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윤석,강원국,김옥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Vol.9 No.1
오늘날 우리 사회는 출산율 감소와 기대 수명의 증가로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00년에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한지 불과 17년 만에 고령사회가 되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있다. 특히 노인성 질환으로 경도인지장애는 치매의 전 단계로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며, 불치병이라 알려진 치매증상이 예방 가능한 상태이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경도인지장애 진료 인원이 2010년 2만 4천명에서 2014년 10만 5천 명으로 4.3배나 증가하였고, 앞으로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비중이 전체 치매 환자 규모의 1/4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료에 있어 약물치료만 사용하기보다 비약물 치료를 병합한 복합적인 치료가 더 효과적이어서 경도인지장애의 비약물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비약물치료에는 예술치료인 미술치료, 원예치료, 놀이치료, 음악치료, 동물매개치료, 작업치료, 인지치료, 현실치료 등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약물치료이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예술치료를 통해 경도인지 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과 선행연구들의 문헌 고찰을 통하였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선행연구 미술치료, 작업치료, 통합예술치료, 동물매개치료들의 연구내용과 결과를 정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예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대해서 전체적인 효과와 인지기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부분적인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서울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뇌실 체적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
이현용(Hyunyong Lee),김현진(Hyeonjin Kim),임인철(Inchul Im),이재승(Jaeseung Lee)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파킨슨병 환자에 대하여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서울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변화를 분석하여 경도인지장애가 동반된 파킨슨병에 대한 진단적 기준을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경도인지장애군: 34명, 비인지장애군: 34명)를 대상으로 주의력, 언어, 기억력, 시공간, 그리고 전두엽 집행 기능에 대한 서울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상인 32명(정상 대조군)을 추가선정하여 추가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분석은 프리서퍼(Freesurfer Ver. 5.1, Boston MA, USA)를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경도인지장애군은 시공간 및 기억력에 대한 수행 능력이 비인지장애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영역별 뇌실에 대한 체적 변화는 좌ㆍ우측뇌실, 좌ㆍ우하측뇌실, 제3뇌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적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객관화된 비교를 위하여 정규화한 백분율을 적용한 체적의 변화는 비인지장애군보다 경도인도장애군에서 확장되어 나타났다. 특히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좌ㆍ우측뇌실의 확장은 서울신경심리검사에서 시공간 및 기억력 영역에 대하여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를 보였다(r>0.5, p<0.05). 따라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프리서퍼를 이용하여 영역별 뇌실의 체적 변화를 관찰하고 서울신경심리검사와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경도인지장애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진단적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at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for the evaluating cognitive assessment of the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PD-MCI) and the changes of the cerebral ventricle volume in th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we has been bring forward the guideline to determine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he PD-MCI. To achieve this, we was diagnosed with Parkinson's disease patients (PD-MCI group: 34 patients; Parkinson's disease with normal cognition, PD-NC group: 34 patients) to perform the SNSB test for the attention, language, memory, visuospatial,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s and the brain MRI. Additionally, to compared the change of the cerebral ventricle volume, we performed the brain MRI for the 32 normal control (NC) group. The volumetric analysis for a specific cerebral ventricle performed by using Freesurfer Ver. 5.1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Boston MA, USA). As a results, compared to the PD-NC group, the PD-MCI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bility to perform the memory and the visuospatial function (p<0.05). The volumetric changes for a specific cerebral ventric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left and right lateral ventricle, left and right inferior lateral ventricle, and 3rd ventricle. Although, in order to compared the objectification, the normalized percentage applied to the volumetric changes showed to extend the PD-MCI group than the PD-NC group. Specially, the left and right ventricle extension for the PD-MCI patients conspicuously had showed a quantita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y and the visuospatial function for the SNSB (r>0.5, p<0.05). Therefore, we were able to judge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PD-MCI through that can observe the volumetric variation of the specific cerebral ventricle by using Freesurfer in brain MRI,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NSB.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두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문헌을 검색하고, 이를 분석함 으로써 추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간호학에서의 비약물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Whittemore & Knafl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연구는 최종 11편 이었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두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9편,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2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이후의 연구가 10편이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행되었다. 경도인지장애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는 인지강화 프로그램 4편, 운동프로그램 6편, 음악프로그램 1편이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는 각 연구마다 다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지속적인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s for developing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integrative review and analyze. An integrative review concept analysis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1, which are related to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quality of stduies were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were 9, and one group nonrandomized studies were 2.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studies for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4 in cognitive training program, 6 in exercise program, and 1 in music program. The efficac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as different by studies, and we need further studi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경도인지장애의 신경인지기능; 알쯔하이머병 환자와 정상대조군과의 비교
김현,박중규,이강준 한국재활심리학회 2007 재활심리연구 Vol.14 No.1
목적 : 경도인지장애는 정상과 초기 치매 사이의 인지변화를 보이는, 과도기적인 단계의 인지기능장애이다. 본 논문은 경도인지장애의 신경인지적 특징을 밝히고자, 척도와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정상대조군 및 초기 알쯔하이머병 환자군과 비교분석하였다. 방법 : 경도인지장애 환자 20명, 정상대조군 20명, 알쯔하이머병 환자 20명에게 척도를 평가하고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경도인지장애의 진단은 Petersen 진단기준을 사용하였다. 신경인지기능검사에는 숫자 따라하기 검사, 시각적 연속수행능력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가 포함되었다. 결과 :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은 즉각기억력, 작업기억, 지속적 주의력, 선택적 주의력, 그리고 운동기능에서 정상대조군보다는 저하되고 알쯔하이머병 환자군보다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은 신경인지기능검사와 척도평가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정상군과 알쯔하이머병 환자사이의 단계에 위치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이 알쯔하이머병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론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이들 환자들의 특성을 밝혀내는데도 유용하다.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의 온라인 복합인지운동 프로그램참여가 인지기능, 우울감, 수면의 질, 체력에 미치는 영향
홍서연,류현승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3 기술경영 Vol.8 No.4
본 연구는 12주간의 온라인 복합인지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수면의 질, 노인기능체력에 효과가 있는지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온라인 복합인지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 10명, 대조군 10명으로, 주 2회, 50분, 12주 동안 실시간 온라인(ZOOM)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복합인지운동 프로그램 참여 집단은 인지기능, 수면의 질, 하지근력, 하지유연성. 동적평형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p<.05). 반면 대조군에서는 하지근력과 하지 유연성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복합인지운동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MCI)노인 여성의 인지기능, 수면의 질, 체력요소 중에서는 하지근력, 하지유연성, 동적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도 온라인으로 복합인지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articipation in a 12-week online complex cognitive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leep quality,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nsisted of a group that participated in an online complex cognitive exercise program (N=10) and a control group of 10 peopl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complex cognitiv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via ZOOM,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or 12 wee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 complex cognitive exercise program had improved cognitive function, sleep quality, lower extremity strength, and lower extremity flexibilit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dynamic balance (p<.05).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lower limb strength and lower limb flexibility (p<.0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online complex cognitive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sleep quality, and physical fitness, including lower limb strength, lower limb flexibility, and dynamic balance, in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this suggests that eve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can expect positive effects from participating in real-time, non-face-to-face complex cognitive exercise programs.
박진혁(Park Jin-Hyuck),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4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평가 항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전산화 평가에서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이후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추출된 항목들을 수정 및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중요도 및 적합도를 판단하여 평가 항목들을 선택하였다. 결과 : 문헌고찰을 통해 12개의 전산화 평가에서 37개의 항목을 추출을 하였고 1차적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11개의 항목을 추가하였다. 이후 2차 전문가 모임을 통해 48개의 항목에서 경도인지장애 선별에 부적합한 18개의 항목이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30개 항목에서 12개 항목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16개의 항목이 선택되었다. 최종 16개의 항목은 주의력, 기억력, 실행기능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16개의 전산화 평가 항목이 개발되었다. 추후 이 항목들을 이용하여 타당성 연구를 실시하여 경도인지장애 선별에 적합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전산화 평가를 정상 노인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실시하여 전산화 평가에 대한 표준화 연구를 진행하여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puterized screening test item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s, items from computerized tests for screen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extracted. A panel of professional experts validated that the items were important and fit to screen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A total 37 items were extracted from 12 computerized tests and 11 new items were added through the first panel review. After that, 18 items were removed via the second panel review. Finally, 16 items were selected by analyzing content validity ratio. 16 items consisted of memory,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areas. Conclusions: A total of 16 computerized test items were developed. It is urgent to validate them to scr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Moreover, standardization studies for this test are required in the future.
경도지적장애 성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영역에 대한 반응 양상 비교 연구
천정민,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8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목적: 인지기능은 인간의 충동, 지각, 흥미, 동기, 기억, 논리, 사고, 학습, 문제 해결, 판단과 같은 정신적․지적 과정을 일컫는다(Murray et al., 1980). 본 연구에서는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의 인지영역에 대한 반응 양상을 파악하여 비교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를 사용하여 두 집단 간 반응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집행기능과 언어능력 과업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름대기, 주의력, 추상력, 지 연회상 과업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치료 전략을 모색 함에 있어 각 집단의 인지 결함 영역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접근을 통 해 경도지적장애 성인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 관련 연구 분야에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시내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2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이 되고 있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특징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임상가들에게 작업치료에서 경도인지장애환자를 평가 및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 였다. 현재 치매환자를 위한 작업치료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매로 전환될 위험이 높 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하여 작업치료적 접근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고찰에서는 정상 노인과 감별하기 어려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작업영역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초점을 맞추 어야 한다는 근거들을 다루었으며,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치매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 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치매로 발전 될 가능성이 높은 위험 집단인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의 작업영역을 고려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 한 주기적인 평가와 그에 따른 작업치료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된 인지기반 중재연구의 분석적 고찰
임세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2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약 10%는 매년 알츠하이머병이나 다른 치매로 이환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중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이에 대한 근거의 통합은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경도인 지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 기반 중재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의 검색은 201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KoreaMed를 활용하였다. 문헌의 선택 및 배제 과정을 거쳐 최종 12편이 선정되었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가 7편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 기반 중재는 인지기능과 우울, 신체 건강 상태, 자아존중감, 운동 시·지각 검사, 생활 만족도, 자기효능감, 뇌파, 삶의 질,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기술평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It is important to prevent progres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to Alzheimer's disease or other dement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gnitive-based intervention and its effectiveness for the older patients with MCI through systematic review. Data search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20, using the Kore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KoreaMed. After selection of literatures according to the predefined inclusion criteria, a total of 12 articles were included. It is revealed that the cognitive-based intervention for the older adults with MCI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arious factors including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physical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commun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raw a definite conclusion due to the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and instruments used.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mo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grams.
조바회,이재신,김수경,차태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2
목적 : 본 연구는 보호자의 인터뷰 없이 환자의 평가를 통해 다양한 인지영역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고, 경도 인지장애의 치료적 중재 제공을 결정하는 노인 경도 인지장애 선별 검사 항목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10월 23일부터 2014년 12월 16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전문가 패널로 선정된 30명의 참여자에게 전자우편을 통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경도 인지장애 환자 28명을 포함하여 총 81명의 환자에게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Mnetal State Examination; MMSE-K)와 본 평가도구를 평가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최종 델파이 조사결과 평균 적합도 4.24와 중요도 4.30으로 분석되어 경도인지장애 선별평가 항목 으로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합도의 내용타당도 비율 0.84, 중요도의 내용타당도 비율 0.93으로, 적합도와 중요도 모두 내용타당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노인 경도 인 지장애 선별검사 항목 개발에 관한 24개의 항목이 최종적으로 도출 되었다. MMSE-K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Cronbach’s α는 .80으로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델파이방법을 통해 만들어진 본 평가도구는 기존의 평가도구와 높은 상관 성을 보이고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도구는 경도 인지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효과적이 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eriatric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screening test items that allow for a quick assessment of a wide cognitive scope through client assessments without any interviews of the care giver, and determine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delivery of MCI. Methods : A delphi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30 selected participants composed of professional panels through electronic mail over 3 times each from October 23 to December 16, 2014. Korean version of Mini -Mnetal State Examination (MMSE-K) and this assessment tool were used to assess a total of 81 clients, including 28 MCI clients,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Results : The final delphi investigation result showed a goodness of fit of 4.24 and importance of 4.30, and such an investigation was thereby analyzed as appropriate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items. The content validity ratio of the goodness of fit is 0.84, and the content validity ratio of importance is 0.93, which shows a high content validity ratio of both the goodness of fit and importance. Twenty-three items related to geriatric MCI screening test item development were finally derived through the delphi investigation. Thi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MMSE-K, and a high validity of Cronbach’s α of .80. Conclusion : This assessment tool, developed using delphi after gathering professional opinions,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existing assessment tool and a high validity. Therefore, this tool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assessing mild cognitive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