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주의 가치관, 직장지지가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주희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amily values and workplace support on the level of conflict over work-family compatibility in working moth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322 employed women working full-time, having more than one child, and living Seoul. Data were analyzed SPSS 21.0 Package.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family values and work place support on the level of conflict over work-family compitability in working mothers.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values, workplace support, and the level of conflict over work-family compatibility were assessed in the subjects and the score of family values was 3.76(SD=.73). In subcatagorie of family values, child value was 3.42(SD=.97), parenthood value was 3.94(SD=.74) The score of workplace support was 3.88(SD=.51). When balancing their jobs with their family life, the score for the level of conflict was 3.08(SD=.78). Second, household income(β=.15, p<.001), the number of children(β=.21, p<.05) workplace support(β=-.24,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conflict over work-family compatibility. Conclusions: Women who have a higher income were likely to have more conflict over work-family balance. Women who have more children were likely to have more conflict over work-family balance. Women who perceived higher emotional support from coworkers were likely to have less conflict over work-family balance. In this study, workplace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in employed mothers. 본 연구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주의 가치관, 직장지지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정규직에 근무하고 있는 30∼50대의 1명이상의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최종 322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가족주의 가치관, 사회적지지 및 일·가정 양립 갈등의 수준을 살펴보면 결과 가족주의 가치관은 중간값 3점보다 다소 높은 3.76(SD=.73)으로 자녀의 양육과 부모 역할에 대한 전통적 태도가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직장지지에서도 3점보다 높은 3.88(SD=.51)로 취업모들이 가정생활과 일을 병행하는 과정에서의 직장내 동료와의 지지적 관계 형성 또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가정생활을 양립하는 과정에서 갈등 수준은 중간값 3점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인 3.08(SD=.78)로 나타났다. 취업모가 일과 가정생활을 양립할 때 느끼는 심리적 상태가 상대적으로 부정적 수준이 높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가족주의 가치관, 직장지지가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는 통제변수와 일·가정 양립 갈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전체 설명력은 16.2%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취업모의 연령(β=.32, p<.01), 자녀수(β=.26, p<.01)가 일·가정 양립 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모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수가 많을수록 일·가정 양립에 따른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는 통제변인, 가족가치관, 직장지지와 일·가정 양립 갈등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것으로 전체 설명력은 21.6%로 나타났다. 1단계에서보다 설명력이 5.4%p 증가하였다. 분석결과 직장지지(β=-.37, p<.001), 취업모의 연령(β=.30, p<.01), 자녀수(β=.25, p<.01)에서 일·가정 양립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에 가장 영향력 변인으로 직장지지로 나타났다.

      • KCI등재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이점 및 갈등과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 부부갈등, 온정적 양육 및 집행기능 곤란의 다중 매개효과

        임양미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identified the multiple mediating roles of marital conflict, maternal warmth,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others’ work-family enrichment and conflict and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Data was collected from 558 first-grade student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although mothers’ work-family enrichment and conflict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ome multiple mediating processes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mothers’ work-family enrichment and conflict, respectively, was indirect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rough (1) the dual mediation by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2) the dual mediation by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warmth; (3) the serial mediation by marital conflict, maternal warmth,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Furthermore, mothers’ work-family enrichment alone was in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rough (4) the mediation by maternal warmth; (5) the dual mediation by maternal warmth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ositive spillover and crossover processes of work-family enrichment on family relationships and children were stronger than the negative ones of work-family conflict. Fin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support is required for enhancing working mothers’ work-family enrichment, and there is a need for counseling programs to help the mothers manage the stress which arises from the process of juggling work and family life. 본 연구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이점과 갈등이 초등학년 1학년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부갈등,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의 다중 매개 역할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연구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총 558쌍의 취업모와 초등학교 1학년 자녀로, 수집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과 갈등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과 갈등은 각각 부부갈등,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자녀의 문제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과 갈등은 각각 1) 부부갈등 및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의 이중 매개 과정을 통해, 2) 부부갈등 및 어머니 온정적 양육의 이중 매개 과정을 통해, 3) 부부갈등, 어머니 온정적 양육과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의 연속적 매개 과정을 통해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은 4) 온정적 양육을 통해 그리고 5) 온정적 양육과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의 이중 매개 과정을 통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이 가족관계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전이 및 교차 전이 과정이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의 부정적 전이 및 교차 전이 과정에 비해 강하게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이점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의 지원 방향과 일-가정생활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가정 갈등 그리고 가정-일 갈등이 기혼여성관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양립 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엄혜경(Hye Kyung Eom),성상현(Sang Hyeon S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여성연구 Vol.93 No.2

        조직 내 여성인력의 유지와 활용을 위해서는 여성이 겪는 일-가정의 이중 역할로 인한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상호전이가 기혼여성관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일-가정 갈등이 주관적 경력성공과 갖는 관계에서 일-가정 양립제도가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관리자패널을 사용하였으며 기혼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 양립 제도 중 가족돌봄지원제도가 많을수록 일-가정 갈등이 유발하는 직무만족의 저하를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나아가 유연근무제도가 많을수록 가정-일 갈등이 초래하는 직무만족의 저하가 완화되었다. 또한 가족돌봄지원제도가 많을수록 가정-일 갈등이 가져오는 직무만족도의 저하를 줄이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 갈등의 관리를 위한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과 일-가정 양립 제도 도입 및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Korea, women workforce is important alternative as the labor force is continuously decreasing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women workforce, women are struggling with a dual role between work and family.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women in firms, it is necessary to manage women s work-family confli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system o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married women. The panel dataset from the Korean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was analyzed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work-family balance systems(parental leave, dependent care support, flexible work arrangement) statistically prov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Work to Family Conflict(WFC), Family to Work Conflict(FWC) and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work-family balance systems should be more actively adapted by firms in order to minimize the married women workers’ work-family conflicts as well a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through the enhancement of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상호작용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강하라(Hara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학령중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상호작용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함에 목적을 둔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8차년(2015년), 9차년(2016년), 10차년(2017년), 11차년(2018년) 자료 중 4개년 설문에 응답한 취업모와 자녀 418쌍의 자료를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w1)과 모-자녀 상호작용(w2),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w3), 자녀 집행기능 곤란(w4)은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w1)과 자녀 집행기능 곤란(w4) 간 관계에서 모-자녀 상호작용(w2)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w3)의 단순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중매개효과의 경우,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w1)은 모-자녀 상호작용(w2)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w3)에 정적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w4)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이를 통해 학령중기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중재를 위해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 감소에 목적을 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모-자녀 상호작용이라는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과 집행기능 곤란에 종단적 영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취업모나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 영향 및 스트레스 대처 방안을 다루는 프로그램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친화제도의 지원 자녀 연령대를 확대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lin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early school-ag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onal role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18 employed mothers in South Korea with children between 1st and 4th grades (boys: 201, girls: 217) at elementary school. A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for macro program. Results First,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was a significant singl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econd, the indirect path lin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rough mother-child intera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was significant, and the full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was supported. Conclusions It suggests that intervention aimed at reducing the mother s work-family conflict is necessary for intervention in the enforcement executive function of early school-age childr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deal with parents work-family conflict and stress response measures for working mothers and dual-income couples, given that mother s work-family conflict has a long-term impact on children s media device addiction and difficulty in enforcement. In addition, expanding the age range of children supported by family-friendly polic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기혼 직장 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현솔지(Hyeon, Sol-Ji),백학영(Baek, Hakyo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기혼 직장 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강원도 동해, 삼척 지역에 직장을 둔 기혼 직장 남녀 273명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조사대상자들의 일-가정 갈등 수준은 일-가정 갈등(WFC) 평균 2.25점, wif(직장→가정 갈등) 평균 2.44점, fiw(가정→직장 갈등) 평균 2.05점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수준은 가족관계 평균 4.03점, 가족관계 정서친밀요인은 평균 3.85점, 가족관계 인정책임요인은 평균 4.31점, 가족관계 수용존중요인은 평균 3.91점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갈등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일-가정 갈등은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가정 일로 인한 직장 갈등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직장 남녀들의 일-가정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는 좋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가정에서의 역할이나 책임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직장 갈등으로 전이되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기혼 직장 남녀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직장환경 및 제도적 여건을 조성과 더불어 가족생활에서의 역할과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ried couples’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 relationship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73 married men and women with jobs in Donghae and Samcheok, Gangwon-do.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2.25 points on work-family conflict (WFC), 2.44 on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and 2.05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The average level of family relations was 4.03, that of love and for family relations was 3.85, that of recognition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relation was 4.31, and that of acceptance and respect was 3.91. As a result of examining, WFC and fiw have negative effect on family relationship. That shows that the burden of role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induces stress and unrest, again that negatively effect on family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on factors affecting family relationship, and work-family friendly policies should be enforced to prevent family problems and to improve the balance between family and work.

      • KCI등재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향상 관련 변인 메타분석: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윤민지,공현정,윤수란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7 No.1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향상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총 34편(학술지 논문 14편, 학위논문 20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17,530). 일-가정 갈등과 향상은 방향에 따라 일→가정, 가정→일, 구분하지 않음으로, 사회적 지지의 지지자원은 가정, 배우자, 조직, 상사, 동료, 구분하지 않음으로, 지지유형은 정서적, 도구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로 나누어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지자원과 지지유형 모두 일-가정 갈등 및 향상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지지자원에 따라 일→가정에서는 갈등과 향상 모두 상사가, 가정→일에서는 갈등에는 가정이, 향상에는 배우자가 가장 유의하였고, 지지유형은 일-가정 갈등에서 일→가정은 평가적, 정서적 순으로, 가정→일은 평가적 정보적 순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4 studies (14 academic papers, 20 dissertations in academic journals) conducted in Korea from 2000 to 2020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enhancement and social support. (N=17,530).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were used for analysis by dividing the direction into the case where the direction was not distinguished, the direction from work to home, and from home to work. The social support was divided into family, spouse, organization, supervisor, coworker, and not classified according to support resource, and a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support, a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emotional, instrumental, informational, and appraisal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support resources and type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changed according to each sub-factor and the direction of conflict and enhance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스트레스, 초등학생의 심리적 특성, 학교적응 간 관계

        최효식(Hyosik Choi),이선영(Seonyo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gains and strains of mothers’ work-parenting balance with children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how its rela-tionship changes through the influences of parenting stre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grit on school adjustment. Methods A total of 769 pairs of mother-child data in the 13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was followed by the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ains between mothers' work-family bal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life stress and parental role stress, and the gains of mothers' work-family bal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al role stress. Also, parental role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and grit, mother’s life stress did not shown any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grit,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and school adjustment, and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strains in work-family bal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ultiple mediators of parental role stress, self-esteem, and grit, and the gains of work-family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ultiple mediators of parent role stress, self-esteem, and grit.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ains and strains of work-family balance affect the self-esteem, grit,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through the mothers’ parental role stress. It implies that its important to reduce the parental role stress in order to help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이 양육스트레스,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그릿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육아정책연구소)의 어머니와 자녀 769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스트레스,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그릿,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시 측정모형 다음에 구조모형 검증을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은 부모생활 스트레스, 학부모역할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이 학부모역할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는 자녀의 자아존중감, 그릿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생활 스트레스는 자녀의 자아존중감, 그릿,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그릿과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그릿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이 학부모역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릿을 다중매개로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 양립 시 이점이 학부모역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그릿을 다중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이 특히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를 매개로 초등학생 자녀의 자아존중감, 그릿,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자녀의 심리적 안정과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무엇보다도 학부모역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혼 여교사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교직만족도 간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배성희,양난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4 연구방법논총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eacher satisfaction among married female teac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may experience and to find out how to increase teacher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emographic variables, work-family confli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 satisfaction were measured among 290 married female teachers nationwide, and SPSS 27.0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work-family conflict among married female teach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ing satisfaction, and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ing satisfaction. Both the direct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eacher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eacher satisfaction.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eacher satisfaction among married female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necessary to increase teacher satisfaction among married female teachers in the educational con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 여교사가 일-가정 양립 갈등과 교직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교사가 경험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해 이해하고 교직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기혼 여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일-가정 양립 갈등, 긍정심리자본, 교직만족도를 측정하였고 SPSS 27.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 여교사의 일-가정 양립 갈등은 긍정심리자본과 교직만족도와 부적 관련이 있었고 긍정심리자본과 교직만족도는 정적 관련이 있었다. 일-가정 양립 갈등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심리자본은 일-가정 양립 갈등과 교직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 여교사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교직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근거로 교육 장면에서 기혼 여교사의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긍정심리자본에 중점을 두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중요성,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년기 기혼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가족갈등대처의 매개효과 -소득수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김가빈,황혜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family conflict cop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income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married worke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secondary data from the 12th Korea Welfare Panel Study(2017). A total of 2,469(1,418 males, 1,051 females) mid-life married workers aged 40 to 64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der, income level, the 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income level of middle-aged married workers, the difficulty of work-family conflict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in low-income families than in general families. Self-esteem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and in general families than in low-income families. Second, only the general family showed that the positive family conflict coping is partly mediated between work and family conflict and self-esteem. Finally, on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ways to improve work-family balance, self-esteem, and positive family conflict coping for mid-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기혼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긍정적 가족갈등대처의 매개효과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2017년) 자료 중 배우자가 있는 만 40세∼만 64세 중년기 기혼근로자 2,469명(남 : 1,418명, 여 : 1,0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득수준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중년기 기혼근로자의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일반가정보다는 저소득가정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저소득가정보다는 일반가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가족갈등대처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일반가정에서만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긍정적 가족갈등대처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중년층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감소와 자아존중감의 향상, 긍정적 가족갈등대처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과 갈등을 매개로

        심현숙(Hyunsook Shim),박경빈(Kyungbi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PSKC) 10차년도(2017년)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708명의 만9세 시점인 아동과 부모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지지는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을 매개를 통한 간접 효과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지지는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의 매개를 통한 간접 효과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을 통해 갈등을 줄임으로써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미디어기기 의존에 미치는 영향력과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이점을 높여 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others had on media device dependency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ain and strain of mothers’ work family reconciliation. For this, research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s 10th(2017) Panel Study on Korean(PSKC) was used. and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a total of 708 nine year 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s analyzed by means of a structural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others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mothers’ work-family conflict, it did have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gain of mothers’ in work-family balance. Seco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others had an effect on the media dependency of children. There was also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work-family conflict. Third, although the gain of mothers’ work-family balanc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it was found that the reduction of conflict through the gains of mother’s work-family balance alleviated children’s media depend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is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y has shown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 mothers influences children’s media dependenc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work to reduce mothers’ work-family conflict by increasing the gain of mothers’ work-family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