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演義』 詩歌의 女性人物 形象 小考

        강재인,권호종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6 No.4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figurations of 4 female characters at the poems of the historical novel 『Three Kingdoms』. The story of 『Three Kingdoms』develops around the major male characters like Cao Cao(曹操), Zhou Yu(周瑜), Liu Bei(劉備), Guan Yu(關羽) and Kong ming(孔明). However, although the proportions are not comparable to those male charscters', more than 80 female characrters also come on the stage, and only 13 females are mentioned at the poems of the novel,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figurations of 4 female characters among them, lke Diao Chan(貂蟬), Xu’ mother(徐母), Madamme Mi(糜夫人), and Xiahou Ling's daughter(夏侯令女) The images expressed at the poems are very characteristic. Diao Chan(貂蟬) is figured to be sexy and righteous, Xu’ mother(徐母) to be strong and indignant, Madame Mi(糜夫人) to be resolute and sacificial, and Xiahou Ling's daughter(夏侯令女) to be faithful and high-principled. These four female's images seem different each other apparently, but in fact they are all depicted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commonly.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four female's images are all the same in some sense.

      • KCI등재

        불교의 주석 전통과 과문(科文)의 발달

        조은수(CHO, Eun-su),서정형(SUH, Jung-hyung)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동아시아 불교계의 교학 전통에서 쓰여온 과문(科文)의 전통은 불교의 문헌 분석 방법론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과문이란 경론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경론의 해석을 위하여 경론의 구조를 장절(章節)로 분석, 트리 구조로 도식화한 것이라 간단히 정의할 수 있지만, 그 형식을 하나로 통일하여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과문은 한문 문화권에서 불교의 주석 전통 발달에 따라 오래 내려온 독특한 문헌 장르로서, 동아시아 불교의 학술 전통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불교 문헌들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면서 문헌이 지닌 의리를 구분하고 자구를 체계적으로 쪼개어 분석하고 해석하는 주석의 전통이 크게 발전한다. 주석은 분류와 분석이라는 학술적 행위를 기반으로 삼으며 이러한 주석의 전통을 담지해온 방법 또는 형식이 바로 과문이다. 과문은 대량의 주석 문헌이 생산됨에따라 그것을 읽고 연구하고 비교하는 중요한 도구이자 문헌간의 관계를 정하고 평가하는 일종의 표준이 되었다. 대규모의 원전과 다층의 장소들을 수십 단계에 달하는 복잡한 구조로 분석하고 이를 다시 하나의 체계로 묶어서 통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주석문헌을 체계화하고 정교하게 한 것이니 일종의 문헌분석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석전통의 전개와 과문의 발달 간의 상관관계를 살피고자 150여건의 과문 문헌들을 분석하여 형식적인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형태적으로 분류하는 것 외에, 주석 형식의 변화에 따라 과문의 형식이 분화해간다는 것도 보이고자 했다. 주석 전통이 발달함에 따라 주석서는 총서(總序) 및 현담(玄談)의 서술, 과단(科段)의 설명, 과문(科文)에 의한 본문 해설의 순으로 표준적으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문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실행되면서 불교의 학문 전통과 교육 전통의 전승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동아시아 불교 전통 내지 동아시아의 철학 전통의 이면에 독특한 사유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논리 구조를 밝히는데 과문 분석은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나아가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와 도가를 포함한 아시아 고전의 독해법과 논리 및 논증의 체계를 이해하여 앞으로 동양의 고전 해석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As Buddhist texts were translated to Classical Chinese in East Asia, a rich tradition of commentary and analysis developed. These commentaries analyze the sūtra’s structure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meaning. They also comprehensively dissect a scripture’s phraseology and wording. Gwamun in Korean or Kewen in Chinese 科文 is a methodology and structure that effectively captures this commentarial tradition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In simple terms, a gwamun is an analysis of a commentary or scripture in the form of a multi-level, hierarchical tree diagram of topics connected by complicated lines, which reduces a multi-dimensional network of texts,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into a two dimensional visual form. Gwamun have served as an important tool to read, study, and compare the enormous amount of commentarial literature that accompanied the development of the many doctrinal sects in East Asia. As the culture of gwamun developed and their structure became codified, a standard, systematic methodology of scriptural analysis unique to East Asian Buddhism developed around the principles of gwamun structural organization beginning in the 6th Century CE. Gwamun and commentary shared a close interrelationship–the systematization of commentary structure led to a standardization of gwamun, and vice versa. Now commentary was a way of re-producing the scripture while also being able to introduce original thought. It seems that gwamun were first used to analyze the body of the text as detailed exegesis. As the addition of the interpretive essay became standardized, gwamun expanded its focus to cover the entirety of the commentary, including the author’s interpretation. Gwamun became a major insightful tool to understand the entirety of not only a commentary’s form but also its content. In this paper we will showcase the results of our project to analyze over 150 gwamun texts, examine their characteristic forms, and argue that the Buddhist scholars’ efforts to codify and standardize the tradition of commentarial literature were one aspect of a broader intent to intellectually and logically systematize the entire scope of East Asian Buddhism, its texts, and the theories contained within. At a time when many different texts and thought competed with each other, their structural coherence, complexity, and completeness of logical organization could demonstrate the superiority and legitimacy of their doctrine. Through this culture of commentary and gwamun organization, scholastic Buddhism in East Asia reached a new level of development.

      • KCI등재

        杜甫<北征>考

        이영주,강민호 한국중국어문학회 2000 中國文學 Vol.34 No.-

        《北征》爲杜詩巨篇之一, 凡七百字, 一百四十句. 全篇以敍事爲主, 雜以議論, 其表現手法及詩題命意, 皆源於賦體, 可謂爲變賦入詩者, 其敍事又以紀行爲主, 亦可謂爲韻賦爲詩者. 其作法如此, 前所未見, 赤當時諸家所不及, 爲後來古文家或宋詩人以文代詩者, 先示其指南. 玆篇中結合相反之諸因素, 自內容方面而觀, 則有軍國大事與個人私情之對照, 自形式方面而觀, 則有古體與長律之融化. 因此, 章法幻妙, 忽正忽反, 若整若亂, 時斷時續, 其波瀾壯闊處, 極長篇章法之法數, 撤去舊來藩籬, 擴大詩家之新地平. 玆篇作於唐肅宗至德二載, 其年五月, 杜甫拜左拾遺, ?救房琯以觸皇帝怒, 幸而得知人之救以免大禍. 其年八月墨勅放還?州而省妻子, 名是臨時停職而省家, 實則無異於罷職而歸家. 誠心忠君, 身接棄擲, 欲陳時政, 已無言路, 北征途中, 自有心中葛藤. 篇中種種相反因素之共存, 實由於其葛藤之反映耳.

      • KCI등재

        杜甫〈北征〉考

        姜旼昊,李永朱 한국중국어문학회 2000 中國文學 Vol.34 No.-

        <北征>爲杜詩巨篇之一, 凡七百字, 一百四十句. 全篇以敍事爲主, 雜以議論, 其表現手法及詩題命意, 管源於賦鑑, 可謂爲變賦入詩者, 其敍事又以紀行爲主, 亦可調爲韻賦爲詩者. 其作法如此, 前所未見, 赤當時諸家所不及, 爲後來古文家惑宋詩人以文代詩者, 先示其指南. 玆篇中結合相反之諸因素, 自內容方面而觀, 則有軍國大事與個人私情之默照, 自形式方面而觀, 則有古體與長律之融化. 因沈, 車法幻妙, 忽正忽反, 若整若亂, 時斷時績, 其渡欄壯闊處, 極長篇車法之法數, 撤去舊來藩籬, 接大詩家之新地平. 玆篇作於唐肅宗至德二載, 其年五月, 杜甫拜左拾遺, 소救房琯以觸皇帝怒, 幸而得知人之救以免大禍. 其年八月墨動放還부州而省妻予, 名是臨時停職而省家, 賓則無異於罷職而歸家. 誠心忠君, 身接棄擲, 欲隙時政, 已無言路, 北征途中, 自有心中葛藤. 籍中種種相反因素之共存, 實由於其薄藤之反映耳.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