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 미치는 효과

        윤지영 ( Yun¸ Ji-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3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구성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Y 지역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으로 남학생 2명과 여학생 4명의 총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는 120분씩 주 1회로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청소년에게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orea Youth Self Report: K-YSR)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28.0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분석인 Wilcoxon singed rank 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회기 과정에 대한 청소년의 변화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해 본 결과, 불안/우울과 위축/우울, 그리고 신체화 증상에서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감소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질적 분석한 결과, 집단원 안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대상 청소년들이 자기 알아차림을 통한 자기 문제를 재인식하게 되었고, 보편성을 통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게 되었으며, 미술치료로 인한 자기정화와 통찰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집단원 내에서 치료적 요인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In this study, a researcher-organized Gestal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the Y area of Gyeonggi-do, 2 boys and 4 girls. Gestalt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tudy subjects were given Pre- and Post-Test compares and analyzies on the Korea Youth Self Report (K-YSR). For data analysis, the Wilcoxon Singed Rank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28.0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 and post-tests in the group.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of change in adolescents in the program session proc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there was a change in anxiety/depression, withdrawal/depression, and somatization symptoms in which the post-score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score.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showed changes within the group members. The adolescents studied were recognizing their problems through self-awareness, engaging in positive interactions through universality, and leading to self-purification and insight through art therap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estalt group art therapy has a therapeutic effect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that therapeutic factors within the group are effective in reducing internalization problems in adolescents.

      • KCI등재

        공공미술의 게슈탈트 미술치료 치유과정에 관한 연구 - `CPTED`를 중심으로 -

        송만용 ( Song Man-y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소고는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미흡했던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프로세스와 `염리동 소금길 프로젝트`와 부산 `덕포동 CPTED 프로젝트`를 통해 트라우마 치유방법보다 게슈탈트 미술치료적 방법이 공공미술이 사회적 기능으로써 치유의 기능을 더 잘 밝힐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미술작품을 매개로 “알아차림”과 “접촉”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지금-여기`라는 현재에서 출발하여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여 미해결의 과제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의미 있는 삶의 전체를 회복하길 유도하는 `반복회귀`의 방법론임을 알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미술치료사와 작가의 공동작업인 예비적 단계가 강조된 `치유적 감상의 단계`를 제안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CPTED 프로젝트 등 공공미술의 치유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트라우마 치료의 방법이 아닌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합당한 방법임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a study about social function of public art as therapy". In previous study, it contemplated on the limitation of public art, in other words, it proposed public art reflecting therapeutic process called "awareness-contact" which is Gestalt therapy method from the public art which satisfies not only the artists, local resident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However, the study regarding what represents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or the process is insufficient. Therefore, found it can be connected to placeness emphasis of public art, and revised the process by Jeong Gyu Kim`s 1) theme discovery 2) exploring background 3) application to conversational relationship 4) here-now suitable to this study. Thu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condition to create meaningful public art suitable for local residents, environment and placeness, and furth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Gestalt therapy to communication of public art.

      • KCI등재
      • KCI등재

        팬데믹(COVID-19) 상황에서 비대면 미술치료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기인식과 관계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송주은(Song Ju Eun),서은희(Seo E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팬데믹 상황(COVID-19)에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가정 초등 저학년 아동들의 자기이해와 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Zinker의 ‘알아차림-접촉 주기’ 단계를 근거로 내면의 억압된 감정과 욕구를 알아차리고 접촉하여 미해결 과제를 완성해가는 방법으로써 총 4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G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 대상 가정의 아동 2명으로 감정표현 및 조절과 학교 생활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태였다. 총 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아동, 양육자 상담 및 관찰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총 4개의 상위 범주, 8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한 후,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동적 학교화(KSD) 사전, 사후검사에서는 5개 영역에서 심층 분석하고 해석하여 사회관계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치료 초기 자신의 감정표현에 서툴렀던 아동들은 자유로운 미술표현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자신의 감정과 접촉하며 알아차림을 경험하였다. 이후 자신의 소망을 표현하고 올바른 자기인식과 관계를 경험하며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으로 적응하는 긍정적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동적학교화(KSD) 사전검사에서 또래 관계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아동들은 미술치료과정을 거치면서 자신감을 회복하며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의 계기를 갖게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미술치료 환경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미술치료에 대한 치료적 접근과 방향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affects the self-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in a pandemic situation(COVID-19). Methods Gestalt art therapy consists of a total of four stages, based on Zinker s “Awareness-Contact Cycle” stage, as a way to recognize and contact inner suppressed emotions and desires to complete unsolved task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children from families subject to case management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r Healthy Families in G-gun, Gyeonggi-do, complaining of difficulties in expressing and controlling emotions and adapting to school life. Art therap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and four upper categories and eight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meanings were identified after repeatedly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counseling and observ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In the pre- and post-test of KSD(Kinetic School Drawing), in-dept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onducted in five areas to derive changes of social relations. Results Children who were not good at expressing their emotions in the early stages of treatment explored their inner self through free art expression, and experienced awareness through contact with their emotions. Afterwards, they expressed their own wishes, experienced correct self-awareness and positive relationships, and showed a psychosocial adaptation. Children who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ward peer relationships in KSD(Kinetic School Drawing) pre-test had an opportunity to form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y recovering their self-confidence through art therap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art therapy environment using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and will provide important clues to the therapeutic approach and direction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in a pandemic situation.

      • KCI등재

        이중문화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대한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효과: 한국-베트남 다문화 아동을 중심으로

        송주은,서은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at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children experience through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and whether their ability to cope with bicultural stress is improved. Methods A total of thre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from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in this study is based on Zinker's ‘notice-contact cycle’ and consists of a total of 4 stages: the sensory stage, the awareness stage, the energy mobilization/action/contact stage, and the retreat/finish stage. A total of 8 sessions were operated once a week. As an analysis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repeatedly analyze and categorize the stories according to the symbolism of the art work obtained from the recorded images for each session, the observation contents of the activity process, the artwork photos and the supervision data. As a research tool, the PPAT tes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he Tre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measure the ability to cope with bicultural stress. Results Four top topics and eight bottom topics were derived for psychological changes experienced in the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process. The upper categories were “my emotions faced through art work”, “facing with a weakened self”, “encounter with a positive self”, and “my new beginning that has changed”. Participating childre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honestly expressing and accurately recognizing self-emotion through the recognition process of Gestalt art therapy, form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two cultures and changing their thoughts and attitudes about how to cope wit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round them. In the PPAT tes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ping ability using resourc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non-face-to-face Gestal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bicultural stress in multicultural children,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베트남 다문화 아동들이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이중문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총 3명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베트남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비대면게슈탈트 미술치료는 Zinker의 ‘알아차림-접촉 주기’에 기반하여 감각단계, 알아차림단계, 에너지동원/행동/접촉단계, 물러나기/ 마무리단계의 총 4단계로 구성되며, 주 1회씩 총 8회기가 운영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회기 별 녹화된영상에서 얻는 미술작업의 상징에 따른 이야기, 활동과정 관찰내용, 작품사진과 수퍼비전 자료를 반복 분석해 범주화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중문화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를실시하였다. 결과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변화에 대해 4개의 상위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상위범주들은‘미술작업으로 마주하는 나의 감정’, ‘위축된 자신과 마주함’, ‘긍정적인 자신과의 만남’, ‘달라진 나의 새로운 시작’이었다. 참여 아동들은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알아차림 과정을 통해 자기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과정을 겪으며 두 문화에 대한긍정적 지각을 형성하고 주위의 편견과 차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PPAT 검사에서는 자원을 활용한 문제해결능력 및 대처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다문화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으며, 다문화가정 아동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위한 접근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대면 미술치료의 적용 및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겻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콜센터 상담원의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Lee, Diane Youngmi,이흥표(Lee, Heung-Pyo)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4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콜센터 상담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코로나19로 달라진 업무환경에서 오는 상담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삶의 의미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원이며, 실험집단(9명)에게는 12주간 게슈탈트 집단미술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9명)에게는 일상적인 업무를 보게 하였다. 모든 참여자에게 근로자 스트레스 반응척도와 빗속의 사람(Lack 방식 채점) 스트레스 검사 그리고 삶의 의미 척도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사전 동질성 검증은 Mann-Whitney U-검정으로 하였으며, 집단내 사전-사후 결과 비교는 Wilcoxon signed-rank 검정으로, 검사척도들 사이에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에서 미술치료 후에 스트레스 반응척도와 빗속의 사람 검사의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하였으며, 삶의 의미 지수는 상승하였다. 스트레스 반응 지수는 빗속의 사람 검사의 지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삶의 의미 발견 지수와 부적 상간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콜센터 상담원들에게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증가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의미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함양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elemarketing counselors have worked under a stressful environment due to COVID-19 outbreak. We here examined the effects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meaning-in-life in telemarketing counselors who should keep working in tight quarantine. Subjects were the counselors working at a telemarketing service center in Seoul. Volunteers (9 persons) a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ubjected to Gestalt group art therapy for 12 weeks, whereas those (9) at the control group were not.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Workers’ Stress Response Inventory (WSRI), Meaning-In-Life Questionnaire (MLQ), and Person In The Rain (PITR, Lack’s scoring). The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were assessed by analyzing pre-test results with Mann-Whitney U-test, and the intra-group chan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Wilcoxon Signed-Ranks test. To assess the correlations among the tests examin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ress response index and the Lack’s stress score both were reduced significantly and also the index for meaning-in-life was enhanced after art therapy. The score of WSRI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at of PITR, but negatively with that of MLQ.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stalt group art therapy does not only release job stress but also gives rise to the positive alteration of meaning-in-life.

      • KCI등재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성자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1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와 학교생활그림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2011년 2월 22일부터 2011년 5월 3일에 걸쳐 게슈탈트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선정, 관찰자 훈련, 사전검사, 게슈탈트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위치한 I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고학년 6명을 대상으로 주2회 70분씩 총18회기를 실시 하였다. 18회기의 게슈탈트 집단 미술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자기 효능감 척도와 또래관계 척도를 실시하고, 회기별 고찰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에게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켰고, 학교생활그림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혼 여성의 우울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게슈탈트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민주,원희랑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stalt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 of a married woman. The participant for this study, a 38 year-old married woman received 16 sessions of Gestalt art therapy from August 10th 2011 to January 14th 2012,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on January 21st 2012. The pre and post-test included MMPI-2 and KFD. Each session was observed and videotaped to complement the self-report measures and to detect any change in behavior. The study found that Gestal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 of the participant. While the participant's KFD in the pre-test showed the enclosures of figures and the far distance between the figures, her KFD in the post-test showed shortened distance between the figures, interactions among the figures, and no enclosures. In the early phase of the sessions the participant expressed her resentment towards her family members and identified herself as a victim. In the later sessions, she could improve her relations with her family, endeavoring to look on the positive qualities in her family members and developing more intimacy with her family member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s. One is that the findings were only from one case study, which makes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difficult. Another limit is that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depression could be different from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other married women, which may limit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본 연구는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기혼 여성의 우울과 가족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A시의 가족상담센터에서 38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10일부터 2012년 1월 14일까지 주 1회 60분 씩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개인 게슈탈트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는 2012년 1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는 MMPI-2와 KFD를 실시하였고, 자기보고식 검사를 보완하기 위해 매 회기 녹음 및 관찰내용을 기록하여 행동에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기혼여성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가족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FD에서는 사전검사에서 인물의 포위가 있고, 인물상의 거리가 멀게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는 포위가 사라지고, 인물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상호작용이 묘사되었다. 회기별 진행내용에서 초기에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원망과 피해의식이 많았으나, 후기에는 가족구성원의 긍정적인 면을 많이 찾고, 친밀감 표현이 증가되어 가족관계가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대상자가 개인 사례에 제한되어있어,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연구 대상자의 우울요인이 모든 기혼 여성의 우울요인과는 개인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효과성을 입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 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상철,김대웅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stalt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For this study, 20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at a technical high school were chosen (10 students as experimental and 10 as control group).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the program ‘A Study of Art therapy for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Centered on Gestalt art therapy’ developed by Yun Jin-Hee(2003) after modification.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subjects after regular classes on every Wednesday, for 50 minutes each unit. The tools used for the measurements of the result of the program were the test of self-esteem and the test of sociability. The test of sociability was the subsequent part of sociability from the new test of personality and emotion developed by Lee Jong Seung(1999). For the test of the self-esteem,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test developed by Yun YongJoon (1987), Rosenberg(1979) and Coopersmith(1981) and modified after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the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the Gestalt Art therapy to the experimental group. T-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acquiring the value of mean and SD. SPSS10.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in the total self-esteem and the subsequent part of individual, family of self-esteem. Second,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in the soci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Gestal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자기 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내 학생부의 협조에 의해 무단결석과 상습적인 지각 및 조퇴, 수업 이탈 등으로 특별 관리되고 있는 20명의 부적응 학생(실업계 여자고등학교)을 선정하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8회기의 게슈탈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재구성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수요일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매회 50분에서 80분 동안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그 결과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부적응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 모두에 의미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를 확장시켜 주었다.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일반 집단미술치료보다 더 강력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일탈 청소년들의 행동변화를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임상요인에 미치는 효과

        신지은,박부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Gestalt art therapy affects industrial accident victims' self-efficacy and clinical factors such as anger, anxiety, lack of social support, somatic distress and depress. For the study, 20 victims were preliminarily selected among those who had accidents within two years and who are being treated in an industrial accident specialized hospital named A. Then, half of them were put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t into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16 subjects who completed post-test were taken to the study. Self-efficacy scale(SES) and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test(S type) designed to identify the victims' psychological traits were adopted as research tools. Results obtained by these scales were processed with SPSS 12.0.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es, content analysis was Landscape montage technique(LMT) and observers' reports. The study consisted of 10 sessions of Gestalt art therapy which took place twice a week and each of which was an hour long. The findings pertaining to the analyses were that the therapy increased the victims' self-efficacy and it decreased levels of clinical factors to the significant extent except anger and somatic di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test. The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at the number of subjects was not enough to generalize the findings and that the period of the study was too short to verify long-term effect. 본 연구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임상요인(분노, 불안, 사회적 지지결여, 신체화,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도시 A산재전문병원에 입원 및 통원치료 중인 산업재해 사고 2년 이내의 산재환자 20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에 10명, 실험집단에 10명을 배치한 후, 사후검사까지 완료할 수 있었던 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SES) 검사 및 산재환자의 심리적 특성 확인을 위해 개발된 다차원심리검사(S형)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였다.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LMT(풍경구성법) 검사, 관찰자의 보고서에 대해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10회기의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산재환자의 자기효능감 증가에 효과가 있으며, 다차원심리검사 결과 임상요인의 하위영역 중 분노와 신체화를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대상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단기 프로그램의 진행으로 인하여 장기적 효과성을 입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