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賓語와 補語의 區分에 관한 小考

        정만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韓·中 양국은 介詞에 의해 서술어와 결합하는 성분은 보어로 처리한다는 점에서 같다. 그러나 中國의 경우 敍述語에 뒤따르는 名詞性 성분은 賓語로 구분하고, 우리는 敍述語의 성격에 따라 賓語와 補語로 구분하는 차이점이 있다. 敍述語의 뒤에 위치하는 문장성분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名詞性 성분이 직접 서술어와 결합하는 것이고, 둘째는 名詞性 성분이 介詞를 통해 서술어와 결합하는 것이며, 셋째는 둘 이상의 名詞性 성분이 서술어의 뒤에 연속되는 것이다. 韓·中 양국이 문장성분의 구분에 있어 견해차를 보이는 것은 첫째와 셋째의 경우이다. 介詞는 虛詞에 속하고, 虛詞의 생략은 한문문장에서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虛詞인 介詞의 유무만을 가지고 문장성분을 賓語와 補語로 구분할 수는 없다. 따라서 賓語와 補語는 형태상 介詞의 유무뿐 아니라 의미와 서술적의 성격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雙賓語의 순서는 間接賓語군가 선행하고, 直接賓語가 뒤따른다. 間接賓語는 사람을 나타내는 名詞나 代詞가 주류를 이루고, 直接賓語는 구체적 사물이나 추상적 개념 등으로 충당된다. 두 賓語의 사이에는 수식이나 소유와 같든 문법적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독립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반면 程度를 나타내는 補語의 경우는 주로 數詞로 충당되어 서술 동작이 지속되는 기간이나 數量를 표시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雙賓語와 補語는 구분되어야 한다. For Korea and China, it is similar in that the constituent combined with the predicate by Gaesa is treated as a complement. However, there is also a difference that the noun constituent followed by the predicate is classified as an object in China, but it is divided into an object and a compl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redicate in Korea. The sentence constituent followed by the predicate is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a noun constituent is combining with the predicate directly. Second, the noun constituent is combining with the predicate directly through Gaesa. Third, more than two noun constituents are consecutive behind the predicate. The part that Korea and China show their differences in classifying the sentence constituent is the first and third case. Gaesa belongs to Heosa(expletive), and the ellipsis of the Heosa(exp1etive) happens from time to time in a Chinese sentence. For this reason, it is impossible to divide the sentence constituent into the object and complement only with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aesa Thus, it is necessary for object and compliment to standardize the meaning as well as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aesa. Regarding the order of dual objects, an indirect object precedes a direct object. For the indirect object, noun or pronoun that indicates a person occupies the most part, and for the direct object, concrete things or abstract concept is appropriate. Concerning dual objects, independence, which does not form grammatical relationship such as modification and possession, should be secured between the two objects.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ompliment that shows degree, it is usually appropriated with a numeral, so it has a difference that marks period or quantity of predicating action. In this sense, the dual objects and complimen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 KCI등재

        중학교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문제 -빈어와 보어의 설정문제-

        정순영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is paper studied Object and definition of Complement concepts of Chinese grammar as show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The curriculum of Chinese Education was represented validity of amend which is fitting in general system in the grammar as grammar parts, contents, naming and concepts of terminologies, also naming of terminologies was represented well. But rule of concepts of Object and Complement as show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have been ambiguous, superficial. Also, example sentence which can be chaos in the education on site to novice. A chaos of Object and Complement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came from ambiguity of statements. So, this paper proposed to correct rule of concepts as follows ;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existence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past but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recognition, comparison, designation, thinking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as amended.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condition and Comple -ment support meaning fully in the past but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condition or equal connection and Complement support meaning of condition, equal connection in the as amended. As above, this paper proposed to specify rule of Predicate of Object and added to recognition, comparison and designation in the action items. Also, omit 'behavior' item in the statement of Predicate of Object and rule of concepts proposed to move definition items 'existence or possess -ion' in the rule of Object and proposed to add to describe be verb which represent 'equal connection'. Nowadays, Chinese grammar is not Object for using in language's life, it is tool for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describing systematic pheno -mena school as recorded. Therefore School grammar must be described the basis on Scholarship grammar. Above all, considering to school on site, it need to develop for learning which could be explained and under -stood. 본 논문은 개정 7차 한문과 중학교 교육과정해설서에 나타난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빈어와 보어개념설정문제에 관한 연구다. 개정교육과정은 문법범위나 내용, 용어의 명칭과 개념 등 문법방면에 있어서 타 교과와 보편적 체계에 맞추어 개정의 타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용어의 명칭도 한문의 어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중학교교육과정에 보이는 빈어와 보어의 영역구분 그리고 개념규정이 불분명하고, 피상적으로 되어있으며, 예시문도 현장교육에서 초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예문을 제시하고 있다. 개정교육과정의 빈어와 보어의 혼란은 개념규정을 모호하게 진술한데서 비롯되었으므로 필자는 빈어와 보어의 개념규정을 아래와 같이 수정할 것을 제언 한다.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에서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인식, 비교, 칭위, 사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 보어-‘서술어는 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준다.’에서 보어-‘서술어는 상태나 동일관계를 나타내고, 보어는 주어의 상태 또는 존재, 소유나 동일관계의 의미를 보충하여 준다.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빈어의 서술어 규정을 더욱 구체화하여 행위 항목에 ‘인식, 비교, 칭위, 사유’ 등의 항목을 추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보어의 서술어 진술에서 ‘동작 행위’ 항목을 생략하고, 빈어의 규정에서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의 항목을 보어의 개념규정 항목으로 이동하여 진술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동일관계’를 나타내는 계사동사를 추가설정 할 것을 제언한다. 서술어의 지배대상이 되지 않는 비 동작성의 상태, 존재, 소유, 연계를 나타내는 서술어 다음에 오는 성분은 빈어의 위치에 있지만, 지배관계를 갖지 않고 주어의 상태 또는 동일관계를 나타내므로 보어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학교 한문문법은 지금 언어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상은 아니다. 한문문법은 기록되어 있는 문언문에 대한 체계적 현상을 기술하는 것으로 독해를 위한 수단이다. 그러므로 학교문법은 학문문법 체계를 근거로 기술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쉽게 설명되고 이해될 수 있는 학습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 KCI등재

        ‘A+着+N’의 의미 관계 고찰

        이아형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4

        본문은 형용사가 ‘着’와 결합한 후 ‘A着’ 뒤에 자리가 생기면서 빈어의 형식을 가지게 되는 ‘A着+N’의 문형에서 빈어자리에 오는 명사성 성분인 특수빈어들 사이의 의미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본문은 계사빈어에서 간접사동빈어를 거쳐 추상사동빈어로 의미가 전이되는 과정도 고찰하고 있다. 먼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계사빈어를 보면 빈어자리에 있는 명사형 성분은 아무런 성분의 첨가 없이 다시 술어 앞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렇게 될 수 있는 이유는 ‘A着’와 ‘N’ 사이에 환유나 은유의 의미관계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사빈어류와 존재류의 경우는 개사의 의미로, 존재류는 존현문 문형 자체의 의미관계로 인해 의미가 고정되기 때문에 은유나 환유의 의미 기제 없이도 의미의 변화 없이 빈어자리로 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간접사동빈어다. 그 중 부분류는 계사빈어류와 같이 은유와 환유의 형식으로 의미가 고정된 후 환유나 은유의 방법을 통해 신체의 변화가 감정의 변화로 나타나 주어의 의지에 따라 감정이 ‘변화’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결과류는 계사빈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구조로 원인 사건과 결과 사건이 한 문장에 나타나는 의미구조로, ‘원인으로 인해 결과가 초래되다’라는 의미 변화를 가지는 구조이다. 마지막으로는 추상사동빈어의 경우 간접사동빈어의 부분류와 결과류의 내부 구조가 비슷하며 추상적인 의미의 명사가 대부분이다. 빈어가 ‘把’자문이나 ‘被’자문으로 변형할 수 있고 빈어가 주어 앞으로 가서 형용사의 기본 구조로 환원될 수는 없다. 따라서 가장 빈어와 흡사한 어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그 수가 아직은 미미하다.

      • KCI등재

        “雙音節動詞(於)+賓語”探析-以“擅長(於)+賓語”爲例

        김종찬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3

        “擅長象棋”과 “擅長於象棋”가 현대 중국어에서 공존하며 그 뜻은 기본적으로는 같다고 볼 수 있다. “擅長象棋”의 경우 “於”의 생략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이런 견해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來源於”,“作用於”,“不同於” 등의 경우에서는 “於”를 절대 생략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대 중국어에서 개사 “於”는 그 前附性에 의해서 이미 그 앞 성분과 결합하여 술어의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把字句”와 “被動句”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不及物動詞/形容詞+於” 구조가 술어가 되어서 빈어를 갖게 되는데, 그렇다면 이 경우 “不及物動詞+於”나 “形容詞+於”는 及物動詞의 기능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擅長象棋”의 경우는 “擅長” 이 빈어를 가지므로 “擅長” 자체에 개사 “於”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 따라서 “擅長”은 이 경우 “及物動詞”가 되며 “擅長於象棋”에서는 “擅長”이 개사 “於”의 뜻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不及物動詞”가 된다. “擅長”이 “不及物動詞”로 쓰이느냐 “及物動詞”로 쓰이느냐는 주로 그 뒤에 오는 “賓語”의 장단과도 어느 정도 관계가 깊은 것으로 보인다. 절대적은 아니지만 “擅長”은 짧은 빈어를 갖고, “擅長於”는 긴 빈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 KCI등재

        논문(論文) : 현대 중국어 비교구문의 특징 분석 -목적어 비교구문이 형성되지 않는 이유를 중심으로

        이경진 ( Kyung Jin Lee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在本文,我們討論了現代漢語比較句的特點。漢語比較句근其他語言的比較句的最大不同點在於是否存在賓語比較句的問題。根據比較對象,比較句可分爲主語比較句和賓語比較句。主語比較句爲說話人針對主語근比較基準進行比較而敍述的句法形式。賓語比較句爲主語針對賓語근比較基準進行比較而其中選擇一個,在程度上這兩個比較對象具有遞進關係的句法形式。在現代漢語比較句裏,倂不可能形成賓語比較句的句法形式。本文重點探討了其原因;第一,從句法層面上,‘比+比較基準’不是附加成分,타的位置不能隨時移動,倂且動詞的補足語成分,卽‘賓語’근‘比較基準’無法形成比較對象的關係。比較基準放在動詞的標定語的位置,動詞管轄不了타,因此漢語比較句不能形成賓語比較句的句法意義。第二,從語義層面上看,在賓語比較句,以主語爲比較行爲的主體來其包含著比較和選擇的兩種語義。可是,在漢語比較句只能表示比較的語義,如果要表示選擇或遞進關係,必須用兩個短語來表示前後關係。因此,漢語比較句不可能形成賓語比較,只能存在針對主語和比較基準進行比較的主語比較句。

      • KCI등재

        3인칭 대명사 ‘他’의 ‘虚指(가상지칭)’ 용법 분석 -‘V+他+수량구+(NP)’ 구문을 중심으로-

        나수연 ( Na Su-yeon ) 중국학연구회 2023 중국학연구 Vol.- No.104

        현대 중국어 ‘他’는 3인칭 대명사로서 실질적인 ‘지칭’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문장에서 주로 주어와 빈어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정어로서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他’는 본디 ‘다르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였으며, 唐代 이후 대명사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他’가 어떤 변화과정을 통해 3인칭 대명사로 발전되었는지를 고대에 쓰인 여러 3인칭 대명사와 더불어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술어 뒤에 위치하여 ‘가상 지칭(虚指)’ 용법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他’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V+他+수량구+(NP)’ 구문에 대한 통사적, 화용적 분석을 하였다. ‘吃了他三个苹果’ 류의 문장에서의 ‘他’는 빈어나 목적어로 쓰였으며, 실질적인 ‘지칭’의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그러나 ‘吃了他三个苹果’와 동일한 구조라 할지라도 ‘我真想睡他三天三夜’ 류의 문장에 쓰인 ‘他’는 실질적 의미를 가진 단어로 여기지 않으며, ‘가상 지칭(虚指)’ 용법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가상 지칭’은 불특정한 ‘대상’ 혹은 ‘사물’ 등을 의미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의문대명사나 지시대명사가 주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我真想睡他三天三夜’ 류의 문장에서의 ‘他’는 지칭하는 불특정한 대상은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화자의 바람, 명령, 혹은 부정적인 어감, 즉 화자의 주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쓰임의 차이로 인해 ‘他’의 ‘가상 지칭’ 용법은 기존의 ‘가상 지칭(虚指)’의 개념과 혼동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他’는 휴지나 어기를 나타내는 일종의 ‘조사’와 유사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보는 것이다. In modern Chinese, ‘Ta(他)’ is a third person pronoun and plays a role of practical ‘Designation’. It mainly occupies the position of subject and object in a sentence, and also has a role as a modifier. In this paper, first, through diachronic consideration,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the third person pronoun and the change in meaning of ‘Ta(他)’ are examined, and then the usage of ‘Xuzhi (虛指-Tentative Designation)’ is expressed after the predicate. To this end, syntactic and pragmatic analysis of the phrase ‘V+他+quantity phrase+(NP)’ was conducted. Sentences like ‘吃了他三个苹果’ are syntactically a single object structure, and in this structure, ‘Ta(他)’ is a modifier, and it is correct to understand it as an object with the meaning of ‘Designation’. However, sentences like ‘我真想睡他三天三夜’ have the same ‘V+他+Quantity Phrase+(NP)’ structure syntactically, and the ‘Ta(他)’ used in this sentence is not regarded as a modifier. It seems that it has the use of ‘Xuzhi(虛指-Tentative Designation)’ that only strengthens the speaker’s sense of tone. At this time, ‘Ta(他)’ is pronounced lightly with a neutral tone, and serves to provide the speaker’s wish, command, or negative tone, that is, the speaker’s subjective information.

      • KCI등재

        논문 : 유(有)의 의미기능과 유(有)자문 빈어의 특징

        홍연옥 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語文學誌 Vol.38 No.-

        本文認爲"有"的核心意義是"特定値的獲得",本文根據"有"的特定値的種類的不同,對其多種意義的形成進行了考察。考察的結果是,外部擁有會形成"擁有"意,內部擁有的所取得値爲事物、狀態、動作時會分別形成存在、比較、變化之意。"有"的賓語要有特定性,本文同時對因這種特定性而出現的"有字句"的特點也進行了考察。由特定性而形成的指稱性意義能購解釋"有+VP"結構裏的部分性意義以及有字比較句裏面形容詞前面爲什마要有"這마"、"那마"或數量詞,而且也能흔好地說明南方方言裏"有"字的强調用法。本硏究考察了以往被看作多義詞的"有"的本義在衆多語義中如何發揮作用,也考察了本義在語法化了的結構中由本義發展而來的"有"的意義如何發揮作用。這一點正是本硏究的意義所在。

      • KCI등재

        HSK 작문 답안을 통한 중국어 어순 오류 분석

        손정애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3 No.-

        韓國語是典型的SOV語言而漢語基本上是屬SVO類型的, 兩種語言之間存在的語序差異使母語爲韓國語的學習者在使用漢語時産生種種語序偏誤。本文以在“HSK動態作文語料庫”中所檢索到的韓國人的語序偏誤爲分析對象, 按照句子成分的分類進行了統計性分析, 幷對語序偏誤的類型和其形成原因進行了深入探討。 根据本文所做的統計, 有關主語的語序偏誤在整個偏誤當中約占11.9%; 有關賓語的語序偏誤約占14.6%; 有關謂語的語序偏誤約占15.4%; 有關定語的語序偏誤約占7.1%; 有關狀語的語序偏誤約占44.0%; 有關補語的語序偏誤約占7.0%。 每個句子成分都有三四種類型的較常見的語序偏誤, 各個句子成分的具體情況如下: 第一, 主語方面。(1) 主語位于謂語后面(2) 主語和賓語互相錯位(3) 主謂謂語句中小主語的錯位; 第二, 賓語方面。(1) 動詞的賓語位于動詞前面(2) 介詞的賓語位于介詞前面(3)雙賓語句中兩種賓語之間的錯序; 第三, 謂語方面。(1) 在能愿動詞和狀語之間發生的語序偏誤(2) “是”字句中“是”的錯位(3) 在連動句中動詞和賓語之間的錯序(4) 動態助詞“了”和“過”的錯序; 第四, 定語方面。(1) 多項定語之間的錯序(2) 定語標志“的” 的錯位(3) 數量詞定語位于中心語之后; 第五, 狀語方面。(1) 狀語位于謂語后面, 以在補語的位置出現(2) 狀語和主語互相錯位(3) 多項狀語之間的錯序; 第六, 補語方面。 (1) 補語位于謂語前面, 以在狀語的位置出現(2) 否定型可能補語結構中“不”的錯位(3) 趨向補語或數量補語結構中補語和賓語的錯序 我們通過本文的分析發現, 韓國學習者在整個句子成分上比較頻繁地出現語序偏誤, 其原因除了韓國語的基本語序?漢語不同之外, 漢語是无形態變化的語言, 語序的句法功能比韓國語復雜, 而且同一句法成分之間的語序也比較固定, 這些都給韓國學習者增加了學習的難度。爲了使韓國學生在學習漢語時避免造成這些語序上的偏誤, 敎師在課堂敎學上應該充分地强調漢語語序在句法上的重要性。

      • KCI등재

        현대중국어 형명이합동사의 사전적 처리 연구

        오문의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2 No.-

        This paper studies 116 adjective-noun compound verbs such as ‘吵架’, ‘乾杯’, ‘红脸’, and ‘整 容’, listed in 《现代汉语词典》(7th edition) and how they are described in the dictionaries. In other words, this study researches a selection principle of head word, a notation principle of adjective-noun compound verb, a setting up standard of part-of-speech, and an analysis of errors on semantical definition in the dictionaries. In principle, adjectives cannot take object inherently. However the adjectives of adjective-noun compound verbs have verbal characteristic, and their meaning is to be expanded. In addition,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object components behind the adjectives, the meaning change occurs in the ways of a metaphor or a metonymy. The dictionaries to be analyzed are Chinese-Chinese monolingual dictionaries such as 《现代汉 语词典》(商务印书馆), 《现代汉语规范词典》(外语教学與研究出版社, 语文出版社) and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such as 《中韩辞典》(National 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Korea University), 《进明中韩辞典》(Jinmyung Publishing Co.), 《民众Essence中韩辞典》(Minjung Publishing Co.), 《现代 中韩辞典》(Kyohak Publishing Co.), and 《Prime东亚中韩辞典》(Doosan Donga Publishing C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se adjective-noun compound verbs are described as follows in the dictionaries which this study has examined. Firstly, the more recent the publication year of the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y, the more number of adjective-noun compound verbs are listed. 44 of the 116 adjective-noun compound verbs in 《现代汉语词典》(7th edition) were newly listed as head words or the notation of separable verb was add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judge exactly whether it is a adjective-noun compound verb or not. Secondly, the judgment of whether or not of adjective-noun compound verb varies from dictionary to dictionary. The judgment of 23 verbs(19.87%) among 116 adjective-noun compound verbs is different in five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Thirdly, the tendency to describe adjective-noun compound verb as a noun other than verb is higher in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than Chinese-Chinese monolingual dictionaries. Finally, this study found some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incorrectly the meaning and part-of-speech of the head words such as ‘多事’, ‘哑火’, ‘冷场’, ‘清场’ and ‘鬆口’. Some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need to add a verb entry for the head word such as ‘长款’, ‘烦神’, ‘黑脸’, ‘空身’, ‘空手’, ‘满月’, ‘猛劲儿’, ‘清仓’, ‘清盘’, ‘鬆手’. 이 논문은 《现代汉语词典》(제7판)에 등재되어 있는 3,957개 2음절 이합사 가운데 ‘吵架’, ‘乾杯’, ‘红脸’, ‘整容’ 등과 같이 첫 번째 형태소가 형용사인 116개 ‘형명이합동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어휘들이 중한사전에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표제어 등재 원칙, 이합사 표기 원칙과 품사 설정의 기준, 뜻풀이 오류 분석 등을 고찰한다. 형용사는 본래빈어를 취할 수 없는데 형명이합동사는 뒤에 빈어 성분이 와서 형용사가 동사적인 특성을 갖게 되면서 형용사의 의미가 확장되었을 뿐만 아니라 뒤에 놓인 빈어 성분과의 결합을 통해은유, 환유 등의 방식으로 한번 더 의미 변화가 일어난다. 분석 대상 사전은 중중사전인 《现代汉语词典》(商务印书馆), 《现代汉语规范词典》(外语教学 與研究出版社, 语文出版社)과 중한사전인 《中韩辞典》(고대민족문화연구원), 《进明中韩辞典》(진명출판사), 《民众엣센스中韩辞典》(민중서림), 《现代中韩辞典》(교학사), 《Prime东亚中韩辞典》(두산동아)이다. 이러한 형명이합동사의 사전에 기술된 양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한사전의 출판연도가 최근일수록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는 형명이합동사의 갯수가더 많다. 그것은 《现代汉语词典》 초판 출간 이후 검토 대상 116개 형명이합동사 가운데 44개가 표제어로 새로 등재되었거나 이합사 표시가 추가되었고, 사전마다 이합사 표기 여부에 대한 판단이 다를 정도로 이합사 판단 여부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이합사의 판단 여부는 사전마다 차이를 보인다. 《现代汉语词典》에 이합사로 표기된116개 형명이합동사 가운데 23개(19.87%)에 대한 5개 중한사전의 이합사 판단이 다르다. 셋째, 형명이합동사의 품사를 동사 이외에 명사를 설정하는 경향은 중중사전보다는 중한사전이 더 높다. 넷째, ‘多事’, ‘哑火’, ‘冷场’, ‘清场’, ‘鬆口’는 일부 중한사전 뜻풀이 부분에 오류가 발견된다. 또한 ‘长款’, ‘烦神’, ‘黑脸’, ‘空身’, ‘空手’, ‘满月’, ‘猛劲儿’, ‘清仓’, ‘清盘’, ‘鬆手’는 일부중한사전에 동사 의미항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