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R(Digital Radiography)에서 자동노출제어장치의 감도변화에 따른 검출기 성능평가 시 흡수선량과 히스토그램을 통한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황준호(Jun-Ho Hwang),이경배(Kyung-Ba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장치의 감도변화에 따른 흡수선량의 변화와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검출기 성능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두개부, 복부, 골반부위 별로 검출기 감도 S200, S400, S800, S1000의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검출기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검출기의 감도별 동적범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부위 별 흡수선량은 감도가 S200에서 S1000으로 높게 설정될수록 흡수선량이 단계적으로 감소하였다. 감도 별 히스토그램을 분석한 결과 두개부는 감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히스토그램의 양단의 정보량이 상실되는 결과를 보였다. 복부와 골반부는 감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히스토그램의 첫부분의 정보량이 상실되는 언더플로우 현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검출기가 감도의 변화는 정확하게 구현해 내었으나 검출기 성능저하로 인한 자동노출제어장치의 감도변화에 따른 영상의 동적범위는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검출기의 성능평가 시 흡수선량과 히스토그램을 통한 평가가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to evaluate the detector performance using change of absorbed dose and histogram according to sensitivity change of Auto Exposure Control(AEC). The experiment site is skull, abdomen pelvis and the accuracy of the detector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bsorbed dose of the detector sensitivity S200, S400, S800, S1000. Also the dynamic range of the detector was evaluated through the histogram analysis. As a result, the absorbed dose decreased gradually as the sensitivity was set higher from S200 to S1000. And through the sensitivity histogram analysis, as the sensitivity of the skull is set higher, the amount of information at both ends of the histogram is lost. Abdomen and pelvis areas showed underflow phenomena in which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first part of the histogram was lost as the sensitivity was set higher. In conclusion, the detector accurately implemented the sensitivity change, but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due to the sensitivity change of the AEC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detector performance can not be realized properly and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through the absorbed dose and the histogram is useful whe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tector.

      • KCI등재

        계수와 계량 혼합형 데이터의 특성을 가지는 감도에 대한 가속열화데이터를 이용한 저장 신뢰도 추정

        손영갑(Young Kap Son)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11

        본 논문은 일련의 시점에서 감도 시험을 수행하여 확보한 감도에 대한 가속열화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감도 데이터는 자극의 수준에 대한 계량형 데이터와 자극에 대한 성공/실패 수로 표현되는 계수형 데이터가 혼합된 데이터이다. 한 시점에서의 감도 데이터로부터 반폭점을 추정하는 연구가 대부분 수행되고 있지만 감도에 대한 열화데이터로부터 신뢰도를 추정하는 연구는 미진하고 보수적인 활성화에너지값을 사용하여 저장온도에서의 저장기간에 따른 반폭점을 추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제안한 방법은 한 시점에서의 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폭점을 추정하는 Neyer test를 확장한 방법으로 감도에 대한 열화데이터로부터 활성화에너지 값을 추정하고 반폭점을 포함하여 저장 신뢰도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MCS 방법을 이용하여 감도 데이터를 모사하고 제안하는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storage reliability estimation method using accelerated degradation data obtained via sensitivity tests. Sensitivity data are the mixed data with quantitative variables for stimulus and attribute ones for the number of success or failure according to the stimulu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storage reliability using the degradation data of sensitivity over time, although the estimation of mean exploding point using sensitivity data at a single time point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ese studies, mean exploding points for storage temperature over time have been estimated using a conservative value of the activation energy. The proposed method extends the Neyer test that is used to estimate mean exploding point using sensitivity data at a single time point, and it is capable of directly estimating the storage reliability and mean exploding point, including the activation energy from the accelerated degradation data of sensitivity. The Monte Carlo simulation (MCS) method was used to simulate a series of sensitivity data over time,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 온도에 따른 압전 페인트 센서의 충격 감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승복,한대현,강래형,최경후,강동훈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충격감지를 위해 개발한 압전 페인트 센서의 열 환경 노출 전과 후의 감도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대부분의 구조물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20~80℃ 온도에 노출 시킨 후, 노출 횟수를 달리하여 충격에 대한 센서의 감도를 측정했다. 감도 측정을 위해 impact hammer 를 활용해 충격력을 측정하고, 충격을 받은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여 충격에 대한 센서의 감도를 계산하였다. 열 환경 노출 횟수를 10 회부터 최대 300 회까지 진행하였고, 27 개의 알루미늄시편을 3 개씩 9 그룹으로 구분하여 감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열 환경 노출 후 경우 감도는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었지만 감도 점들의 분산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고온에서 압전 페인트 센서 제작 과정 중 사용한 에폭시의 특성 변화로 시편과의 접착력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열 환경 노출 전과 후 모두 충격에 대한 충분한 감도를 보였으며, -20~80℃내에 존재하는 구조물의 충격감지를 위해 압전 페인트 센서가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rmal exposu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piezoelectric paint sensor developed for impact monitoring. Since most of the structure is exposed to the environment, aluminum specimen coated the paint sensor was exposed to the temperature of -20 to 80 degrees Celsius and sensor sensitivity was measured in this condition. For the sensitivity measurement, impact hammer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impulse strength. Also, by measuring the voltage generated from the sensor subjected to the impact, the sensor sensitivity was calculated. Test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9 groups according to the repetition number of environmental exposure. In result, before and after the thermal environment experiments, the degree of scattering of the sensitivity measurement data increases a little, but the sensor sensitivity is substantially similar. In other words, this sensor has sufficient sensitivity for impact monitoring and could be used on structures in -20 to 80 degree Celsius environmental condition.

      • KCI등재

        난시량에 따른 수차와 대비 감도가 시력에 미치는 영향

        김봉환,한선희,박선미,전아현,박희문,유재환,류승희 한국안광학회 2017 한국안광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he effect of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due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on vision. Methods: 44 patients (males: 29, females: 15) of the mean age 21.0(±1.2) years without ocular disease were examined. The aberration was measured with a Wave-Front Analyzer KR-1W(TOPCON) instrument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with a Contrast Sensitivity Chart (HDC-9000N/PF, Huvitz). Results: High-order aber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creasing astigmatism,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fferences of astigmatism axis. Contrast sensitivity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but it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stigmatism axis. Contrast sensitivity in astigmatism correction als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herical equivalent(S.E) correction and correction by cylinder lenses. Contrast sensitivity in same spatial frequenc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 correction and correction by cylinder lenses. Conclusions: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astigmatism and the astigmatic correction method.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not influenced by the astigmatism axis. And it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on by raising the contrast sensitivity with accurate astigmatism correction. 목적: 난시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차와 대비 감도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 나이 21.0(±1.2)세의 44명(남:29명 여:15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실험은 Wave-Front Analyzer KR-1W (TOPCON) 기기로 수차를 측정하였고 Contrast Sensitivity Chart(HDC-9000N/PF, Huvitz)로 대비 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위 수차는 난시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시 축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비 감도의 측정에서 난시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난시 축으로 나누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난시량을 등가구면 교정하였을 때와 난시교정 했을 때 대비 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등가구면 교정과 난시교정 하였을 때는 동일한 공간 주파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비 감도는 난시량과 난시 교정방법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비 감도는 난시 축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정확한난시 교정으로 대비 감도를 높여 시력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콘택트렌즈와 안경 착용자의 대비감도 비교

        김재민,이민아 한국안광학회 2007 한국안광학회지 Vol.12 No.4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ontrast sensitivity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spectacle wearers or emmetropia. Seventy myopic eyes and thirty emmetropic eyes aged 19 to 26 years were collected. The myopic group included 48 eyes corrected with spectacle lenses and 22 eyes of them corrected with contact lenses, too: all had corrected vision acuity of 20/20 or better. Spatial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OPTEC 6500 contrast sensitivity view-in tester included the EyeView Functional Vision Analysis software at photopic or mesoopic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spectacle lenses and emmetropes.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showed statistical sensitivity losses at 1.5, 12 cycle/degree spatial frequencies.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loss of contrast sensitivity in soft contact lens wearers might be interpreted as evidence for corneal disruption before corneal pathological events occur in contact lens wearers. Contrast sensitivity testing appears to be a useful method for evaluating soft contact lenses.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안경 장용자 그리고 정시안의 대비감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 은 만 19-26세로 근시 70안과 정시 30안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근시안 그룹은 안경장용자 48안과 콘택트렌즈 착 용자 22안으로 모두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안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공간 대비감도는 EyeView Functional Vision Analysis software가 포함된 Optec 6500 Vision Tester (Stereo Optical. USA)을 이용하여 Photopic (85cd)과 mesopic (3cd) 상태에서 대비 감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안경장용자는 정시안과 비교하여 모든 조건에서 대비감 도에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정시안에 비해 1.5와 12cpd에서 통계적으로 낮은 대 비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대비감도가 낮게 나온 것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각막 병리로 진행하기 전단계에서 나타나는 각막 문제의 증거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비감도 검사는 소프트렌즈 콘택트 렌즈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컴퓨터 방사선영상시스템에서 비감도를 이용한 영상판의 상대적 발광량 평가

        성열훈(Youl-Hun Seou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필름/증감지 방식에서 사용된 비감도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컴퓨터 방사선영상에서 영상판의 상대적 발광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감도 측정을 위한 특성곡선은 균일한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11 계단의 투과도계를 이용하였다. 디지털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X선 조사조건은 50 kVp, 10 mAs 로 조절했다. 영상후처리 알고리즘(MUSICA)의 모든 파라메터들은 제로화하여 원본 데이터에 근사화하였고 레이저 조사분류(exposure class)는 200으로 고정하였다. 영상판의 상대적 발광량 모델링은 X선 조사후 0, 4, 8, 12, 24 시간 보관한 영상판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 방사선영상시스템의 영상판 비감도 측정에 필요한 감도점 농도는 모든 특성곡선을 상대적으로 측정하기 용이한 2000 픽셀(pixel) 값이 적합하였다. 또한 영상판의 비감도가 저하될 때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빛 발광량도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감도 평가방법은 컴퓨터 방사선영상시스템에서 영상판의 상대적 발광량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a relative emission of image plate (IP) in computed radiography (CR) system by using relative sensitivity in film/screen methods. The characteristic curve was obtained by using the uniform aluminum 11-step wedge penetrometer. X-ray exposure factors on radiographic digital image were 50 kVp, 10 mAs. We adjusted zero of all parameter of algorithms (MUSICA) so proximate to raw data and applied to 200 of exposure class. Modeling on relative emission of IP are used IP without fading time and IP after 4 hours, 8 hours, 12 hours, 24 hours in the respective storage after X-ray expo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nsitivity point density at the measuring of relative sensitivity in CR was suited pixel values of the 2000 easy to relatively measure the characteristic curve and when relative sensitivity is decrease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image signal for generating was also decreased.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of measurement of relative sensitivity can be utilized to evaluate the quantity of relative emission of IP in CR system.

      • KCI등재

        자동노출제어장치의 채광창 차폐정도와 농도, 감도의 변화가 관전류량과 영상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민규(Min-Gyu Jeong),성열훈(Youl-Hun Seoung)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자동노출제어장치(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의 채광창 차폐정도와 농도, 감도가 관전류량과 영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장비는 X선관과 간접방식의 디지털검출기가 일체형인 디지털방사선발생장치(Digital Diagnost, Philips, Netherlands)를 사용하였다. 채광창 차폐정도는 3 mm 두께의 납을 이용하여 0%부터 100%까지 12.5%씩 순차적으로 누적 차폐하여 9단계로 구분하였다. 농도는 제조사에서 제시한 3단계(+2.5, 0, -2.5)와 감도 3단계(S200, S400, S800)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전류량 평가는 관전압을 40 kVp로 고정하고 AEC 조절인자들이 교차한 81가지의 조합조건에서 자동 노출된 관전류량을 측정하였다. 영상품질평가는 자체 제작한 원뿔형 피라미드 팬텀의 방사선영상을 육안 평가하여 유효한 영상을 선발하였고 이들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관전류량은 채광창 차폐정도가 100%, 감도 S200, 농도 2.5일 때 60.0 mAs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며, 채광창 차폐정도가 0%, 감도 S800, 농도 -2.5일 때 0.9 mAs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SNR은 채광창 차폐정도가 0%, 감도 S200, 농도 2.5일 때 25.2로 가장 우수하였고, 채광창 차폐정도가 25%, 감도 S800, 농도 -2.5일 때 SNR이 4.7로 가장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shielding area of field configuration with changing of sensitivity and density on tube current (milliampere-seconds, mAs) and image quality in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system. The equipment used a digital radiography device (Digital Diagnost, Philips, Netherlands), which has a integral type with an X-ray tube and an indirect digital detector. The AEC system conditions were consisted of 9 setting environments, that mode changing of the sensitivity (S200, S400, S800) and the density (+2.5, 0, -2.5). The tube current evaluated automatically exposed mAs under 81 combination conditions crossed by AEC conditions in fixed at 40 kVp. The image quality evaluated the radiographic images that selected valid images by visual assessment the radiographic images of the self-produced conical pyramid phantom and then measured their signal to noise ratio (SNR). As a result, the maximum tube current was 60.0 mAs that automatically exposed conditions were the 100% of shielding area and the sensitivity of S200 and the density of +2.5. The minimum tube current was 0.9 mAs with non-shielding area and the sensitivity of S800 and the density of -2.5. When the shielded area 0% with the sensitivity of S200 and the density of +2.5, the maximum SNR was the highest as 25.2. But when the shielded area 25% with the sensitivity of S800 and the density of -2.5, the minimum SNR was the lowest as 4.7.

      • KCI등재

        물류 시스템에서 RFID 태그 수신감도를 이용한 태그 오인식 검출

        김영민(Youngmin Kim),강의선(Euisun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RFID의 특징 중 하나는 태그마다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물류시스템에서는 태그를 제품에 부착하여 위치 추적과 재고 파악등 많은 부분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RFID 리더가 태그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주변에 적재된 이동성이 없는 태그를 모두 인식함으로써 실질적인 인식률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RFID리더가 태그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이동하고 있는 태그와 움직임이 없는 태그의 수신 감도를 시간 별로 추적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동체에 부착된 태그는 안테나와 가까워질수록 태그 수신 감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지만 움직임이 없는 RFID 태그의 경우 동일한 세기의 태그 수신 감도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태그의 움직임을 판별하기 위하여 분석된 데이터와 Matlab을 이용하여 함수를 생성한 후 실험에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적재함 주변의 움직임이 없는 태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고 전반적인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e of RFID features is that each RFID tag has a unique identifying code. Logistic System utilizes RFID tag as location tracing, understanding stock or etc.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of overall lower recognition rate by getting the information of non-mobility tags with no need for reading. To solve this problem, we trace and analyze variation of moving and moveless RFID tag sensitivity by the hour. In analyzed data, we verify that tag sensitivity of mobile RFID is gradually increase while non-mobility tag has same intensity value. In order to detect mobile tag, we generate a function using Matlab with analyzed data and separate moving tags from non-mobility tags by software. As a result, we can confirm that non-mobility tags are detected by software and recognition rate of RFID tag is improved by separating moveless tag.

      • KCI등재

        광전식스포트형 감지기의 LED광원 광량 감소에 따른 감도 특성 분석

        정종진(Jongjin Jung)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의 개정으로 아파트, 의료시설 등에 설치가 의무화 된 이후 그 설치 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연기감지기의 LED광원이 가지는 전기적 특성과 온도, 방사광, 수명과의 상관관계를 해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감지기는 광전식스포트형 아날로그 연기감지기이며 실시간 연기 측정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연기감지기의 핵심부품인 LED의 수명과 연관 있는 광량을 조절하여 광량 감소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감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LED의 광량이 10% 감소하면 연기감지기의 감도는 12.5% 감소하고, 광량이 30% 감소하면 연기감지기 감도는 61%로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광량 감소에 따른 감지기 감도 변화 특성 방정식을 도출하였으며 LED광량이 감소하면 연기감지기의 감도는 광량 감소량 보다 약 37% 더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광전식스포트형 연기감지기를 개발할 때는 LED전류-방사광 특성 곡선과 광원의 전류와 주위온도 등의 상관관계를 함께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제품의 기능유지와 사후관리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fter the revision of “Fire Safety Standards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Visual Alarm Equipment (NFSC 203)” in 2015 made it mandatory to install smoke detectors in apartments and medical facilities, their number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detector used in the experiment was a photoelectric spot-type analog smoke detecto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nfiguring a real-time smoke monitoring system. In addition, the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detector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intensity of light were analyzed. This was achieved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related to the lifespan of the LED, a vital component of the smoke detector. When a intensity of LED light decreased by 10%, the sensitivity of the smoke detector decreased by 12.5%. When a intensity of light decreased by 30%, it decreased to 61% of the smoke detector sensitivity value. From these results, An equation for the change in sensitivity of a smoke detector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intensity of light was derived.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light intensity of the LED de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smoke detector decreases by about 37% more than the decrease in light intensity. Therefore, when developing a photoelectric spot-type smoke detector, establishing the LED current-radiation light characteristic curv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of the light sourc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will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s function and post-management.

      • KCI등재

        DR(Digital Radiography)에서 관전압 및 자동노출제어장치의 감도 변화에 따른 검출기의 동적 범위 성능평가 방법연구 -Dynamic Step Wedge와 히스토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황준호,최지안,김현수,이경배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detector by analyzing the dynamic step wedge and histogram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when using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The performance of a detector was evaluated by measuring X-ray quality, Entrance Surface Dose (ESD), tube current, dynamic range corresponding to detector sensitivities of S200, S400, S800, S1000 per tube voltage of 60, 70, 81, 90 kVp. As a results, all of the qualities satisfied the acceptance criteria, and the Entrance Surface Dose and tube current were decreased stage by stage as sensitivity was set higher. In the dynamic step wedge, the observable dynamic range has also increased as tube voltage became higher. The histogram showed the quantization separation phenomena as the tube voltage was set higher. The higher the sensitivity, the more the underflow and overflow occurred in which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both ends of the histogram was lost. In conclusion, the deterior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detector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o realize the change of the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when using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and it is useful to use dynamic step wedge and histogram in evaluating detector performance evaluation.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장치 사용 시 관전압과 감도 변화에 따른 dynamic step wedge와 히스토그램의 동적 범위 분석을 통해 검출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관전압 60, 70, 81, 90 kVp 별로 검출기 감도 S200, S400, S800, S1000에 해당하는 선질, 입사표면선량, 관전류량, 동적 범위를 측정하여 검출기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질은 모두 합격 기준에 부합하였고, 입사표면선량과 관전류량은 감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단계적으로 감소하였다. Dynamic step wedge는 관전압이 높아질수록 관찰 가능한 동적 범위도 함께 증가하였고, 또한 히스토그램은 관전압과 감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양자화 이격 현상과 히스토그램 양단의 정보량이 상실되는 언더플로우와 오버플로우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검출기가 성능 저하로 인하여 자동노출제어장치 사용 시 관전압과 감도 변화에 따른 동적 범위를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검출기 성능평가 시 dynamic step wedge와 히스토그램을 통한 평가가 유용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