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음악의 아속(雅俗)미학 패러다임 변화 연구 - 조선시대 거문고[玄琴]의 아속적 심미를 중심으로 -

        강유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아악과 속악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는 논외로 하고, 조선 전기에서부터 후기로 이어 지는 과정에서 궁중음악과 풍류방 중심의 민간음악에 일관되게 투영되어 있는 전통 음악의 아속적 심미 체계에 대해 구체적 사료를 통해 밝혀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전기 아속과 관련된 음악의 심미는 주로 궁중의 제례악과 연향 악에 투영되었고, 특히 거문고[玄琴]의 심미적 사유가 그 중심에 있었다. 조선 후기로 내려오면서 아속과 관련된 음악 의 심미는 민간으로 확장되어 풍류방 음악에 투영되어 있으며, 거문고[玄琴]의 심미적 사유가 그 중심에 있었다는 것 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excludes how to define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the Ah-ak(雅樂) and Sok-ak(俗樂). In the proces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 appreciation system of the Ah-Sok(雅俗) in traditional music, which is consistently projected on court music and folk music centered on Pungryubang, was revealed through specific historical record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examine as follow :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aesthetic of music related to the the Ah-Sok(雅俗) was mainly projected on the court's ritual music and Yeonhyangak-music for korean court banquet-, and in particular, the aesthetic thoughts of Geomungo[玄琴] was at the center. As we descend to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esthetic of music related to the Ah-Sok(雅俗) has been expanded to the private sector, reflecting the aesthetic of Pungryubang music,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esthetic thought of Geomungo[玄琴] was at the center.

      • KCI등재

        기온 난카이(祇園南海)의 시론으로 보는 雅俗 - 「詩学逢原」(1763)과 「南海詩訣」(1787)를 중심으로 -

        정경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문예의 공통 요소 중 하나인 雅俗에 초점을 맞추어 18세기 일본 지식인 기온 난카이(祇園南海, 1676 - 1751)의 「詩学逢原」과 「南海詩訣」를 중심으로 난카이 시론에서의 雅俗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그 의의를 검토하였다. 우선 상대적이고 대립된 개념으로 다루어지는 雅俗은 높고 낮음의 의미적 층위를 갖는데 특별한 지식을 요하지 않는 俗에 비해 雅는 지식을 습득해야만 그 미의식을 실현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보편적 가치로 정착한 雅에 비해 俗은 유행과 여러 요인으로 인한 가변성과 불안정함을 내포하고 있었다. 난카이의 雅俗론은 ‘雅俗의 변별 지식을 체득하여 俗을 제거하고 雅를 취사선택함으로 詩道를 이루어야 한다’는 말로 정의할 수 있다. 詞가 아닌 시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사실적이고 노골적인 표현을 피하고 표상어를 골라 빗대어 표현해야 하는데 난카이는 이러한 작업을 ‘철을 금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이라 설명하며 俗을 雅적인 것으로 윤색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시가 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그러나 난카이 시론에서의 雅俗은 송대에 유행한 雅俗론 중 ‘崇雅去俗’에 국한된 모습을 보이며 以俗為雅, 즉 俗으로 雅를 이루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이러한 崇雅去俗의 철저한 추구로 인해 雅俗의 분별을 중시하는 난카이의 독자적 시법인 影写법이 발전해 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focusing on ‘Elegance and Secularity’ (雅俗), which is one of the common elements of East Asian literature, and focusing on the 18th century Japanese intellectual Gion Nankai (1676 1751)'s Shigakuho-gen(詩学逢原) and Nankaishiketsu(南海詩 訣), The concept was organized and its significance was examined. First of all, ‘Elegance and Secularity’, treated as a relative and opposite concept, has a semantic level of high and low, but compared to Secularity, which does not require special knowledge, it was possible to realize its aesthetic consciousness only by acquiring knowledge about it. In addition, compared to Elegance,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universal value for a long time, Secularity contains variability and instability due to fashion and various factors. Nankai's theory of ‘Elegance and Secularity’ can be defined as 'one must acquire knowledge of the distinction of ‘Elegance and Secularity’, eliminate 俗, and select and choose Elegance to achieve the path of poetry'. In order to be constituted as a poem rather than a poem, it is necessary to avoid realistic and explicit expressions and to select symbolic words and compare them. took the position that However, ‘Elegance and Secularity’ in Nankai Shiron is limited to ‘崇雅去俗’ among the theory of ‘Elegance and Secularity’ popular in the Song dynasty, and has not reached the stage of forming Elegance with 以俗爲雅, that is, Secularity. Rather, it can be said that this thorough pursuit of 崇雅去俗 developed into an independent poetry method that emphasizes the distinction between ‘Elegance and Secularity’ and ’Shadow’(影寫).

      • KCI등재

        魏晉六朝시기에 있어서의 雅俗之辨 검토 : 《文心雕龍》을 중심으로

        金元中 中國語文硏究會 2002 中國語文論叢 Vol.23 No.-

        雅俗的歷史無疑最爲久遠,變得更加複雜,邊界也最爲難辨。 所以到現在中國文學家已注意到雅俗的發展與變遷,幷作了許多論述。 可是這些論述還沒有注意到兩者的統合性。 因而不能算是對雅俗槪念發展過程的系統完整的論議。 魏晉南北朝哲學繼承了老莊思想, 特別是標榜自然, 以自然爲核心。 也探討了"雅俗"是指導文學創作的重要準則. 對文學家和批評家有深刻的影響。 但是我們同時考慮雅俗之辨堅持返回融會的思想, 包涵着對于雅正和卑俗的統合。 在≪文心彫龍≫裏面, 劉협的見解就是非常精彩而且在中國文類發展上擁有重要的意義。 因爲劉협的貢獻在於其特有的方式超越了雅俗之辨。 可以說淸的是,劉협的貢獻,到底是把"雅俗之爭"能구轉化爲一種新的文化傳統?? 還是對傳統文學的文類槪念的新的發現? 從某種意義上來說, 文學史屬於文體學的範疇, 就是說文學創作要突破雅俗的範疇, 應當注意"文學性"的脈絡, 淸楚地描述出文學本來的面貌。 所以筆者特別强調不排斥雅俗和文學史及其他相關學科的互相硏究的必要性。

      • KCI등재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관중과)의 분류학적 연구

        이상준,박종욱 한국식물분류학회 2015 식물 분류학회지 Vol.45 No.2

        The taxa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are variable in morphology, resulting in taxonomic con- fusion in delimiting taxon boundarie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mbers of subg. Erythrovariae to clarify their taxonomic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The shapes of the blades, pinnae, and pinnule apices,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scales, and the positions of sori were useful for delimiting the Korean taxa of the subgen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13 taxa comprising 12 species and one variet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were recognized in Korea. Descrip- tions of all Korean taxa of the subg. Erythrovariae and a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descriptions pre- sented here are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the examination of some 1,000 specimens from the major herbaria of the world.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하여, 분류군의 한계 해 석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산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의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외 부형태학적 식별 형질을 검토하여 분류군들의 한계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엽신, 우편 및 소우편 선단부의 형태, 인편의 형태 및 색, 포막의 위치 등이 본 아속에 속하는 한반도산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의 결과를 종 합하여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을 12종 1변종의 13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들 분류군 에 대한 기재 및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재는 야외 관찰 결과 및 전세계 주요 표본 관에 소장된 1,000여점의 표본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 KCI등재

        고대 중국에서 서사의 유비적 특성과 그 변천

        홍상훈(Sanghoon Ho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4

        중국 고대의 서사문학은 서양의 문학이론이 규정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종종 상대적으로 저열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런 평가는 편협한 오리엔틸리즘의 다른 결론이라는 지적 또한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적 자체를 넘어서는 고대 중국의 서사문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내면 논리를 본격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한 실정이다. 현재 나와 있는 적지 않은 저작들이 중국 고전 소설의 원류와 서사 형식의 변천에 대해 서술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대부분 표면적인 ‘사실’을 정리하는 데에만 그칠 뿐, ‘사실’ 이면에 내재한 심층 논리를 규명하는 저작은 찾아보기 힘들다. 본고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고대 중국의 서사 구조가 보여준 역사적 변천 속에 담긴 문화적 논리를 탐구하고자 했다. 『산해경(山海經)』과 『사기(史記)』로 대표되는 초기의 서사 텍스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필자는 거기에 담긴 특징적 요소로서 일종의 유비(類比) 구조를 발견했다. 그러나 후세의 역사에서 유가 사상이 독존(獨尊)의 지위를 확보함에 따라 성인(聖人)의 권위에 압도된 사대부 문인들은 잡다한 지식에 매몰되어 전체 서사의 주제를 유기적으로 구성하지 못했다. 한편, 송대(宋代) 이후 시민계층은 유가의 세계질서를 부정하면서 삶의 생생한 단면을 미학적으로 구축하고자 했다. 그러나 시민계층의 문학을 억압하는 한편 유가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교화(敎化)’를 시도했던 사대부 계층의 활동으로 인해 서사문학은 애초의 방향과는 달리 ‘아화(雅化)’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와 같은 아속(雅俗)의 갈등 속에서도 일부백화 서사문학은 정통 시문(詩文)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체의 예술성을 높일 수 있었고, 그 결과 『홍루몽(紅樓夢)』으로 대표되는 아속이 융합된 불멸의 명작이 탄생했다.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ancient Chinese narrative works such as xiaoshuo(小說) have been relatively low-estimated compared with western ones. But not a few debaters also has been criticized that such kinds of conclusions reveal the partiality originated in so called Orientalism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even the debaters could have not tried to put forth any advanced view based on some kinds of fundamental researches into the internal principles of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ancient Chinese narrative works. From a general investigation into the primary narrative texts such as Shanhai-jing(山海經) and Shiji(史記), I have founded a characteristic of narrative-analogical narrative structure. The narrative of each articles not only reveals its own analogical character, but also constitutes itself a part of the general view of the cosmos intended to construct by the author(s) of the book. But as the Confucianism insured its exclusive status in later history, almost all of the Literati overwhelmed by the authority of the 'St. Kongzi'(孔子)' daren't advocate any ingenious views of their own, and hung on the trivial facts instead. According to the rising of citizen about from Song dynasty, various kinds of colloquial literature such as kinds of theatricals and xiaoshuo(小說) etc. grew in prosperity. But this new narrative structure fundamentally deferent from traditional analogical narrative structure inevitably led to the caution of the Literati. Most debaters of the Literati attempted to restrain the colloquial literature of citizen, and tried to 'enlighten' citizen on the Confucian views of world. The result was that the quality of some colloquial narrative works was changed into classical and elegant, while some others positively expropriated the virtue of traditional to enhance their own artistic level. As a result, some monumental works represented by Hongloumeng(紅樓夢) came into the literary world.

      • KCI등재

        조선 지식인의 ‘玩好’와 자아 정체성 ― ‘비덕(比德)’과 ‘기류(氣類)’의 관점에서 본 완호의 원리를 중심으로

        孫禎希 ( Son Jung-h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유가 문화권에서 ‘玩好’의 원리는 ‘比德’의 체계로 설명되면서 사물과 사람의 유비 관계에 따라 사물에 대한 완호를 ‘유사성’의 원리로 말하게 된다. 더욱이 비덕의 유사성 원리는 『주역』의 ‘氣類’와 맞물려 각기 자기와 비슷한 ‘類’를 좋아하게 되는 것으로 논의되는데, 서로 비슷한 부류로 묶여지는 ‘기류’의 체계에 따라 완호하는 물건들은 그 사람의 정체성은 물론이고 그가 위치한 문화적 계급성을 알려주는 상징성을 함축하게 된다. 그리고 완호물의 ‘雅俗’은 곧 그 사람의 아속과 연결된다. 실제로 ‘기류’의 원리는 지식인들의 여가 생활에서 향유하는 여러 완호의 대상에 적용되었으며, 나아가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는 ‘號’나 ‘堂號’에도 투영되었다. 완호의 대상과 사람 간에 동일시되는 ‘기류’의 원리에 따라 조선 지식인들은 ‘고상한 물건’을 애호하는 ‘고상한 사람’이라는 등식 관계로 자신의 완호를 설명하는가 하면, 고대 성현과 명사들을 끌어들여 같은 부류(同類)라는 입장에서 자신의 완호를 ‘고상한 물건’을 애호하는 ‘고상한 부류’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이렇게 완호물을 매개로 그 사람이 속한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흐름 속에서 고상한 완호를 공유하려는 풍조는 더욱 심화 확산되고 있었다. In Confucian culture, the principle of wanho(玩好; liking) is explained as a system of bideok(比德; to likening person's virtue with objects). The principle of similarity from bideok is used to describe the wanho' toward things based on the analogy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and the person. Moreover, being interlinked with giryu(氣類; categories of gi) in 『I Ching(周易)』, the principle of similarity is described as to like their similar kinds. Depending on the system of giryu tied together in a similar category, wanho's objects imply not only the person's identity but also the symbolism that informs the cultural class which the person is located in. Therefor, asok(雅俗; elegance and vulgarity) that belongs to wanho's objects is connected with the person who likes it. Actually, the principle of giryu was applied to various wanho's objects which leterati enjoyed in their leisure hours. Furthermore it was projected in ho(號; pen name) or dangho(堂號; house name) that expresses their identities. In accordance to the principle of giryu that identifed wanho's objects with the person, Joseon literati displayed themselves as elegant persons who loved in elegant objects. Moreover, taking a position that they were in same class with ancient sages and eminent persons, Joseon literatis positioned themselves at elegant class who loved elegant objects. In this trend, the person's cultural class tended to be defined by wanho's objects, the tendency to share elegant wanho deepened and more widely sprea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臺刊中國文學史的體例與史觀之硏究

        이등연 중국인문학회 2013 中國人文科學 Vol.0 No.55

        19세기말,서구와 일본 등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근대적 체제를 갖춘 중국문학사가 등장한 이후,黃人·林傳甲 등 중국학자가 쓴 중국문학사도 이어 출간되었다. 이후 20세기 백년을 거쳐 지금까지 通史를 비롯해 각종 단대사․장르사․비평사 등 다양한 문학사가 끊임없이 이어져 그 수가 1,000 여 종을 넘는 상황이다. 필자는 그동안 한국과 중국 대륙, 서양에서 출간된 통사체 문학사를 검토 대상으로 삼은 일련의 문학사 관련 논문을 통해 각 시기 또는 장르의 문학사 특징을 검토해왔고, 이 연구 역시 앞 논문들과 동일한 맥락에서 기획된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1950년대 이래 臺灣에서 출간된 주요 문학사 20여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아 그 편찬 체제와 서술 시각의 변천 과정과 특징을 분석해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기 臺灣에서 출간된 주요 문학사들은 편찬자가 구체적으로 언급했는지 여부를 떠나 절대다수가 교재용 문학사다. 둘째, 서술 시기와 범주 면에서 이들 문학사들은 대부분 原始文學에서 淸末까지를 다루었고,劉必勁《中國文學史綱》, 蘇雪林《中國文學史》, 江增慶《中國文學史》등 일부 소수 문학사에서만 新文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20세기 초창기 문학사에서 논쟁이 되었던 ‘雅俗兼容’문제와 관련해 臺灣에서 출간된 문학통사들은 대부분 시, 산문, 소설, 희곡 등 각 장르의 변화과정을 함께 다루었지만, 여전히 예외도 있었다. 예컨대, 李鼎彝《中國文學史》에서는 詞와 戲曲 장르를 서술 범위에 넣지 않았다. 또한 최근 출간된 龔鵬程《中國文學史》에서는 소설과 희곡에 관한 내용이 詩文에 비해 훨씬 소략하여 비중의 차이가 드러난다. 姜渭水《中國文學史》는 ‘中國哲學大綱’·‘中國語言文字學大綱’·‘宋明理學大綱’ 등 章節을 포함시키면서 적지 않은 관련 도표를 제시하여 ‘文學’의 범주를 벗어났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넷째, 50년대 이래 臺灣에서 출간된 절대다수 문학사는 시대구분 면에서 기본적으로‘전통적’王朝分期法을 따르면서“一代有一代之文學”관점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1950년대 이래 중국 대륙과 臺灣은 정치상황이 크게 달랐기 때문에 두 지역에서 출간된 문학사의 史觀 또한 정치 체제의 이데올로기 영향이 강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臺灣의 주요 중국문학사에서는 이러한 이데올로기 강조 측면이 대륙과 비교해볼 때 뚜렷한 편은 아니다. 일부 편찬자가 문학사 서문이나 관련 회의에서 唯物史觀에 반대하고 民生史觀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실제 문학사 서술에서 이러한 관점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경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소극적’ 반발 형식 또한 주목해볼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