm-making way imitating a chinese arm. This study organizes scientific analysis results with results of inscriptions reading of Seungja Chongtong in theCentral museum of Kyunghee University. Three of Seungja Chongtongs are made with Cu-Sn-Pb ternary alloy which is not much differ in contents and the results of microstructure analysis of Seungja Chongtong 1 which could investigate a microstructure among the Chongtongs were found out that Seungja Chongtong is made by general casting, with no evidences of an additional heat-treatment and tempering. Furthermore, in results of lead isotope ratio analysis to find out a source of lead using during the production of Seungja Chongtong, It seems that Seungja Chongtong is made with a lead ore from norther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southern Gangwon-do Province called Korea southern zone 2 area.

      • KCI등재
      • KCI등재

        공동기획전을 통한 대학박물관의 지평 확장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K-museums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묘정,이진형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lan the development of any university museum by presenting not the theories but real cases of exhibition and sharing its performance. Chapter 2 mentions the importance of exhibition, one of roles of a museum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exhibition of any university museum at the same time to present a problem with it. Also, the study provided co-exhibition as a method for overcoming a practical limit of each university museum. Chapter 3 proves the demonstration effect of co-exhibition, giving the cases of local tour performance of K- museums by Kyung Hee University Hye Jung Museum in a bid to broaden the horizon of any university museum. It is considered that the cases of local tour performance of K-museums by Kyung Hee University Hye Jung Museum would open the way for any university museum to hold co-exhibition and overcome a limit of each university museum so that various exhibitions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could be planned. 이 글은 이론이 아닌 실제 전시 사례를 제시해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대학박물관의 발전을 이끌어내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2장에서는 박물관의 역할 중 하나인 전시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동시에 대학박물관의 기획전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박물관이 지닌 실질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기획전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대학박물관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일환으로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의 K-museums 지역순회전 사례를 들어 공동기획전의 전시 효과를 입증하였다.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의 K-museums 지역순회전 사례가 앞으로 대학박물관이 공동기획전을 개최하고, 대학박물관이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해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를 구상하는데 발판이 되리라 여긴다.

      • KCI등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본 학술적 글쓰기의 효율적 교육 방안 연구

        임보연(Lim, Boyoun),권기성(Kwon, Kisung)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4 No.-

        ‘학술적 글쓰기’는 대학 글쓰기의 주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며,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그러나 ‘논문쓰기’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본령이 강의의 실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경희대학교 학술적 글쓰기인 〈글쓰기2〉강좌를 대상으로, 새로운 이론의 접목과 같은 거창한 방안이 아니라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점 방안은 5단락 글쓰기의 연습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기초체력을 기르는 한편, 반개방적 테마를 제시하여 조별아이디어를 협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술적 글쓰기의 초반 단계에서 겪게 될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소통을 통해 자신의 문제의식을 예각화하여 궁극적으로는 각자 하나의 논문을 완성하게 하고, 논문을 써나가는 과정 속에서는 다시 함께 협업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매주 조별 단위로 실질적인 합평을 진행하며 개별적 피드백을 온전히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제시한 수업 모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역시 만족스러운 편이었으며, 논문에 대한 접근성 또한 개인적으로 접근할 때에 비해 상당부분 향상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소통’과 ‘협업’에 중점을 둔 개별 논문 작성이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을 더욱 정치하게 발전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본 논의의 수업모형이 논문이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학술적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교수자-학습자 사이에 실질적인 효용성을 갖출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Academic writing has become the standard for writing at universities. However, the pinnacle of academic writing, “writing a thesis,” is accompanied by various difficulties in the actual practice of lectur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esent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Writing 2〉 at Kyunghee University, one that emphasizes class participation and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method aims to develop basic skills in academic writing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five-paragraph essays and allowing students to collaborate on group ideas by presenting semiopen themes for essay topics. This allows learners to minimize the confusion they will encounter in the early stages of academic writing. In addition, through communication about common interests, the learners become aware of their writing problems, complete a single paper, and learn to collaborate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By using this methodology, the instructor is able to evaluatie each student’s writing on a weekly basis and provide individual feedback.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presented teaching model were satisfactory, and access to the thes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y were accessed individual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 the teaching model of academic writing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addition, I hope that the teaching model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move beyond its use for thesis writing and have practical utility for teachers and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