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및 술중 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의 임상적 유의성

        최장석 ( Jang Suk Choi ),김기용 ( Ki Young Kim ),정경칠 ( Kyong Chil Chung ),곽희철 ( Heui Chul Gwak ),하동준 ( Dong Jun Ha ),김경환 ( Kyoung Whan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Wolter plate를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완전 탈구의 술후추시 관찰을 통하여 술식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한 환자군과 봉합하지 않은 환자군 사이의 임상결과를 비교해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의 필요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두 의료기관에서 Rockwood 분류 III형 이상의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Wolter plate를 이용하여 수술한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술후 6개월째 Constant-Murley의 평가 지표로 관절 기능을 점수화하고 금속판 제거 후 부하 방사선 사진에서 견봉 쇄골 관절의 정복 상태 및 오구 쇄골 간격을 관찰하였으며 환자를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한 10명과 봉합하지 않은 13명으로 재구분하여 상기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합병증이 나타난 환자에 대해서는 합병증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결과: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Wolter plate를 이용한 내고정 시행후 6개월째 합병증이 발생한 3예를 제외한 20예의 경우에서 Constant-Murley 평가상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오구 쇄골인대의 봉합군과 비봉합군의 점수는 환자군별로 우수 7예/6예, 양호 2예/5예, 보통 및 불량 1예/2예였으며 술후 6개월째 추시 방사선 사진상 원위 쇄골의 전위는 봉합군에서 술전 평균 194%에서 술후 9%로, 비봉합군에서는 술전 188%에서 28%로 감소하였다. 오구 쇄골 인대 봉합군과 비봉합군의 Constant-Murley score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며 (p=0.072) 추시 부하방사선 사진상 쇄골 원위부의 전위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0.067). 결론: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고정술 후 단기 추시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를 경험하였으며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한 군과 봉합하지 않은 군 사이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차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of the Wolter plate fixa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and the necessity of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with the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three patients operated between January 2003 to September 2005 with over 6 months of follow-up period were studied. The Constant-Murley scoring system was administered on 6 months postoperatively and stress films were taken for the surveillance of acromioclavicular joint and coracoclavicular distance after plate removal. All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n that coracoclavicular ligament was repaired (10 cases) or not (13 cases) and the clinical indices described above were compared. Results: With the Wolter plate fixa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20 cases of Constant-Murley scores were more than `good` except complicated 3 cases. The scores of the repaired group were 7 cases of excellent, 2 cases of good and 1 case of moderate to poor, and that of not-repaired group were 6 cases, 5 cases and 2 cases respectively. With mean coracoclavicular interspace on x-ray at postoperative 6 months, repaired group showed residual 9% of displacement from initial 194% but not-repaired group showed 28% from initial 188%. The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scores between two group (p=0.072) and neither was residual coracoclavicular interspace displacement (p=0.067). Conclusion: Short term follow-up of Wolter plate fixa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showed acceptable clinical resul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repaired coracoclavicular ligaments and not repaired.

      • KCI등재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변형된 Phemister 수술

        박진영 ( Jin Yung Park ),김건남 ( Gun Nam Kim ),민병삼 ( Byung Sam Min ),유문집 ( Moon Jib Yoo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견봉쇄골 관절 완전 탈구 환자 중 변형된 Phemister 수술 후 장기간 핀을 삽입한 환자에 대해 술 후 기능 평가와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 술 후 견관절 운동범위의 회복과 합병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쇄골 관절 완전 탈구 환자 중 변형된 Phemister 술식으로 치료한 53례중 추시 기간이 1년 이상이 가능하였던 3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6주간 Kenny-Howard 보조기를 착용케 했으며, 삽입한 핀은 평균 11.5주(S.D.:1.2주)에 제거하였다. 능동적 관절 운동은 6주 째 시작했으며, 핀 제거후 적극적인 관절운동을 하도록 하였다. 견관절의 운동 범위의 평가는 관절의 전방 거상, 외회전, 90°외전에서 외회전, 내회전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검사는 오구쇄골간 간격의 변화와 견봉쇄골 관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의 평균은 전방 거상 150 (S.D.:7.2°), 외회전 71 (S.D.:12.6°), 90도 외전한 상태에서의 외회전 77 (S.D.:8.9°), 내회전 T8 이었다.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오구쇄골간 간격은 양측 견갑부 전후방 stress 방사선 사진에서 술전 6.3mm(S.D.:3.1mm), 수술 직후 0.6mm(S.D.:1.4mm) 그리고 최종 추시에서 1.0mm(S.D.:1.8mm)였다. 2례에서 4mm이상의 관절간격의 증가, 2례에서 관절염이, 3례에서 오구쇄골인대에 이소성 골화가 발견되었고, 2례에서 K-강선의 파열이 있었다. 장기간 핀 고정으로 핀 삽입부위 감염이 7례가 있었고, 이 중 3례에서 쇄골 원위단의 골용해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추시 방사선 검사에서 치유되었으며, 임상적으로도 문제가 없었다. 결론: 파열된 오구쇄골인대의 치유를 돕기 위해 술 후 비교적 장기간의 핀의 삽입으로 견봉쇄골관절의 재탈구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술 후 6주간의 보조기 착용과 10주 이상의 견봉쇄골관절간 내고정으로 견관절의 운동범위의 제한이 발생하지 않았고 오구쇄골간 간격의 이완도 심하지 않아 치료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fter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for complete disloca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even cases of Fifty-three cases complete disloca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which were treated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follow up for at least one year, were evaluated. After operation, applied Kenny-Howard brace for six weeks and removed the inserted pins at ten to twelve weeks postoperatively. The ROM exercise was started at postoperative six weeks and meticulous ROM exercise was begun at pin removal.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range of movement, comparision of the coracoclavicular distance after surgery with that of follow up,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range of motion were forward elevation 150 degree, external rotation 71 degree, external rotation at 90 degree abduction 77 degree, and internal rotation T8. The comparision of coracoclavicular distance after surgery(0,6mm) with that of follow up(1.0mm) showed no significant ligament laxity. The complication were subluxation in 2 cases, heterotrophic calcification in 3cases, broken K-wire in 2cases, pin site infection in 7cases and distal clavicle osteolysis in 3cases, which were healed at follow up radiographically. Conclusion: To prevent of redisloca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we tried to insert the pin during relatively long period for sufficient healing of ruptured coracoclavicular ligament. Although immobilization period was relatively long period, clinical results were good.

      • KCI등재

        전위가 심한 부유견의 내고정술 후 임상적, 기능적 결과

        고상훈 ( Sang Hun Ko ),최창혁 ( Chang Hyuk Choe ),조성도 ( Sung Do Cho ),서재성 ( Jae Sung Seo ),김종오 ( Jong Oh Kim ),유재두 ( Jae Du Yu ),신상진 ( Sang Jin Shin ),전인호 ( In Ho Jeon ),정광환 ( Kwang Hwan Jung ),우종근 ( Jong K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동측의 쇄골 골절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가 동반된 전위된 견갑골 경부 골절은 고에너지 손상이며 불안정하다. 이런 부유견에 대한 쇄골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금속내고정술 및 견갑골 경부의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1예에 대해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다기관 연구로 1997년 8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쇄골 골절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가 동반된 견갑골 경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견갑골 경부 골절은 수평 전위 (translational displacement) 25 mm 이상, 각형성 전위 45도 이상의 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견갑골 경부 골절은 3.5 mm 재건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쇄골 골절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대한 내고정술을 각각 시행하였다. 9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미국 견주관절학회의 기능 평가법 (ASES) 기능 평가 점수상 평균 89.2 (75∼95)점을 있었다. Rowe기능 평가 점수상 평균 89.1 (75∼100)점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외회전 근력약화가 있었다. 결론: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전위가 심한 부유견은 견갑골 경부와 쇄골 또는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대하여 각각 내고정을 시행 후 좋은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follow-up result of 11 cases that were operated with internal fixation of scapular neck and internal fixation of clavicle or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for severely displaced floating shoulder which was high energy injury and unstabl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the scapular neck fracture with clavicle fracture or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y multidisciplinary research from August 1997 to July 2004. The scapular neck fractures were operated in the case of translational displacement of more than 25 mm and angular displacement of more than 45 degrees with 3.5 mm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clavicle fracture or acromioclavicular joint perpormed simultaneously. And we evaluated 11 cases that can be followed up for more than 9 months. Results: We achieved bony union in all cases. In ASES functional score, we got average 89.2 (75∼95) points. In Rowe functional score, we got average 89.1 (75∼100) points. In complication, there was external rotation weakness in 1 case. Conclusion: In severely displaced floating shoulder due to high energy injury, we got good clinical and functional result after internal fixation for scapular neck and clavicle or acromioclavicular joint.

      • KCI등재

        오구 쇄골간 슬링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김덕원(Deok-Weon Kim),김성태(Sung-Tae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본 연구는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 소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네 가닥 Ethibond sling으로 보강된 변형된 Phemister 술식으로 30예의 견봉 쇄골 관절 탈구를 치료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8.2(24~33)개월 이었다. 술 후 기능 평가는 Weitzman 분류로 하였고 오구 쇄골 간격의 정복 정도를 방사선 영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Weitzman 분류를 이용한 기능 평가에서는 우수 24예, 양호 4예, 보통 2예였고 오구 쇄골간격은 수상 시 16.9 mm간격에서 수술 직후 7.3 mm로 정복되었고 최종 추시 시 건측과 비교하여 오구 쇄골 인대의 간격 비율은 평균 1.24 (0.68~1.71) 이었다. 합병증으로 5예에서 K-강선 후퇴와 4예에서 관절 운동 제한이 있었다. 결론: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에서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modified Phemister method reinforcing the 4 strands of an Ethibond sling for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1999 and May 2007, 30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cases underwent a modified Phemister method reinforcing the 4 strands of an Ethibond sling.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8.2 months (range: 24~33 months).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Weitzman classification; the state of coracoclavicular space reduction was done using radiologic findings. Results: According to the Weitzman classification, there were 24 excellent, 4 good and 2 fair case outcomes. The average coracoclavicular distance improved from 16.9 mm to 7.3 mm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average ratio of coracoclavicular distance comparing to the contralateral side at the final follow-up was 1.24 (range: 0.68~1.71). Complications included retraction of K-wires in 5 cases and restriction of joint motion in 4 cases. Conclusion: The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using augmentation of the coracoclavicular ligament by 4 strands of Ethibond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in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KCI등재

        Tight-Rope<SUP>®</SUP>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권석현(Seok Hyun Kweon),최상수(Sang Su Choi),이성인(Seong In Lee),김정우(Jeong Woo Kim),김광미(Kwang Mee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SUP>®</SUP> (Arthrex)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에 대해 Tight-Rope<SUP>®</SUP>를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 중에서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정복 상태의 평가는 쇄골의 방사선학적 추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UCLA 점수, Constant 점수 및 VAS 통증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22예(73%)에서 우수, 5예(17%)에서 양호, 2예(7%)에서 보통, 1예(3%)에서 불량이었으며, Constant 점수는 평균 92.5±7.5점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26예(86%)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보였으며, 2예(7%)에서 중등도의 정복 소실, 2예(7%)에서 완전 재탈구를 보였으며, 이중 완전 재탈구를 보였던 2예에서 임상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으며 재수술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SUP>®</SUP>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은 신뢰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제공하는 좋은 치료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treatment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SUP>®</SUP> (Arthrex).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9 to March 2011, 30 patients with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nderwent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SUP>®</SUP>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12 months after surgery. The radiologic results were qualified according to serial plain radiographs, an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University of California - Los Angeles (UCLA) Shoulder Scale, Constant score, and VAS pain score. Results: Using the UCLA scoring system, excellent results were observed in 22 cases (73%), good results in five cases (17%), fair results in two cases (7%), and a poor result in one case (3%). The average Constant score was 92.5±7.5. According to radiologic results, anatomical reduction was achieved in 26 cases, and two cases showed a moderate loss of reduction, and two cases showed complete re-dislocation.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ith re-dislocation were unsatisfactory and reoperation was required. Conclusion: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SUP>®</SUP> is a good option providing reliable functional results in patients with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KCI등재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TightRope(R)를 이용한 관절경적 치료 -예비 보고-

        최의성 ( Eui Sung Choi ),박경진 ( Kyoung Jin Park ),김용민 ( Yong Min Kim ),김동수 ( Dong Soo Kim ),손현철 ( Hyun Chul Shon ),조병기 ( Byung Ki Cho ),박지강 ( Ji Kang Park ),이현철 ( Hyun Chul Lee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3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된 12예의 환자에서 TightRope(R) (Arthrex, Inc, Naples)를 이용한 관절경적 고정술을 시행했으며 이에 대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내원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 중 Rockwood 분류 V인 12예를 대상으로 TightRope(R)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0.4 (25∼63)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0 (8∼16)개월이었다. 수술 전후 방사선학적 평가는 견봉 쇄골 관절의 전후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 및 KSS (Korean Shoulder Score)에 따라 통증, 기능, 관절운동범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12명의 환자 모두에서 수술 3개월 후 직장으로의 복귀가 가능했으며 최종 추시 시 Contant score는 평균 98.4점이었으며 KSS는 평균 97.8점이었다. 수술 후 및 추시상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10예에서 해부학적 정복이 확인되었으며 2예에서 초기 수술 시의기술적 오류 및 적응증 오류로 인한 재탈구가 발생하여 증례에서 제외하였다. 10명의 환자가 기능적과 미용적인 면에서 만족을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있어서 TightRope(R)를 이용한 관절경적 치료는 수술 초기의 기술적 오류만 극복한다면 고정물의 파쇄에 의한 합병증의 발생이 낮으며 재원기간이 짧고 조기 재활 및 우수한 미용적 결과로 인해 충분히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arthroscopic treatment using TightRope(R) (Arthrex, Inc, Naples, FL) for manage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Rockwood type V are underwent the arthroscopic acromioclavicular joint reconstruction using TightRope(R) between March, 2008 and March, 2009. The average age was 40.4 years (range 25∼63 years) and mean follow-up was 10 months (range 8∼16 months). The shoulders were evaluated using parameters include radiologic measurements by comparing the clavicle posteroan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with the con- tralateral one. Clinical evaluation was made for pain, function, and range of joint motion by Constant score and KSS (Korean Shoulder Score). Results: All twelve patients returned to their work without pain in 3 months after operation. The average Constant score and KSS score was 98.4 (range 97∼100) and 97.8 (range 97∼100) at the last follow-up. Because of technical error and indication error, two patients showed failures of TightRope(R) fixation on the coracoid side and the acromioclavicular joint was redislocated, so these cases were excluded. 10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functional results and cosmetic appearance. Conclusion: Considering its less morbidity, less hospitalization, excellent cosmesis, early rehabilitation, this new technique offers an attractive alternative in acromioclavicular joint stabilization if the early technical error would be overcome.

      • $TightRope^{(R)}$를 이용한 관절경적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김인보,손명환,김문찬,김동준,Kim, In-Bo,Shon, Myung-Hwan,Kim, Moon-Chan,Kim, Dong-Jun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1

        목 적: $TightRope^{(R)}$ (Arthrex, Inc, Naples, FL)를 이용한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관절경적 오구쇄골 관절 고정술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Rockwood 3형 또는 5형의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 환자 20명에 대해 $TightRope^{(R)}$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오구쇄골 관절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3.4(10~22)개월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쇄골 관절 부하 사진을 통해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 거리를 건측과 비교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KSS(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를 이용하였으며, 환자들의 미용적 만족도도 평가하였다. 결 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18예는 매우 우수, 1예는 우수, 1예는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KSS는 평균 98.5(92~100)점이었으며, 전 예에서 만족할 만한 미용적 결과를 보였다. 1예에서 매듭에 의한 피부 압통 및 촉진되는 불편감을 호소하여 시행한 매듭 봉합술 후 국소 감염이 발생하여 국소 마취 하 배농술 및 2주간 항생제 사용으로 치유하였다. 결 론: Rockwood 3형 또는 5형의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의 치료에 있어 $TightRope^{(R)}$를 이용한 관절경적 오구쇄골 관절 고정술은 만족스러운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보이며, 술후 합병증이 거의 없고, 조기 재활이 가능하며, 뛰어난 미용적 결과를 보이고, 금속 고정물 제거를 위한 이차적 수술이 필요없는 훌륭한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the arthroscopic coracoclavicular fixation of the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using $TightRope^{(R)}$ (Arthrex, Inc, Naples, FL).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the arthroscopic coracoclavicular fixation using $TightRope^{(R)}$ in twenty patients with the Rockwood type III or V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etween February, 2009, and February, 2010. Mean follow-up was 13.4(range 8~22) months. Radiologic resul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distances between the clavicle and the coracoid process with those in the contralateral sides using the acromioclavicular stress radiographs. Clinical results were made according to the KSS(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and the cosmetic satisfaction of the patient was assessed. Results: Radiologically, 18 cases showed excellent, 1 case showed good and 1 case showed fair results. Clinically, KSS was mean 98.5 (range 92~100) points and all cases revealed satisfactory cosmetic results. Because one case complained of skin tenderness and discomfort of palpation, we closed the knot with surrounding muscle & fascia. Then local wound infection occurred, so we treated it by incision and drainage under local anesthesia and antibiotic therapy for 2 weeks. Conclusion: Arthroscopic coracoclavicular fixation using $TightRope^{(R)}$ for treating the Rockwood type III or V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showed satisfactory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It seems to be a good treatment method that has little postoperative complication, provides an early rehabilitation and an excellent cosmetic result, and does not require secondary operation for removal of metal implant.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시 오구 쇄골 인대 봉합의 필요성

        김유진(Eugene Kim),신헌규(Hun-Kyu Shin),정화재(Haw-Jae Jeong),최재열(Jae-Yeol Choi),박세진(Se-Jin Park),최규보(Kyubo Choi),임종준(Jong-Jun L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형 Phemister 술식과 갈고리 금속판 (AO hook 금속판, Wolter 금속판)을 사용하여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이 21명,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이 32명 이였다.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양측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수직거리를 비교하여 방사선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Constant score는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에서는 87.59±7.8,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89.35±5.3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수술 전 손상 부위의 쇄골 오구돌기의 평균 거리는 15.9 mm 이였으며, 건측 견관절은 평균 8.0 mm 이였다. 갈고리 금속판 환자군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1.0 mm, 변형 Phemister 환자군에서는 평균 1.2 mm 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오구쇄골 인대를 복원 하지 않은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evalua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after removal of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for 53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etween 1998 and 2007. A total of 21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modified-Phemister method and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Hook plate method. All subjects were surveyed after removal of their implants. The Constant scoring system was administered postoperatively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by both coracoclavicular intervals on plain films. Results: Constant scores were 87.59±7.8 in the Phemister group and 89.35±5.3 in the Hook plate group. For both groups, the mean coracoclavicular interval at preoperative radiography was 15.9 mm at the injured site and 8.0 mm at the opposite site. After metal removal,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oracoclavicular distances between normal and injured sites were 1.0 mm for the Hook plate group and 1.2 mm for the modified Phemister method group (p>0.05).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shows good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 KCI등재

        견봉쇄골관절 탈구에서 Suture Anchor를 이용한 치료

        이동주(Tong Joo Lee),박승림(Seung Rim Park),김명구(Myung Ku Kim),문경호(Kyoung Ho Moon),최성욱(Sung Wook Choi),김경훈(Kyung Hoon Kim),배주한(Joo Han B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의 치료로 suture anchor를 이용한 술기를 기술하고, 이 술기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4년 5월까지 suture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된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의 평가는 Imatani의 임상적 평가법과 술 전, 후 방사선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임상적 평가 결과는 우수가 7예(39%), 양호가 10예(56%)였고, 방사선 평가 결과는 전-후방 방사선사진에서 수술 전, 수술 후 그리고 수술 6개월 후 오구쇄골간 간격 비율로 판단하여 수술 전 평균 2.41에서 수술 후 0.95로, 수술 6개월 경과 후는 1.21로 호전되었다. 초기 합병증으로 강선 삽입부의 표재성 감염이 1예, 고정강선 이동이 1예 발생하였다. 결론: Suture anchor를 이용한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는 최소의 절개를 통하여 수술이 가능하고, 견봉쇄골 관절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비교적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어 술 후 2일부터 90도 이하의 제한적 견관절 운동이 가능한 수술 방법이며, 추후 내고정물의 제거를 위한 수술이 필요 없는 유용한 수술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We introduce a surgical technique using suture anchors in the treatment of acromioclavicla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using a suture anchor) for an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were followed up minimum of six months. The clinical results on lmatami clinical scoring and serial radiology findings were analyzed. Results: Most of the case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The clinical evaluation showed that seven cases (39%) were excellent and ten cases (56%) were good. Serial radiographic finding (preoperative, postoperative, postoperative 6 months) was evaluated. The mea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postoperative 6 months coracoclavicular interval ratios were 2.41, 0.9 and 1.21, respectively. The early complications encountered were one case of a superficial infection at the insertion site of the smooth pin and one case of smooth pin migration. Conclusion: The use of suture anchors in the treatment of an acromioclaviclar dislocation is a superior method cosmetically due to the need for only a small operative incision, minimal destruction of acromioclaricular joint, secure fixation to early physical exercise and require additional surgery to remove the internal fixative.

      • KCI등재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 치료의 장기 추시 결과

        강기서 ( Ki Ser Kang ),이한준 ( Han Jun Lee ),이재성 ( Jae Sung Lee ),김재윤 ( Jae Yoon Kim ),박용범 ( Yong Beom Park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견봉 쇄골 관절 탈구를 Wolter 금속판을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들의 장기 추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Wolter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32예 중 5년 이상 추시 관찰(평균 6년 7개월)이 가능했던 20명의 환자 (평균 3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결과의 판정은 20예를 대상으로 UCLA 평가법을 이용하여 견관절에 대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 최종 추시가 가능했던 15예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부하 촬영과 견봉 쇄골 관절의 진성 전후면 촬영 (Zanca view)을 시행하여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UCLA 평가법을 이용한 기능적 평가는 평균 33점 (27~35점)이었으며 우수가 12예 (60%), 양호가 6예 (30%)이었으며 불량한 경우가 2예 (10%)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에서는 견봉 쇄골 관절의 전위나 아탈구가 관찰되지 않는 우수가 8예 (54%), 5 mm 미만의 경미한 전위가 관찰되는 양호가 5예 (33%), 5 mm 이상의 전위를 보인 불량한 결과가 2예 (13%)였으며, 불량한 2예에서 견봉 쇄골관절의 미란성 변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는 유용한 방법이며 수술 시 견봉의 갈고리 구멍의 위치가 예후에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operative treatment of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 a Wolter plat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and radiological data of twenty patients (mean age: 37 years) who underwent the operative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a Wolter plate from September, 1999 to December, 2002 with minimum of five years follow-up (average 6 years 7 months). The clinical outcomes of twenty patients were evaluated by UCLA scoring and radiological results of fifteen patients with available radiograph were evaluated by Zanca view and stress view. Results: The mean UCLA score was mean 33 points (range, 27~35) at final follow up. By clinical evaluation, twelve cases (60%) were excellent, six cases (30%) were good and two cases were poor (10%). By radiological evaluation, eight cases (54%) were excellent (without displacement), five cases (33%) were good (displacement<5 mm) and two cases (13%) were poor (displacement>5 mm). Erosive change in acromioclavicular joint was seen in poor case. Conclusion: Wolter plate fixation may be a useful modality for treating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Great care should be taken to make the hook hole at the appropriate position during operation for long-term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