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감천유역에 대한 강우양상 발생 영향인자의 규명 및 해석

        안기홍,조완희,한건연,Ahn,Ki-Hong,Cho,Wan-Hee,Han,Kun-Yeun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2

        우리나라는 기후의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며 지역별 시간에 따른 강우발생의 특성이 다양하다. 이러한 계절적, 지역적 강우특성의 반영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 시 매우 중요하다. 이때 설계 강우량의 선정을 위해 적절한 강우 지속시간, 강우량, 그리고 시간에 따른 강우양상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신뢰도 평가 시 설계강우에 대한 시간적 강우양상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사상을 분리하여 각 강우사상의 무차원화를 실시하였고 이를 4가지 양상으로 구분하여 감천유역의 시간에 따른 강우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은 강우관측소의 지리학적 위치, 강우량, 강우 지속시간, 계절, 태풍 및 장마, 건 우기에 관련된 시간에 따른 강우양상의 발생빈도의 상관관계를 통한 분할표에 의한 군집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시간에 따른 강우양상 발생의 영향인자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뿐 만 아니라 유역의 홍수대책수립 시 매우 중요한 사전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South Korea, seasonal, local and temporal climatic characteristics are variable in rainfall patterns. To design or assess the reliability of hydrosystem, information about the rainfall event under consideration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the complete description of a design storm involves the specification of rainfall duration, depth, and its temporal pattern. Generally, to use an appropriate temporal pattern for a design storm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hydrological safety for hydrosystem. For purpose of selecting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rainfall patterns, Huff`s dimensionless method was executed and examined by statistical contingency tables analysis through which the inter-dependence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rainfall patterns with respect to geographical location, rainfall duration and depth, and seasonality is investigated. This analysi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flood policies and to design or assess the reliability of hydrosystem.

      • KCI등재

        강우사상을 고려한 화강풍화토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김규형,황의필,이강일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4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lope stability study considering changes in the ground water level due to rain phenomena and the duration of rainfall, that i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stability of the slope surface of the cut section, seepage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by height of slope and rainfall accid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was applied reasonably in order to determine the slope change during rain by analyzing rainfall and rainfall pattern due to climate change. Results: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of stability for slope composed of the granite weathered soi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Uniform Rainfall, US Army Corps., Huff’s method – 1/4, 4/4), Conclusion: The higher the slope, the smaller the safety factor of the slope, the smaller the elevation of the ground water level as the rainwater seepage does not reach the underground water level. In addition, the ground water level was assessed to be rose significantly in condition of case 3 Huff’s method–1/4, rain pattern with the largest initial rainfall duration, and the safety factor was analyzed to be small.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 및 강우패턴을 분석하여 강우시 비탈면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강우사상을 합리적으로 적용하여 절토부 비탈면 안정성해석에 활용하고자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비탈면 높이별, 강우사상별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강우사상 및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 비탈면 안정성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강우사상(Uniform Rainfall, US Army Corps., Huff 4분위법 중 1/4법 및 4/4법)에 따른 화강풍화토 비탈면의 수치해석결과 비탈면이 높을수록 침투된 강우가 지하수위까지 빠르게 도달하지 못하여 지하수위 상승은 작아지고, 비탈면의 안전계수도 작게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 초기강우강도가 제일 큰 강우패턴 Case 3조건인 Huff 4분위법 중 1/4법에서 지하수위 상승량이 제일 크게 나타났으며, 안전계수는 가장 작게 나타났다.

      • KCI등재

        모형실험 장치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및 사태물질 거동특성 실험

        채병곤 ( Byung Gon Chae ),송영석 ( Young Suk Song ),서용석 ( Yong Seok Seo ),조용찬 ( Yong Chan Cho ),김원영 ( Won Young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6 지질공학 Vol.16 No.3

        본 연구는 모형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인공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특성과 사태물질의 확산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와 사면경사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실험조건하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간극수압, 사면붕괴양상 및 변위, 그리고 토사의 확산면적 등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 중 복수의 비디오 카메라와 디지털 스틸카메라로 촬영한 후,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여 시간대별 산사태 발생양상 및 사태물질 확산특성 자료를 취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간극수압은 강우강도 및 사면경사에 비례하여 변화하며 이에 따라 강우강도 및 사면경사가 커짐에 따라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증가하였다. 사태물질의 확산면적은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그리고 사면경사의 증가에 비례하는 양상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laboratory flume tests to identify landslide features and 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using a flume test equipment. Under the several test conditions dependent on rainfall intensity and slope angle, the authors measured pore water pressure, slope failure and displacement, spreading area of debris on a regular time interval. The test processes were also recorded by video cameras and digital still camera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pore water pressures have trends of direct proportion to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slope angle, resulting in high potential of landslide triggering. The spreading area of debris is also increased with the slope angle and the rainfall intensity as well as the rainfall du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