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시대인식과 이론적 배경

        유지웅 ( Yoo Ji-woong ),황갑연 ( Hwang Gap-yeo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이 논문은 간재 전우의 삶에서 타학파 성리설에 대한 비판, 수도(守道)와 전도(傳道)의 선택 그리고 파리장서(巴里長書)에 대한 서명 거부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러한 선택들에 대한 전우의 문제의식과 그 선택들의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 『간재집(艮齋集)』에는 타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 수많은 글들이 남아있다. 조선 성리학자 가운데 양적으로 전우만큼 타학파 성리설을 비판하는 글을 많이 발표한 인물도 드물 것이다. 또한 화서학파의 유인석을 비롯해 당시의 유림들이 전우에게 의병활동에 나서 줄 것을 요청했지만 위정척사의 구체적인 방법론에서는 수도와 전도를 선택해 당시 주변 학자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전우가 선택한 것 가운데 가장 많은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논란이 되었던 것은 파리장서에 서명을 거부한 것이다. 성리학자들은 늘 자신의 철학적인 입장을 토대로 선택하고 행동한다. 전우가 타 학파 성리설을 비판한 수많은 글을 발표한 것도 그리고 수도와 전도의 방법론을 선택한 것, 파리장서에 서명하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의식도 전우의 철학적 입장에 기인할 것이다. 그렇다면 전우의 선택과 그의 성리설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일까? 전우가 이 세 가지 선택을 한 것은 망국의 원인을 리(성리학)에게 전가시킬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심본성(心本性)과 명덕심설(明德心說)의 이론적 배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전우의 선택들이 당시의 시대정신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지만,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만큼은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성리학자라 평가할 수 있다. Assuming the symbolism of criticisms of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choice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refusal to sign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in the life of Ganjae Jeon Woo, one of the utmost figures in the Neo-Confucian community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theoretical grounds of his acts. Jeon Woo published a number of works to criticize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There were no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that published more works to criticize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than Jeon Woo. He was also ask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s a specific methodology of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but he made a passive choice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accordingly received a lot of criticism from scholars around him those days. But the most criticized and controversial choice of his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as his refusal to sign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investigator figures that his Neo-Confucian theory was deeply connected to his almost obsessive criticism of Neo-Confucian theories by other schools, his methodology of keeping and transmitting Dao, and his decision of not signing on the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re was his consistent theoretical background in his three choices: the cause of fallen Joseon could not be attributed to Neo-Confucianism, and the mind and nature or principle should serve as the root. There is no positive confirmation that his choices matched the spirit of the times those days, but there is no doubt that he was a consistent and systematic Neo-Confucian scholar at least in compatibilit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간재 전우 성리설의 문제의식

        유지웅 ( Yoo Ji-woong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19세기 중반을 전후한 기호학계는 그동안 절대적 권위를 가지고 있던 ‘心是氣’에 대한 비판과 회의가 크게 성행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주도하던 인물로는 李恒老와 奇正鎭이 있다. ‘心是氣’에 대한 이들의 공통된 입장은 인간의 행위를 주재하는 심을 악의 원인이 되는 '氣'로 파악함으로서 현재의 혼란상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이는 곧 '心是氣'는 더 이상 당시의 시대적 혼란상을 극복해 나가고 상황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호학계의 상황에서 理無爲, 氣有爲, 性卽理, 心是氣의 전통을 고수한 인물은 田愚이다. 특히 전우는 華西, 蘆沙學派의 성리설에 대해 性을 大本으로 여기지 않고 心을 大本으로 여기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한다. 그래서 전우는 조선 성리학의 정통성을 기호 성리설을 통해 재확인함과 동시에 ‘心是氣’에 반하는 학설 비판에 평생을 쏟게 된다. 이에 필자는 한말 기호학계의 상황에서 전우가 고민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의식에 의해 제시된 그의 성리설이 그가 택한 自靖과 講學활동과는 어떠한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확인하려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전우가 왜 心是氣를 고수하였는지 주목했다. 단지 철저한 사승관계에 대한 계승적 측면에서 이를 바라본다면 전우 성리설에는 아무런 생명력이 없을 것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理의 주재를 관철시키기 위해 실질적 실현자인 ‘心(氣)’에 주목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극복하려 했던 문제의식이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당시 시대적 혼란상의 원인을 心에서 찾고 있지만, 결국 이 심은 다른이의 心이 아니라 전우 바로 자신의 心이라고 생각했다. 전우는 이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理’가 조선의 땅에 다시 실현될 수 있도록 성리학 道統의 전수자로서의 역할을 자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attempts to clarify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Ganjae adhered to 'the mind is vital force' in the situation of Kiho school, which was the subject of the theory of Simjuri. After that, this paper will clarify to reveal the meaning of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which is presented by his critical mind, at the time. Especially, I have wondered why Ganjae’s Neo-Confucianism adhered to in this paper. Ganjae's theory of Neo-Confucianism would have no val-ue if it were considered in a successive point of view of close relations between student and teacher. Because of the fundamental critical mind of such intervention, he refused to guarantee the superintendence of the mind by assuming the moblie of li like Hwaseo and Nosa. That is why I be-lieve that Ganjae adhered to 'the mind is vital force'. From Ganjae's per-spective, li's mobile is undermining its character of always good and the absoluteness, and also denying the value of Neo-Confucianism. Thus, Ganjae's adherence to ''the mind is vital force'' can be attributed to his critical mind. So how did Ganjae want to overcome the chaos of the times? According to Ganjae's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realization of an immobile moral nature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mind.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e mind is vital force’. In other words, the mind is not steady but has a possibility of change. However, this possibility of change has a negative meaning that it can interfere with the realization of the moral nature, but on the other hand it implies the positive meaning that the moral nature can be fully realized. Therefore, Ganjae gave active responsibility to 'the mind is vital force',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change,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li was not realized properly. So that is why it is 'the mind is vital force'.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신정통주의 성리학

        선병삼 ( Sun Byeongsam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는 조선 말기부터 근대 초기를 살다간 성리학자로 기호학맥의 도통을 마무리한 큰 선비다. 본 논문은 독존주자(獨尊朱子)적 학문관과 독선수교(獨善垂敎)의 실천관을 견지한 간재 전우의 성리학을 신정통주의라는 입장을 가지고 조망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현실을 외면한 주자학 묵수주의라는 부정적 평가를 완화하고 간재 성리학의 본래적 의의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지를 전개했다. ‘경전(사서)으로 돌아가자’는 경학사상과 ‘주자의 참뜻으로 돌아가자’는 성리학을 통해 간재 성리학의 신정통주의적 특성을 살폈다. 간재 학설의 종설인 성사심제(이심학성)를 분석해 보면, 성사심제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공부하는 주체가 마음임을 분명히 하여 주자학 말류가 심신 공부를 소홀히 한 병폐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또한 공부하는 대상을 본성으로 상정하여 양명학처럼 이단의 학문이 시심자용(恃心自用) 하여 창광방자 하는 병폐를 막고자 했다. 정리하면, 온 나라의 명운이 백척간두의 끝에 내몰리던 그 한말에 간재는 주자학 말류가 실천을 중시하지 않고 이론적 탐색에 몰두한 폐단을 극복하면서도 창광방자(猖狂放恣) 하는 양명학의 병폐를 막아낼 수 있는 학설을 모색했고 그 결과물이 이 심학성의 성사심제론이었던 것이다. 이것이 간재 도학의 본질이고 간재의 성리학을 신정통주의라고 규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셈이다. Ganjae Jeon Woo(1841-1922) who inherited the Yulgok school tradition and fought to protect the originality of the Yulgok school is a great confucianist of moder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 summarize his theory and practice as dok-zon-zhu xi(獨尊朱子: accepting zhu xi’s theory only) and dok-seon-su-gyo(獨善垂敎: self-regulating to influence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lay stress on his confucian theory in terms of neo-orthodoxy in order to free him from criticism such as turning away from crisis of Joseon Dynasty and adhering to Zhu xi’s theory only. seong-sa-sim-jae(性師心弟: human natur is a master and mind-heart is a disciple) is a Gangae Jeon woo’s overall theory in his confucianism, using it for going with his criticism on the other schools such as Hwaseo Lee Hangro, Nosa Gi Jungjin, Hanju Lee Jinsang. Especially, by theoretical analyzing yi-sim-hak-seong(以心學性: mind-heart conforms hunman nature), which is his another overall theory, we can reach the conclusion what makes him give stress on the seong-sa-sim-jae(性師心弟: human natur is a master and mind-heart is a disciple). By it, he endeavors to overcome zhu xi school’s defect of looking down on mind-heart, also tries to correct yang ming school’s default of follow one's own whims.

      • KCI등재

        간재 전우의 도덕적 심론과 명덕설

        유지웅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5

        This paper is to study the theoretical structure and feature of the theory of moral mind and bright virtue of the Ganjae Jeon Woo(1841~1922), who was the famous confucianist in the late Joseon Korea. Based on study of ChuHsi, Jeon Woo’s neo-confucianism was developed with Simsiqi which was suggested by Lee Yi. While he tried to solve misunderstanding regarding Simsiqi, he suggested the theory of mind to gain realization of Goodness aimed by neo-confucianism and with this, he developed the feature of the theory of Mind and Bright Virtu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Jeon Woo had critic mind about realization of moral practice of human can not be attained only with realization of Goodness of nature. Thus, for nature which has inactive character cannot be realized without medium of mind, so it must be focused on Mind which is main body of realization of Goodness of nature. For this, a structure of mind and nature should be suggested as realization of moral practice in the world with discussion of Mind as the main body of moral action. Jeon Woo also regarded condition or capacity of Mind as Bright Virtue. He thought this capacity comes from Qi. Thus, he interpreted Bright Virtue focused on an indigenous capacity of Mind and suggested spiritual perception as the point. The feature of Jeon Woo’s theory of Mind and Bright Virtue was being developed focused on the authencity of Mind. 이 논문은 한말 도학계의 대표적 학자인 간재 전우(1841~1922)의 심론과 명덕설의 특징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우의 성리설은 주자학과 더불어 이이가 제시한 심시기가 중심을 이루며, 김창협으로부터 시작된 낙론계 성리설을 계승하는 바탕위에서 형성된다. 특히 전우는 한말 도학계의 대표적인 학파인 화서‧노사‧한주학파와의 논쟁을 통해 낙론계 성리설을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킴과 동시에 심본성, 성사심제, 성존심비의 자가설을 통해 자신의 성리설 특징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주목하고 있는 전우 성리설 특징은 심본성, 성사심제, 심존성비와 같이 심성관계에서 성을 부각시키는 측면 보다는 선의 실천주체인 심의 논의에 주목하고자 한다. 전우를 비롯한 낙론계 성리설의 특징은 도덕본성의 실재만으로는 선이 온전히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도덕본성은 인간이 선을 행함에 있어서 도덕 가능 근거가 되지만 이는 결국 무위한 것이기에 반드시 심의 매개를 통해서만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우는 실천주체인 심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선을 실천할 수 있는 심의 구조적 기반을 모색하기 위해 심의 도덕적 영역을 확보하는 심론을 구축하였으며, 명덕설 역시 심론과 결부되어 허령불매한 지각능력을 핵심으로 전개되는 특징을 보인다. 전우는 심이 본래적으로 선하다는 심본선을 제시한다. 하지만 성즉리, 심시기를 계승하는 전우에게 있어서 순선한 성과 달리 심은 겸선악하며, 결국 악으로 흐를 가능성이 농후한 기와의 연관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전우는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대한 차별적 이해를 통해 심은 기의 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라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심이 본래적으로 선하다는 심본선의 논의를 이끌게 된다. 심본선은 심이 본래 선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항상 선을 근본으로 한다는 지향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우는 기본말과 심본선을 통해 기에 대한 리의 자연한 주재, 심에 대한 성의 자연한 주재가 가능한 리기, 심성의 구조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기의 본으로 이루어진 심은 본래적으로 선할 뿐 아니라 선을 근본으로 하는 지향의 의미 역시 가지고 있기에 실천주체인 심에 대한 도덕적 영역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적 심은 늘 선을 지향하기에 성이 심을 자연하게 주재할 수 있는 성위심재의 심성관계가 구축된다. 또한 심론과 결부되어 있는 명덕설은 허령불매한 지각능력을 핵심으로 제시하여 심 차원에서의 도덕가능 근거와 수양의 근거로도 작용하게 된다.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예학사상 고찰 - 상례(喪禮)를 중심으로 -

        김현수 ( Kim Hyunsoo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본고는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예학(禮學) 중 상례(喪禮)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례란 부모 및 친족 등의 죽음과 관계되는 예로, 사례(四禮) 중 가장 복잡하고 중요하다. 필자는 상례 중에서 전통적으로 논란이 많았던 항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간재 예학을 고찰하였다. 예컨대 1659년의 기해년(己亥年) 전례논쟁에서 부각된 ‘장자복제(長子服制)’ 예설,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에 아들이 어머니를 위해 재최기년복(齊衰期年服)과 심상(心喪)을 하는 예설, 『가례(家禮)』에 규정이 없어서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된 개장(改葬)과 훼손된 묘(墓)를 복토(復土)할 때의 복제 등을 살폈다. 간재 예학의 특징을 분석하면, 우선 간재는 율곡학파 내 예학자들의 예설을 기반으로 하여 타당한 예설을 찾으려 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 중 예설 인용 및 전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 스승인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와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예설을 존숭했다는 점이다. 특히 매산의 경우에 상례에서 예설을 인용한 경우가 율곡학파 내에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긍정하거나 중요한 근거로 삼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적해야 할 부분은 종법의 원리를 강조하고 예의 근본(천리·인륜)에 기반하여 예설을 주장하고 실천하려는 입장이다. 다양한 변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의 근본을 지켜 상실하지 않는 것이 우선 요구된다. 특히 ‘장자복제(長子服制)’ 예설에서 부각된 적적상승삼대지설(適適相承三代之說)이 주목된다. 이는 혼란스러운 한말에 간재가 엄격하게 종법 원칙을 강조했던 것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This Paper is research for Jeon, Woo(田愚: 1841-1922, the nom de plume: Ganjae)'s funeral ritual of lixue(禮學). Funeral ritual is related to the death of parents and relatives, belongs to the most complicated and important ritual of the family rituals. Since there are not many research on Woo Jeon's lixue, the characteristics of Woo Jeon's funeral ritual was considered through topic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controversial. It is research for theory of Li about mourning for the eldest son, the son's funeral ritual for the mother's death when the father is alive, ritual of transferring a grave.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s Lixue are as follows. First, Ganjae mainly tried to look at the Yulgok School's theory of Li and find the most valid argument. Especially he tried to respect and succeed his teacher Jeonjae & Maesan's theory of li about the ritual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controversial. Maesan's theory of li was most often cited, and most of them was positive and important grounds. Second, Ganjae emphasized zongfa(clan rules)'s principles and theory of Li based on the nature law and human nature being.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it is first required not to lose the li's basis and principles.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역학관 시론

        이선경 ( Yi Suhn-gyoh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68

        이 논문은 간재의 역학사상을 주제로 한 첫 번째 연구이다. 간재(艮齋)는 방대한 문집을 남겼음에도, 그의 역학사상을 고찰할 수 있을 만한 번듯한 자료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호가 『주역』의 간괘(艮卦)에서 왔음을 생각할 때, 그가 역(易)을 소홀히 하였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이 논문은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간재의 문집가운데, 역학과 관련된 단편들을 수습하고, 주고받은 서신을 통해 간괘에 대해 언급한 내용을 종합하여, 간재의 역학관을 시론한 것이다. 간재는 술수학적 호기심을 경계하고, 「정전(程傳)」중심의 의리역학을 지향한다. 간재는 『역학계몽(易學啟蒙)』에 실린 ‘역유태극(易有太極)’에서의 태극은 ‘실리처’로부터 말한 것으로, ‘비록 음양과 섞여있더라도, 태극은 그 자체로 리(理)’라고 주장한다. 또한 「독원형이정설(讀元亨利貞說)」등에서와 같이 역을 소재로 ‘심(心)은 유위(有爲)이고, 성(性)은 무위(無爲)’라는 심성의 구별에 치중함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간학(艮學)’ ‘돈간지학(敦艮之學)’이라는 용어를 쓰며, 간괘를 수양의 요체로 중시한다. ‘그 등에 그친다[艮其背]’의 배(背)는 ‘이치의 극치’이고 간(艮)은 ‘마음의 공효’로서, 이는 심(心)과 리(理)가 하나가 되어 편안한 성인(聖人)의 궁극적 경지라 한다. 간재는 간괘(艮卦)가 경(敬)과 주정(主靜)공부의 근원이자 시중(時中)으로 나아가는 토대가 된다고 보고, 평생을 ‘간학(艮學)’에 힘썼지만 여전히 이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토로한다. 간재는 유일하게 대과괘(大過卦)에 대해서만 「독대과대상(讀大過大象)」을 지어, 대과(大過)의 시절에 행해야 할 대과(大過)의 방식, 즉 ‘남들과 다른 크게 지나친 대처법’에 대해 논한다. 간괘(艮卦)에서 얻는 그 자신이 그칠 바로서의 시중(時中)의 자리가 비상한 시국을 살았던 간재에게는 대과괘로 구현되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n the subject of the Yijing thought of Ganjae (GenZhai艮齋) Jeon Woo (TianYu田愚, 1841~1922). Although A left a vast collection of writings, no substantial material has been found so far to consider his thoughts on Yijing. This paper is a collection of fragments related to Yijing thought among the literary works of Ganjae, and a demonstration of his Yijing thought. He criticizes the way Yijing is interpreted in images and numbers, and studies Yijing from a humanistic point of view. He values Gan (Gen 艮□)Hexagram as the core of cultivation. He uses the term of “Mindfullness of Gen Hexagram”, it means that he valued the meaning of Gan (Gen) Hexagram very much. Especially his pen name came from Gan (Gen) Hexagram. Gan (Gen艮) means ‘stilling’ or ‘stopping’. He notes the meaning of “stilling the back” in Guaesa (Guachi 卦辭). The back is an invisible place. Because you can't see it with your eyes, your mind doesn't work. Therefore, greed does not arise. He says that 'back' is 'extreme reason' and 'a' or 'stopping' is 'a function of mind.' A can be said to be a saint whose mind's work and principles are united. He also say ‘reverent attentiveness (Gyung; jing 敬)’in Neo-confucianism derive from stilling of Gan (Gen). In the face of his country's collapse, he found a spot in Daguo (大過, surpassing by the Great) Hexagram where he himself should stop and stay. Despite many criticisms against him, who did not fight for independence at the time, he determined that his mission at the time was to preserve the truth of Confucianism, and walked the path firmly. That is the lesson of Daegua (Daguo 大過) he found, and dynamic equilibrium (時中) he found.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자존의식과 강학활동

        이천승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3

        This paper explored the spirit of Seonbi from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a Confucian scholar who was devoted to preserving Confucian culture through his sense of self-esteem in relation to traditional culture and education around the dawn of the 20th century. First, I identified in Ganjae one single aspect of an intellectual who lived through the chaotic period of rapid collapse of traditional value set. Albeit fame he earned early on, Ganjae went through a series of anger and frustration. The society had changed into the one that would not embrace his strong ambition to bring traditional values into full fruition. His sense of self-esteem that desired to recover Confucian-based spirits and civil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demonstrates the spirit of scholar trying to hold our cultural identify right. Second, I noticed education he chose; and aspiration for the new age he presented and laid the foundation for as a means to preserve Confucian value. Even in extreme situations in which future seemed elusive, he never gave up having seed of hope sown to flourish. An idea that any psychology and behavior should at all times be judged primarily based on moral compass or value of norms laid the theoretical groundwork of his such behavior. And this is considered as one of his major academic achievements. Academic activities of literary figures following Ganjae have influenced the academic circle for generations. Albeit limits in getting the messages through to the real world, strict self-discipline and call for awakening about human nature that Ganjae and other literary figures presented formed a type of ethical values that was never swayed even in the time of rapid transformation. 이 논문은 기호학맥의 흐름을 올곧이 계승하려 노력했던 간재 전우(艮齋 田愚)의 삶과 철학, 그리고 일상에 녹아내린 교육활동을 통해 당대 지식인의 문화자존의식과 유교문화를 사수하려는 불굴의 지향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기존의 가치체계가 급격하고 송두리째 붕괴되던 시대적 혼돈 속에서 간재가 열망했던 인간다운 삶의 가치와 그러한 삶의 방식을 묵수하려는 과정에서 존재의미를 찾았던 지성인의 한 모습을 살펴보았다. 개인의 영민성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유림계에서 명성을 지녔던 간재의 삶은 분노와 좌절의 연속이었다. 이미 전통적 가치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싶었던 그의 결기어린 선비정신을 더 이상 이해하고 포용할 사회가 아니었던 것이다. 단발령, 창씨개명 등 노골화된 일제의 식민지배는 유학을 기반으로 하는 조선이 지탱해온 정신문명의 근간을 흔들었다. 일제의 문명개화를 앞세운 타율적 근대화가 전방위적으로 강요되는 상황에서 간재는 꺼져가는 유학의 불씨를 사수하는 선봉에 섰다. 유학의 정신을 바탕으로 형성된 정신문화에 대한 당대 지식인의 자각과 그 실현 주체로서 느끼는 문화자존감은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길이 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불굴의 선비정신은 간재를 마지막까지 간재답게 자리매김해 주었다고 평가된다. 둘째, 일제강점기라는 참담한 현실에서 유학적 가치를 고수하려는 방법으로 간재가 택한 교육과 그를 통한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을 살펴보았다. 그는 미래를 기약할 수 없는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의 싹을 뿌리는 길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그 이론적 토대로서 간재의 학문은 도덕적 본성의 준수에 따른 인간다움의 가치를 고양시키는 일에 집중되었다. 어떠한 심리나 행동이든 항상 도덕적 본성 내지 규범의 가치를 우선적인 기준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는 점, 우리가 추구해야 될 본성은 존재 그 자체로 변함없는 의미를 지닌다는 점 등은 그의 학문적 성취로 손꼽힌다. 조선유학의 말미에서 정리된 간재의 그러한 사유들은 다름 아닌 유학을 근간으로 하는 문화자존의식의 재천명이었다. 즉 인간은 멋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살아야 한다는 신념의 표현이었다. 간재의 정신은 그를 중심으로 결집된 문인들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하나의 목소리로 모아지면서 꺼져가는 전통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다. 현실에 좌절하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희망의 싹을 키워나가려는 간재의 노력이 일궈낸 결과들이다. 이를 이은 간재문인들의 학문 활동은 세대를 넘어 학계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고,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보이지 않는 저수지 역할을 하였다. 비록 현실과의 소통에 한계는 있었지만, 간재와 그 문인들이 보여준 엄격한 자기절제와 본성에 대한 각성의 촉구가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 흔들리지 않는 윤리적 가치규범의 한 전형으로 자리매김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간재 전우의 수양론에 관한 소고 ― 성사심제에 기반한 경(敬)의 실천을 중심으로 ―

        강보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The study of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was mainly conducted on on ontology and psycholog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theories of Huaseo, Nosa, and Hanju schools. Thes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finding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Ganjae's studies. However, it was not well studied how Ganjae practiced Confucian philosophy.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Ganjae's philosophy centering on cultivation theory. Ganjae argued that "Heart is qi(氣)." And it was emphasized that qi was originally good and unified as one. Ganjae identified keeping qi pure as the core of Confucian practice with li(理) as the standard. Therefore, he argued the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a teacher and the mind is a student'. Ganjae's argumen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li and qi. Ganjae recognized human nature as li and mind as qi, and saw that qi should emulate li, which was the same as Yulgok's theory. Therefore, Ganjae argued that incomplete 'heart' should always be led by recognizing and learning 'human nature'. Ganjae made this argument because he wanted people to develop inner power to do moral behavior. Ganjae argued that nature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mind, the mind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body, and that Kyung(敬) should lead the mind. This is because without Kyung, the mind is disturbed and human nature cannot be the standard of the mind. Ganjae agreed with Yulgok's view and argued that individual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hanged. However, Ganjae also emphasized Kyung, and he always practiced acquiring knowledge, controlling his mind, restoring his pure body and mind through rest, reading, and sitting still and upright, so it can be said that he followed the training method suggested by Toegye. 간재 전우 연구는 화서․노사․한주학파의 성리설과 비교를 통한 이기․심성론 위주로 이루어져 학문의 연원과 논리적 특징을 밝히는 데에 공헌하였으나, 실천가로서 그의 면모를 밝히는 데에는 소홀하였다. 간재는 심시기(心是氣)를 주장하면서 기의 본선함과 본일성(本一性)을 강조하였다. 리를 준거로 기의 순수성을 확보, 유지하는 것을 수양의 핵심으로 파악하였고 ‘성사심제(性師心弟)’를 주장하여 수양의 심성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기는 선악을 겸하여 리를 언제나 온전히 드러낼 수 없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 간재는 심 곧 기의 순수성을 담보하여 도덕 주체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간재의 이러한 주장은 리와 기의 무분별을 의미하지 않는다. 성을 리, 심을 기로 보고 기가 리에 따라 자신을 실현시켜야 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간재는 율곡의 이통기국에 의한 이기의 구분을 엄격히 하였다. 이것이 성을 기준으로 심을 통제하는 간재 성사심제설의 이론적 배경이다. 불완전한 도덕 주체인 심이 언제나 성을 지각하고 배워서 일신을 주재해야 한다는 간재의 심성 인식은 도덕 주체 확립을 위한 ‘심본성(心本性)’, ‘성사심제’로 응축․귀결되어 심성론의 중추가 된다. 간재는 성이 심의 준거가 되고 심이 일신의 주재가 되듯 경이 심을 주재해야 한다고 하면서, 경 없이는 ‘심본성’을 실현할 수 없다고 한다. 기질변화를 수양의 핵심 과제로 제시한 간재는 율곡과 같은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경을 강조하고 치지, 구방심, 야기함양, 독서, 정좌를 통한 수양의 삶을 보면 퇴계의 수양론을 따랐다고 볼 수도 있다. 「시동서사의」에도 퇴계의 길을 걷고자 하였던 간재의 일상과 수양이 잘 드러나 있다.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충청도 중심 강학 활동에 대한 연구

        서종태(Seo Jong Yae),변주승(Byeon Ju Seoung)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1

        본 논문은 艮齋 田愚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펼친 실상과 그 특징, 그리고 그 배경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전우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23년 동안 거주하며 강학한 곳은 10개 고을 14곳이며, 순회하며 강학한 곳은 16개 고을 24곳이다. 이를 합쳐 살펴보면 모두 17개 고을 37곳이다. 이를 도별로 보면 충청도가 13개 고을 30곳, 경상도가 문경과 상주 2개 고을 5곳, 경기도 죽산과 전라도 고창이 각각 1곳으로,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우는 충청도 중에서도 湖論의 영향력이 적게 미치는 내포지역 이외의 고을에서 동문․처가․문인 등의 도움과 스승의 후광을 활용하여 강학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충청도의 26개 고을에서 가장 많은 113명이, 전라도의 10개 고을에서 30명이, 경상도 5개 고을에서 5명이, 서울․개성․경기의 3개 고을에서 3명이, 함경도․북간도의 8개 지역에서 29명이, 평안도의 6개 고을에서 9명이, 강원도의 1개 고을에서 1명이 각각 입문하였다. 전우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활발히 전개한 것은 그가 任憲晦의 학통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동문들 중 이탈자가 생기고 華西學派와의 갈등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어 그가 주도하는 임헌회 학통의 문인집단이 중대한 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학파의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우는 임헌회의 문집 편찬을 주도하여 동문의 결속을 굳게 다지는 한편, 강학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강력한 문인집단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충청도에서 화서학파에 대항할 수 있는 문인집단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지역적 기반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uth,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Ganjae Jeonwoo in Chungcheong Province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He did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15 places in 10 towns while living in those towns and 22 places in 14 towns while making the rounds for 23 years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total of 37 places in 18 towns. By province,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31 places in 14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4 places in 2 towns of Mungyeong and Sangju in Gyeongsang Province, 1 town in Juksan in Gyeonggi Province and 1 town in Gochang in Jeolla province. This showed that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Jeongwoo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help from the same school, in-laws and scholars and in the glory of his master in towns other than Naepo area that was less influenced by the Horon (湖論)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his school was 113, the highest number, in 26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30 in 10 towns in Jeolla Province, 5 in 5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3 in 3 towns in Seoul, Gaeseong and Gyeonggi Province, 29 in 8 towns in Hamgyeong Province and North Gando(北間島), 9 in 6 towns in Pyeongan Province and 1 in 1 town in Gangwon Province. Jeonwoo proactively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because the scholar group of the Lim Heon-hoe(任憲晦) scholastic mantle that was led by him faced a crisis as some scholars of his school left during his succession to the scholastic mantle of Lim Heon-hoe and the conflicts with the Hwaseo School (華西學派) increased. To overcome such crisis faced by his school, Jeonwoo intend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by taking the lead in the compilation of literary works of Lim Heon-hoe, and form a strong group of scholars by actively develop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he established a scholar group that can confront the Hwaseo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expanding the regional base to the whole nation.

      • KCI등재

        금재 최병심을 통해 본 간재문집 간행의 갈등양상

        이천승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flicts between Ganjae’s disciples with the publication of Ganjae’s collection of writings. Focusing on Choi, Bueng-sim, in terms of the mental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d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censorship process (印可) of the Japanese governor authorization was inevitable. Therefore,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in a way that can properly continue the spirit of Joseon became the biggest problem and motives of conflicts between Ganjae Jeon, Wu’s disciples. When Ganjae was alive, he divided his own collection of writings into former and latter grades. Writings organized in the state just before the publication. However, after Ganjae died, his disciples have a serious conflicts over the publication of their teacher's collection of writings, which they have longed for so much.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Oh, Jin-young and Choi, Byung-sim who were the representative of disciple groups.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ere was review for the perspective of Oh, Jin-young. However, in this paper, the issue of conflicts ov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writings were reviewed, centering on Choi, Byung-sim, who was standing on the opposite side. Oh, Jin-young rushed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writings, based on the two reasons. Convenience and freedom without Japanese governor authorization for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at Jin Ju. His intention was to publish quickly so that the teacher's collection of writings would not disappeared in the dark periods. However, the progress that did not go through sufficient agreement within discipl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deviations and printing methods, were the reasons of conflicts. Choi, Byung-sim expressed his opinion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deviation could results in distorting the Jeon Wu’s intention. Furthermore, he promoted his own independent publication of collection of writings. Claiming that Jeon Wu's collection of writings which published in the process of censorship and dele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would damage the spirit of resistance to Japan. As a result, Currently there are different series of Ganjae’s collection of writings by Oh, Jin-young and Choi, Byung-sim. In the gloomy perio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the collection of writings, the spiritual heritage of Joseon, remains with us as more valuable than just data. 이 논문은 간재 전우의 문집간행을 둘러싼 문인 내부의 갈등을 일제 강점기 식민통치 유교지식인이 겪었던 정신적 갈등이란 측면에서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총독부의 ‘인가(印可)’라는 검열과정을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따라서 조선의 정신을 제대로 이어갈 수 있는 방법으로 문집을 간행하는 것이 간재와 그 문인들 앞에 놓인 가장 큰 관건이자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전우는 생전에 전고와 후고로 나누어 어느 정도 문집간행 직전의 상태로 정리해 두었다. 미흡한 점은 보완의 여지를 남기면서 시대적 열망과 좌절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간재 사후에 문인들은 바로 그들이 그토록 갈망했던 스승의 문집간행을 둘러싸고 심각한 내홍을 겪게 된다. 오진영을 주축으로 한 세력과 최병심 등을 주축으로 한 문인집단의 충돌이 대표적이다. 기존의 논의에서 오진영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입장에서 검토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 반대편에 서있던 최병심을 중심으로 문집간행을 둘러싼 갈등의 쟁점을 재검토한 것이다. 오진영은 문집간행에 필요한 경제적 조건과 상황을 내세우며 문집간행을 서둘렀다. 암울한 시대에 스승의 문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신속히 발간하려는 의도가 앞섰던 것이다. 그러나 편차의 구성이나 인쇄방법 등 문인내부의 충분한 합의를 거치지 않은 문집발간의 추진은 문인 내부에서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최병심은 편차의 재구성은 스승의 의도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제 총독부의 검열과 삭제라는 인가과정 속에서 출간되는 문집이란 스승의 의리정신을 손상시키게 될 것이라는 주장하면서 독자적 문집간행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현행 간재문집은 오진영과 최병심을 중심으로 문인들의 갈등이 치열했고, 동일 저자의 서로 다른 3종의 문집이 있게 된 것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에서 조속히 간행을 서둘렀던 것은 자칫 산실될지도 모르는 스승의 문집을 ‘전도(傳道)’의 사명감으로 유통보급하려는 노력이었다. 반대측에서는 스승의 유훈에 따라 총독부의 인가라는 굴욕을 피해 제대로 된 문집의 원형을 인출하려는 ‘정도(正道)’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최병심이 별도의 문집간행을 염두에 두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갈등의 이면에는 서로 다른 신념과 가치의 충돌 이전에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스승을 향한 문인들의 열정이 충돌한 사건이었음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