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新羅) 왜국(倭國) 사이 경계인(境界人)

        서영교 ( Seo Young-kyo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5 No.-

        지금까지 3시기로 나누어 신라와 왜국 사이의 바다 섬에 존재했던 경계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 번째 新羅 訥祗王이 朴堤上(毛麻利叱智) 등 3인을 왜국으로 보냈다. 그들은 人質로 와 있던 未斯欣(微叱許智伐旱)을 신라로 돌려보낼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왜왕은 신라 使者들의 청을 들어주어 신라왕자 일행을 對馬島로 보냈다. 그때 박제상 등이 경계인들을 시켜 未斯欣을 新羅로 도망하게 하였다. 둘째 경계인들은 九州 磐井이 畿內의 倭에 반란에 뜻을 품고 있는 것을 신라에 알렸다. 신라는 磐井에게 물자와 인력을 제공하였다. 그러자 磐井는 火國(肥前國·肥後國)과 豊國(豊前國·豊後國)을 억압하여 海路를 차단하고、高句麗·百濟·新羅·任那의 朝貢船을 자신의 쪽으로 유치하였다. 528년 畿內朝廷과 九州磐井 정권이 전쟁으로 치달았다. 고대일본 최대규모의 내전이었다. 畿內朝廷이 승리를 거두었지만 힘이 소진되어 대외문제에 나설 수 있는 여력을 상실했다. 그것은 결과적으로 신라의 가야지역 병합에 양호한 조건을 제공했다. 마지막으로 601년 고구려-백제-왜의 긴밀한 협조 관계 속에서 신라에 대한 포위망이 형성되고 있었다. 왜국에서 신라 침공을 위한 준비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었던 이 시기에, 신라는 간첩들을 현해탄 도서지역에 적극적으로 파견하여 정보를 수집하였고, 그들 중 한명이 對馬島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迦摩多라는 일본식 이름을 가진 境界人이었다. 602년 백제는 지리산 중턱 아막성으로 4만 군대를 진군시켰고, 왜는 九州에 병력 2만 6천을 주둔시켰다. 8월 신라는 아막성에서 백제를 막아냈고, 한편 九州에 자객을 잠입시켰다. 왜군의 총사령관 來目皇子가 ?紫에서 병에 걸려 드러누웠고, 출병이 연기되었다. 917년 찬술된 『聖德太子傳曆』 602년 4月 조를 보면 太子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新羅奴 等이 將軍(래목황자)을 厭魅(저주)함이 果度하지 않았나 의심된다.”라고 하였다. 또한 603년 2월에 來目皇子가 사망하자 “聖德太子가 그의 시종에게 이르기를 皇子가 新羅奴에게 살해되었다고.”라고 한다. 新羅奴는 큐슈에서 활동하고 신라의 자객이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倭侵의 질곡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신라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해상의 경계인(康句麗, 新羅海邊人, 新羅奴)들을 결집시켜 활용했다. 그들은 훈육되지 않았고, 바다라는 무한환경에 적응된 야생성이 강한 사람들이다. 신라가 그들의 욕망에 배치되는 정책을 펼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무엇보다 경계인 여러 집단들은 각자의 이해가 있었다. 신라국가는 경계인들의 여러 욕망을 어떠한 하나의 방향으로 결집시켜야 그들의 자발성을 얻어낼 수 있었는지 고민했을 것이고, 신라의 번영과 그들의 이익이 일치되는 방안을 고안하려 노력 했을 것이다. 경계인들은 신라국가가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倭寇로 돌변하거나 倭國에 이용대상이 될 수 있는 존재였다. The third century Chinese record of the peopl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 is as follows. The people of Tsusima island take a boat go north and south to commerce. This record is the most typical of the people who existed on the islands of the sea separating Japan and Korea. The content of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King of Silla, Nulji, was helped by the marginal man to rescue his brother who was hostage in the Japan. Second, in the early 6th century, Silla, who took control of the eastern coastal area, took the Gaya territor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y triggering the civil war(磐井亂) in Japan. In the third and seventh centuries, Silla sent an assassin to Kill Japanese General who had attempted to invade his country. Silla utilized the marginal man for their own benefit in competition with Yamato Japan. The marginal man is different from fixed farmers in Silla territory. They have not been disciplined and They adapted to the infinite environment of the wildly sea. So Silla did not have a policy against the desires of the marginal man They existed on numerous islands between Korea and Japan, they had their own desires. The Silla state tried to unite the marginal mans desires in one direction to get their spontaneity. The existence of the Silla state would have made it possible to promote their interests.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use the marginal man themselves. If they were not under the control of Silla, they would have been able to turn into Japanese harrier or be subject to the Yamato Japanese regime.

      • KCI등재

        <짐승말 알아듣는 이야기>를 통해 본 경계인 규정 원리 및 의미

        김자혜 ( Kim Ja-hy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9 No.-

        이 논문에서는 민담 <짐승말 알아듣는 이야기>를 통해 내부들이 경계인을 규정하는 원리와 민담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경계인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이야기 안에 등장하는 인물 중 짐승말을 듣는 사람을 ‘다름’으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배제당하는 경계인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이 가진 능력을 솔직하게 밝힘으로써 자기 존재에 대해 당당함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들은 자신들이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별하거나 독특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으며 단순히 한 공동체 안에서 같이 생활하는 일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솔직하고 당당한 모습을 보임을 살펴보았다. 이에 반해 원님이나 남편은 공동체의 다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인으로 보았다. 내부인들은 자신들의 상식과 경험에 근거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공동체의 가장 밖으로 밀어냈다. 경계인을 규정하는 주체들은 자신들의 상식을 기준으로 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결국 이러한 판단은 자신들의 생각에 합당하지 않은 사람을 공동체의 가장자리로 위치시킨다. 한마디로 개인이나 집단의 편견이 경계인을 규정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민담에 등장한 인물들의 행동 양상을 통해 경계인을 규정하는 그 기준 자체를 의심함으로 내부인과 경계인을 나누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부터 경계인을 규정하는 기준 자체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그 기준에 따르면 누구나 경계인이 될 수 있고 누구나 외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inciple by which insiders define a marginal man in the folktale, “Story of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Beast” as well as the meaning of a marginal man conveyed in the folktale. First, among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story, this study regarded a person who can understand the language of beasts as a marginal man, who is defined as “different” and excluded by most people. However, these kinds of people candidly speak about their power and seem confident about their identity. Meanwhile, they do not consider themselves as special or unusual in a way different from others but simply as a member living in the community together. This was examined as the reason they can be candid and confident. On the contrary, this study regarded the district magistrate and the husband as insid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community. The insiders push out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them, based on their common sense and experience, to the farthest outskirts of the community. The entities who define a marginal man judge right and wrong based on their common sense. By such judgment, the insiders in the end place people who are not congruent with their thoughts at the border of the community. In a word, prejudice of an individual or group is a factor that defines a marginal man. Also, from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folktale characters, this study questioned the standards by which a marginal man is defined and could confirm it is meaningless to divide insiders and marginal men. Because the standards defining a marginal man were subjective from the beginning, it was clearly shown that anyone can become a marginal man and an outsider according to such standards.

      • KCI등재

        境界人의 고뇌 - 燕巖 朴趾源

        김혈조(Kim Hyul jo)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경계라는 말은 연암이 언급한 '際'라는 글자를 번역한 것이고, 그 경계에 선 사람을 경계인이라고 한 것이다. '경계'라는 말을 제시한 연암은 그 자신 경계인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연암은 양 극단의 어느 한쪽에 속하지 않은 중간지대에 있으면서 양극단을 지양하고 상호보완하면서 제3의 영역을 모색 지향하는 삶을 살았다. 따라서 연암에게 있어서 '경계'라는 말은 그의 문학은 물론, 그의 인간자세까지 연역해낼 수 있는 핵심어이다. 본 논문은 경계인의 관점에서 청나라에 대한 인식 및 정조 임금에 대한 신하로서의 자세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 보았다. 그리하여 연암이 보인 北伐과 北學이라는 양 극단을 지향한 제 3의 관점, 국왕 정조에 대해서도 주체적인 신하의 자세 등이 모두 경계인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Borderline is translated from Chinese letter Jae(際) refered to by Yeonam(燕巖), and man standing between the two extremes is called man in borderline. Yeonam who has suggested the word borderline has held the stance of man in borderline. Yeonam has pursued the boundary which does not belong to any of both extremes, tried to avoid both in a mutually supplementary way, and finally explored the third zone. Accordingly the word borderline, for Yeonam, is the linchpin from which what he is and his literature can be deduced. This paper has closely debated Yeonam's viewpoint for Chung Dynasty and his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 as a subject. Thereby not only the third way overcoming both extremes : Northern Expedition(Bukbeol-北伐) and Northern Learning (Bukhak-北學), but also his independent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正祖) as a subject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 in borderline.

      • KCI등재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조보라미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2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arginal man' featured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Marginal man is located in marginal areas which involves cultural conflict. As is well known, Korea is situated in the opposition of ideolog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o in this situation marginal man is what he is not because he is not willing to break with his past but because the new society in which he now sought to find a place rejects him. Such a person is featured in San-bul by Cha Beomseok and Chilsanri by Lee Kangbaek. In San-bul a man who acted as North Korean partisan seeks refuge, but there is no place for him in the oppositional situation. In Chilsanri seven brothers whose fathers are North Korean partisans suffer the split between the aspiration for 'humanity' and the actual socio-historical experience of being treated as sub-human. Meanwhile, there is another marginal man who is willing to stand hardships to unite two countries. Such a person is featured in Homo Separatus by Lee Kangbaek and Abeojibada by Lee Ban. In that work, he is frustrated by the anti-unifying situation, and the character is not so well featured in this work. But Mogigindusaramidaewha by Park Joyeol is interpreted as the work of possibility of unification by the trial of the marginal man. 본고는 분단희곡 중에서 ‘경계인’이 형상화된 작품에 주목하고 있다. 경계인이란 두 개의 서로 다른 문화가 겹쳐진 경계지대에 놓여 있음으로써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인물을 뜻한다. 남북이 상반된 이데올로기 대립 아래 놓인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이것을 적용해 본다면, 기존에 지녔던 과거의 전통을 스스로 포기하지 않으려 해서라기보다 현 사회에서 그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함으로써 불가피하게 경계지대에 놓이게 된 인물이 대다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인물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차범석의 <산불>과 이강백의 <칠산리>를 들 수 있다. 전자에서 경계인으로는 빨치산으로 활동하다가 탈출해 나온 인물이 등장하나 첨예한 남북의 대립 논리 속에 그가 설 곳은 없다. 후자에는 아버지의 빨치산 경력으로 말미암아 ‘빨갱이’로 불려지는 자식들의 비극이 그려진다. 이들은 그 자신 ‘인간’이 되고자 하는 열망과 ‘인간 이하의 것’으로 취급당하는 사회-역사적 경험 속에서 자아 분열을 경험한다. 한편 분단희곡 중에는 경계인이 처하게 되는 고난을 알면서도 자발적으로 경계인의 위치에 섬으로써 대립된 세계를 통합하고자 하는 인물이 발견된다. 이강백의 <호모 세파라투스>나 이반의 <아버지 바다>가 이러한 예에 해당되는데, 전자는 분단 극복에 대한 경계인의 의지가 공고한 현실 논리에 부딪혀 좌절되는 양상을 보이고 후자는 경계인의 분단 극복 의지가 모호하게 표현된 한계가 있다. 반면 박조열의 <목이 긴 두 사람의 대화>는 경계인의 분단 극복 의지를 통해 남북 화합의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境界人으로서의 渤海人과 渤海遺民

        이효형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2

        Palhae is the most typical multi-ethnic group and multi-cultural nation in Korean history, And it is a marginal nation at the same time. Palhae is such a distinctive nation that it needs to be discussed in terms of ‘margin’ with several respects such as national attribution, and besides geographical border which was relatively long. In short, it is a marginal nation in terms of time, space, and ethnicity. The lexical meaning of a marginal man is 'an individual suspended between two cultural and social realities and struggles to establish one's identity because he or she doesn't belong to either side.' The concept of marginal man in this paper doesn'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at of lexicon. Above all,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residential community of Palhae in the time of Palhae country or transferred to neighboring countries from Palhae are researched. Next, those who emigrated to Koryeo or China in the wake of the downfall of Palhae are examined. Then various Palhae refugee descendants who were living in Liao and Jin Dynasty were also considered. In this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rginal people who enter the stage of Palhae and the Palhae refugee descendants who enter the history of Palhae's downfall on the respect of marginal men. The collapse of Palhae brought about numerous marginal man, or refugee descendants all around East Asia at that time. The approach to Palhae refugee descendants suggests us to see it as the problem of immigrants and refugees, and to oversee the movement of refugee descendants as well. Moreover it provides the possibilities of looking into various aspects of national attribution, marginal men, diaspora and so on. To return to the main topic mentioned as above, Palhae residents and refugee descendants are surveyed with the respect of marginal man. In addition, the history of Palhae and its refugee descendants has the chance to be interpreted in the scope of whole East Asia beyond Korean history. The followings are some character istic results of recognization on Palhae refugee descendants with the viewpoint of marginal man. First, Palhae is a nation of margin and marginal men. In other words, it is a nation of margin in the aspects of geography, national identity, distinction of historical times, and the connection of Koryeo and Koguryeo dynasty. Second, Palhae is a multi-ethnic community. Residential proportion is so complicated that Palhae consists of koguryeos, Malgals, Uighurs, Sogdian, Khitans, Chinese, Sillas and etc. Third, Palhae is a society of integration and tolerance. Even though Palhae is complicated with residential composition, the discrimination between various residents is not discovered. The nation also has no discrimination in political system. It oriented the policy of tolerance rather than discrimination. Fourth, Palhae is a nation of internationalism and openness. This characteristic seems to be the result of Tang dynasty, which made Palhae highly brisk in human and material exchange. The plurality and dynamics of Koryeo dynasty show the influence of Palhae. Fifth, Palhae is a society which has a variety of cultures. It cherished its own unique culture and the cultures of Koguryeo, Tang, Malgal, Middle Asia, and Silla as well. We live in the times of margin. Palhae was also the nation of margin. Its downfall resulted in various marginal men across the whole East Asia. The marginal men managed to lead a variety of lives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and they also performed their own roles in their dynasty of Liao, Jin, and Koryeo. 발해 주민구성원 전체를 발해인이라고 한다면 이들은 멸망과 함께 발해 유민으로 전환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발해인과 발해 유민을 동아시아 경계인의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다. 우선 발해의 경계인 즉, 발해 존속기에 발해의 주민구성에 참여한 사람들과 발해에서 이웃 나라로 이주한 주요 인물들을 조사해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발해의 멸망으로 고려, 중국(후주, 송) 등 각지로 이주했거나 거란(요), 여진(금)에서 살아갔던 여러 유형의 발해 유민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발해의 멸망은 동아시아 전체에 수많은 경계인, 유민을 낳았다. 발해 유민에 대한 접근은 단지 유민에 대한 동태나 양상만이 아니라 이주민과 난민의 문제, 국가 귀속, 디아스포라의 관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가능하나 여기서는 경계인의 시각에서 바라다보았다. 아무튼 이 글은 경계인의 시각과 함께 한국사를 넘어 동아시아 전체의 범위에서 발해사와 발해 유민사를 살펴보았다. 더하여 발해 주민구성 문제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감안하였다. 경계인의 시선으로 발해인과 발해 유민을 바라본 결과 발해 사회의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발해는 경계․경계인의 나라다. 둘째, 발해는 다민족․다문화 사회다. 셋째, 발해는 통합과 포용의 사회다. 넷째, 발해는 국제성과 개방성의 사회다. 다섯째, 발해는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는 사회다

      • KCI등재

        재일동포의 정체성에 나타난 다양한 성향 모색

        홍원경(Won-kyung, Hong)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이 논문은 재일동포 2세인 이양지의 소설을 대상으로 재일동포의 정체성 속에 나타나 있는 다양한 성향을 탐구하기 위해 씌어졌다. 〈나비타령〉, 『각』, 〈유희〉 등의 이양지의 소설은 각기 여러 성향으로 재일동포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다양한 성향으로 구분하여 재일동포의 정체성을 탐문하는 것은 경계인 중심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이양지 소설에 대한 연구와는 다른 시각으로 이양지 소설을 이해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재일동포의 정체성 속에 나타나 있는 여러 성향은 재일동포의 일본적 성향, 경계인적 성향, 경계인적 성향의 해체, 한국 전통예술적 성향 등으로 구분된다. 다시 재일동포의 경계인적 성향은 각각 한국, 일본에 대한 경계인적 성향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재일동포의 일본적 성향으로는 일본사회의 습속과 관습이 굳건하게 내면화되어 일본어에 익숙한 성향, 한국에 대한 선진 일본 문화의 상대적 우월의식, 일본인의 폐쇄적 기질 등을 들 수 있다. 재일동포의 경계인적 성향은 재일동포를 차별하는 일본사회, 재일동포를 半일본인으로 보는 한국사회,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차이 등에서 비롯됨을 말한다. 재일동포의 경계인적 성향의 해체는 이상과 현실의 격리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세와 재일동포를 특수성이 아닌 인간실존으로 해석하는 성향 등이다. 끝으로 재일동포의 한국 전통예술적 성향은 궁극적으로 현실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받아들이고 허용하는 용기와 힘을 주는 가야금, 대금, 살풀이춤 등의 한국 전통예술의 습득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재일동포 기성세대 작가와 다른 테마라 할 수 있는 일본으로 동화된 재일동포의 내면과 상처를 다루고 있는 이양지의 작품을 통하여 재일동포의 정체성에 나타난 다양한 성향을 탐구하기 위해 작성된다. This paper treats a study of varied tendency in the Identity of the Koreans in Japan, Lee Yangjis novels such as 〈A ballad of Butterfly〉, 〈Carving〉, 〈Yuhee〉. In these novels, diverse characters who are seized with varied tendency in the identity of the Koreans in Japan. The varied tendency in the identity are Japans tendency, margin mans tendency, dissolution of the margin mans tendency, Koreans tendency. Again the margin mans tendency are assorted the margin mans tendency about Korean and Japan. First, Japans tendency are internalization of convention of the Japan society, snobbery of the advanced country, closed character. The margin mans tendency are discrimination society, half Japan, culture difference of Korean and Japan. The dissolution of the margin mans tendency accet difference of ideal and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treats a study of varied tendency in the identity of the Koreans in Japan.

      • KCI등재

        경계인 이론을 통한 남한 정착 북한이탈주민 이해에 관한 연구

        윤보영(Yoon, Bo You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한국사회는 1990년 이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자녀, 유학생,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 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둘러싼 편견과 차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경계인 이론(Marginal man theory)은 미국 시카고학파의 로버트 파크 (Robert E. Park, 1864~1944) 에 의해 공식화되고 에버렛 스톤퀘스트(Everett V. Stonequist, 1901~1979)에 의해 발전된 이론이다. 경계인은 이중문화 혹은 다문화 상황 속에서 탄생한다. 한 문화에 의해 형성되고 틀이 짜인 사람이 이주, 교육, 결혼 등과 같은 이유로 다른 문화와 접촉하게 될 경우, 혹은 태어나자마자 둘 이상의 역사전통, 언어, 정치적 충성심, 도덕적 규율, 혹은 종교에 노출될 경우 그는 두 문화 모두에 온전히 속하지 못하고 각 문화의 가장자리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그가 소수나 하등그룹에서 강하고 지배적인 그룹으로 이주한 경우, 약한 무관심 혹은 거들먹거리는 배려에서부터 통렬한 경멸에 이르기까지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둘러싼 상황에 대한 이해를 시도함으로써 이들이 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경계인 이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Since 1990’s, a total number of immigrant workers,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North Korean refugees has been increased rapidly. For this reason, the problems of diverse social bias and discriminations about them become one of most serious social issues. Marginal Man Theory is formulated by Chicago school of Robert E. Park and is developed by Everett V. Stonequist. A marginal man is from binary or multiple cultures. When human beings contact with other cultures for education, marriage, and emigration, or expose to diverse social environments that there are different histories, traditions, moralities, religions, especially political identities, they do not generally belong to any societies and will be placed in a position to marginal men. In particular, when they move to dominant groups in a certain nation or society from minor groups that they have belonged to, from careful consideration that can cause to hurt their pride to harsh contempt, they will experience diverse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how they will act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survive by trying to understand their social surroundings through Marginal Man Theory.

      • KCI등재후보

        탈분단시대의 탈경계인의 유형과 특수성

        김민숙 ( Kim Min Suk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9 한국문화기술 Vol.27 No.-

        탈북문학은 통일로 나아가는 시점에 꾸준히 제기된 사회적 문제들을 상기 시킨다. 탈북자의 인권 문제, 남북간의 이념체계로 인한 남한 사회 부적응,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등 다양한 주제의식이 소설에 투영되었다. 물론 작가들의 작품에 투영된 분단현실, 폭력과 인신매매, 노동착취 등 탈경계인의 인권문제는 다양한 시선도 소설에 형상화되었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남한에 발표된 탈북자를 소재로 한 소설은 사회적인 관점은 물론 개인의 정체성 문제까지 폭넓게 다뤄져 왔고, 남한작가들이 탈북자를 소재로 한 작품과 탈북작가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소설의 전반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져왔다. 여기서 중요한 관점은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소수자의 정체성 문제에 대한 시각이 절실히 필요함을 제기한다. 탈북문학이 갖는 사회 현상의 반영은 남한사회에서 뿌리내리기, 소수자의 존재에 대한 가치, 제3국에서의 정체성, 인권 문제 등 탈북자의 소외된 존재성과 인권문제에 대한 탐구가 통일을 대비하는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의 개인의 문제에서 사회적인 관심으로 확대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의 적극적인 진입으로 탈북자를 소수자에 국한시키는 관점에도 한계에 이르렀다. 분단 극복과 통일 시대를 예비하는 시점에서 경계인의 면모를 드러낸 탈북문학의 관심과 연구는 탈경계인으로서 뿌리 없는 삶에서 한 개인의 정체성 회복을, 통일 시대에 발생할 사회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본고는 제3국에 거주하는 탈경계인이 경험하는 폭력과 인신매매 등의 인권문제, 소수자의 정체성, 남파 공작원이나 제3국 망명과 같은 자발적·비자발적 탈경계인의 면모를 그린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탈북 현상의 사회적 문제에서 벗어나 뿌리 뽑힌 자, 뿌리 없는 사람의 경계에 선 탈경계인의 삶의 서사 복원은 통일 시대를 예비하는 발판이 되어줄 것이다.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ion reminds us of the social problems that have been raised steadily at this time while stepping on to the unification. A variety of thematic consciousness such as human rights issues of North Korean defectors, maladjustment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ideologic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as well as criticism of capitalism, etc. are contained in the novels. Of course, the reality of division reflected in the works of writers as well as human rights issues of trans-boundaries men such as violence, human trafficking and exploitation of labor, etc. have been projected into the novels with various views. Those novels published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the 1990s to the 2010s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have covered wide subjects not only of social views but also of personal identity issues, and there have made very active studies on the whole Korean novels from South Korean writers’ works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to North Korean defectors’ works. Here an important viewpoint is raised of a desperate necessity for the perspective on the identity issue of minority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unification. Regarding these reflections of the social phenomenon contained i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lo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neglected presence such as taking root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value of the minority’s presence and their identity in a third country, etc. should be studied more extensively from individual problems of the minority to social interests in our society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Such perspective to confine North Korean defectors to the minority has also reached to a limit because the South Korean society had activel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t this point of time overcoming the division and preparing for the era of unification, such interest in and research of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ion, which reveals the aspects of trans-boundaries me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recovery of an individual’s identity from the rootless life as a trans-boundaries man and for diagnosing social problems which may come up in the era of unification. This study has an intention to look into the novels focusing on the ones describing human rights issues such as violence and human trafficking experienced by trans-boundaries men living in third countries, the identity of minority and the aspects of voluntary or involuntary trans-boundaries men such as an espionage sent to South Korea or an asylum to a third country, etc. Out of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n defection, the restoration of the epic history of trans-boundaries men’s life who are standing on a boundary as a uprooted person or even as a rootless person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preliminary to the era of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탈분단시대의 탈경계인의 유형과 특수성

        김민숙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9 한국문화기술 Vol.27 No.-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ion reminds us of the social problems that have been raised steadily at this time while stepping on to the unification. A variety of thematic consciousness such as human rights issues of North Korean defectors, maladjustment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ideologic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as well as criticism of capitalism, etc. are contained in the novels. Of course, the reality of division reflected in the works of writers as well as human rights issues of trans-boundaries men such as violence, human trafficking and exploitation of labor, etc. have been projected into the novels with various views. Those novels published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the 1990s to the 2010s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have covered wide subjects not only of social views but also of personal identity issues, and there have made very active studies on the whole Korean novels from South Korean writers’ works ba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to North Korean defectors’ works. Here an important viewpoint is raised of a desperate necessity for the perspective on the identity issue of minority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unification. Regarding these reflections of the social phenomenon contained i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lo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neglected presence such as taking root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value of the minority’s pres-ence and their identity in a third country, etc. should be studied more extensively from individual problems of the minority to social interests in our society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Such perspective to confine North Korean defectors to the minority has also reached to a limit because the South Korean society had activel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t this point of time overcoming the division and preparing for the era of unification, such interest in and research of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n defection, which reveals the aspects of trans-boundaries me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recovery of an individual’s identity from the rootless life as a trans-boundaries man and for diagnosing social problems which may come up in the era of unification. This study has an intention to look into the novels focusing on the ones describing human rights issues such as violence and human trafficking experienced by trans-boundaries men living in third countries, the identity of minority and the aspects of voluntary or involuntary trans-boundaries men such as an espionage sent to South Korea or an asylum to a third country, etc. Out of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n defection, the restoration of the epic history of trans-boundaries men’s life who are standing on a boundary as a uprooted person or even as a rootless person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preliminary to the era of unification. 탈북문학은 통일로 나아가는 시점에 꾸준히 제기된 사회적 문제들을 상기 시킨다. 탈북자의 인권 문제, 남북간의 이념체계로 인한 남한 사회 부적응,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등 다양한 주제의식이 소설에 투영되었다. 물론 작가들의 작품에 투영된 분단현실, 폭력과 인신매매, 노동착취 등 탈경계인의 인권문제는 다양한 시선도 소설에 형상화되었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남한에 발표된 탈북자를 소재로 한 소설은 사회적인 관점은 물론 개인의 정체성 문제 까지 폭넓게 다뤄져 왔고, 남한작가들이 탈북자를 소재로 한 작품과 탈북작가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소설의 전반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져왔다. 여기서 중요한 관점은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소수자의 정체성 문제에 대한 시각이 절실히 필요함을 제기한다. 탈북문학이 갖는 사회 현상의 반영은 남한 사회에서 뿌리내리기, 소수자의 존재에 대한 가치, 제3국에서의 정체성, 인권 문제 등 탈북자의 소외된 존재성과 인권문제에 대한 탐구가 통일을 대비하는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의 개인의 문제에서 사회적인 관심으로 확대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의 적극적인 진입으로 탈북자를 소수자에 국한시키는 관점에도 한계에 이르렀다. 분단 극복과 통일 시대를 예비하는 시점에서 경계인의 면모를 드러낸 탈북문학의 관심과 연구는 탈경계인 으로서 뿌리 없는 삶에서 한 개인의 정체성 회복을, 통일 시대에 발생할 사회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본고는 제3국에 거주하는 탈경계인이 경험하는 폭력과 인신매매 등의 인권 문제, 소수자의 정체성, 남파 공작원이나 제3국 망명과 같은 자발적⋅비자발적 탈경계인의 면모를 그린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탈북 현상의 사회적 문제에서 벗어나 뿌리 뽑힌 자, 뿌리 없는 사람의 경계에 선 탈경계인의 삶의 서사 복원은 통일 시대를 예비하는 발판이 되어줄 것이다.

      • KCI등재

        <킹덤: 아신전>에 나타난 경계인으로서의 삶

        박상완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3

        넷플릭스 오리지널시리즈 <킹덤>의 최신작인 <아신전>은 전작들에서 벌어진 좀비 사태의 시발점을 다루는 작품이다. 이 글은 <아신전>의 주인공 아신이 조선으로 귀화한 여진족의 후예로 설정되었다는 데에 주목, 그녀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분석한 논문이다. 먼저 2장에서는 아신의 국가적/민족적 경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신은 조선 국적이지만 여진족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경계인으로 결국 조선과 여진족 모두에게 이용당하고 배신당한다. 단일국가-민족 개념에 담긴 폐쇄적 통일성에 의해 경계인에 대한 폭력이 자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타자화는 실제 현실에서도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아신전>은 한국사회에 대한 성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음 3장에서는 경계인 아신의 정체성이 어떻게 무너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신은 상습 강간이라는 육체적 훼손 사건과 아버지를 자신의 손으로 죽여야만 하는 정신적 훼손 사건을 겪게 된다. 이를 통해 아신은 이전과 다른 새로운 정체성을 지니게 된다. 마지막 4장에서는 아신이 어떤 인물로 재탄생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죽은 부락민들을 좀비로 만들고, 살아있는 조선인 군졸들을 살해해 좀비로 만드는 아신의 모습은 그녀가 생과 사를 관장하는 초월적 존재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아신은 살아있는 모든 것을 말살시키겠다는 공멸의 선언을 한다. 모든 것을 무(無)로 만들어 경계 자체를 지워버리는 초 (超) 경계인으로 각성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을 억압하는 것들로부터 도피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파괴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이고 주체적이며 저항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이처럼 <아신전>은 경계인으로서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좀비를 소재화하여 역 사적/정치적/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경계 짓기와 그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파괴적 대안을 그리는 작품이다. 현대사회의 정체성 불안과 자기 파괴적 양태를 극적으로 재현한 <아신전>은 현실사회에 대한 성찰의 가능성까지 지니고 있는 유의미한 텍스트라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