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개선 방안 연구

        최승숙(Seung Sook Choi),강창욱(Chang Wook Kang),김은하(Eun Ha Kim),김호연(Ho Yeon Kim),송승민(Seung Min Song),이재욱(Jae Wook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상황에 적합한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개념과 정의 및 그에 따른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에 따라 개별화교육계획과 관련된 이론적 틀과 실천적 접근 방법을 도출하고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문헌분석과 국외의 개별화교육계획 관련 문헌 및 사례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화 교육계획의 이론적 틀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낸 후 경기도 관내 특수학교(급)에서 수립되어 적용되고 있는 143개의 개별화교육계획 실물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틀과 대조, 대비하여 그 간극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개별화교육계획과 직·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는 총 28명의 교수, 교육전문직,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현장 특수교육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 상황에 맞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을 설정하고, 개별화교육계획의 단기 및 중장기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실태분석 과정을 통해 현재 교육현장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의 목적과 기능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개별화교육계획과 교육과정 기능의 혼동과 혼용의 결과가 개별화교육계획, 교육과정, 수업 간의 연계성을 갖지 못하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적합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일적(全一的) 개별화교육계획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운영의 분석을 통해 국내상황에 적합한 단기 및 장기적인 개별화교육계획 발전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을 활용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에 관한 특수교육 관련 구성원의 인식

        정주영,이승훈,허정원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workers in regard to the NEIS(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IEP and what considerations and improvements would enable its proper use in special schools and class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argeting 3,001 individuals from among education office staff, NEIS teachers, special-school teachers, and special-class teacher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mprised: the necessity of making an IEP using NEIS, the degree of use of the NEIS IEP,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NEIS IEP, reasons for not using the NEIS IEP, the improvement plan,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IEP and SLR(School Life Records) using NE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education office staff, NEIS teachers, special-school teachers, and special-class teache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degree of use of, and improvement plans of NEIS IEP, and reasons for not using the NEIS IEP as well as of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IEP and SLR using NEIS. NEIS and special-class teachers pointed out more often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the NEIS IEP selectively, as compared to the special-school teachers and education office staff. Special-school teachers reported a higher degree of NEIS IEP use than did special-class teachers; special-class teachers were relatively inexperienced in using the NEIS IEP. Second, awareness of the NEIS IEP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level(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Third, awareness of the NEIS IEP among special teachers in special class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result according to school level. In particular, the degree of NEIS IEP use by kindergarten teachers was low, and problems related to curriculum connectivity were prominent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NEIS IEP system was high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ncludes suggestions for how the NEIS IEP may be used as an appropriate tool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이 연구는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구성원의 인식을 파악하여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고려해야할 점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교육청 담당자, 나이스 담당 교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3,00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질문의 내용은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을 활용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의 필요성,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용 정도, 장점 및 단점,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 개선 방안, 학교생활기록부와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용 방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육청, 나이스 담당 교사, 특수학교 교사, 특수학급 교사는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을 활용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의 필요성, 활용 정도, 활용하지 않는 이유, 개선 방안, 학교생활기록부의 활용 방안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인식 양상을 나타냈다. 나이스 담당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학교 및 교육청 담당자에 비해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특수학급 교사보다 특수학교 교사의 활용 정도가 높았으며,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학교 교사보다 상대적으로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의 사용에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에서 학교급에 따른 특수교사의 인식은 응답 결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특수학급에서 학교급에 따른 특수교사의 인식은 응답 결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치원의 활용 정도가 낮게 나타났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연계성에 관한 문제점이 두드러졌으며, 유, 초, 중, 고등학교 모두에서 교육과정과 나이스 체제 간의 연계성 강화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나이스 개별화교육계획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적절한 도구로서 작용하기 위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실행과정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류규태,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1)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이전 2)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실행 과정 3) 발전적 요구 및 지원방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담임경력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핵심 집단 면담을 하고 분석하였다. 면담 결과 첫째, 개별화교육에 대한 방관자적 인식은 개별화교육계획에 의거한 교수활동이 아니었고, 행정 업무의 가중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대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개별화교육에 대한 협력적 실행자로서의 인식은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복잡했으며, 개별화교육지원팀 주체자간의 협력적 지원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발전적 요구 및 지원방안으로 교과에 맞는 보조공학 지원, AAC에 대한 연수를 희망하였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별 가이드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개별화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인식에 관한 논의와 함께 적절한 방안을 개별화교육계획 및 실행을 중심으로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was to recogniz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successful inclus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erms of 1)writing plans for IEP and implementation process 2)developmental need and support direction, and to suggest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For this, 10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of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rough group interviews. First of all, as a result, teachers’ recognition like bystanders on IEP section is not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IEP, but about their shortage of time to perform IEP due to an increase of administrative work. Second, teachers’ recognition as collaborative performers was low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and complex, and they pointed out that collaborative support between IEP subjects of the support teams is lacking. Third, as developmental need and support method, teachers hoped assistive technology suited for the different subjects and teaching training opportunity about ACC. Also, they recognized that guidebooks of each subjec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re needs. Based on these analyzed results,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support needed on IEP plan,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process have been properly proposed.

      • KCI등재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과제

        류규태,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studies on individual education recognized by general teachers, verify their recognition and suggest appropriate alternatives. A total of 16 studies were reviewed to year published, classify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method of the study,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general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it has been most studied in 2010~2012, an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the studies were proceeded mostly based on survey research. The subject in most studies were about the individual education courses run. Based on the studies, the recognitions of the general teachers on individual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3 types : (a) responsibility on IE(Individual Education), (b) setting up the plans for IEP(Individual Education Plan), (c) procedures of IE. More specifically, they realized the responsibility on IE while proceeding setting up the IEP, general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marked a low rate. The bottom line is that during the procedure, they realized the necessity but showed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among them. Based on this analysis, th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에 대해 학술지 논문을 통해 분석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개별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그것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정된 총 16편의 연구에서 게재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별로 분류해보고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을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개별화교육에 대한 논문 중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의 전반적 특성은, 2010년~2012년에 가장 많이 연구 되었으며, 연구의 대상은 유·초등학교가 많았고,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주제로는 개별화교육 실행 과정에서의 협력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았다. 내용 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로는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에 대한 책무성,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개별화교육 실행 과정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각 영역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통합학급교사들은 개별화교육계획과 실행에 책무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인지, 회의 참여율이 낮았다. 그리고 개별화교육 실행 과정에서 역시 통합학급교사들이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는 인식하였으나 소통이나, 구성원 간 협력에 어려움이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학급교사의 개별화교육 인식에 관한 논의와 함께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과정에의 부모의 참여 정도와 만족도 분석

        김선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upon steps to establish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and seeing ou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subject for inquiry has been selected. This study is in accordance with the country's special school(cla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rents and 720 people purposely selected by the researchers have develope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of parents when established in order to solve a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to distribute satisfaction surveys, a total of 514 were recovered. Calculating the response of the recovered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of parents depending on the placement agencies(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depending on schools cours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school course related with participation of parents. Second, whe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parents depending on the placement agencies(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depending on school cours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atisfaction of parents related to school courses. Third, a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i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process, satisfaction was higher for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he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parents’ participation can be seen to affec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par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re related with school courses. Therefore, with a variety of strategies to increase parents participation it will be needed measures to be beneficial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과정에의 부모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특수학교(급) 초·중·고등학교과정 학부모 720명을 편의 표집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학부모의 참여정도와 만족도 조사’를 배부하여 총 514부를 회수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정의 부모들이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정에 참여도가 중․고등학교 자녀 학부모보다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과정에 참여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정에의 학부모의 참여도는 학교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장애학생 부모는 자녀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만족도가 자녀의 배치기관(특수학교·특수학급)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학교과정(초·중·고)에 따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자녀가 초등학교과정인 부모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만족도가 중․고등학교 과정 자녀의 부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학교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장애학생의 부모가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과정에 참여도가 높을수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부모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참여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시 학부모의 참여정도 및 만족도는 학교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참여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부모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부모들에게 제시하여 참여도를 높여 학생에게 좀 더 의미있고 유익한 교육환경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태원섭 ( Won Sub Tae ),박남수 ( Nam Su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이 어떻게 작성.운영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특수학급 운영의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5명의 특수학급 교사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은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었으며,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는 형식적으로 구성.운영되어 교육계획의 작성에는 별 도움이 되지않고 있었다. 또한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을 위해 교사들은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지만 구성요소, 관련인사의 참여도, 중점영역 등에 있어서 특수교육진흥법에 명시된 시행규칙과는 다소 괴리가 있었다. 둘째, 통합학급의 교수-학습 계획 수립에 있어서 개별화교육계획은 잘 반영되지 않고 있었으며,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 개별화교육계획의 평가 및 행.재정적 지원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 및 운영을 위해 교사들은 현실성 있는 작성 범위와 방향제시, 실제적인 작성지침이나 모델의 제시,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실제적인 운영 및 관련 인사들의 적극적인 참여, 개별화교육계획 작성과 운영에 대한 교육과 연수가 필요하다고 보고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애아동 교육에서 중핵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적절한 작성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하고 지속적인 측면에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on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purpose, this study operated in-depth interviews with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in Gyeongsangnam-do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ly had very low recognition about to necess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Second, during preparing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Individual Education Operating Association existed just perfunctorily. In addition, showed that support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school, and methods for inclusive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thoroughly. Third, the methods of individual education was mainly to use learning papers by students`` level in special classes. From this, we could understand why we need the speciality of encouragement of teaching for special classes. We need approach of methods to various learning models for individual education, moreover,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mmediately. Fourth, so as to properly operate individual education, teachers`` responsibility and supporting from each school are needed. par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disabled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and supporting plans should be fixed for pragmatic inclusive education.

      •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실행, 평가의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 연구

        박혜림 ( Park Hye Rim ),주지현 ( Joo Ji 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이 연구는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실행, 평가의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구성요인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정서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요인을 알아본다. 둘째,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요인에 대한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다. 셋째, 정서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 획 구성요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관련된 5점 척도 15문항, 개별화교육계획 실행에 관련된 5점 척도 10문항, 그리고 개별화교육계획 평가 5점 척도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의 정서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1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별화 교육계획은 작성 4개 요인, 실행 2개 요인, 평가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정서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은 성별보다는 일반적으로 교직경력, 최종학력, 학교급별 등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개별화교육 계획의 수업 실행은 평가의 합리성 등과 같은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음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의 8개 구성요인에 대한 중 요도를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framing, performance, and evaluation i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chool for the emotional disord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nented with three parts such as framing 15 questions, performance 10 questions, and evaluation 10 questions of the IEP. The 173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four factors in the framing, two factors in the performance, and two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the IEP; (b) the sex variable was no important to related with IEP, however, th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career, and the level of the school were important background information to recognize to IEP; and (c) the teaching performance factor was important factor in the IEP factors, and the teaching performance factor was related with reasonable of the evaluation close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had q unique structure in IEP, also the structure of the IEP was revealed by teaching performanc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had to develop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효과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운영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문제점 분석과 전산화 방안 연구

        김영걸,권기홍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identifying the problem by analyzing previous study to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and discussing for development method to focusing the IEP computerization. Individualized education laws of domestic and foreign and previous studies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EP is a legal document as created and utilized in the our special education fiel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can be divided into the Normative stage, the Analtical phase, the Technology reaction phase, the Qualitative operation phase, the Extended IEP phase. Improvemental measures need to support for the effective operation and legal guidelines for operation. As it was proposed the IEP computerization by this Improvement measures.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의 전산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개별화교육관련 법과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작성하고 활용하는 법적문서이다. 개별과육계획은 규범적 단계, 분석적 단계, 기술적 대처 단계, 질적 시행 단계, 확장된 IEP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개별화교육계획 운영의 문제점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 관리의 문제,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의 문제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 운영에 대한 법적 지침과 효과적 운영을 위한 방안이 지원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발전방안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의 전산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

        이효신,남현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교육계획과 개별화교육계획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특수학급 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육계획과의 관련성을 유지해야 하고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개개인의 개별화교육계획이 반영되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통합학급 교육계획안과 특수학급 교육계획안이 협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교육현장에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특수학급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현실적인 어려움과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특수학급 교육계획안과 개별화교육계획은 통합학급 교사 및 관리자의 협력 없이 전적으로 특수교사 단독으로 모든 과정이 이루어졌다. 특히 통합학급 교사의 많은 업무가 이러한 협력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고 특수교육대상자에 관련된 모든 업무가 특수교사의 몫이라는 인식의 영향도 컸다. 개선방안으로 관리자를 포함하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활성화와 평가를 통한 질적 향상 도모가 지적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pecial class education pla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the status quo of forming such plans through the interview with 6 teachers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in some preschools in U-city. and analyzed the connection of general education plan with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of all, there are no collaborations between inclusion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nhance the quality of special clas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including administrator should be activated an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reviewed. By proposing a way to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th education pla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ave some practical help to teachers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in their preschools.

      • KCI등재

        개별화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개별화 방안 연구

        윤광보 ( Kwang?bo Yo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개별화 방안을 제시하여 학급의 수업과 개별화교육계획에 의한 해당 학생의 수업이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미국의 「장애인교육법」과 우리나라의「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의 교육과정적 기능, 교육과정 개별화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과제, 그리고 개별화교육계획을 반영하여 학급 공통의 수업계획안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ggest a plan for curriculum individualization us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remove discrepancies betweencommon classes and teaching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for disabled students. For this, this study suggested how to make and execute teaching plans for common classes by reflec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he curricularfunction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and curriculum individ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play the functions of instrumental means that induc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curriculums and help them make practical progress in learning.Secon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ommon curriculums of class, and the goal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ncluded in integrated class teaching plans. Third, in order to develop integrated instructional plan, the common curriculum framework of class including disabled student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urrent performance of disabled students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 framework and reflected in the annual education plan of the class. In addition, the long.term and short.term goals of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 should be set based on the annual education plan, and unit teaching plan based on the annual education plan should be made, reflecting the long.term and short.term goals for disabled students. Lastly, integrated instructional plan including class plan for disabled student should be made by individualizing the unit teaching plan. Fourth, individualized instruction based o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should provide many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lass members. For this, the instruction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ut also other factors such as teachers, teaching materials and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