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현경(Lee, Hyun Kyung),조춘범(Cho, Choon Bum),이현(Lee, Hyu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치매노인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대상에게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효과는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확인 및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에서는 유사 실험연구인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를 활용하였다. 참여자들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경증치매노인으로서 경증치매환자의 판단은 장기요양등급 판정기준을 참고하여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까지를 포함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사후적 통계적 통제를 위해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하는 공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치매로 인해 저하되었던 인지기능의 증진 효과가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사전점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실험집단의 인지기능의 사후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부정적 정신건강인 우울의 감소 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전반적 삶의 태도인 생활만족도의 증진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경증치매노인이 타 수준의 치매노인에 비해 지니는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적 수준과 표현력을 고려하였을 때 인지기능을 보존 및 회복하고 정서의 정화를 통한 정신건강을 보호하는 역할과 삶의 질 증진의 면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치매환자 가운데 소외받았던 경증치매노인의 사회복지 대상으로서의 의의를 확인하고 치매단계 초기에 선제적인 개입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program o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examined to verify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between pre and post test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ar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who have similar living conditions or economic standards and are currently using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0 final experimental groups and 9 control groups.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by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romoting cognitive function that was deteriorated due to dementia was ver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s. Secon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was verified in 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s. Third, the effect of promoting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in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re useful in preserving and restoring cognitive function, protecting mental health through emotional purifi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 discove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who were marginalized among dementia patients and to confirm the proactive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early stage of dementia.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 대상 목공프로그램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반시우,이현주,신혜리,정하윤,전명옥,김계연,김하율,최돈하,황의도,김영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2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본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의 하나로써 목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서울시 Y 치매센터를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노인 32명, 경증치매노인 28명을 실험군, 통제군으로모집하여, 실험군은 5주간 주 2회씩 약 120분 동안 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MoCA-K를 통해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집단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증치매 실험군의인지기능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사전-사후 인지기능의 평균 변화를살펴보았을 때, 경증치매 실험군의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본 연구는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경도인지장애와 경증치매노인으로 집단을 세분화하여 치매 전 단계와 초기 단계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대한 인지기능의 변화 차이를 검증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서 목공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치매관리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소통 강화방안 : 소셜빅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최주근(Choi Ju-Kun),최인규(Choi In-Kyu),신현태(Shin Hyon-Tai)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5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정책 및 정보의 신뢰성을 증진하고 전문가, 국민, 정부의 상호이해 증진하며 치매노인문제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치매노인 정책소통(Policy communication)의 전략수립 및 관리체계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검색 키워드는 ‘치매관리’이며 본 연구는 노인 치매관리정책의 전반적인 정책소통에 대한 검색량의 예측을 위하여 치매관리 인프라확충, 환자 및 가족의 경제부담 완화, 경증환자 등 관리대상 확대 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치매국가책임제의 정책소통 검색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것으로 경증화자 등 관리대상 확대 수가 많을수록, 치매국가책임제의 정책소통 검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치매에 대한 지식과 치매 환자에 대한 치료 돌봄 전문성과 더불어 치매 환자의 가족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목표 중 하나가 가족의 부담경감이고, 치매국가책임제에서도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휴가제 지원에 대한 확대 등이 요구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 policy communic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olicy and information for the dementia elderly,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experts, the public, and the government, and to relieve public anxiety about the elderly with dementia. I want to. To this end, the search keyword in this study is dementia management , and this study expands dementia management infrastructure, relieves the economic burden of patients and families, and manages patients with mild symptoms to predict the search volume for the overall policy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dementia management policy. Confirmation of the enlargement, et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redicted the effect of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on the policy communication search. It was foun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management targets such as mild speakers, the more the policy communication search of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knowledge of dementia and the care and care expertise of dementia patient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of dementia pati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ne of the goals of the 3rd Comprehensive Dementia Management Plan is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amily, and the national dementia responsibility system requires counseling for families and expanding support for the vacation system.

      • KCI등재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푸드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자기표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최옥순(Ok Soon Choi),박경숙(Kyung Sook Park)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3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치매노인의 증가에 대응하여 장기노인요양보험에서 경증치매노인에 대한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치매예방이나 악화방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성이 검증된 프로그램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푸드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자기표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시에 소재한 A와 B 보건소 내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치매노인 13명을 대상으로 푸드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양적 연구를 통하여 효과성을 알아보았으며,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의 분석결과 푸드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은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의 개선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자기표현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자료 분석결과에서도 긍정적인 심리변화를 나타내는 언어표현과 작품의 변화가 포착되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하여 본 연구는 치매예방이나 악화방지를 위한 푸드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고, 확산시키는데 있어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national long term care insurance is expanding social service provis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ood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self-expression and depress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irteen elderly persons with moderate dementia who visited either of the two Alzheimer’s Disease Prevention Centers in S cit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tested by implementing one group pre-test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t the same time, a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changes in verbal and artistic expressions on the food ar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xpression and depression, but not on cognitive functi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also showed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in verbal expression and emotion through the verbal languages and related visual food arts presented during the sessions. The study suggests standardization and diffusion of food expression art therapy programs to prevent further deterioration of the elderly with moderate dementia.

      • 경증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작업치료 중심의 인지재활이 미치는 효과

        신기석,신선혜,양영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5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는 요양원에 거주하는 경증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지프로그램이 경증치매어르신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치매로 진단받은 10명의 경증치매를 대상으로 17주간 진행되었으며,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주 3회씩 15주간 총 45회기, 회기당 3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경증치매환자의 인지프로그램 적용 전?후를 비교한 결과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우울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종합해 볼 때, 17주간의 인지프로그램이 경증치매환자의 인지능력, 일상생활능력 향상, 우울감 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리학,김혜주,한경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운영되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치매노인들의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또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인지강화와 심리사회적 측면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 용하였고, 치매안심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경증 치매노인 7명을 참여자로 하여 2019년 10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4개 구성요소는 ‘미술활동이 심리 적 안정감을 줌’, ‘집단미술치료의 구조적 활동과 다른 집단원들의 미술작품은 인지와 표현 기 능에 도움을 줌’, ‘집단미술치료는 자신감과 삶의 의지를 고취시킴’, ‘치매안심센터가 편안한 어 울림의 공동체이자 이타주의를 갖게 함’ 이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인 지강화에 도움을 주는 심리사회적 의미를 밝혀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프로그램으로서 의미 있는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who have participated group art therapy operated at the Dementia Center.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group art therapy can help strengthen cognitive ability and psychosocial aspect of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For this, this study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elected seven participants with mild dementia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in the Dementia Center as study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rom October 2019 to November 2019. From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our components and 10 sub‐components were derived. The four components include ‘Art activities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Structural activities of group art therapy and art works of other group members help cognitive and expressive functions', 'Group art therapy promotes confidence and will of life', and 'Dementia center is a comfortable socializing community and helps to get altruism.' This study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is a meaningful intervention as a program in the Dementia Center by identifying psychosocial meanings that help strengthe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 KCI등재

        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간의 상호작용 및 유대감 증진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서비스 시나리오 제안

        송하경,구유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치매 노인 인구수는 매해 증가하고 있다. 치매는 인지기능 장애의 진행성 만성질환으로, 초기 단계부터 환자와 보호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특히경증치매노인은 의사소통 장애를 경험하며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다. 특히 돌봄제공자와의 의사소통에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돌봄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간의 상호 작용과 유대감을 증진하는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도구를 활용한 서비스를제안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문헌 고찰을 하고, 경증치매노인의 의사소통 특성 및AAC 개념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를 위해경증치매노인과 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관찰 연구를 수행하였고, 인사이트 도출을 통해 사용자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사용자 및 전문가와의 검증 워크숍을 통해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최종 서비스 컨셉을 구체화하여 사용자 중심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AAC의 도구적 특성과 상호작용 및 유대감이라는소통의 지향 가치를 경증치매노인 사용자 맥락에 맞게분석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소통개선을 넘어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한다. 또한기술 중심의 개발이 아닌 사용자 니즈에 맞춘 체감형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서비스 제안으로 추후수요자들의 활용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AAC의한계점을 극복하고, 치매 노인 대상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도구 서비스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문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The elderly population with dementia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Dementia is a progressive chronic disease that impairs cognitive function, placing physical and mental burdens on patients and caregivers from the early stages, thereby compromising the quality of life. Particularly,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discomfort in daily life. This significantly impacts communication with caregivers, leading to an increased burden of care. To address communication issues between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and caregivers,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utiliz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ols to enhance interaction and rapport. The research employs service design methodolog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 mild dementia and the concepts and cases of AAC. For empirical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dementia and caregivers. The service ideas were developed reflecting user needs through insight extraction. Validation workshops with users and experts confirmed the viability of the ideas. Afterward, the final service concept was concretized, and a user-centric service scenario was derived. By analyzing AAC’s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oriented concepts such as interaction and rapport in the context of mild dementia patients, solutions are derived. This goes beyond improving user communication and extends support towards an overall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urthermore, proposing a perceptual and complementary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ol service tailored to user needs, rather than a technology-centric development, holds significant potential for future adoption by users. In conclusion, by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AAC and proposing a service for AAC tools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s approach emerges as a sustainable solution to social issues. Its significance lies in its ability to effectively tackle and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ongoing societal challenges.

      • KCI등재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의 회상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미성,이은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all function and life quality improvement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aged 85 to 95 in the daytime care center, and five elderly people among therm with 15 to 23 MMSE-K score, who had no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no communication issue. The study performed a total of 13 sessions, 60 minutes twice a week from December 2021 to February 2022, and the research adopted MMSE-K and GQOL-D and conducted pre- and post-test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it was effective in recall function,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sub-areas of MMSE-K, such as time tolerance, place tolerance, memory registration, memory recall, and language function. Secon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 environment, overall health, and overall life, which were sub-areas of GQOL-D. According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hotographs helped their self-exploration and recall function improvement, improve their sociality by positive and active self-expression and active interaction, and their quality due to emotional stability, happiness, and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회상 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Y시에 소재한 W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85세에서 95세에 해당하는 경증 치매 노인 5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 선별 기준은 MMSE-K 점수 15~23점의 경증 치매 노인으로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주 2회 60분씩 총 13회기 진행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MMSE-K와 GQOL-D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 노인의 회상 기능에 효과가 있었으며, MMSE-K의 하위 영역인 시간 지남력, 장소 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그리고 언어기능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경증 치매 노인의 GQOL-D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인 건강 그리고 전반적인 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에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경증 치매 노인의 자기 탐색과 회상 기능의 증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 향상, 정서적 안정과 행복감, 성취감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임파워먼트 실천의 효과성 연구

        최정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4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7 No.-

        empowerment on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 with minor dementia. To this end,this study reviewed empowerment theories and developed an empowerment practiceprogram for elderly person with minor dementia using a focus group including thepractitioners of welfare for the elderly, professor specialized in welfare for the elderly,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nd caregiver for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Inaddition, the subjects consisting of a test group (n=8) and a control group (n=8) wereselected to verify the empowerment practice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showed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testgroup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empowermentpractice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highly effective inimproving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rson with minor dementia. In addi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 of not only its developedprogram's aid in improving the actual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 with minordementia, but also suggesting the basis for the intervention of empowerment by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임파워먼트 실천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임파워먼트 이론 검토와 노인복지 실천가, 노인복지 전공 교수, 치매노인, 치매노인 부양자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을 통해 경증 치매 노인을 위한 임파워먼트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 실천 프로그램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은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통계적인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임파워먼트 실천 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확인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경증 치매 노인의 실제적인 삶의 질 향상에 원조할 뿐아니라, 임파워먼트 실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함으로써, 임파워먼트 개입의 근거를제시했다는 점에 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고경애,김양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들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경증치매노인을 12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을 8주간 진행하여 MMSE-K와 ADL(일상생활기능), IADL(도구적 일상생활기능), CDR, GDS 척도로 사전, 1차 사후, 4주 후 2차 사후를 비교·관찰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여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실천적 차원의 함의로서 단일영역의 인지활동 프로그램보다 융·복합적 영역의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지속해서 제공되어야 효과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경증 치매노인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으면 효과성을 보장할 수 없다. 셋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은 종결 후 마무리가 실천과정 만큼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 활동을 통하여 표현능력과 기억력을 유지하고 생활에 적용하도록 자극하며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천적 제언으로 경증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치료 기법이 반영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지속적인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진행과 효과성의 유지 및 치매의 진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to delay the progression of the mild demented elder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for 12 cases of mild dementia, and the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8 weeks and compared with the MMSE-K, ADL & IADL, CDR and GDS sca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and continuity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s an implication of practical dimension, integrated program of fusion and complexity is more effective than cognitive activity program of single domain. Second, the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must be continuously provided to maintain its effectiveness. Third, the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is as important as the practice proc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that reflects fusion and complex treatment techniques applicable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by practical suggestion. Policy suggestions are needed to continue the ongoing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to maintain effectiveness, and to delay the progress of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