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설업 실태분석을 통한 건설업생산성의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Hong Tae Park,Jun Tai Jeon,Yang Kyu Le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3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의 양상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여성화 추세이며, 더불어 출산율의 저화와 고령화 인구의 비율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어려운 인력수급으로 건설노무자는 외국인에 의해 충원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과 FTA의 체결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쇠퇴하면 건설노무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건설 기능인력의 부족현상과 기능 인력의 노무비 증가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건설업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업 생산성을 위해 최근 자료로부터 국내 건설경기 동향, 산업별 생산성 지수, 산업별 취업자 추이, 연령 계층별 기능인력 추이, 여성 기능 인력 추이, 노동시간 추이, 외국노동자 인력 추이, 건설업의 수주동향 분석, 업체규모별 수주동향, 건설경영분석 지표로부터 노동생산성에 관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분석으로 건설업생산성 발전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린 건설과 연계한 생산성 저하 요인과 Waste 요인과의 상호 관련성 연구

        박주현,김대영,이학기,Park Joo-Hyun,Kim Dae-Young,Lee Hak-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4 No.4

        생산성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건설 생산성은 비용 및 일정과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와도 관련이 크다. 프로젝트에서 생산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생산성 관련 연구는 생산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원칙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없이 정량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련 데이터 수도 적은 실정이다.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 관리의 정량적친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요인까지 관리해야 하며, 저하요인에 따른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프로세스 및 기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 관리에 린 건설을 도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성 저하요인과 린 건설에서의 Waste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서의 Waste 주요 의미를 살펴보고 두 요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여, 린 건설의 프로세스 및 기법을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건설업 실태분석을 통한 건설업생산성의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박홍태,전준태,이양규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3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의 양상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여성화 추세이며, 더불어 출산율의 저화와 고령화 인구의 비율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어려운 인력수급으로 건설노무자는 외국인에 의해 충원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과 FTA의 체결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쇠퇴하면 건설노무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건설 기능인력의 부족현상과 기능 인력의 노무비 증가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건설업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업 생산성을 위해 최근 자료로부터 국내 건설경기 동향, 산업별 생산성 지수, 산업별 취업자 추이, 연령 계층별 기능인력 추이, 여성 기능 인력 추이, 노동시간 추이, 외국노동자 인력 추이, 건설업의 수주동향 분석, 업체규모별 수주동향, 건설경영분석 지표로부터 노동생산성에 관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분석으로 건설업생산성 발전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건설 산업 생산성의 국제경쟁력 분석

        원종성,이강,Won, Jong-Sung,Lee, Gh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4

        2003년 이전 국내 건설 국제경쟁력 비교연구에서 우리나라 건설 생산성이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우리나라 해외 건설수주 물량도 매년 크게 늘고 있으며, Petronas Tower, Burj Dubai와 같은 세계 최고층 건물을 수주, 건설하는 등 양적 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 건설생산성의 현주소를 재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해외선진국과의 건설생산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국내 통계자료와 외국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자 1인 기준 단위시간동안 생산하는 총 공사액을 분석하여 각 국의 건설노동생산성을 측정하고 한국과 일본의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층당 소요되는 공사일수와 건축물의 지하층비율을 분석하여 시공경쟁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건설생산성이 아직 건설 선진국인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뒤쳐져 있으나 영국보다는 앞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e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onducted before 2003, Korean construction productivity had been estimated to be lower (or poor) than that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UK, and Japan. However, the amount of international contracts Korean has won increased substantially, and Korean construction has progressed with creating two skyscrapers such as Petronas Tower and Burj Dubai. At this point we need to reevaluate what we are capable of. In this paper, we evaluat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our construction industry comparing to advanced countries by analyzing labor productivity. For evaluating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we measured labor productivity using the value of construction work in US dollar per hour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statistical data and analyzing completion days per a story and the ratio of underground floors to ground floors of buildings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although our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not yet competitive with the US and Japan yet, we excel the UK.

      • KCI등재

        한국 건설 산업 생산성의 국제경쟁력 분석

        원종성,이강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9 No.4

        2003년 이전 국내 건설 국제경쟁력 비교연구에서 우리나라 건설 생산성이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우리나라 해외 건설수주 물량도 매년 크게 늘고 있으며, Petronas Tower, Burj Dubai와 같은 세계 최고층 건물을 수주, 건설하는 등 양적·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 건설생산성의 현주소를 재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해외선진국과의 건설생산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국내 통계자료와 외국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자 1인 기준 단위시간동안 생산하는 총공사액을 분석하여 각 국의 건설노동생산성을 측정하고 한국과 일본의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층당 소요되는 공사일수와 건축물의 지하층비율을 분석하여 시공경쟁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건설생산성이 아직 건설 선진국인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뒤쳐져 있으나 영국보다는 앞서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KCI등재

        OECD 국가의 건설업 노동생산성 비교 및 분석

        박환표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3 No.2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건설업의 2019년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은 PPP 적용시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PPP 적용시 상대국을 100 기준으로 했을 때, 미국의 76.9, 일본의 88.4, OECD 평균의 85.1로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OECD 국가의 2019년도 건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25위 수준으로OECD 35개 국가에서 차지하는 순위는 낮은 수준이다. OECD 국가의 건설시장규모와 건설업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결과, 건설시장규모가 큰 국가가 건설업 노동생산성이 높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첫째, 스마트 건설기술을 건설현장에 접목하여 적극 활용하는 방안, 둘째, 건설현장 작업보다는 OSC 기술로공장작업을 통한 현장 설치작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러 공법, 기술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제안하였다. 향후에는 첨단 로봇과 공장자동화를 통한 탈현장 생산방식 및 모듈 개발을 확대하면, 건설산업도 제조업과 같은 생산방식의 개편으로 노동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수정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중·소규모 건설공사 생산성 저해 요인 분석 및 대응 방안 제시

        홍영록,임정호,장재호,김주형,이경태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projects account for the absolute majority of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productivity in small and medium-sized projects, resulting in anumber of economic losses or safety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ajor factors and causes that hinder productivity duringconstruction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productivity. This study established a classification system for factors impeding productivity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as preliminary investigation. Through a two rounds of Modified Delphimethod, the lack of worker responsibility, irresponsible drawing plan that ignore site conditions and construction ability, excessive designchanges, incorrect work plan, interference between tasks due to urgent works, lack of safety issues were chosen as major factors impedingproductiv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with experts to derive the cause of the factors and improvement measures, it was foundthat insincere manpower and incorrect design and construction plan in the initial stage impeded productivity severe. Consequently, vocationaleducation for workers, introduction of modified cost calculation methods for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and the active introductionof smart technology need to be conducted to improve productivity i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projects. This provides atheoret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productivity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projects and suggests solutions to the futurecrisis facing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중소 규모 건설공사는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건설공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규모 건설공사를 관리하면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생산성 향상방안을 구축하는 것뿐 아니라, 현장 관리자들의 생산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경제적 손실이나 안전문제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공사 진행 중 생산성 저해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과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마련책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표적 집단 면접법을 통한 사전조사를 통해 중소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 저해요인 분류체계 및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였고 2라운드로 구성된 수정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작업자의 책임감 부족, 설계도서 미흡, 시공성을 무시한 설계도서, 과다한 설계도서 변경, 공사 계획 맞지 않는 작업자 투입, 잘못된 작업 계획, 작업 공종 간의 간섭, 방해, 공사 기간의 부족, 안전사고 발생이 중소 규모 건설공사의 생산성 주요 저해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들의 발생 원인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불성실한 현장 노동자들, 초기 단계부터 부족한 설계 및 공사 진행방식이 대표적인 생산성 저해 원인임을 파악하였으며, 작업자에 대한 명확한 교육, 중소규모 공사 특성에 맞춘 공사비 산정방식,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통한 새로운 관리방식을 통해 중소규모 건설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기후요소와 생산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철근콘크리트 골조공사를 중심으로 -

        김신태,김예상,진상윤,Kim Shin-Tae,Kim Yea-Sang,Chin Sang-y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6

        건설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 중에서, 외부공사가 많은 건축공사는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지난 30년에 걸쳐 기후요소와 건설생산성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징을 잘 반영하는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유형의 공동주택 4개동($16\~18$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골조공사의 건설생산성과 5가지 기후요소(온도, 습도, 낮 길이, 강수, 풍속)와의 관계를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단순회귀분석 결과, 기후요소 중 온도, 낮 길이가 건설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중회귀분석으로부터는 기후요소에 의해 생산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사관리의 기획단계 혹은 공정관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weather conditions or elements become very important factors in planning and executing construction project. It is especially true in Korea where the weather changes dramatically through few seasons.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productiv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e for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nd 5 weather elements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day time, rainfall, and wind velocity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trough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eather elements explain $58.8\%$ of productivity in total and temperature and day time were more important factors among them.

      • KCI등재

        공동주택 마감공사 TACT 기법 생산성 관리 -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를 활용한 생산성 관리 -

        주선우,박문서,이현수,이광표,Joo, Seonu,Park, Moonseo,Lee, Hyun-Soo,Lee, Kwang-Py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6 No.3

        다양한 공종이 혼재하는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공기단축과 품질확보를 위해 마감공사의 체계적인 공정관리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고층 오피스 빌딩 마감공사에 적용하던 TACT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기존 기법과의 차이, 현장 상황의 차이(오피스 vs 아파트) 등으로 인해 주관사와 협력업체 간의 생산성에 관한 관점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TACT 적용을 통한 기대만큼의 효용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도출을 위한 참여주체 별 생산성 관점 차이 발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 및 실증적인 데이터와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한 분석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TACT 공정관리기법, 생산성 관리 및 생산성 지표에 대한 기존 문헌고찰과 TACT 적용 현장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해 공동주택 현장 TACT 도입 시 참여주체 간의 생산성에 대한 근본적 관점 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또한 실제 현장 사례의 생산성 제한 요인 도출 및 현재 생산성 측정값을 통해 획득 가능 생산성 값의 회귀식을 구하고, 생산성 달성율(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PAR)을 산출한다. 현 상황에서 최대로 획득 가능한 생산성(Obtainable Productivity, OP), 이를 제한하는 생산성 제한 요인(RF)으로 인해 획득하게 되는 실제 생산성(Actual Productivity, AP)의 비율 (PAR)을 통하여 주관사는 계획 대비 실적율인 기존 PPC(Percent Plan Complete) 측정을 통한 산출량 관리를 실제 현장 생산성 데이터 획득을 통한 생산성 관리 (측정, 평가, 계획, 향상)로 전환 가능하다. 협력업체는 OP 산출을 통해 TACT 적용 현장에서 획득 가능한 이론적 최대 생산성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생산성 지표인 PAR 측정값을 주관사와의 의사소통 도구 및 의사결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PAR 산출 과정 중 도출한 주요 RF 들은 현장 효용성 증대를 위한 생산성 관리 포인트로 활용 가능하다. To complete various types of finish works with higher quality in much less time, TACT, which was mostly used for high-rise buildings, has been adapted to meet the needs for systematic schedule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adapting TACT has not been shown as expected du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productivity from both general contractor and subcontractors based on unforesee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site. Furthermore, not enough theoretical backgrounds, empirical data, and systematic approaches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caused by each participants' different views on productivity has produced obstacles for establishing effective solu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ossible main reasons for having different point of views regarding productivity among various participants of residential building sites using TACT based on literature review, site survey, and interviews. Also, case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obtainable productivity (OP) regression equation and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PAR) with reduction factors (RFs) and actual productivity (AP) data from an actual construction site. The proposed outcome may assist general contractors converting output management with PPC to productivity management with actual data using PAR. On the other hand, subcontractors would be able to estimate theory-based maximum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sites with TACT by using OP. The PAR will enha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general and sub-contractors for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Finally, the main RFs derived from PAR could be used as essential keys for productivity management to increase the economical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 KCI등재

        건설생산성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적용

        오세욱,김명호,김영석,Oh, Se-Wook,Kim, Myoung-Ho,Kim, Young-S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2

        건설생산성은 단위작업에서 발생되는 자원의 활동과 이로 인한 산출물간의 관계를 지표로 표현한 것을 의미하며 수집된 건설 생산성 정보는 공사 진행의 효율성 파악, 작업여건 및 투입자원의 성능이 공정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 프로젝트별 성과 측정, 향후 공사계획을 위한 참고자료로서의 활용 등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웨어하우스, OLAP,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활용하여 PDA 및 바코드를 통해 수집된 생산성 데이터를 축적 및 분석하고, 생산성 예측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도 다차원적인 생산성 분석이 가능한 건설 생산성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며, 개발된 시스템은 건설 사업의 합리적인 성과 측정과 유사 프로젝트의 공사계획 수립에 활용할 실적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Productivity is important to evaluate an efficiency of performed work and organ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ductivity should be defined as activity level rather than macro level in order to effectively use productivity data and manage a proje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warehouse, OLAP and data mining technologies which enables to easily accumulat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and perform multi layer analysis. Fi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ystem would be able to measure the result of project and make a plan of the similar project with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