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안 연구 - IPA분석을 중심으로 -

        박수진,서명선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1

        Career decision,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lif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current life depending on the career path chosen by the individual. If one makes a rational decision on our career path and is satisfied, one can lead a happy life. To make the right career dec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ne’s aptitude, interest, personality, and to acquire knowledge about the job and the essential ability to perform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occupation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educational system factors, which are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and their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classe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The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c approaches to enhance major satisfaction. In this study, an optimiz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to identify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that need to be actively improved by comparing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aim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c methods to enhance major satisfaction.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and major satisfaction, and to review whether important attributes are being performed well. Firstly,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 that needs to be maintained is the educational system factor. Secondly,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 that needs to be reexamined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is the individual factor. Thirdly,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class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that need to be actively strengthened are environmental factors, occupa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among major satisfaction factors. Fourthly, to increase perception satisfaction among major satisfaction factors, the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that need to be actively strengthened are occupa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universities should, first, develop capabilities that can be enhanced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factor. Second, they should explore ways to apply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Additionally, they should identify environmental, occupational, and social factors that students desire and actively strengthen these factor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Finally, universities should explore ways to develop capabilities that can be enhanced by actively strengthening occupational and social factors to increase the school’s perception.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정체감을 확립하고 인생의 목표가 생기는 가장 중요한 시기로 자신의 진로결정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이나 경험을 위해 노력하고 진로결정을 구체화시켜 세밀한 계획을 세워야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경우 자신의 적성과 장래희망보다는 좋은 대학에 들어가야 한다는 분위기 속에서 입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입학 이후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에 대한 이해 및 직업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혼란의 시기를 겪게 된다. 따라서 대학생 시기에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사전에 계획을 세워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대학교에서는 진로결정의 문제로 고민하는 대학생들이 만족스러운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율적인 진로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요인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사회적 요인, 교육 체제적 요인이 전공만족인 교과 및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방안을 제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에 대한 기대치와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여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최적화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과 전공만족도를 이해하고 중요한 속성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검토를 실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전공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현상유지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교육 체제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공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재검토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개인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 요인 중 교과 및 수업만족과 관계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적극 보강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넷째, 전공만족 요인 중 인식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적극 보강해야 할 진로결정요인은 직업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에서는 첫째, 현재 교육 체제적 요인을 유지하면서 강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해야 하고, 둘째 학생들의 개인적 요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육커리큘럼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셋째 학생들의 원하는 환경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사회적 요인을 파악하여 적극 보강하여 강화할 수 있는 역량개발과 넷째, 학교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직업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적극 보강하여 강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 KCI등재

        개인투자조합 출자자의 출자의사결정요인 실증연구 : 벤처기업 투자의사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김승찬,김홍근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New venture investments have continued to increase and are at an all-time high. Among them, personal venture investment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is increasing rapidly, showing a continuous increase. Despite this surge in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decision-making factors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of venture firm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 and decision-making factors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 of the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and the main factors and detailed factors that make them decide their intention to invest,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which has been poorly studied, the importance of those factors and their comparative weights were analyzed to find out how the factors influence the investment decision of the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main factors considered in the decision making of investment in venture firms by Venture Capital and Angel were reviewed and the factors for decision making on investment by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decision-making factors for equity investments were carried out by constructing detailed factors focusing on the main factors of entrepreneur, products․services, market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ly presented in the literature.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investor and prospective investor in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the weight of each factor was analyzed using AHP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factors were in the order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product service characteristics, market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 characteristics. If we look at the detailed factors with high aggregate weighting, it came in the order of profitability, excellence, asset health, cash flow and demand prediction, while those with low aggregate weighting came in the order of global expansion, capital size, sales marketing capacity, accessibility and market s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venture investment through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by presenting indicators of investment attraction strategies to venture firms that want to attract investment through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providing information of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to GP(General Partner)s who want to invest in venture firms through the formation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acting as indicators of selection of venture firms to be invested for investors who want to invest through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신규 벤처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개인의 벤처투자가 급격히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투자조합은 조합결성이 급증하여 지속적인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투자조합의이런 급증 추세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개인투자조합의 투자(출자)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개인투자조합의 출자자의특성과 출자의사결정요인에 관하여 벤처기업 투자의사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가 부진했던 개인투자조합의 이해와 더불어 개인투자조합의 출자자 특성과출자의사를 결정하게 하는 주요 요인과 세부요인을 알아보고, 그 요인들의 중요도와 비교 가중치를 분석하여그 요인들이 개인투자조합의 출자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벤처캐피탈과 엔젤투자의 벤처기업 투자의사결정시 고려하는 주요 요인들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개인투자조합 출자자의 출자의사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출자의사결정요인은 선행문헌에서 공통으로 제시하는 경영자, 제품서비스, 시장, 재무 특성의 주요요인을 중심으로 세부요인을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개인투자조합의 출자자와 출자예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알아보고 AHP(계층분석법)을 활용하여 요인별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요인에서는 재무 특성, 제품서비스 특성, 시장 특성, 경영자 특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종합가중치가 높은 세부요인들을 살펴보면 수익성, 우수성, 자산건전성, 현금흐름, 수요예측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종합가중치가 낮은 세부요인들은 글로벌 진출, 자본금 규모, 영업마케팅능력, 접근성, 시장규모 등의 순으로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투자 유치하고자 하는 벤처기업에게 투자유치 전략을 수립하는데지표를 제시하고, 개인투자조합 결성을 통해 벤처기업에 투자하려고 하는 업무집행조합원(GP)에게 투자대상벤처기업을 선정하는데 투자의사결정요인의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출자하고자 하는 출자자에게는 출자대상 벤처기업의 선별의 지표로 작용함으로써 개인투자조합을 통한 벤처투자의 활성화에 기여할것으로 본다.

      • KCI등재

        중소도시 아파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심재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6 경영컨설팅연구 Vol.6 No.1

        주거만족도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평가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택에 대한 선호도는 경제성, 안전성, 쾌적성, 사회성, 환경성, 외부환경, 편의시설, 접근성 등과 같은 다양한 주거만족도의 결정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주택보급을 확대할 목적으로 수도권주변에 중소도시들의 급속한 도시화를 지원하고 있으나, 중소도시들은 교통문제, 사회문제, 환경문제, 편의시설이용문제, 주택사후서비스문제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것은 주거만족도의 결정 요인에 대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중소도시의 주택수요자에게 주택의 선호도에 대해 언제나 열등적 위치에 놓이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주변 중소도시의 주거만족도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요인별 및 요인항목별 주거만족도 분석,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의 집단간 주거만족도 차이 분석 등을 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요인항목들은 기존 문헌연구의 요인묶음 내용과 일치하고 있으며, 요인의 항목들은 8개의 요인들로 구분되어 명명되었다. 둘째, 전체적인 주거만족도는 보통이하로 만족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요인별로는 사회성 부문이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불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편의시설 이용부문과 경제성 부문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각 요인항목들에 대한 만족도가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의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변수는 월소득수준, 성별, 연령, 학력,직업 등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에서는 이주동기, 주택규모, 맏자녀나이, 거주기간, 주택소유유형 등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거주기간과 주택소유유형은 일부의 항목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가족수, 주택층수, 이주전주택유형 등에서는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중소도시의 주거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주택정책의 시행에 있어서 도시 및 주택개발의 입안자는 이와 같은 사항을 심도 있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KOSPI 상장주식의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에 대한 산업별 분석

        김유라,김상배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9 금융지식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non-linear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at the market and industry levels for KOSPI-listed firms. The sample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4 and the determinants include the debt ratio, liquidity, firm size, the growth rate of M2 to GDP, and foreign debt ratio to GDP, industry-weighted openness. In this study, we perform four different analyses. First, non-linear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determinants are estimated for all sample firms by considering only the firm-specific indicators. Second, non-linear foreign currency exposure determinants estimated by considering firm-specific indicators and macroeconomic indicators(M2 growth rate to GDP, the foreign debt ratio to GDP). Third, industry-weighted openness is added as a determinant variable to estimate nonlinear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determinants. Finally, non-linear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determinants are estimated for firms with significant non-linear coefficients. In summary, our results show that each industry has different determinants for non-linear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The results also have more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macroeconomic indicators than for firm-specific indicators. Specifically, foreign debt ratio to GDP ratio and industry-weighted openness are significant non-linear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determinants in most industries, meaning that each industry should consider two factors when developing a hedging strategy against foreign exchange rate exposure. 본 연구의 목적은 KOSPI 시장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전체 표본기업 및 산업별 비선형 환노출의 결정요인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 기간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이고 결정요인으로 기업특성요인(부채비율, 유동성, 기업 규모, 성장성)과 거시경제요인(GDP 대비 M2 성장률, GDP 대비 외채비율, 산업가중개방성)을 고려한다. 비선형 함수인 3차 함수(cubic form)를 통해 추정된 비선형 환노출을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 분석의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4가지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첫 번째,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특성요인만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여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을 추정하고, 두 번째는 기업특성요인과 거시경제요인(GDP 대비 M2 성장률, GDP 대비 외채비율)을 결정요인으로 포함하여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을 추정한다. 세 번째는 산업가중개방성을 결정요인 변수로 추가하여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을 추정하고 마지막으로 비선형 환노출 계수가 유의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을 추정한다. 추정결과, 산업마다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기업특성요인보다 거시경제요인이 더 유의한 결과를 많이 나타낸다. 거시경제요인 가운데서도 GDP 대비 외채비율과 산업가중개방성은 대부분 산업에서 유의한 비선형 환노출 결정요인으로 나타남으로 환노출 대비 전략을 세울 때 두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실증 분석

        정문수,김은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1

        스타트업에게 전문보육과 투자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생존율을 크게 개선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초기 단계로 투자결정요인 개발 시 이론적 기반을 갖추지 못한 상황으로 유사 투자자인 엔젤투자자나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요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증연구를 통해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을 사용하여 투자결정요인의 변별력과 유효성을 국내 최초로 실증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투자 성공과 실패의 판단 기준을 스케일업 이론을 기반으로 설정한 후 국내 14개 액셀러레이터의 22명의 투자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투자 후 스케일업에 성공한 스타트업 52개사, 스케일업에 실패한 스타트업 45개사 등의 총 97개 스타트업의 유효한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 두 그룹 간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별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분석 결과 총 21개의 투자결정요인 중 9개(43%) 요인에서 평균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이 실무적으로 액셀러레이터가 성공 가능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의사결정을 하는데 상당한 변별력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스타트업의 업종별 혁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 스타트업 표본을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과 서비스업 분야 스타트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에서는 비즈니스 모델, 전략, 동적역량 요인에서 평균 차이가 발생한 반면 서비스업 분야 스타트업은 동적역량 요인에서만 평균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도출한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의 실무적 유효성을 실증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크며, 액셀러레이터에게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세부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가 높다.

      • 외부환경요인이 소유구조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이재춘 한국경영교육학회 2007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6

        본 연구는 1987년부터 2001년까지 15개년을 대상으로 주식시장의 개방과 IMF 외환위기라는 환경요인이 기업의 소유구조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자료추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주식시장의 개방과 IMF 외환위기라는 환경요인이 소유구조를 설명하는 의미 있는 변수가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든 결정요인들이 전기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가 되고 있지만, 배당성향을 나타내는 결정요인의 부호가 이론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주식시장의 개방과 IMF 외환위기를 전후 한 시점으로 나누어 소유구조결정요인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주식시장의 개방 이전과 IMF 외환위기 이후의 소유구조의 결정요인들이 안정성과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 2016년 건강영향평가 사업 운영 - 노화 관련 건강결정요인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영향평가의 제도적 도입 지원 연구

        김정선,서미경,최은진,오미애,이난희,윤시몬,강아람,정진욱,손애리,김성민,송기민,김민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강영향평가는 공공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건강 결과를 예측하는 사업으로, 우리 원에서 하는 건강영향평가 사업의 목표는 건강영향 평가를 우리나라에서 제도화하는 것임. 이를 위한 준비 과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 따라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첫째, 건강영향평가 도입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중앙단위 정책에 대한 평가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둘째,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건강결정요인별, 지역별 특성에 따라 건강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선정해 실시하고, 건강결정요인별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며, 셋째, 정책연구 수행을 통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아시아태평양지역 건강영향평가의 중심 역할을 수행함. 특히 공공정책의 현장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건강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이에 따라 2016년도에는 지자체의 제도화를 위해 서울시 서초구와 긴밀하게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반딧불센터 운영사업과 양재천 종합정비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해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고사항들을 제시함. 또한 초고령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해 고령자와 같은 취약인구집단 또는 잠재적 취약인구집단의 건강결정요인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할 수 있는 조사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건강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기초자료와 건강의 형평성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함. 한편 고령자 관련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하고 대상사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 2.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우리나라는 환경보건법에 따라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하기는 하나, 이는 일부 개발사업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수행하는 정책, 사업에 포괄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아직 정부 차원에서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률 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전북 무주군과 서울 서초구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포괄적이고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조례를 만들고, 제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의 원칙은 첫째, 환경영향평가의 일부가 아??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 건강증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많이 도출하고자 하는 것임. 두 번째는 포괄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서 포괄적인 건강 요인(건강, 사회, 물리적 요인)을 포함하며, 법, 제도, 계획, 사업을 대상으로 하고,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해야 실질적으로 건강친화적 정책이 수행되고 시민의 건강증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임. 건강영향평가 지자체 모형 개발의 최종 목표는 지속가능한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 및 수행이 용이하고, 확산이 쉬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번 연구 결과로 개발된 모형은 2017년 시범사업을 거쳐 수정 보완 후, 지방자치단체에 확산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중앙단위의 법제화를 목표로 함.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로써 성공적 노화와 관련한 건강결정 요인의 설문 도구는 싱가포르국립대학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2012년 서울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추진한 바 있음. 중고령자 대상 양적인 조사에서는 연령별 차이, 성별 차이, 교육수준의 차이, 소득수준의 차이 등에서 성공적 노화와 건강 관련 요인, 사회적 자본 등의 요인이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본 조사를 통해서 건강영향평가의 건강결정 요인의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유지 및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요인을 다양한 차원에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에 나타난 유럽의 동향 분석에 의하면 횡단면 연구를 기준으로 볼 때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 수준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관련성이 없는 연구보고도 있음. 사회적 참여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행동 또는 건강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음. 따라서 정책이나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개발해야 할 것임. 건강영향평가에서 사회적 건강결정 요인을 고려할 때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을 검토해야 하며, 인구학적 특성과 같은 고정적 요인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해야 함.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정책요인을 개발해야 하고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노력에는 저소득층의 소득이나 사회활동 지원을 위한 사회적 정책이 해당함. 우리나라는 인구학적 특성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건강 증진 종합계획의 정책 목표에 인구집단별 건강증진 목표와 세부사업이 개발된 바 있으나, 노인 건강과 관련한 사업은 만성질환의 예방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사회적인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를 더 개발해야 할 것임. 우리나라 정부의 노인복지 측면 정책으로는 노인소득보장, 요양 및 건강보장의 정책이 대표적임. 사회적인 측면의 정책으로는 노인 일자리 정책이 대표적인데, 외국의 정책 사례에서 보면 정부의 사회경제적 지원 정책이 취약계층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는 점이 특징임. 모니터링 지표는 건강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과 관련한 지표로 개발되고 있음. 사회적 자본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사회적 기회를 마련해야 함. 또한 중년 이후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교육 기회도 더 늘려야 함. 건강영향평가를 시행할 때 성공적 노화 및 사회적 자본의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고령자 대상 정책사업들 중 건강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을 파악한 결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중고령자의 인지도는 전체 1000명 중 43%가 인지하고 있고, 이용경험이 있었음. 그러나 향후 이용 의향은 13.8%로 낮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높았음. 고령친화산업 분야별 인지도는 요양산업, 주거산업, 의료기기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어 용구용품산업, 금융자산관리산업, 의약품, 식품, 화장품, 여가문화산업 순으로 나타남. 또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반적인 우선순위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의약품, 요양, 주거, 식품이 우선순위 중 상위를 차지함. 이들 고령친화산업 중 우선순위가 높은 주거분야에서 운영위원회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평가 대상으로 선정됨.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사업에 대한 권고사항이 도출됨. 긍정적인 건강영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교통안전활동 강화를 위해 농촌지역의 국도 통과 도로변 마을입구에 표지판, 가로등을 추가 설치해 운전자의 속도 조절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둘째, 횡단보도의 길이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 많을수록 짧다고 느끼고 있어 장애인용 횡단보도의 점자보도와 알람 등과 같이 횡단보도 시간 연장 욕구가 있을 시에 조절할 수 있는 시설 설치가 유용할 것임. 셋째, 고령자들의 교통안전교육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91.3%가 필요하다고 응답함. 이에 비춰 볼 때 고령자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경찰 내에 노인교통안전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체계적이고 통일된 고령자용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노인교통안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넷째, 교통안전교육의 콘텐츠로는 횡단보도의 녹색 점멸등에서도 건넌다는 응답률이 높아 점멸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줘야 할 것임. 야간 외출 시 밝은 색상의 옷을 입을 것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며, 야광 띠 사용도 적극 권장하며, 건강 형평성 차원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부담이 되는 시설 개보수와 같은 사업보다는 자원봉사자 또는 고령자의 자발적인 협조가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 결론적으로 교통 환경은 고령자들의 건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의 보행환경은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령자들에게는 불편한 면이 있음. 따라서 보행환경 조성사업과 교통안전교육을 통해 고령자들 스스로 교통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1. Background and purposes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provides information to establish a health orientated policy and predict the health impacts of different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aims to institutionalize HIA in Korea.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3 different research projects were carried out as a ground work. First, introduction of HIA was prepared by conducting a pilot project against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olicies. The second research wa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HIA. Pilot project was also executed and HIA guidelin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eterminants of health and regional factors. Third, the policy research was performed to suggest strategies for institutionalization of HIA. This is intended to play a central role of HIA in Asia-Pacific region. Local governments are especially in need for implementation of HIA system, as they are first at the scene of public policy. Therefore, a collabo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closely with Seocho-gu in Seoul for institutionalization in local government in 2016. HIA was implemented for Firefly center operation and Yangjae-stream integrated improvement project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maximize the positive impacts while minimizing negative effects. As Korea is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create an index related to the health determinants of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senior citizens or the potentially vulnerable population. Required basic information for analysis of the health determinants of the aged group and the equity-focused health index were created. Further, HIA was executed on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old age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s were drawn. 2. Results and Implic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Health Act, HIA should be conducted in Korea. However,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certain development projects, and is not applied comprehensively to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rojects. There is no independent enactment of an Act regarding HIA at a governmental level.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Muju-gun in Jeonbuk and Seocho-gu in Seoul implemented a comprehensive and independent HIA regulations and attempted its institutionalization. The first fundamental for development of a local governmental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is to develop an independent model, which is not a par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objective is to induce more direct impacts on health improvement through this model. Seco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encompasses all-inclusive determinants of health(health, social, physical factors), subjected to laws, systems, plans and projects. All direct and indirect health impact factors should be included to execute a realistic health promoting policy, consequently the citizens can experience health improvement effects. The final goal of local governmental HIA model development is to create a sustainabl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transfer and implementation are easy. The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an outcome of this research, would be improved after pilot studies in 2017. This model will be distributed to local governments with a long-term goal of institutional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In 2012, the first survey on determinants of health that are related to successful aging was conducted against senior citizens in Seoul as a part of the infrastructure building research for HIA. A quantitative analysis subjected to senior citizens showed that a successful aging was associated with health and social related factors such as age, gender, and income level differences. An index for determinants of health was created for HIA. This index is expected to enable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maintenance and health. A trend analysis of Europe in OECD report showed that local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health when transversal data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studies showing no relationship between them. Social capital including social participation revealed to influence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or health life, directly or indirectly. Thus, policie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it impacts positively on social capital during the planning stage. Whe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re considered during HIA, areas where it can influence the social capital should be examine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influence of fixed factors on health inequalit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minimized. To obtain this,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should be generated, and this should be reviewed during HIA. As an effort to minimize the impacts on health inequality, social policies should support income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population. In Korea, to minimize health inequalities caus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on goal by population group and a sub project were created as a par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However, Korea`s senior wellness program focus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Thus, further project development is needed for social health improvement policies. Korea`s major senior wellness program includes guaranteed income supplement, illness recuperation, and health insurance. Whereas the main social wellness program is an employment policy for seniors. Reviewing overseas`cases, their main characteristics are continuous governmental monitoring that ensures the penetration of their socio-economical support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s. Monitoring index is also developed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ealth inequalities of socially vulnerable population. To expand social capital, social opportunities should be created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middle age and older populations to increase their social capital with diverse methods, their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also be boosted. When HIA is conducted, successful aging and social capital factors should be reflected to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o select the policies for seniors to apply HIA, awareness of senior friendly program amongst old age population was investigated. Amongst 1000 middle/old age group, 43% were aware of the senior friendly programs and have used the service. However, only 13.8% were willing to use the service again in the future, where females were more eager than mal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medical equipment projects were the most recognized services, which are followed by supplies or an article, financial asset managemen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food, toiletries, and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projects. Priority analysis revealed tha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food were at the top of the priority list. As part of the housing project, which has a high priority,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was selected for an evaluation through the expert advice from operating committee. Based on the results of HIA of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recommendations were drawn. First recommendation to produce positive health impact is enforcing road traffic safety. This is achieved by means of regulation of traffic speed through implementing traffic signs and street lights at the entrance of the rural villages where a national highway passes. Second, as people get older, their perception of the length of the pedestrian crossing becomes shorter. Therefore, installation of a facility that can control the crossing time would be useful such as tactile paving and an alarm system implemented for the disabled. Third, 91.3% responded that a road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for elderly people, confirming that the majority agrees that the road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police department to train professional elderly road safety educators to operate a systematic and unified roa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to promote the road safety for elderly people. Forth, precaution for green flickering light must be added to the road safety program, since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cross at the flickering light. Further, wearing bright color cloths should also be added to the program1) and wearing reflective safety gear should also be encouraged. For health equity, it is more suited to create and develop projects that are based on volunteers and voluntary corporation of elderly people, in contrast to high cost projects such as facilities renovation and maintenance. In conclusion, the road and traffic environment influences the health of senior citizen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urvey showed that the current pedestrian environment is inconvenient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self-protection should be encouraged for the senior citizens from the road hazard via implemen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oad safety education projects.

      • KCI등재

        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지방정부 복지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이재완(Lee, Jae-Wan),박순우(Park, Soon-W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4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복지정책결정이 어떠한 매카니즘에서 그리고 주요한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실증적, 계량적 선행연구에서 각각의 요인들의 영향력 수준이 확인되었지만 지방정부의 복지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관련 내용을 규명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의 제도개념을 확장하여 정책결정과정상의 행위자의 선호, 행위, 선택과 제도적 맥락의 측면에서 지방정부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충남도의 민선5기 핵심공약 중 현재 중단된 충남복지재단 설립ㆍ운영에 관한 사항과 성공적으로 추진된 영유아무상보육사업이다. 지방정부의 복지정책결정과정의 매카니즘은 정치적요인과 경제적 요인, 그리고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과정으로 파악된다. 지방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책결정자의 정책의지, 정치행정문화, 이해집단의 태도, 사회의 지배적 이념이나 가치의 변화, 그리고 도민의 경제활동수준 및 지방정부의 재정력 수준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echanism in which the welfare policies of a local government are made, as well as the major determinants of policy outcomes, by analysing its policy-making process. There has been a large volume of quantitative researches which deal with the welfare policies o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and have contributed to exploring the different degrees that various factors make effects on a certain welfare outcome. However there has been a few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an empirical research of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the welfare policies on that level by using the method of case study. Bearing that in mind, the study employed new institutionalism as a basic framework, then further extended it to comprise such factors as actor’s preference, behavior, choice and institu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Using this framework, the research picked up two distinctive policies out of the welfare promises that was made by the incumbent Governor of Chungnam Province during his election movement: one is the foundation of a Chungnam Welfare Fund, the discussion of which is currently suspended. The other is free childcare service for under 6 that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study found that the mechanism of the welfare policy-making process in a local government needs to be understood as an interactive process among such factors as politics, economy, and societal life. At the same time, it was identified that the determinants of the welfare policies in a local government are such as the will of policy maker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ulture, the attitudes of interest groups, the changes of dominant ideology and value, and the level of local economic activities and the financial capacity of a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복지재정 지출결정요인과 지출효과간의 관계

        이미애(Mi-Ae Lee),류은영(Eun-Young Ryu) 한국정책과학학회 201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 지출의 확대와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 재정지출 구조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 중 어떤 경로를 통해 결정되는지 살펴보고, 지방자치단체 재정지출구조가 지출효과(사회복지서비스수준)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지출구조(지방재정 지출규모 · 복지재정 지출규모)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156개 시 · 군(72개 시, 84개 군)을 대상으로 PLS(partial least squeares)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재정지출구조와 복지정책 효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지방정부의 재정지출구조를 확립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재정 지출결정요인과 지방재정 지출규모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정치 · 행정적 요인이 영향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출결정요인과 복지재정 지출규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지출결정요인 중 점증적 요인(전년도 복지재정지출비율)과 재정적 요인이 복지재정 지출규모에 영향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출결정요인, 그리고 지출구조가 지출효과(사회복지서비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지방자치단체의 사회경제적인 요인보다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요인이 지방재정 지출효과(복지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출결정요인과 지출효과 간에 지출구조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방재정 · 복지재정 지출규모와 같은 재정지출구조의 매개효과가 정치 · 행정적 요인과 지방재정 지출효과(복지서비스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출결정요인과 지출구조와 지출효과(복지서비스 수준)간의 관계에 있어 지방재정 지출결정요인보다는 지출구조(지방재정 지출규모, 복지재정 지출규모)의 영향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서비스 수준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출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정치행정적 요인 보다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능력과 지방재정 · 복지재정 지출 규모와 같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출 구조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수준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수요 증가에 따른 복지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실정에 맞는 복지행정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재정능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how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determine local government fiscal expenditure structure with regard to the expansion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 fiscal expenditure structure on the expenditure effects(the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in these relationship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xpenditure structure(local public finance expenditure size, welfare finance expenditure size). To do thi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expenditure structure and the welfare policy effect in 156 cities and counties(72 cities, 84 counties) from 2008 to 2012 was examined using the PLS(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policy implications to establish local governments’ expenditure structure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influence was found to be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public finance determinants and the local public finance expenditure size.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nditure determinants and the welfare finance expenditure size, it was found that the incremental factor(the previous year’s welfare finance expenditure rate) among the expenditure determinants had high effects on the welfare finance expenditure size. Second, in the effects of the expenditure determinants and the expenditure structure on the expenditure effect(the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factors had greater effects on the local public finance expenditure effect(the level of welfare service) than local governments’ socioeconomic factors. Third, 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xpenditure structure between the expenditure determinants and the expenditure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 structure such as local public finance welfare finance expenditure size had the greatest effects on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factors and the local public expenditure effect(the level of welfare service).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expenditure structure(local public finance expenditure size, welfare finance expenditure size) ha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than local public finance expenditure determinan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nditure determinants and the expenditure structure and the expenditure effect(the level of welfare service). These results show that local governments’ welfare service level is determined by local governments’ fiscal expenditure structure such as local governments’ financial capabilities and local public finance welfare finance expenditure size rather than socioeconomic, political administrative factors. Accordingly, to enhance the level of welfare service arising from increase in local governments’ demand for welfare, financial capabilities need to be reinforced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provide welfare administration suitable to regional circumstances and welfare service that takes into account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멕시코지역 우리나라 기업 자회사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과 전략적 역할 유형에 관한 연구

        임동우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2 국제경영리뷰 Vol.16 No.3

        본고는 기업의 해외진출 다변화정책과 관련되어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나라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을 분석․차이점을 규명하고, 아울러 자회사의 전략적 역할을 유형화함으로써 경영성과의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36개의 해외직접투자 결정변수는 현지국 시장요인, 비용관련요인, 수직적 통합요인, 투자여건요인, 외부요청요인, 본국관련요인 등으로 분류되었고, 동일한 제조업종이라도 전자(부품)업종은 다른 업종에 비해 현지국 시장요인에서 높은 영향력이 나타났다. 또한 섬유업종은 비용관련요인, 플라스틱업종은 외부요청요인이 해외직접투자 결정에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입연수별 차이에서는 3년 이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투자여건요인이 해외직접투자 결정에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해외자회사 전략적 역할유형은 활동적, 수용적, 자율적, 무활동적 자회사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간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의 차이점은 현지국 시장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용관련요인은 수용적 자회사, 수직적 통합요인은 자율적 자회사, 투자여건요인은 무활동적 자회사, 외부요청요인은 수용적 자회사, 본국관련요인은 활동적 자회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외자회사의 전략적 역할유형별 경영성과의 차이에서는 인지된 경쟁력 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은 활동적 자회사로 나타났으며, 투자수익률에서는 자율적 자회사, 영업이익률에서는 수용적 자회사가 가장 높은 실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은 해외자회사 전략적 역할유형을 결정짓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략적 역할유형에 따라 경영성과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발견한 것은 실무적으로 세계경영을 추구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경쟁우위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수립의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basic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to classify the strategic role of foreign subsidiaries of the 106 Korean firms in Mexico whether the basic factors show differences among 4 different types of manufacturing and entry’ years and performances show differences among 4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role of foreign subsidiaries. The results are that 36 variables can be divided 6 factors, market condition of host country(MCH), cost condition(CC), vertical integration condition(VIC), investing condition(IC), outside requesting condition(ORC), pushing condition of home country(PCH) as the FDI factors for Korean firms in Mexico. MCH is much higher influence than others on the electronic components business, CC is much high influence on the textile business, and ORC is much higher influence on the plastic products business. Meanwhile, the less than 3 years’ group is influenced much higher than the other’s group by the IC. The 4 types of the Korean subsidiaries’ strategic role in Mexico are also classified as active(AT), autonomous(AU), receptive(RC), quiescent(QU) as the previous research by using the I-R framework. While the MCH does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by the strategic roles of foreign subsidiaries, AT is much higher influenced by the PCH, and AU is influenced by the VIC. RC is influenced by the CC and the ORC, and QU is influenced by the IC.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y the 4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role in Korean firms. AT is significant higher on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AU is significant higher on the degree of the return of investment(ROI) and RC is significant higher on the degree of the operating profit margins(O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