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

        엄미선,전동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사회복지리뷰 Vol.11 No.-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양육부담의 실태와 이러한 양육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부모가족가 경험하는 양육부담의 수준, 사회적 지지의 수준, 그리고,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조사대상인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특성은 월 소득 수준은 75.5(서울시 저소득층 120.9)만원, 월지출은 71.9(서울시 저소득층 104.6)만원, 부채는 가구당 평균 1,132.4(서울시 저소득층 720.6)만원으로 서울시 저소득층에 비해 경제적으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족이 처해 있는 문제 영역은 경제적인 문제(생계비 등), 자녀교육의 문제, 주거 및 주택문제, 건강문제 순이었으며, 양육부담의 정도는 경제, 신체, 정서, 사회적 부담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녀 양육비용, 자녀의 학습지도,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 부족 순으로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지지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긍정적 평가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 기회를 알려주는 정보적 지지, 물적자원을 제공하는 도구적 지지 순이었며, 사회적 지지와 양육부담과 관련성은 확인되었다. 발견점 중의 하나는 다른 집단과는 달리 저소득 한부모 가족에게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 중 도구적 지지만이 신체·정서·경제적 양육부담을 경감시키는 반면, 사회적 양육부담에는 어떠한 하위영역의 사회적 지지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부모가족에게는 양육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도구적 지지가 다른 형태의 지지, 즉, 정서, 정보, 평가적 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 대상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제공해야할 프로그램이 도구적 지지 제공을 고려하면, 양육경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several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aregiving burdens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Second, what is the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Third, what are the positive elements from the social support that can alleviate the caregiving burde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hown below. It appeared that the burden levels of the lower class families of single parents were, in order of, economical, physical, emotional and at last the social Also when we examine the social support by dividing it into four categories, it appears that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utility support came up in an order from highest to the lowest. The utility support is the financial aid by giving money and materials, while the evaluation support is the aid by encouraging and praising to make needy people to think themselves as valued ones. Information support is the aid by introducing them the new programs and service benevolences and in addition, the emotional support is the aid by having a conversation with needy, which might be helpful to fill up their desires. And it was shown that the information support has contributed to the downsizing of burden by itsel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social service agency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the social support program as well as the information of care and education. One of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s parents are the group of people whose aspirations have been ignored. Therefore it appeared that they are the ones who need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desperately.

      • KCI등재

        가족지원서비스가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 가족역량의 조절효과

        김고은,김정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Service on the Care Burden of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mpetenceGoeun Kim & Jeongin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services on the care burde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who car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Seoul. As parents’ satisfaction with family support services increased, the burden of care was reduced, and family competenc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family support services that can reduce the burden and practical measures to strengthen family capacity were discussed. Key Wor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Care Burden, Family Support Service, Family Competence 가족지원서비스가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가족역량의 조절효과김 고 은**ㆍ김 정 인***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돌봄부담을 살펴보고, 가족지원서비스 만족이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가족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성인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돌봄부담 수준을 확인하고, 가족지원서비스의 만족이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가족역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성인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중・고령기 부모의 돌봄부담은 높은 수준이었고 정서적 부담이 가장 높았다. 부모의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돌봄부담을 줄였고, 가족역량은 가족지원서비스 만족과 돌봄부담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돌봄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가족지원서비스와 가족역량 강화의 실천방안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발달장애인, 부모, 돌봄부담, 가족지원서비스, 가족역량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1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연구는 2022년도 광운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이며, 노원구장애인가족지원센터의 ‘2022 노원구 장애인가족 욕구조사’ 데이터의 일부를 분석에 활용함. ** 주저자,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wangWoon Univ., Email: goeunk@kw.ac.kr)*** 교신저자,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wangWoon Univ., Email: jeong2ni@hanmail.net)

      • KCI등재

        재가 장기요양 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영향요인

        한은정(Han, EunJeong),나영균(Na, YoungKyoon),이정석(Lee, JungSuk),권진희(Kwon, Jinh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5 한국사회정책 Vol.22 No.2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도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위한 부양부담 완화 정책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가정에서 재가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며 수급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초점을 두고 부양부담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부양 부담 완화정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권중돈(1994)의 부양부담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사회적 활동제한,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건강상의 부담 등 여섯 가지 하위차원별로 부양부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기준으로 전국의 재가급여 이용자의 가족부양자 1,827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28개 항목 점수의 합을 전체 부양부담으로 정의하고, 전체 부양부담과 하위차원별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부양부담 점수는 140.0점 만점에 평균 90.5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전체 부양부담의 영향요인과 6개 하위차원별로 각각의 영향요인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수급자와의 관계’라는 요인은 전체 부양부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와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부양부담의 하위차원별로 각기 다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정책 입안자, 보험자,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자 및 가족부양자들이 재가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영향요인을 이해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가는 데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has been rising as a social issue, it needs to develop the policies to alleviat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the Stress Process Model developed by Pearlin(1990). Total 1,827 family caregivers with beneficiaries, who used the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ir home and community in March 2013, completed questionnaires.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measured by caregiver burden scale, developed by Kwon(1994). Tha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families’ caregiving burden multi-dimensionally.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amily caregivers got the average score 90.5 out of 140 on the total caregiving burden, which indicated a considerable burden. The influencing factors varied among the total and six dimensional burd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reliev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In conclusion, we suggest some strategies to relieve the caregiving burden for family memb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policy-makers, the insurer, the long-term care providers and family caregivers in understanding the caregiving burden and influencing factors.

      • KCI등재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전세송,김수경,전귀연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on-in-law's orientation toward family(collectivism, individualism) based on support consciousness and support burden(service, economic, emotional) toward the mother-in-law. We selected 319 married men who had mothers-in-law a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their ages ranged from the twenties to the sixtie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n-in-law's service support burden toward his mother-in-law with respect to two-income families. (2) The son-in-law's collectivism of orientations toward the family affected his support consciousness and emotional support burden toward his mother-in-law. (3) The son-in-law's collectivism of orientations toward family affected his economic and emotional support burden toward his mother-in-law. 본 연구는 최근 친족관계의 변화로 부양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사위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위가 지닌 가족지향성(집단주의 가족지향성, 개인주의 가족지향성)이 장모에 대한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서비스적 부양부담감, 경제적 부양부담감, 정서적 부양부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모가 생존해 있는 319명의 사위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일원변량분석(ANOVA)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위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에 따른 가족지향성과 장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 여부에 따라 사위의 서비스적 부양부담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맞벌이를 하는 사위가 하지 않는 사위에 비해 장모에 대한 서비스적 부양부담감이 높았다. 둘째,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의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위의 집단주의 가족지향성이 높을수록 장모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위의 가족지향성이 장모의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위의 집단주의 가족지향성이 높을수록 장모에 대한 경제적 부양부담감과 정서적 부양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살펴 본 가족지향성과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감은 사위가 지닌 가치적 측면이므로 실제의 부양행동과의 괴리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추후연구에서는 부양행동을 추가하여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장모 뿐 아니라 친부모에 대한 부양의식과 부양부담감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 가족원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에 관한 연구

        김영란,유미숙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burden and social support that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have, and to find factors that will cause this burden. In contrast to other cancers, breast cancer occurs mainly in women and their family caregivers can be men. It may change the man's role and function in the family. Patients can have a lo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fter a mastectomy. Consequently, their family caregivers often feel more burden than caregivers of other cancer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that family caregivers need most is love, trust, understanding and support coming from their partner. Second, the relation between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the family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social-demographic factors and statistics. Finally, the more family caregivers have social support, the less they feel burdened. The feeling of burden varies according to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 Consequently,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must be given in many dimensions:in emotion, economics, information, and knowledge. This will contribute to decreasing family burden and improving family-binding power and function.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방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환자의 대부분이 여성으로 환자의 보호자가 대부분 남성이 되며 가정에서의 역할 및 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유방암은 다른 암에 비해 생존율이 높으며 치료이후 보호시간이 길어진다. 최근에 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 지지, 무력감 등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으나 유방암환자의 가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가족이 가장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는 사랑․신뢰․이해 등이며 배우자를 통해 지지받기를 원하고 있다. 질병 정보나 금전지원 등은 전문가, 정부의 지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둘째, 가족의 부담감 및 사회적 지지는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간의 상관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담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 지지이며 그 다음은 가족원의 직업이었다. 앞으로 유방암환자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경제적, 정보 및 지식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고 가족결속력 및 기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ㆍ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유영준(You YoungJun),이명희(Lee Myonghee),백은령(Paik EunRyoung),최복천(Choi Bogch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는 장애아동ㆍ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 욕구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가족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지역별 장애인부모연대, 장애인복지관, 장애인가족지원센터, 기타 유관단체 등을 통해 표집된 장애아동ㆍ청소년 가족 9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아동ㆍ청소년 가족이 느끼는 양육부담은 경제적 부담, 신체적 부담, 정서적 부담, 사회적 부담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담은 장애아동ㆍ청소년의 장애유형과 연령별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장애아동ㆍ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양육부담의 하위영역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 양육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장애아동의 장애유형, 일상생활수행능력, 돌봄지원 여부, 돌봄시간 등이었다. 다음으로 장애아동ㆍ청소년 자녀의 양육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족지원 욕구는 장애아동 수당지원과 장애아동 재활치료바우처 사업의 확대로, 경제적 지원정책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의료, 교육, 돌봄 순으로 가족지원 욕구가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형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에서는 모든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장애아동수당지원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은 반면 장애유형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에서는 다소 상이한 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뇌병변장애의 경우 재활치료바우처사업과 장애인 의료비 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은 특성을 보였으며, 지체장애와 지적장애의 경우 평생교육 프로그램지원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장애아동ㆍ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도 상이한 특성이 나타났는데, 특히 만 6세 이하의 경우는 아동수당, 학령기가 시작되는 7-12세의 경우 아동수당과 재활치료바우처사업, 중고등학생의 경우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ㆍ청소년 가족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mily burden and needs for family support for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lso examined effective ways of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53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been recruited from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center for family support on disability and welfare center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family burden of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ncial burden was the most serious problem.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ype of disability, degree of performing daily activities, availability of care support and time spent in care- giving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effect on family burden of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regarding the needs for family support, financial support was more prominent than others.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preferred by parents depending on their children’s age and type of disability. For instance, a family with a school-aged children was in strong needs of the allowance and rehabilitation voucher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 family with a young-adult children was in strong needs of life long education.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in prominent needs for medical supports, and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 prominent need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effective family support service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expande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expand individualized service plans and case management systems in order to meet diverse and complex needs of famil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기요양 급여이용행태별 가족부양자 부양특성 비교

        한은정(EunJeong Han),황라일(RahIl Hwang),박세영(SeYoung Park),이정석(JungSuk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3

        장기요양 노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현황과 부양부담에 정책적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 급여이용 행태별로 가족부양자의 부양 현황과 부양부담을 조사하고 급여이용행태별 부양특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2016 장기요양 등급인정자의 급여이용 행태별 부양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본 조사는 2016년 6월 ~ 7월 2개월간 총 2,603명의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 현황 및 우울, 건강행태, 스트레스, 부양부담감 등에 대해 훈련된 면접원의 일대일면접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재가급여 이용 그룹, 시설급여 이용 그룹, 가족수발 그룹(미이용), 요양병원 이용 그룹(미이용)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급여이용 행태별 부양현황 및 부양부담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급여 이용행태에 관계없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은 다른 가족구성원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재가인 경우 다른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는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수발 및 요양병원 이용 그룹에서는 비용에 대한 부담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재가와 가족수발 그룹의 경우 시설 및 요양병원 그룹과 비교할 때, 가족부양자의 식사, 운동, 수면, 휴식 등 건강행태가 모두 열악한 수준이었고, 건강상태 악화 경험 비율이 높고, 주관적 건강수준 역시 낮게 나타났다. 더구나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 부양부담, 우울 또한 더 높은 수준이었고, 가족수발 그룹에서는 스트레스 경험 시 ‘그냥 참음’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요양 급여이용행태별로 가족부양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부양 현황 및 부양부담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요양 가족부양자 지원 정책 개발 시, 급여이용행태별 가족부양자의 부양특성의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compare differences in caregiving burdens among family members with the disabled elderly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We obtained the data from the project ‘2016 Survey on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Long-term Care Beneficiaries’, studied by the Institute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3 to July 17 2016, and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f family caregivers’ characteristics and caregiving burdens. Total 2,603 family caregiv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y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utilization of long-term care(home care, institutional care, family care, and long-term care hospital services). As a resul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received help from other families. The group of home care reported relatively smaller help from other families. The groups of family care and long-term care hospital service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economic burden. The groups of home care and family care suffered from lack of healthy behaviors such as diet, exercise, and sleeping rest, and their subjective health level were low. And they also reported the higher levels of caregiving stress, depression, and caregiving burden, compared with the groups of institutional care and long-term care hospital service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differences in caregiving burdens among family members by the type of benefits to develop family caregiver support programs.

      • KCI등재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이혜숙(Hea-Suk Lee),유미애(Mi-Ae You),이수경(Soo-Kyoung Lee),손연정(Youn-Jung So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family members’ burden and to describe factors influencing on famiCX*//8ly caregiver’s burden when they are planned to transfer to general war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s (ICU).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of 101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at S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Korea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level of object burden i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level of consciousness, number of patients monitoring devices, and tracheostomy tube. The level of subject burde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tients gender, patients education level, and relationship with patients. Transfer anxiety wa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 found transfer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family care giver’s objective burden with explanatory power 12.7%. Family members’ subjective burden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patients’ gender and transfer anxiety. These factors explained 23.8% out of total variance of family members’ objective burden. The structured individualized method of transfer is recommended with further research of ICU families to further examine the dimension of transfer anxiety and how it affects family members’ burden and patient outcomes.

      • 두부 외상 후 발생한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가족 부담에 미치는 요인

        방영롱(Young-Rong Bang),김철권(Chul-Kwon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3 사회정신의학 Vol.18 No.1

        연구목적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는 환자를 돌보는 주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부담을 평가하고, 그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 법 : 교통사고나 산업재해에 의한 두부 외상으로 ICD-10 진단기준상 기질성 정신장애로 진단되어, 동아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외래 또는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주 보호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와 주 보호자들로부터 면담 혹은 자가 보고 방식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가족부담(정신질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우울(Beck 우울척도), 불안(Beck 불안 척도), 사회적지지(다면적 사회지지척도), 환자의 문제행동(BASIS-32) 등을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평가한 모든 요인들을 부담에 대한 설명변수로 고려하여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척도 점수는 평균 58.7점(표준편차 28.2)이었다. 주 보호자의 우울 점수는 평균 26.4점(표준편차 11.8)이었고 불안 점수는 평균 24.7점(표준편차 14.1)이었다. 22점을 절단점으로 하였을 때전체 보호자의 52%와 48%가 각각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가족부담을 설명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환자 나이, 환자 성별, 흡연 여부, 음주 여부, 보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환자의 행동증상 등 6개 요인이 전체 가족부담의 80%를 설명하였다. 그 중 환자의 행동증상이 49%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행동증상척도(BASIS-32)의 5개 소영역, 즉 대인관계, 우울과 불안, 충동적 또는 중독 행동, 일상생활기능, 정신병적 증상 모두 주 보호자가 경험하는 부담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 론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주 보호자들은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 상당히 심한 부담과 우울, 그리고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족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행동증상, 음주, 흡연, 환자 나이, 보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환자 성별 등이었다. 이러한 가족부담 요인들 중에서 변화 가능한 요인들을 찾아내어 개선시킨다면, 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mily burden in the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rden. Methods : A total 50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due to traffic or industrial acci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have attended the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or inpatient ward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We collected data from the caregivers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burden (Family Burden Scale), family depression (BAI) and anxiety (BDI),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BASIS-32) under several measures. For data analysis, all collected data were considered explanatory variables for burden, then multicollinearity was examined. Results : Total mean score of the family burden in the primary caregivers was 58.7 (SD 28.2). Each score of family depression and anxiety was 26.4 (SD 11.8) and 24.7 (SD 141), and measured up to 52% and 48% of total caregivers. Among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family burden, 6 variables (patients’ age, patients’ sex, patients’ smoking, patients’ alcohol drinking,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accounted for 80% of the family burden. In particular,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explanatory ability (49%). When dividing the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into five subareas: Personal relationship, Depression and Anxiety, Impulsivity or Addiction behaviors, Daily-life function and Psychotic symptoms, we could see all the subareas were connected with the family burden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Conclusions :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bore the considerable burden of caring for the patients and felt depressed and anxious.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burden were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patients’ alcohol drinking, patients’ smoking, patients’ age,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tients’ sex. If we try to figure out the variable factors and improve them, we can decrease family burden effectively.

      • 정신장애인 가족의 동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인원(In-Won Chung),지경환(Kyung-Whan Chi),손정우(Jung-Woo Son),신철진(Chul-Jin Sh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1

        연구목적: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직접 부양하고 있는 가족들이 느끼고 있는 부담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신장애인과 동거하면서 부양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의 동거 및 부양을 유지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요인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방 법: 충북 청원군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192명의 정신장애인 중 조사 당시 정신장애인과 동거하고 있었던 111명의 가족을 대상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개별면담 방식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가족이 느끼고 있는 부담감과 정신장애인과의 향후 동거의향 및 가족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지지를 조사하였다. 결 과: 가족들이 정신장애인을 부양하면서 느끼는 부담은 경제적 어려움, 일상생활의 침해 등으로 나타났다. 대상 가족 대부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동거하면서 부양하겠다고 응답하였으나 상당수(34.7%)는 정신장애인을 평생 혹은 일시적으로 입원이나, 입소시키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이런 의향은 가족들이 느끼고 있는 부담의 정도와 연관이 있었다(p<0.01). 가족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경제적 지원, 정신과적 응급조치 순 이었다. 또 정신장애인과 동거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가족 중 일부(24.2%)는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더라도 동거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런 생각은 자신들의 정신건강이 나빠지는 것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는 가족일수록 심했다(p<0.05). 동거의향이 없던 가족들의 생각을 변화시키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요인은 주간 보호 서비스였다(p<0.05). 결 론: 가족들에 대한 정신건강의 개입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주간보호 서비스는 정신장애인과 동거하면서 부양하고 있는 가족들이 느끼고 있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이는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그 결과 정신장애인의 장기 입원 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whether the burden of family members living with mentally ill patients affects on the intention of living with mentally-ill patients continuously and seek factors of social support keeping a family to live with the patients. Methods:Subjects consisted of 111 families living with mentally-ill patients among 192 mentally ill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Cheongwongun Mental Health Center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the purpose of finding family burden, the intention of living with mentally-ill patients and necessary social support for the family. Results:Burdens likely to happen due to living with mentally-ill patients were ‘financial difficulties’ and ‘infringement on the privacy of the family’. Most families answered they would take care of the patients, living with them. However, 34.7% of the total respondents wanted the patients to accommodate at a hospital or sanatorium temporarily or permanently. This kind of tendency was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e burden of family living with the patients (p<0.01). The needs of family for social support were ‘financial assistance’, ‘psychiatric emergency care’ in that order. The 24% of families who answered they would not live with the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live with the patients in the future even if the social supports were provided. This tendency was associated with the burden of family about worsening their mental health(p<0.05). The social support which can positively affect on the mind of the family who did not have any intention to live with the patients was day care service(p<0.05). Conclusion:Social support to those family’s mental health and day care service to the mentally-ill patients can lessen the burden of family living with the patients. This finding implicates the needs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as s result, it will help to minimize the chances of long term accommodation of mentally ill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