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계선 성격 성향자들의 이분법적 사고와 자기 구조 특성

        황성훈,이훈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1 인지행동치료 Vol.11 No.2

        이분법적 사고는 경험을 상호배타적인 범주로 평가하는 판단 양식으로, 경계선 성격 장애가 보이는 대표적 인지적 왜곡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이 낮은 대학생에 비해 이분법적 사고를 더 많이 사용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했으며, 더 나아가 이들이 이분법적 사고와 관련된 구조적 특성으로서 자기 구조의 분리를 보이는지를 조사했다. 26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 장애 척도를 사용하여, 경계선 성향 집단(37명)과 정상 통제 집단(42명)을 선별하였고, 이들에게 개정된 이분법 사고 지표, Beck 우울 척도, 대학생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고, 자기 구조의 분리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 측면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이분법 사고 지표가 유의하게 높았다. 분리를 반영하는 구획화 지표에서도 경계선 집단이 유의하게 높아서, 그들은 긍정 속성과 부정 속성이 배타적으로 표상되어 있는 자기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267명의 전체 표집을 대상으로 이분법 사고가 인지적 취약성 요인으로서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경계선 성향자들의 우울을 증폭시키는지를 알아봤는데(우울, 이분법적 사고 및 경계선 성향의 삼원상호작용), 중다 회귀 분석 결과, 경계선 성향이 높은 경우 스트레스의 유무에 관계없이 이분법적 사고를 할수록 더 우울해지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이분법 사고와 경계선 성향의 이원 상호작용 효과). 즉, 경계선 성향이 높은 대학생에서 이분법 사고는 스트레스가 없는 상황에서도 우울을 초래하는, 우울 생성의 단독 효과가 있었다. 끝으로 경계선 집단의 구획화된 자기 구조가 초래하는 적응의 불안정성과 기복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문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Dichotomous thinking(DT) is the judgment style that divides experiences into mutually exclusive categories and known as a cognitive distortion that characterizes the borderline personality(BP).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college students with BP traits rely on DT and splitted self structure exists as the inner origin of DT. Among 267 students, BP group(37) and normal control(42) were screened. To them dichotomous thinking index-revised, Beck depression scale, college life stress scale was administered and self aspect test was included to investigate the self structure. As results, BP group scored higher DT than control. In compartmentalization index reflecting splitted structure, BP group exceeded controls suggesting BP have the self structure in which positive vs negative attributes are represented mutually exclusive categor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T as a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 could amplify depression of BP regardless of stress. That is, in BP trait group DT alone increased depression rather than interacted with stress. Finally, we discussed unstable adaptation caused by compartmentalized structure of BP and presen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청소년 경계선 상태의 임상적 분류

        신민섭,전성일,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1995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6 No.1

        요 약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 경계선 장애의 개념의 발달, 역학, 공존 질환 및 감별 진 단, 유형 분류, 정신 역동학적 이론, 생물학적 이론, 실험적인 연구등을 통한 병인론, 추적 연 구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고 청소년기에 재현되는 재접근기(rapproachment)의 혼란에 의해 현상학 적으로 경계선 성 격 장애 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상태를 통틀어 청 소년의 경 계 선 상태 (adolescent borderline slate)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를 성인의 경계선 성격 장애와는 다른 청소년의 한 '과정 '으로서 개념화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청소년기의 경계선 상태를 다음의 네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의 증례 를 제시 하였다 (1) 청소년 과정으로서의 경계선 상태 (2) 정신병적 상태와 연된되어 나타나 는 경계선 상태 (3) 전형적 경계선 성격 장애의 시작으로서의 경계선 상태 (B) 기질적 질환과 연결 되어 나타나는 경 계 선 상태 결론적으로 청소년기의 경계선 장애는 단순히 아동기의 분리-개별화 단계의 실 패가 지속되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이와 유사한 과제가 발달의 주제로 재현되는 청소년기의 이차 분리 개별화 과정의 갈등에 의한 것이고 만약 이 시기에 갈등의 해소가 안되면 성 인기에서는 경 계선 성격 장애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borderline disorder in adolescence to conceptualize the borderline state as an adolescent process different fro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dult, a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it's unique clinical feature, porcess and outcome.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disorder in adolescent, epidemiology, comorbid disorders and differential diagnosis, pre-existing sub-classification systems, and etiology in theories of psychodynamics. biological theories, experimental studies, and follow-up studies are revie- wed. The authors conceptualize the adolescent borderline state include all clinical states generated by re-emergence of unresolved rapproachement conflicts in adolescent, and propose that there are four subgroups in adolescent borderline state, (l) Borderline state as an adolescent process (2) Borderline state associated with psychotic disorders (3) Boderline state as an initial stnge of typical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4) Borderline state associated with organic problems. Conceptually, borderline state in adolescence is not a simple continuation of primary failure of separation-individuation but a struggle for mastering unresolved separation-individuation conflicts in adolesance i.e., the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stage, and if it fails this time, the struggle might continue into adult life a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KCI등재

        노르웨이와 스웨덴간 해양경계선 분쟁사건에 관한 소고

        박찬호(Park Chan-H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법학연구 Vol.47 No.1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1661년 국경획정조약으로 양국간의 해양경계선을 대체로 양국 수역의 중간으로 획정하였는데, 이로써 양국의 육지 경계선에서부터 크리스티나만을 지나 일정 범위까지의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해양경계선이 확정되었다. 그런데 양국은 중간선 원칙을 근거로 제1지점에서 제18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경계선에 합의하였으나 제18지점으로부터 그 이원에 대한 수역의 경계획정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노르웨이, 스웨덴 양국은 1908년 3월 14일 경계선 문제를 중재재판소에 회부하기로 결정하였다. 중재재판소는 3명으로 구성되는데, 제18지점에서 공해까지의 경계를 결정한다. 중재재판소는 1661년 국경획정조약에 의해 경계선이 확정되어야 하는 것이 마땅한지에 관해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경계선이 확정되지 않았다면, 재판소는 사실 상황(circumstances of fact)과 국제법 원칙을 고려하여 경계선을 확정한다. 중재재판소는 인간이 거주하는 육지사이의 중간선이 조약에 의해 육지국경선을 획정한 17세기에 있어서 국제법상 충분한 지지를 도출하지 못했다고 해서 이것을 적용하지 않았다. 반면에 재판소는 해안의 일반적인 방향에 근거하여 해양경계선을 획정함으로써 양국 간의 분쟁을 해결하였다. 본 사건은 1899년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헤이그협약에 의거하여 설립된 상설중재재판소가 해결한 최초의 영해 획정에 관한 사건이다. 중재재판소는 분쟁 당사 국인 노르웨이와 스웨덴이 해양경계선획정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였던 1661년 당시에 적용되었을 원칙을 고려하였다. 중재재판소는 역사척인 맥락에서 중간선과 탈베그 원칙의 적용을 배제하였는데, 노르웨이가 주장한 중간선 원칙은 17세기 국제법상 지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재재판소는 연안의 일반적인 방향에 수직선을 설정함으로써 분쟁 지역의 경계선을 결정하였다. 그런데 이 수직선은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Grisbadarna 뱅크는 스웨덴에, Skj?ttegrunde는 노르웨이에 속하게 되었다. 이렇게 판시한 논거가 설득력이 약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스웨덴과 노르웨이가 각각 Grisbadarna 뱅크와 Skj?ttegrunde에서 어로활동을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장기간 존재하였던 사실 상태는 가급적이면 적게 변하여야 한다는 국제법 원칙에 합치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판결은 사실상황과 국제법원칙을 존중하여 경계선을 결정한다는 중재협정 규정에 비추어 볼 때 바다가재 어장의 개발과 등대선이나 항로표지의 유지와 관리가 그것 자체로서 배타적 권리를 창설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절한 사실상황이 된다. 이런 점에서 재판소가 이러한 사실 상황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법규칙을 해양경계선 결정을 위해 적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On October 23, 1909, the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at The Hague decided the boundary dispute between Norway and Sweden concerning lobster fishing in the shoals of Grisbadarna. By a compromis of March 14, 1908 Norway and Sweden submitted their dispute to arbitration, asking the tribunal to decide whether the boundary line of the maritime territory in question has been determined by the boundary treaty of 1661, and if not to fix the boundary with due regard to the circumstances of fact and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The tribunal rejected the applica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dian line and the thalweg as inappropriate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tribunal fixed the boundary line in the disputed area by tracing a line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coast, thereby assigning the Grisbadarna banks to Sweden. This settlement wa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international law that a state of things which exists and has existed for a long time should be changed as little as possible.

      • KCI등재

        부자와 거지 나사로 비유(눅 16:19-31)에서 경계선 모티브: 누가의 경계넘기 신학

        박영권(Park, Young-Kwon) 한국신약학회 2022 신약논단 Vol.29 No.2

        본 논문은 부자와 거지 나사로 비유(눅 16:19-31)가 주는 교훈을 탐색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이 비유가 나눔과 구제의 교훈을 준다고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 비유가 속한 맥락 속에서 이 비유를 살펴보면, 이 비유에는 경계선 모티브가 작동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누가는 스스로 경계선을 만들고 의롭고 높은 체 여기는 바리새인들을 비판하기 위해, 이 비유를 보여주고 있다. 현세에서 부자는 대문이라는 경계선 너머에 있는 거지 나사로가 경계선을 넘어오는 것을 금지하였다. 내세에서 나사로가 자신에게 올 수 없게 막는 큰 구렁텅이는 생전에 자신이 만들었던 경계선을 연상케 한다. 부자의 다섯 형제들에게 필요한 것은 죽은 자가 살아 돌아가서 증언하는 일이 아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구약성경을 통한 인식의 경계선을 넘어서는 일이다. 중요한 것은 인식의 변화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경험하는 일이다. 이렇게 이 비유에는 경계선 모티브가 중요한 교훈으로 작동하고 있다. 필자는 세 가지 경계선, 즉 현세의 경계선, 내세의 경계선, 인식의 경계선으로 이 비유를 읽는 것이 누가의 교훈을 파악하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누가는 예수와 초기교회 성도들을 긍정적인 경계넘기의 모델로 세워 자신의 경계넘기 신학을 보여주고 있다. 누가의 경계넘기 신학은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통찰을 던져주고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lessons of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the beggar Lazarus(Luke 16:19-31).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suggested that this parable gives lessons of sharing. However, if we examine this parable in the context to which it belongs, we realize that the boundary motif is at work in this parable. Luke gives this parable to criticize the Pharisees who set their own boundaries. In life, the rich man prevented Lazarus from crossing the boundary. The great chasm that prevents Lazarus from coming to him in the afterlife is reminiscent of the boundary he made during his lifetime. What the rich man"s five brothers need is not for the dead to come alive and testify. What they need is to transcend the boundary of perception through the Old Testament. The important thing is to experience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Jesus Christ through a change of perception. In this way, the boundary motif works as an important lesson in this parable. Luke shows his theology of crossing boundaries by showing Jesus and the early church members as positive models of crossing boundaries. Luke"s theology of crossing boundaries offers us many insights today.

      • KCI등재

        개선된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

        정철호(Cheolho Cheong),한탁돈(Tack-Don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4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SBF: Simple Boundary Follower)은 영상의 인식과 표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계선 추적 알고리즘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SBF는 주로 이진화된 영상에서 물체의 경계선을 추적할 때 매우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추적자의 위치와 방향조건에 따라 인너코너(inner corner)와 인너-아우터 코너(inner-outer corner)의 일부 영상을 추적하지 못하는 비일관성(inconsistency)을 가지고 있고, 경계선 이외의 픽셀들에 대한 부가적인 이동연산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약성들 중 인너-아우터 코너의 비일관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정된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MSBF: Modified Simple Boundary Follower)이 연구되었지만 여전히 인너코너 추적 비일관성과 부가 연산 필요성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비일관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처리하고, 경계선 주위 픽셀에 대한 이동 연산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ISBF: Improved Simple Boundary Follower)을 제안하였다. 또한 경계선상의 픽셀들의 배치와 이동 경로 방식에 대해 분류를 함으로써 세 가지 알고리즘의 연산복잡도를 계산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MSBF에 비하여 연산량이 감소하였고, 비일관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BF (Simple Boundary Follower) is a boundary-following algorithm, and is used mainly for image recognition and presentation. The SBF is very popular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efficiency in tracing the boundary of an object from an acquired binary image; however, it does have two drawbacks. First, the SBF cannot consistently process inner or inner-outer corners according to the follower'sposition and direction. Second, the SBF requires movement operations for the non-boundary pixels that are connected to boundary pixels. The MSBF (Modified Simple Boundary Follower) has a diagonal detour step for preventing inner-outer corner inconsistency, but is still inconsistent with inner-corners and still requires extra movement operations on non-boundary pixe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SBF (Improved Simple Boundary Follower), which solves the inconsistencies and reduces the extra operations. In addition, we have classified the tour maps by paths from a current boundary pixel to the next boundary pixel and have analyzed SBF, MSBF, and ISBF. We have determined that the ISBF has no inconsistency issues and reduces the overall number of operations.

      • KCI등재
      •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침해가 자녀의 분리-개별화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Kim, Eun Jeong) 학습전략중재학회 2019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분리-개별화의 특징을 규명하고, 부모의 심리적 침해가 청소년의 분리-개별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의 특징은 자아분화와 경계선 형태를 통해 알 수 있다.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졌다는 것은 부모와의 경계선이 건강하게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가족 구조 안에서 개개인의 경계선이 분명할 때 자아분화가 잘 일어나고 자율성이 발달하며 개별-분리화가 잘 이루어져서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원만해진다. 반면 가족 구성원 간의 심리적 경계선이 모호한 경우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경계선 침해로 인해 자율성이 발달하지 못하며 부모 의존적이 된다. 셋째, 부모의 경계선 침해는 부모의 과보호 및 심리적 통제의 형태로 나타난다. 혼돈된 경계에서 경계선 침해가 일어날 때, 심리적 통제의 특징인 과보호가 나타난다. 특히 한국적 상황에서 과보호와 경계선 침해가 많이 일어난다. 이는 자녀의 건강한 자아분화와 자율성 형성을 방해할 수 있고, 결국 자녀의 심리적 독립을 저해함으로써 자녀의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individuation and to theoretically derive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boundary violation o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of adolescen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of adolescents features can be known through the forms of self-differentiation and boundary lines. Successful self-differentiation means that the adolescents boundaries are healthy. Second, when the boundaries of family members are clear, self-differentiation develops and autonomy develops, and separation-individuation is well established, and interactions between family members become complete. Thirdly, parental psychological boundary violation appears in the form of parent overprotection and psychological control. Especially in the Korean situation, parental psychological boundary violation with parental over-protection occur a lot. This interferes with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and autonomy formation and negatively affects the adolescents adjustment by impairing their psychological independence.

      • KCI등재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분석

        이새별(Lee, Sae-Byoul),강옥려(Kang, Ock-Rye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경계선급 지능 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의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여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경계선급 지능 아동들을 교육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이새별(2020)이 제작하고 타당화한 작업기억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경계선급 지능 아동(30명)과 일반아동(30명)의 작업기억을 측정하고 비교ㆍ분석한 결과, 첫째, 경계선급 지능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작업기억 수행 능력이 저조하며, 작업기억 폭이 음운루프, 시공간잡기, 중앙집행의 세 하위요소에서 모두 약 2개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작업기억 발달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나 연령이 증가해도 집단 간 차이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작업기억 소검사 수준에서는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소검사 간 상관관계가 일반아동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선급 지능을 가장 잘 판별해주는 소검사 변인은 읽기폭, 매트릭스폭, 철자폭으로 나타났다. 넷째, 읽기폭과 대칭폭의 간섭과제 정답률 분석 결과,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언어적 정보처리는 일반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이고, 시공간적 정보처리는 일반아동과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을 고려하면, 가능한 학령기 초기에 이러한 아동들을 선별 및 진단하여 작업기억 조기 중재를 통해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을 위한 교육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한 번에 제공하는 정보의 양을 잘게 쪼개어 제시하기, 핵심적으로 시각적 자료를 제시하기, 교사의 지시사항은 한 번에 1∼2가지로 쪼개어 확인하면서 단계적으로 제시하기, 연습이 필요한 과제는 여러 번 반복하는 기회주기 등의 권장사항을 반영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be a basic study that prepares a method for educationally supporting children with BIF placed in the blind spot of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WM of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sults of measur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M of children with BIF(30)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30) using the validated WM test(Lee, 2020)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BIF showed lower WM performanc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e WM span was about 2 less in all three sub-components(i.e., phonological loop, visuo-spatial sketchpad, and central executive). Second, while the WM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BIF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with age, the gap between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intained. Third, at the level of WM subtests, the correlations between subtests were different in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subtests that best distinguish children with BIF were reading span, matrix, and letter recall.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ct answer rate of children with BIF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reading span and symmetry span interference tasks, the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of children with BIF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ir visuo-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sidering the WM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IF, there is a need of additional educational efforts to screen and diagnose these children as early as possible and improve their WM through early intervention. In addition, if you are developing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BIF, you should reflec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1) Give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at a time, 2) Teacher’s instructions at a time 1-2, step-by-step, 3 )Key presentation of visuo-spatial information, 4) Tasks that require practice give multiple opportunities to repeat.

      • KCI등재

        경계선지능 청년의 실태 ·욕구 분석

        임성은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4

        경계선지능 청년은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기존의 발달장애인에 해당하지 않고 활동중인 청년지원사업 신청도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은둔 청년을 찾고 있으나 이들보다 우선순위에도 불구하고 누가 경계선지능인지 파악조차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들에 대한 기본적인 실태와 욕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분석을 통한 기초조사를 토대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경계선지능 청년의 실태와 필요를 조사하는 것이다. 심층 인터뷰는 문헌분석을 통해 드러나지 않은 세부 실태를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경계선지능 청년 당사자는 물론 그 부모, 관련 직종 종사자 및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당사자는 학교에서 특별한 계기가 있기 전까지 자신이 경계선지능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학령기 이후사회경험에서 파악한 자신의 한계와 실패경험 때문에 자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등은 희망하였으나 직장 부재, 자신감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포기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경우 경계선 지능에 대한 인지 시기가늦었고 인지 이후에는 적절한 대처방법을 알지 못했으며, 자책하는 경향이 있었다. 지능이 낮은 상태, 그렇지 않은 다른자녀와의 형평성 문제 등의 이유가 작용하였다. 자녀가 일반인과 같이 생활하기를 희망하지만 경계선 지능 청년의 장단점, 한계 등을 알고 있어 괴리가 발생하였다. 반면, 관련 직종 종사자 및 전문가는 경계선지능 청년의 부모의 양육 태도, 사회생활 등을 객관적으로 조망하고 있었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경계선지능 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 제고, 맞춤형 제도 마련과 지원 제고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orderline intelligence youth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ir lives due to low awareness and lack of support polic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research) their basic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borderline intelligence youth and investigate(research) their need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design.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ace-to-face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youth, their parents, related workers, and experts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at were not reveal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reby enhancing the reality and specificity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research), borderline intelligence concerned did not know that he had borderline intelligence until there was a special occasion. They had low self-esteem due to their own limitations and many failure experiences,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various social experiences. They had hopes for employment and marriage, but gave up due to lack of selfconfidence. Their parents concerned were late in recognizing their child’s condition, and even after recognizing it, they did not respond properly. They were blaming themselves for the condi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 issue of equity with other children. They knew exactl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ir children, but they hoped that their children would plan for a future like ordinary people. related workers and experts viewed the social life of borderline intelligence and parenting attitudes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In borderline intelligence, differences in behaviors and attitudes occurr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family background and individual experiences, and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was also found to be different. The interviewees commonly needed to enhance awareness of borderline intelligence and to support customized policy.

      • KCI등재

        가정밖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 고립에서 연결로의 변화 과정

        손선옥,박현용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4 사회복지연구 Vol.55 No.1

        최근 가정밖 보호 청소년의 자립지원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자립은 소극적으로 논의되고있다. 아동복지시설이나 청소년쉼터 등에서 보호되는 청소년 중 경계선지능인이 적지 않다고 예측되지만, 경계선지능 청소년과 그들의자립은 이해되지 못한 학문적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준비 경계선지능 청소년이 자립지원 프로그램을 받는 동안의 경험을살펴보았다. 이들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자립지원의 의미와 발전 방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B 청소년자립지원관에서 자립지원을 받는 경계선지능 청소년 11명을 1년 동안 2번의 면접을 했다. 자료의 분석은 주제분석 방법을사용하였고, 이들의 자립준비의 과정은 사회적 고립에서 연결된 삶이라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3개의 주제와 이를설명하는 5개의 하위범주와 10개의 개념을 도출했다. 최종 도출된 영역은 ‘고립의 시작점: 가정에서 가정밖으로’, ‘고립에서 보호막으로: 자립지원관에 들어오다’, ‘미완의 연결: 열려있는 자립의 길’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자립준비 경계선지능 청소년을위한 자립은 첫째, 자립을 준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과 경험을 보장해야 하며, 둘째, 다양한 심리정서적 욕구에 대응할 수있는 전문적 서비스 체계가 마련될 필요를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으로 단절과 고립을 경험한 자립준비 경계선지능 청소년에게도움을 구하고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경험을 충분히 제공할 필요성을 논의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자립준비 경계선지능청소년의 자립지원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dependent living preparation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despite the increasing societal interest in supporting youth in out-of-home ca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t living support program(ILP) from their own perspective. A total of 11 adolescent with BIF participating in ILP at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were interviewed. Thematic analysis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process of the ILP. From the interview data, we identified 3 main themes, 5 sub-themes and 10 concepts: (a) the beginning of isolation, (b) isolation to protection, and (c) unfinished yet promising journey. Based on our findings, we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ensure variety of experiences and more time for adolescents with BIF to develop social networks as resources for independent living. Additionally, We also suggest that a multidisciplinary team is required to provide ILP to meet with special needs of adolescents with BI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