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감성광고에 대한 고찰

        박인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Modern society i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distribu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be sent indiscriminately or selectively to the consumer. Being able to acquire your own personalized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informatio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formed to increase incomes and leisure time, etc. Under these circumstances laid changing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tend to change with emphasis on quality of life made. The other is the consumer who purchases a product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is that now simply beyond the fulfillment of everyday life to pursue self-satisfaction and value through brand awareness. Ie consumption patterns in modern society is expressing your individuality and will show that expression. The social context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rand marketing. And the brand is emotional advertising in a variety of marketing has emerged as one for the enhancement of the brand image in the consumer society. The actual successful brand is instill expectations and illusions in the minds of consumers. These brands are a function of satisfying consumers always suffer from Lack emotion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o give emotional satisfa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arketing part of reporter emotional advertising for brand image. First, learn about the role and value of the brand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in the digital age, find out about brand marketing and emotional advertising. And by looking out for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advertising, and finally would like to discuss whether the appropriate emotional advertising media strategy for the brand image. In conclusion, the era of modern brand image.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image and emotional advertising will be emotional marketing is continually produced. Therefore, how to respond in time with a variety of new media and they do need to consider any approach to storytelling first. This requires a common methodology judgment as to whether the appropriate strategies for emotional appeal through thorough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 brand image is the priority. In addition, consumers what they want, and it is essential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what the social trends. 현대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량의 정보가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무차별 혹은 선별적으로 보내지고 있다. 다양한 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맞춤형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득 증대와 여가 시간의 증대 등으로 형성된 현대의 소비사회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꾸어 놓았고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게 만들었다. 정보화 사회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한다는 것은 이제 단순히 일상적인 생활의 충족을 넘어서 인지도가 있는 브랜드를 통해 자기만족과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즉 현대사회에 있어 소비행태란 자신의 개성 표출이며 표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브랜드 마케팅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브랜드 이미지 소비사회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제고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에 하나로 감성광고가 대두되고 있다. 실제 성공한 브랜드는 소비자의 마음에 기대와 환상을 심어주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일상생활에서 늘 결핍감에 시달리는 소비자들에게 기능적인 만족감은 물론 감정적인 만족감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의 일환인 감성광고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 소비사회에 있어 브랜드의 역할과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디지털 시대에 있어 브랜드 마케팅과 감성광고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감성광고의 적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감성광고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적절한 미디어 전략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현대는 브랜드 이미지의 시대이다. 그리고 이미지 제고를 위해 감성 마케팅과 감성광고는 지속적으로 생산되어 질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뉴미디어의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와 어떠한 스토리텔링으로 접근할까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방법론이지만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철저한 시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감성소구가 이 전략에 적절한지에 대한 판단이 우선적이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며 사회적 트렌드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 KCI등재

        감성광고와 ‘이야기’의 관계 연구 - 브랜드의 ‘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류재한 ( Ryu Jae-ha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3

        본 연구는 감성광고와 이야기의 관계 분석을 통해 제품과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신념이 ‘이야기’와 만나 어떻게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기술의 발전과 제품의 평준화, 가격의 비차별화로 더 이상 제품의 질과 가격이 제품의 구매 결정요인이 되지 못하는 현대사회에서 제품에 담긴 이야기 즉 감성이 상품 자체가 되고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논의를 시작하였다. 먼저 Ⅱ장에서 감성과 광고와 이야기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야기를 파는 감성 마케팅은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 감성적 연결고리를 만들어 소비자의 마음속에 제품에 대한 감성적 가치를 높이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Ⅲ장에서 감성 소비의 ‘주체’로서의 ‘호모나랜스’와 이야기의 감성적 소비를 통한 자기정체성 확인을 살펴보았다. 제품 자체보다는 제품을 감싸고 있는 이야기를 사는 ‘호모나랜스’-소비자는 “나는 쇼핑한다. 고로 존재한다”(I shop, therefore I am)는 명제처럼 자신의 이야기와 부합하는 제품의 이야기를 쇼핑한다. 이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스스로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이어서 Ⅵ장에서는 ‘호모나랜스’의 설득의 방식으로서의 감성광고를 분석해보았다. 호모나랜스-소비자는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찾아다니며 자신과 같은 소비자의 이야기를 신뢰하고 기존 콘텐츠의 재구성을 즐기며 이야기 중심에 항상 ‘나’를 둔다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호모나랜스-소비자를 설득할 수 있는 길은 그들의 이야기와 ‘접속’될 수 있는 감성적 소구의 광고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드의 ‘추구가치’의 감성마케팅의 실증적 두가지 사례를 분석해보았다. 애플(Apple)의<관점>(Perspective)과 현대자동차그룹의 <재잘재잘 스쿨버스>(Chatty School Bus) 광고는 브랜드의 추구가치를 창의적으로 스토리텔링하여 소비자의 감성의 공명을 울리는데 성공한 감성광고였다. 이 두 광고는 기업이 무엇을 만드는지를 말하지 않고 왜 제품을 만드는지를 말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제품 자체보다 기업이 제품을 만드는 이유(추구가치와 신념)의 이야기를 사는 감성광고의 의의를 살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value and belief on the product and its brand with storytelling evoke the consumers emotion through the relation analysis between emotional advertisement and its story. The main motivation of this study starts from the emotion is the main cause of product itself by pinpointing that there are no more discriminative factors to purchase products regarding quality and price caused by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 standardization and price indifference. It is investigated in chapter 2 that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 advertisement and story, which makes sure that the emotional marketing selling the story enhances the emotional value on the product to consumer’s mind by making emotional connection chain between brand and consumer. In chpter 3, it is researched that verification of self-identity through the Homo-narans as the principal agent and emotional consumption of story. As in the proposition of Homonarans -I shop, therefore I am, consumers only buy an intrinsic story on the product, not for product itself, which coincides with their story to expose their identities and to verify it. In chapter 4, it is analyzed that the emotional advertisement as a tool of persuasion in terms of Homonarans. One main feature has been found that consumer regarding Homonarans is eager to find out story on the product and gives his trust on his sympathizer, enjoying reconfiguration of the story by focusing on the “ I-first” in the stor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the emotional advertisement linking to consumers is necessary to persuade Homonarans-consumers and to evoke their purchasing mind. In chapter 5, it is analyzed that two empirical examples regarding the target value of each brand through its storytelling. Advertisements as in Apple “Perspective” and Hyundai Motor Group “Chatty School Bus” are the exemplary emotional advertisement cases to evoke consumer’s mind by making creative storytelling to achieve their target value to be achieved. From those successful advertisements, it is realized that company makes product for good reason, not for just producing. Through this study, it is a good chance to find out why the consumer buys a story closely related to the target value and its belief to be achieved, not buy a product itself.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 변화와 감성광고

        이성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human life and science also has been innovatively developed.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met the digital era and influenced the overall culture and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connected with a new trend, is also leading human living and the whole culture. This popularized digital media technology is able to give lots of changes to advertisements with the advent of emotions. The is the reason why emotion advertisements are generally accepted by the public as a means of attracting viewers' eyes in the various contents and kinds of ads administered by means of digital media. But the appraisal of advertising appeals via emotions is differently shown up to now.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negative view of selling not merchandise but emotions through exaggerated story wrapping, and the other a positive view of purchasing emotions by stimulating innate human emotions. Besides, a variety of views are also being shown. The research is to discuss the transitions and trends of advertisements, reasonal and emotional appeals, and find out the points emotion advertisements are going to aim for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methods of the research examine the basic theories and articles on emotions and emotion advertisements, and finally discuss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emotion advertisements administered in media. As a conclusion, while executing advertising by means of either reasonal or emotional appeals. the important thing is to read consumers' trend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development of stories which can stimulate consumers and appeal to them along with sales power.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through this, advertisement contents which can naturally assimilate and touch consumers by the stories should be made and then excite consumers' emotions.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삶은 많은 변화가 있었고, 과학의 발전 역시 혁신적인 발전했다.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문화ㆍ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새로운 트렌드와 연관되어 인간 생활과 문화 전반을 이끌고 있다. 이렇게 대중화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광고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고, 이와 함께 대두된 것이 감성이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집행되는 다양한 내용과 종류의 광고 속에서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써 감성광고는 대중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성을 통한 광고 소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그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과장된 스토리의 포장으로 인해 상품이 아닌 감성을 판다는 부정적인 측면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자극하여 감성을 산다는 긍정적인 시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변화와 트렌드 그리고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에 대해 논의하고 감성광고가 지향해야 할 점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연구의 방식은 감성과 감성광고에 대해 기존 이론과 기사들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미디어 속에서 집행되는 감성광고의 사례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성소구든 감성소구든 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트렌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감성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판매력과 더불어 소비자의 마음을 자극해 사로잡을 수 있는 이야기의 전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토리텔링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서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동화할 수 있고 감동할 수 있는 내용의 광고를 만들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스포츠 컬트 브랜드의 하위문화 수용도 및 광고유형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할리데이비슨의 사례

        방단(Pang, Dan),이승환(Lee, Seunghwa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스포츠 컬트 브랜드의 하위문화 수용도 및 광고유형,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나리오 기법 및 광고 제작과 함께 2(하위문화 수용도: 높음/낮음) × 2(광고유형: 감성광고/이성광고) 요인설계(factorial design)를 사용하였다. 소비자행동(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대한 하위문화 수용도, 광고유형, 이들 간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및 단순효과검증을 실시한 결과(n=413), 첫째, 하위문화 수용도는 소비자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고유형은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하위문화 수용도와 광고유형 간의 부분적인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하위문화 수용도가 낮은 집단에게는 이성광고가, 하위문화 수용도가 높은 집단에게는 감성광고가 소비자행동을 예측하는데 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력한 스포츠 컬트 브랜드 구축을 위한 하위문화 및 광고의 활용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ceptability of subculture and advertising appeal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se two independent variables on consumer behavior(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a sport cult brand. For this purpose, 2 (acceptability of subculture: high vs. low) × 2 (advertising appeals: emotional vs. rational)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with development of two scenarios and two advertisements. Both two-way ANOVAs and a simple effect test (n=413) were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direct effects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on consumer behavior.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acceptability of sub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ereas the advertising appeals did not have any effects on them. In addi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partia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acceptability of subculture and advertising appeals on consumer behavior. Specifically, rational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in ad attitude for low acceptability of subculture while emotional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i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high acceptability of subculture. These findings might generate insight for marketers to develop subculture and design advertising appeals in building a strong cult brand in sports.

      • KCI등재

        디지털 감성과 이야기를 통한 광고

        김인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Modern society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due to the digital still are living in the realm of digital. And various changes can be mentioned among the area of the area of the advertising design. Ad appears that the rapid change, in the form that the role of emotion ad a tendency to be increased by a digital sensitivity. Sensitivity refers to the formation of any sense to accept the information with the senses that has all of the peripheral when the human. Using human emotion and marketing as one of the emerging trends, many companies according to customer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is a trend that utilizes emotional marketing. Reporting the standards of the past, consumers made purchases based on rational elements, today's consumers will buy the satisfaction of his own through the emotion contained in it, rather than buying the product itself. Thus it is that customers derive the favorable response of customers who prefer the emotional side, and given the fun and pleasure through buying from him impress customers is the emotional marketing. This would also highlight that the emotional age of digital storytelling. Current marketing strategies to take advantage of this storytelling is speaking in a variety of ways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images it appears. In the sense that developing this design study and wish to study the emotion and storytelling.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case design, and look out through this through case studies of advertising and design trends for the Korean emotion and storytelling. And based on those applied in practice and to discuss needs and problems, improvement of emotional advertising. In conclusion log sensibility advertising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the digital age it will continue unchanged unless this is emotional side of human nature. In this regard, the important thing is it beneficial to consumers than as an emotional advertising executive in the forward-looking vision and need a social environment that can create profit for your company through this in perspective. It is also required for public benefit through commercial production of good quality storytelling and thinking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osition of the community in the digital era. 현대사회는 디지털로 인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고, 지금도 디지털의 영역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변화의 영역 중에서도 디자인의 한 영역인 광고 분야를 들 수 있다. 광고는 그 변화가 급속히 나타나며, 그 형식에 있어서도 디지털 감성을 이용한 감성광고의 역할이 증대되는 추세이다. 감성이란 인간이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오감을 사용해 주변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어떠한 느낌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 인간의 감성을 이용한 마케팅은 하나의 트렌드로써 부상하고 있으며, 고객의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감성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소비자들의 구매기준이 이성적 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면, 오늘날 소비자들은 제품 자체를 사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감성을 통해 자기만의 만족을 사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객이 선호하는 감정적인 면을 통해 고객의 호의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그로 인한 구매를 통해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해 고객을 감동시키는 것이 감성 마케팅이다. 또한 이로 인해 부각되는 것이 디지털 감성시대의 스토리텔링이다.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구사되고 있고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디자인 학문에 발전이라는 의미에서 감성과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과 선행연구 논문, 디자인 사례들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한국적 감성 디자인과 트렌드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광고 분야의 사례조사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그 적용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감성광고의 필요성과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지로그적 감성광고는 인간 본연의 감성이란 측면이 변하지 않는 이상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한 것은 미래지향적 시각에서 감성광고를 집행함에 있어 보다 소비자에게 이익이 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입장에서도 이익이 될 수 있는 사회적 풍토 조성이 필요하며, 디지털 시대의 공동체라는 입장에서의 공공적 이익이라는 측면의 사고 정립과 양질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광고 제작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감성광고의 담론적 구성과 사회적 함축 의미

        백선기(Seon Gi Baek),봉미선(Mi Sun Bong),박병우(Byung Woo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1

        본 연구는 최근에 한국사회에서 커다란 주목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쟁점적 담론들을 생성하고 있는 `래미안 아파트` 광고의 의미 구조, 담론 구조 및 이데올로기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들 구조들이 내포하고 있는 텍스트적이면서 동시에 담론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실천의 의미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래미안 아파트` 광고들 중 가장 주목을 받았던 네 가지 광고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광고 사례를 언어 구성과 영상 구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구성물에 대해 기호학적 분석방법과 비판적 담론 분석(CD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페어크로우(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의 주요 개념인 담론의 텍스트, 담론적 실천 및 사회적 실천의 단계별 구조 개념을 중점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래미안 아파트` 광고는 주거적 기능이나 안식의 의미소구뿐만 아니라 중산층 이상에 소구하는 아파트가 지니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의 중간 계급 이상의 계급적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이들이 욕망하고 있는 `중산층 이상의 가족을 구성`하며, `부러움의 대상이 되는 이상적인 가족관계를 동경`하게 하고, 동시에 `이러한 가족을 이룩하게 한 남성들의 헌신과 기여에 대해 감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른바 `가족 중심 이데올로기`, `중산층 중심의 물적 토대 이데올로기` 및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등이 내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aning, discourse and ideological of the advertisement of `Raemian` apartment, an emotional advertisement, which had been popularly concerned and raised many controversies in the Korean society. It also concerned various meanings of its textual practices, discoursive and ideological in the society. Four cases of advertisements of `Raemian` apartment were selected as main research objects. These advertisements were divided into linguistic and pictorial parts, and then each of two parts was analyzed with various semiotic research methods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es (CDAs), especially, Fairclough`s concept of CDA concerning textual, dicoursive and social practicies of discourse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dvertisement of `Raemian` apartment appealed not only for housing and comforting but also for implicating various significant meanings and practices in the Korean society. With its linguistic signs and images, it represented for `upper-middle class,` `ideal family relations,` `wife`s sacrifice` and `husband`s contribution.` And, through its narrative structure and discoursive structure, it advocated for `family-centered ideology,` `upper middle class-focused ideology` and `patriarchal ideology.`

      • KCI등재

        인쇄매체 감성광고에 있어서 일러스트레이션 활용연구

        이수진(Su Jin Lee),서인숙(Ihn Soo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2

        Nature has been destroye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places where the mountains and rivers are, have disappeared under construction. The digital revolution that swept over all the industrial societies cannot make people impressive any longer. People want to return to nature, analog and the past. That is to say, emotion moves their mind, rather than reason. It dominates our society. Nowadays, the foreign and domestic mark depend on emotion. Today, most of the advertisements are emotional. The emotional advertisements mean sensibility appeal, which appeals to the consumers` emotion and feeling. That is, it makes the consumers purchasable whipping up their interest in goods, rather than product, itself. In the past, the reasonable advertisements depended on linguistic expression(head-line, copy etc). On the contrary, when a image suitable to a brand touches our mind, emotional advertisements make us purchasable with head-lin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motional advertisements is an image, Therefore, advertisement agents have need of studying such an image. The image on advertisements includes many things.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illustration images on emotional advertisements and providing new skills and methods. To show newly expressed illustrations, this article selected the emotional advertisements of 14,774 that have been published for two years and classified illustrated 286 advertisements among them. The classified 286 illustration advertisements were re-itemized into pleasure, anger, sadness, and enjoyment. Based on these, it deduced the frequency from emotional appeal advertisements. As the result of such an analysis, this study showed a new possibility in visual images made by using emotional appeal such as pleasure, anger, sadness, and enjoyment using the computer graphic retouching skill and picturesque expressive illustration. These expressive methods should be showed as new alternatives to make various and systematic emotional advertisements.

      • KCI등재
      • KCI등재

        FHD 시대의 감성광고와 스토리텔링

        이성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2

        Influenced the opening of the Digital Ag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roughout the culture and life. Enough to be called a radical with the activation of a web-based Internet market, in particular the case of Korea,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industry. Gav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had an impact on the field of broadcasting and video. Brought a change in the overall technical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web and mobile markets, a more interactive role has expanded. Emotional Society as a transition from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has been made​​. Influenced the flow of change in the advertising market. The advertising environment FHD era to the era and is showing signs of change.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Digital’ and ‘Emotional’. As the digital age through the analog era as a rather Emotional promising social world is changing. Today's customers do not purchase goods or servic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r simply. Rational suggestions for products, goods or services rather than stimulate the mind to the products contained in the story or emotion. In this paper,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digital age, FHD evaluate the change in the form of advertising due to the emergence of IPTV, caused by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the resulting transition to UHD. And discusses the role of advertising for brand management in the digital environment. To do this, first emotion that is based on digital storytelling and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current social communication. It shall attempt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digital UHD era. As a result of powerful visual advertising in the digital age by default should be focused on story structure, storytelling marketing. Course, need to apply flexibl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but if the story is stale because its advertisements to appeal to the consumer channel options. Storytelling to create ad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onsumer in mind to catch.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통한 디지털 시대의 개막은 문화 및 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웹(web)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급진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디지털 산업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방송·영상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전반적인 기술체계의 변화를 가져왔고 웹 및 모바일 시장과 연동되어 인터렉티브(interactive)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사회·문화적 흐름은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감성사회(Emotional Society)로서의 전이(轉移)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변화의 흐름은 광고시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FHD 시대의 광고 환경이 시대에 맞추어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21세기는 ‘디지털’과 '감성'의 시대이다. 아날로그 시대를 지나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세상은 오히려 감성이 각광받는 사회로 바뀌고 있다. 오늘날의 고객은 단순히 상품의 특징이나 특성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지 않는다. 상품에 대한 이성적인 제안보다는 상품에 담긴 이야기나 감성에 자극된 마음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있어 기술적 발전으로 인한 FHD에서 UHD로의 전이와 이로 인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한 IPTV의 등장으로 인한 광고의 변화 양상(樣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브랜드 관리를 위한 광고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감성을 바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현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구조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 시대에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려 한다. 결론적으로 UHD 시대의 광고는 기본적으로 강력한 비주얼을 바탕으로 이야기 구조인 스토리텔링 마케팅에 주력해야 한다. 물론 제품의 특성에 따라 유동적인 적용은 필요하지만, 스토리가 부실하다면, 그 광고는 채널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을 통해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마음을 잡을 수 있는 광고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 뉴트로 감성 광고와 밀레니얼 세대 연구

        강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20대 초중 반의 대학생들이 오버사이즈 재킷과 프로스펙스, 휠라 브랜드의 신발을 착용하고 ~ 멘숀 , ~구락부 와 같은 이름의 술집에서 70, 80년도 디자인의 진로 이즈 백 을 마시는 광경은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다.. 뉴트로 유행은 광고계 전에 이미 유통가에서 먼저 불었다. 그리고 1990년대 음악 방송을 실시간으로 재생해주는 라디오 프로그램도 생겼다. 이렇듯 아날로그 감성으로 과거 추억을 소환시키는 레트로 콘텐츠 를 선보이는 기업과 브랜드들이 많아지고 있다.뉴트로는 특히 1980~90년대 경험 재해석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런 복고의 유행은 불경기 현상의 하나라고 치부된다. 전반적인 경제지표가 좋지 않을 때, 현실에서 별다른 탈출구를 찾지 못할 때 사람들은 과거를 그리워하고 추억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 일컬어지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뉴트로는 디지털 피로감을 탈피할 수 있는 오랜 친구 같은 존재가 된다. 디지털기술은 다양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게 하는 반면,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인간의 싫증을 부추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