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공간 강성갑의 기독교 사회운동 연구

        홍성표(Hong Seong-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920~30년대 한국교회는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고, 덴마크의 그룬트비의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교회내부의 보수적 신앙인의 반대로 1930년대 말에 막을 내렸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농촌문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으나, 해방 공간에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강성갑은 해방 공간에서 이러한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영에서 한얼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기독교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강성갑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였고, 연희전문 문과와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46년 4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과 함께 기독교 사회운동을 전개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몰려 총살당했다. 이 사건은 소위 진영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판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가해자를 처음으로 처벌한 사건이었다. 강성갑의 경우에는 가해자를 처벌한 재판과 추모동상 제막식이라는 공적 행사를 통해 그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고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공산주의자’로 몰려 가족들은 커다란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강성갑은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실천했다.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진영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1948년, ‘하나님을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자, 흙을 사랑하자’라는 ‘삼애정신’을 교훈으로 하는 한얼중학교를 설립하고 농촌의 인재를 양성하였다. 강성갑의 한얼중학교 설립은, 해방 후 모든 것이 부족했으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열의로 농촌의 교육을 위해 강성갑과 진영교회와 진영의 지역사회가 합심하여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고 대안을 만들어간 기독교 사회운동의 모범적인 사례였다. The Korean churches, paying attention to harsh realities in 1920s and 1930s, carried on the rural movement influenced by Nikolaj Frederik Severin Grundtvig. This movement of Korean churches had to come to an end in the end of 1930s however,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opposition forces of conservative believers inside the church.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rural movement was still the first priority task to solve to build a new nation, 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of rural movement by Korean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Kang Seong-Gab pioneered in Christian social movements to resolve these rural problems, as an example,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JinYoung Gyeongsangnam-do. Kang Seong-Gab was born in 1912 in Uiryeong Gyeongsangnam-do and completed liberal arts course in Yonhi College and studied theology and graduated from Doshisha University. In 1943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by Gyeongnam presbytery, then started his ministry as the pastor in charge at JinYoung Church in April 1946. He developed Christian social movements while he was in ministry, then he was wrongfully charged as a communist he was shot to death during Korean War. This incident is known as JinYoung slaughter, which was the first time to punish the perpetrators of civilian massacre at the trial during the Korean War. The trial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the official ded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his wrongful death and recovered his reputation, but his family had to suffer a great pain since Kang Seong-Gab was still regarded as a ‘communist.’ The philosophy of Danish Grundtvig influenced Kang Seong-Gab and made him to put the philosophy into practice. He started Christian socialist movements by establishing Bogeum(Gospel) Civic School, and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1948 to start educating people in rural area. The school motto was ‘Love God, love neighbor, and love land.’ The establishment of Haneul Middle School by Kang Seong-Gab was the model ca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even though everything was short in supply after the Liberation,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aving enthusiasm to rebuild new nation, that they made up of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appalling conditions to educate the rural area.

      • KCI등재

        姜成甲(1912~1950)의 생애와 지역사회 운동

        이종봉(Lee, Jong-Bong)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7 No.-

        본고는 강성갑의 생애와 사회운동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성갑이 사회주의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과 증언을 어디에도 확인할 수 없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를 기반으로 성장하였는데, 이후 延禧專門을 다니면서 민족주의적 성향의 인물들과 교류 혹은 교육적 영향을 받으면서 민족주의 사상을 수용하였던 것으로 유추된다. 그는 일제강점기 고등교육을 받으면서 식민지 조선과 일본의 농촌에서 추진된 그룬트비히의 三愛이념을 기반으로 전개된 농촌교육운동에 대해 큰 감화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케르센슈타이너의 勞作敎育의 이론도 수용하였을 것이다. 그는 이런 교육 이념을 1945년 이후 적극실천하였던 행동하는 지식인, 참 교육이론·개혁가였다. 둘째, 강성갑은 勞作敎育과 ‘三愛’주의 이념을 토대로 경상남도 진영에서 지역사회운동을 실천하였고, 그러한 운동의 일환으로 한얼중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강성갑은 당시의 교육의 문제점을 질타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중심의 교육에서 기술교육과 전문기술을 통해 소위 ‘쟁이’를 양성하여 실업자의 문제, 즉 더 나아가 한국의 사회·교육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The Study on the life and social movement of Kang Seong-Gab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record and testimony that Kang Seong-Gab had socialist thought. From early years, his thought had been based on the Christianity. It is inferred that he later accepted the nationalist thought, interacting with or being influenced educationally from the figures who had the nationalist disposition while being in the union of Yonhi College. He would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rural education movement based on Grundwig’s “three” in colonial Joseon and Japan while receiving higher education at Japanese colonial era, as well as accepting Kersensteiner theory of Arbeitserziehung. He was a true Education Theory and Reformer who had practiced actively this kind of thought after 1945. Secondly, Kang Seong-Gab practiced community movements in Jinyoung, Gyeongsangnam-do, based on the ideology of Arbeitserziehung(勞作敎育) and Three Loves(三愛) and established Hanul Middle School as part of such a movement. Kang Seong-Gab rebuked the problem of the contemporary education, and in order to remedy this, he thought that it was possible to resolve the unemployment problem, and by extension, social, educational problem of Korea by training so called, ‘Jaeng-i’ through the technical training and professional skills beyond the existing education centered on humanities.

      • KCI등재

        송몽규의 민족의식 형성과 기독교

        홍성표(Hong, Seongpy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0 No.-

        송몽규에 관한 연구는 윤동주와의 관련 뿐만 아니라,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송몽규는 김약연으로 대표되는 명동교회와 명동학교를 통해 기독교 민족주의의 영향을 직접 받았다. 간도지역의 대표적인 기독교 민족학교였던 명동학교는 경신참변 이후 성격과 위상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송몽규 재학 중에 명동학교는 명동교회가 운영하는 미션스쿨에서 일반 사립학교로, 또 공립학교로 성격이 계속 바뀌었다. 명동학교는 명동교회와의 관계가 단절된 이후에도 꾸준하게 민족교육을 실시하였으나, 명동교회는 경신참변 이후 ‘기독교 민족주의’에서 ‘기독교’로 그 중심이 바뀌었기에 더 이상 민족운동을 주도하지 못했다. 송몽규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던 기독교 학교인 은진중학교에 입학하여 민족주의자 명희조, 기독교 사회주의자최문식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으며, 민족운동의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송몽규는 은진중학교 3학년을 마친 뒤, 김구가 주도하는 군관학교에 입학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하고자 중국 남경으로 갔으나, 독립운동 진영의 내부적 혼란으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용정의 집으로 돌아왔다. 송몽규는 이러한 쓰라린 경험을 통해 민족운동을 위한 새로운 방법의 모색이 필요함을 깨닫고 연희전문 문과에 진학하였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일정부분 타협을 통해 학교를 유지하며 조선을 위한 인재를 계속 양성하고자 했던 연희전문의 민족적 분위기는 송몽규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송몽규는 연희전문에서 강처중, 윤동주 등과 같이 조선 민족문화의 유지와 앙양을 목적으로 문우 발간에 앞장섰다. 송몽규는 기독교 민족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던 강성갑, 윤동주 등과 함께 연희전문과 이화여전의 연합 대학교회로 설립된 협성교회를 다니면서 원한경 등의 설교를 듣고 영어성서 공부를 했다. 송몽규는 이들과 더불어 ‘조선의 기독교인’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고민하였으며, 민족운동의 실천을 위해 좀 더 깊은 공부를 하고자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송몽규는 일본에서 민족운동의 실천에 앞장서다가 죽음을 당했다. Song Mong-gyu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Christian nationalism of the Myeongdong Church and the Myeongdong School. The Myeongdong School, which was a representative Christian school in the Gando region, underwent great changes in character and status after the massacre of Koreans in Gando. Song Mong-gyu entered Eunjin Middle School, a Christian school strongly influenced by socialism and communism. After completing his third year at Eunjin Middle School, Song Mong-gyu joined the military academy led by Kim Gu, and went to Nanjing, China, to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due to internal confusion within the circles of independence activists, he returned home to Yongjeong without any meaningful accomplishments. In reaction to this bitter experience, Song Mong-gyu felt the need to seek new methods t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movement, and he decided to attend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t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chose to partially compromise with the Japanese and was coerced into worshipping the Japanese shrines in order to maintain the school and nurture Korean (Joseon) talents. This nationalistic atmosphere at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made a great impression on Song Mong-gyu. Moreover, Song Mong-gyu attended the Hyupsong Church with Kang Seong-gab and Yoon Dong-ju, who had a deep interest in the national Korean Christian movement. With them, Song Mong-gyu reflected on how to live as a Korean Christian, and he went to study abroad in Japan fully to carry out the national movement.

      • 진영지역 학살과 진실규명

        한성훈(Han Sung-Hoon) 역사학연구소 2011 역사연구 Vol.- No.21

        It is shows tha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n the truth of JinYoung slaughters. First, as we can see in the fall of the house Kim SeongYoun, killed Kim JeongTae and Kang Seonggab, residual forces of served in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have been tweaked authority and supremacy(hegemony) by removing nationalist (independence activists) and christian social reformer. Second, the emergency task force exhibited committee in war time had led to the slaughters JinYoung area. The police station Gimhae ordered murder of the number of BODO league, but it was the center of this organization to the executive. Third, although a very partial to compare the scale of massacre of civilians this area, murders of JinYoung slaughters were rarely prosecuted through the military court. Fourth, survivors activities after 4·19 revolution were a great turning point to reveal the truth of slaughters but the following year the military coup concealed the truth. Rather survivors were received the adjutant repression from Park Chung-hee regime. Fifth, for the 21st century, victims were able to its glory of exhibition of genocide and the military regime to check illegal through an official investigation of national institution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 KCI등재

        윤동주의 민족의식 형성과 기독교

        홍성표(Hong, Seongpy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7 No.-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민족시인으로 널리 알려진 윤동주에게 기독교 신앙은 매우 중요하다. 윤동주는 기독교인 가정에서 태어났을 뿐만 아니라, 그가 다닌 학교는 대부분 기독교 계열의 학교였다. 기독교 민족학교로 널리 알려져 있는 명동학교는 윤동주 재학 중에 기독교 사립학교에서 일반 사립학교로 또 공립학교로 계속 성격이 바뀌었다. 은진중학교에서는 사회주의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과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학생들 사이의 대립으로 혼란스러웠으며, 숭실중학교는 성경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불리한 조건을 수용하고 총독부의 ‘지정’을 받은 사립 각종학교였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로 혼란스럽던 숭실중학교를 윤동주는 7개월 만에 자퇴하고 일본인이 운영하는 광명학원 중학부에 편입하였다. 윤동주는 신사참배 문제로 혼란스럽던 연희전문의 상황을 잘 알고 있었으나, 민족 계몽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연희전문에 입학하였다. 연희전문의 원한경 교장은 조선 민족의 지도자를 양성하겠다는 학교의 설립 취지와 조선 민중의 교육에 대한 열망을 감안하여 기독교의 ‘전도사업’과 ‘교육사업’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학교를 유지하였다. 연희전문 학생들은 학교의 교육방침인 ‘기독교주의’와 민족해방의 수단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던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으며 적극적으로 민족운동을 실천하였다. 윤동주는 연희전문에서 기독교 ‘신앙’의 실천과 기독교 ‘가치’의 실천, ‘조선’의 기독교인과 ‘기독교인’ 조선사람의 관계 등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윤동주는 자신의 신앙관을 새롭게 정립하고 주체적 자아의식을 형성하였으며, 민족운동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일본 유학을 떠났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To Yoon Dong-ju, widely known as a representative Korean national poe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hristian faith was extremely important. The Myeongdong School changed from a mission school to a private school and later to a public school when Yoon was studying there. At Eunjin School, which was founded by the Canadian Presbyterian Mission, the spread of socialism’s influence was causing a chaotic situation, with conflicts emerging between students who followed socialist ideals and those who primarily followed the Christian faith. Soongsil School was a private school that accepted disadvantageous conditions from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in order to continue Bible education and had therefore received an exceptional “designat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s. Although Yoon Dong-ju was well aware of the chaotic situations caused by the shrine worship issue at Chosen Christian College, he nevertheless entered this school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for the national enlightenment movement. At the C.C.C, Yoon Dong-ju continued to ponder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faith” and the “implementation of Christian values”. He also continued to think about the “Christians of Chosun” and the “Chosun people that believe in Christ”.

      • KCI등재

        해방 이후 1945년~1960년대 기독교 사회운동의 의미와 과제 - 기독교 농촌운동을 중심으로

        홍성표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4 No.-

        The Christian community, which began to reflect on the shock of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was generally recognized a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ves through opposition to the Korea-Japan agreement, condemnation of the June 8 election, and opposition to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61. Therefore, there is not much research and interest in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from 1945 to the end of the 1960s after liberation. Although it was forgotten due to ideological issues during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Korean War,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to fundamentally solve rural problems, which was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our people at the time, emphasized the practice of Christian values, unlike the Christian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70s. The important task of Korean Christianity in today's society, which has many challenges to solve, is to present new Christian values and ethics beyond the division and confrontation prevalent in our society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nd ethical evaluation of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of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