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용과 안병무의 대화(對話) ―‘따로 또 같이’ 걸어간 두 거인의 행보, 강원용이 묻고 안병무가 답하다

        이상철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2 신학연구 Vol.59 No.2

        강원용과 안병무, 안병무와 강원용은 한국현대사의 발전과정에서 비단 한국 그리스도교 진영뿐 아니라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도 반드시 언급해야 하는 인물들이다. 안병무의 한국신학연구소는 1970-80년대 신학적담론을 주도했을 뿐 아니라 민중신학이라는 한국 아카데믹 전통에서 세계에 내세울 만한 독특한 지점을 창출했던 공간이고, 강원용의 크리스챤아카데미는 중간집단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각 분야의 인재들을 키워냈는데, 아카데미 출신의 인물들은 1987년 이후 한국시민사회 형성기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 사회가 1990년대를 거쳐 시민사회로 발전 분화되기 이전 안병무와 강원용이 창출한 공간은 한국 개신교의 진보성, 시민사회의 젖줄, 한국정치와 사회변혁의 상징이었다. 이 글은 안병무와 강원용의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는 민중과 시민, 민중신학와 대화의 신학, 민중운동과 중간집단운동에 대한 비교를 통해 민중신학의 동시대적 과제를 묻고 듣는 것이다. 논쟁적인 성격인 민중메시아와 ‘우주적 그리스도’에 대한 논의는 글후반부에 배치하였다. 생전에 두 거목이 만나 서로의 신학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적은 없었다. 본 기획은 지금은 하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을 두 사람이 살아생전에만나 대담을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글은 강원용이 질문하고, 안병무가 대답하는 형식이다. 본문에 등장하는 질문과 답변은 안병무와 강원용을 읽고 경험하면서 느낀 필자의 해석과 물음으로부터 기인하였다. 안병무와 강원용의 목소리이지만 그것은 필자의 렌즈와 필터를 통과한 이후의 강원용과 안병무이다. 이런 까닭에 독자에 따라서는 양자에 대한 본인의 이해와 본문의 서술 사이 충돌이 있을 수도 있겠다. 언제든 대화의 마당은 열려있으니 의견 개진을 당부한다. 모쪼록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진보 그리스도교, 더 나아가 한국 현대사를 견인했던 안병무와 강원용, 강원용과 안병무에 대한 본격적 대화가 활발히 시작되어 한국 개신교의 개혁과 사회변혁을 위한 상상이 도모되기를 바래본다.

      • KCI등재
      • KCI등재

        5·18민주화운동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손승호(Son Se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3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한 1980년은 교회협 인권위원회가 위축되어 있던 시기였다. 금요기도회 「인권소식」발행, 법률구조활동 등이 모두 중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에서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하자 교회협 인권위원회는 5월 26일 교회와사회위원회와 연석 회의, 전두환과의 면담, 대책위원회의 구성이라는 세 가지 대책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연석회의는 당국의 집회 금지로 무산되었고, 전두환과의 면담은 씁쓸한 뒷맛을 남겼으며, 대책위원회의 진상조사 결과는 실행위원회에서 보고조차 하지 못했다. 회의법을 근거로 이 보고를 막았던 강원용은 이후 전두환의 국정 자문위원이 되었고 여론의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내외의 장벽에 걸린 초기 대응은 결국 중요한 시기를 놓치고 실패하게 되었다 인권위원회 관계자들조차 이를 ’역사의 오점’이라 평가하고 있다. 이후 1984년 6월에 개최된 인권문제전국협의회에서 인권위원회에 “광주사태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건의하게 되면서 진상조사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3권으로 구성된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출간으로 마무리되었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은 일지, 당대 내외신의 보도 와 각종 성명서, 공판기록 등을 담고 있으며 5·18민주화운동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어 왔다. 또한 교회협 자체가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운동의 전면에 나서지는 못했지만 인권위원회의 전위원장들인 박형규와 조남기를 공동의장으로 조직된 ‘전국기독자민주쟁취대회’는 1985년 4월 26일 ‘5월광주민중항쟁기념위원회’를 구성하고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하였다. 교회협이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발표한 유일한 성명서인 “광주 의거 주년에 즈음한 성명서”(1985)는 당시의 재야·청년학생·유가족들 이 가지고 있던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과 교회협의 인식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year 1980 whe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ook place was a time when the Human Rights Committee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was shrinking. This is because “Friday prayer meetings, “human rights news” and legal rescue activities were all suspended. In the wake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Human Rights Committee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prepared three measures on May 26, a joint meeting with the Church and Society Committee, a meeting with Chun Doo-hwan, and the formation of a countermeasure committee. However, the joint meeting was canceled due to the authorities’ ban on assembly, and the meeting with Chun Doo-hwan left a bitter aftertaste, and the results of the task force’s fact-finding efforts were not even reported to the executive committee. Kang Wong-yong, who blocked the report based on the meeting law, later became Chun Doo-hwan’s advisor for state affairs and faced public criticism. The initial respons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barriers ended up missing an important time frame and failing. Even human rights committee officials consider it a “blot of history.” Afterwards, the fact-finding project began when the National Council on Human Rights in June 1984 proposed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 to form a ‘fact-finding committee on the Gwangju incident.’ The project was complete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three-volume “Democratic Movement of the 1980s.” The “Democratic Movement of the 1980s” contains diaries, reports from domestic and foreign media of the time, various statements, and records of trial, and has been used as basic materials for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addition, although the church association itself did not come to the forefront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National Christian Democratic Convention, organized by Park Hyung-kyu and Cho Nam-ki, former chairmen of the Human Rights Committee, formed the “National Christian Democratic Convention” on April 26, 1985 and made efforts to find out the truth. In addition, the only statement issued by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on the theme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 Statement Around the Fifth Anniversary of Gwangju Uprising,”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eld by opposition parties, youth students and bereaved families at the time was not much different.

      • KCI등재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한신(韓神)’이 가지는 의미

        김건우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It could be said that some elucidations on the ‘Han-Shin’ intellectual group, the most important axis of democratic movements of 1970s, had been presented by the korean christian societies. But, if we consider this group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the attempts to elucidate this group’s connections, roots, and contexts from the religious standpoints can not help but contain some obvious limitations. Firstly, it should be noted that ‘Han-Shin’ had formed important connections in the korean intellectual societies since 1950s and had omni-directional influences over the general intellectual societies beyond the christian ones. Besides, the commonly accepted notions (about the history of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s) which make no distinction between ‘Han-Shin’ group and Ham Seok-Heon group, another symbol of the democratic movements of 1970s, should be rectified. And the problems about their distinction should be newly arranged. Kim Jae-Jun, the founder of ‘Han-Shin’ group, born in the same year as Ham Seok-Heon, had formed an immense intellectual chain on the completely different ground. As it were, Kang Won-Yong, the leader of ‘Christian Academy’, Moon Ik-Hwan and Moon Dong-Hwan brothers, another symbols of korean democratic movements, and An Byoeng-Mu and Seo Nam-Dong, the leading theorists of the korean Minjung Theology all of whom formed an important korean intellectual axis (as it could be called) ‘Han-Shin’, were all the disciples of Kim Jae-Jun. These intellectuals’s influences over the modern korean intellects and democratic movements had begun to exercise beyond the christian societies as early as 1950s. The formation of the counter part of the Yushin Dictatorship in the 1970s was one of the conspicuous outputs of their influences. This thesis tries to reconsider the origin and the evolution of ‘Han-Shin’ group in the general context of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1970년대 민주화 운동의 가장 중요한 축이었던 ‘한신(韓神)’ 계열에 대해 기독교계 쪽에서 어느 정도 정리를 한 바 있다. 그런데 한국 현대지성사의 차원에서 보자면, 종교계의 정리로 이 그룹이 닿은 지점들과 뿌리, 맥락을 살피는 데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다. 우선, ‘한신’은 이미 1950년대부터 한국 지식사회를 형성하는 중요한 하나의 인맥을 형성하면서 기독교계를 넘어 지식사회 전반에 전방위적인 영향관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일반적인 운동사의 통념도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70년대 민주화운동의 또 다른 상징인 함석헌 계열과 ‘한신’ 계열을 구분하지 않고 접근하는 일반론이 굳어져 있는 바, 이에 대한 구분도 새롭게 정리되어야 한다. ‘한신’의 건설자 김재준은, 함석헌과 같은 해에 태어나 그와는 전혀 다른 바탕 위에서 커다란 맥 하나를 구축했다. ‘크리스찬 아카데미’를 이끈 강원용, 한국 민주화 운동의 또 다른 상징인 문익환, 문동환 형제, 민중신학을 정립한 안병무, 서남동 등은 모두 김재준의 제자로서 ‘한신’이라는 축을 형성했다. 이들이 한국 현대 지식사와 운동사에 미친 영향은 이미 1950년대부터 기독교계의 영역을 훨씬 넘어서 작동하고 있었다. 1970년대 유신정권에 대한 대항지점(counter part) 형성은 그 결과 중 하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이었다. ‘한신’ 계열의 기원과 전개를 지식사 전체의 맥락에서 다시 짚어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논문 : 월남 학병세대의 해방 후 8년 -학병세대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김건우 ( Kun Woo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일제 말 제국의 고등교육을 받은 학병세대는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가지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방 직후 이들은 이미 주목을 받고있었으며, 이후 한국사회 각 분야에 진출하여 국가를 설계하고 체계를 완성해 냈다. 1917-1923년에 태어나 해방 후 8년의 기간을 통해 ``남``을 선택한 월남 학병세대의 생각과 실천들을, 장준하 김준엽 선우휘 강원용 등 대표적인 월남 학병세대의 인물들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학병세대 연구의 기초를 만들고자 한다. While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who were highly educated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 period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korean modern intellectual history, they have hardly been studied yet. In fact, they already held the public eye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thereafter entered into various fields of korean society and designed the foundation of the state, completing the system of korea. This thesis tries to pave the way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by examining the thoughts and practices of the ``Wollammin(persons displaced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student- soldier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17-1923 and chose the ``South`` during the eight years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those of the important ``Wollammin`` student- soldier generation such as Jang Jun-Ha, Kim Jun-Yeop, Seon Woo-Hui, Kang Won-Y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