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 성격에 따른 인물전설의 변이와 지역담론의 창출 ―안동지역 서애 류성룡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

        조정현 한국구비문학회 2009 口碑文學硏究 Vol.0 No.29

        Seoae(西厓) Ryu Sung‐Ryong(柳成龍) was a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and are highly appreciated in his achievements by displaying his activities as Dochechalsa(都體察使)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is securing his position in the center of character legend in Andong by being connected with fame of Hahoe village. By the way, it is noted that character legend with other features is being handed down according to historical position of each villag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eatures of village story by examining character legend related to one character through diverse villages related to the pertinent character’s life. If the existing researches expressed ‘Character’s understanding through legend’ or ‘Understanding or comparison of village through story’, the study has ‘Comparison of cognitive difference every village through character legend’ as its goal. The study made a foundation to re‐recognize character and village community through features of village related to the pertinent character in reverse. In the present point of time that Seoae Ryu Sung‐Ryong’s achievements take a new view, a work tracking traces around him has meaning to conclude his life and regional & social meaning more completely, not an intention to make negative recognition about him distinguished. As all people reading Jingbirok feel, it makes our heart hurt to be not evaluated in a proper way since his personality and good judgment make us aware of respect and attachment. However, we shall note that character legend as a joint work of community is following position of community on the basis of historical experience of community‐especially village‐ than following emotion based on each individual’s knowledge or information. Performances gotten by analysis on his stories are as follows. First, stories as village culture form position of village members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 thoroughly. Second, stories as village culture are beyond each individual’s position and follow the total position of village even if each individual is in position opposed to them. Namely, we can see that village community than each individual is considered preferentially in stories. Third, character legend of Seoae Ryu Sung‐Ryong is reflecting position and opinions of the people dynamically, having correlations with historical detailed facts. The people expressed their opinions positively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rough Seoae Ryu Sung‐Ryong. It is checked through similarity with literary story. 서애 류성룡은 관직이 영의정에 이르렀고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都體察使)로 활약하여 그 공적이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하회마을의 유명세와 궤를 같이 하면서 안동지역 인물전설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각 마을의 역사적 입장과 상황에 따라서 전혀 다른 성격의 인물전설이 전승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이 글에서는 한 인물과 관련한 인물전설을 해당 인물의 일생과 관련한 여러 마을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마을설화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전설을 통한 인물의 이해’, 혹은 ‘설화를 통한 마을의 이해나 비교’를 표방했다면, 이 연구는 ‘인물전설을 통한 마을마다의 인식 차이 비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역으로 해당인물과 관련한 마을의 특성을 통해 인물과 마을공동체를 재인식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서애 류성룡의 위업이 새로이 조망 받는 현재 시점에서 서애를 둘러싼 그림자를 추적하는 작업은 서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며, 그의 삶과 지역사회적 의미를 더욱 완결하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징비록』 등을 읽어본 이들은 모두 느끼겠지만 서애의 인물됨과 뛰어난 판단력은 저절로 존경과 연모의 마음을 일깨우고 있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는 서애가 안타까울 따름이다. 하지만 공동체의 공동작으로서 인물전설은 개인의 지식이나 정보에 기반한 감성을 따르기보다 공동체, 특히 마을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의 입장을 따르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서애 설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문화로서 인물전설은 철저히 역사적 경험을 기반으로 한 마을구성원들의 입장을 형상화한다는 점이다. 둘째, 마을문화로서 인물전설은 개인의 입장을 넘어서 있으며 설사 자신이 반대의 입장에 서 있어도 마을 전체의 입장을 따르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인물전설에 있어서는 개인보다 마을이라는 공동체가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서애 류성룡에 대한 인물전설은 역사적인 세부사실과 상관을 이루면서 민중의 입장과 의견을 역동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중은 서애를 통해 임진왜란의 발발과 극복과정에 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적극 피력했던 것이다. 이는 문헌설화와의 유사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 기획논문 : 서애(西厓) 류성용(柳成龍)의 학문(學問)과 계승(繼承) ; 17세기 서애(西厓) 柳成龍의 학풍(學風)과 그 계승 양상

        김학수 ( Hak Su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이 글은 풍산 류씨 류성룡(柳成龍) 집안의 가학적 성격과 그 계승 양상을 17세기를 중 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지금까지 조선시대의 사상사는 학파 단위 또는 그것의 개체가 되는 특정 인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된 반면 가학(家學)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약했음은 부정할 수 없다. 16세기 중엽 이후 조선의 사상계가 학파(學派) 단위로 편제되어 감으로써 개인의 사 상적 좌표 또한 학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과 학파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가학적 요소에 대한 간과는 사상사 연구의 실질성과 풍요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 본고는 퇴계학파(退溪學派)의 핵심 가문으로 일컬어지는 류성룡 집안의 가학이 어떤 맥락 속에서 형성이 되고, 그것의 실체는 무엇이며, 어떤 변화 및 발전의 과정을 거치는가를 17세기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이른바 ``서애가학(西厓家學)``이 17세기 조선의 사상계, 특히 영남학계와 어떤 관계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해명도 이 글의 또 다른 주안점이다.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leanings unique to the Seoae Lyu Seongryong family of the Pungsan Ryu clan and how such patterns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a focus on the 17th century and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uch patterns. To date, the history of theories in the Joseon era had been actively focused on schools of thoughts or specific historical figures while the academic patterns of each families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Since the mid 16th century, as the academic field in the Joseon era started to become re-organized around schools, it is true that an individual``s thoughts and theories were closely related to such schools but the factor of academics within certain families, located somewhere between an individual and schools have largely been excluded from studies and thus have undermined the richness and practicality of research on theories during this era. This paper analyzes how the academic pattern of the Seoae Lyu Seong ryong family, known to have been at the center of the Toegye School, was formed, in which context it was formed, what its true nature was, and how it evolved throughout the 17th century. Moreover, the paper also focuses on how the Seoae academics around families were related to the schools of thought in 17th century Joseon and the Youngnam School, in particular.

      • 류성룡의 주역 이해가 리더십에 미친 영향

        정승안 ( Jung Seung An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4 No.-

        오늘날의 세계화와 4차산업혁명과 같은 시대적 변화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을 요청하고 있다. ‘수평적’, ‘동반자적’, ‘배려’, ‘유연적’ 등등의 다양한 개념들을 적용한 리더십 모델은 서애 류성룡에게도 충분히 적용가능하다. 서애 선생은 이러한 리더십을 발휘했던 실존적 인물이면서 동양적 리더십의 전형적인 역할모델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서애 선생을 재조명하는 것은 충분한 가치와 의미가 있다. 서애 류성룡의 재세시는 전쟁을 경험한 혼란한 정국, 이른바 난세였다. 당시의 혼란상과 어려움을 상세하게 기술한 위대한 저서『징비록』이 있었기에, 우리는 400년 전의 참담하고 비참한 사회역사적 사실을 우리가 마치 오늘의 일인 것처럼 이해할 수 있다. 이 기록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위대한 학자로서의 선생의 풍모와 삶의 흔적을 읽어내는 데 모자람이 없을 것이다. 그는 조선중기의 난세의 시대에, 의심 많던 왕과 당파간 갈등으로 어지러운 조정에서 재상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 또 외적방어와 백성들을 아울렀던 선생의 리더십은 탁월한 것이었다. 뛰어난 도학자이자 경세가로서의 류성룡의 리더십의 원천에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주역읽기’와 ‘활용’이 류성룡의 리더십과 사회적 처세의 풍부한 자원과 원천이 되었을 것이라고 본다. 류성룡은 역경(Iching)을 읽으면서 얻었던 깨달음의 순간과 심사를 여러 가지의 글과 시에 남겨놓았다. 또 주역자체에 대한 연구와 메모는 『독역기의』와 『잡저』라는 책에 남기고 있다. 또 주역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는 주역의 점서법과 『초씨역림』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주역이 유가(儒家)와 선도(仙道)를 연결하는 수련법의 요지를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선생의 학문과 깨달음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주역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에 분명하다. 이는 오늘날 동양사상과 사회과학의 접목을 주된 관심사로 하는 연구자들이 주목해야 하는 지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애 류성룡의『역경』에 대한 이해와 활용, 기록들에 관심을 두고 그 흐름을 따라가며 정리한다. 주역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활용이 선생의 리더십에 조용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고 보고 논의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동양적 리더십(주역)에서의 역할모델은 성인, 군자이다. 성인과 군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도학자의 눈으로 사회적 삶을 천착한다. 이는 오늘날 사회과학의 현실인식의 논리와 같은 맥락에서 충분히 고려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격물치지’를 통한 대상인식은 변화의 학문으로서의 주역의 주된 방법론이다. 기미(幾微)와 조짐(兆朕)의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미래예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주역의 핵심원리를 담고 있는 ‘건(乾)괘’에 대해 서애 선생이 남긴 자세한 기록을 그대로 살펴본다. 조선 중기의 선비들이 주역 건괘에 대한 해석과 기록을 남기고 있다는 사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사료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선생이 주역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상과 서당건립, 가족의 안위는 물론 국가의 미래까지 하나의 성찰적 맥락에서 점쳐보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paradigm of leadership should be established. New concepts of leadership such as 'horizontal,' 'partisan.' 'considerate,' and 'flexible' models can also be applicable to Ryu Seong-ryong’s leadership. As an existential individual in wartime crisis, Ryu Seong-ryong exercised remarkable leadership, and became the paragon of leadership in traditional East Asia. Ryu Seong-ryong’s Jingbirok 懲毖錄, describes in detail the turbulent years of war with Japan. Especially, it is worthwhile to study Ryu Seong-ryong’s leadership as prime minister in wartime crisis. Especially, in terms of implementing policies for the people in times of war with Japan, Ryu exercised dramatic leadership. Among the sources of Ryu’s leadership, this article will focus on Ryu’s uses of the Iching in diverse contexts and conditions. He left essays and poems describing the moments of enlightenment while reading the Iching. In addition, he also left research notes and memos on Iching in such books as < Dokyeokgi 讀易記疑 > and < Japjeo 雜著 >. As to how to use the Iching, Ryu employed diverse methods. He also referenced the Yeokrim of the Cho 焦氏易林. It seems clear that the Iching had a large presence in Ryu Seong-ryong's learning and enlightenment. This article will focus on Ryu Seong-ryong's uses of Iching. The sages (聖仁) and gentlemen (君子) described in the classics, especially the Iching have been generally considered the traditional icons of leadership. The full implications of these concepts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should explored as well.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should served as the main method of research. This article will analyze Ryu’s detailed records on Qian 乾 hexagram as it contains the core principles of the Iching. Finally,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various ways in which Ryu Seong-ryong used the Iching. It will be shown how Ryu prognosticated with the Iching for such diverse issues as routines of daily life, building of local schools, family matters a s w ell as the country’s future at the level of contemplation.

      • 류성룡의 공익지향의 실용적 리더십 -CIP-sp 모델에 의한 분석

        백기복 ( Baik Kibok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7년(1592년∼1598년) 동안 병조판서, 영의정, 도체찰사 등의 직책을 가지고 국난을 극복했던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선생의 리더십을 CIP-sp(Charismatic, Ideological, Pragmatic; socialized, personalized) 모델의 관점에서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징비록과 선조실록 및 선조수정실록에 기초하여, 류성룡을 (1)인물평가, (2)민심관리, (3)명군 대응, (4)군사전략, (5)분석기록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계량역사학적(historiomatric)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류성룡은 “공익적(사회적) 권력지향의 실용적 리더(socialized pragmatic leader)”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개인적 이득보다는 사회적, 공익적 이익을 위해서 헌신했으며, 카리스마 리더가 추구하는 것과 같은 먼 미래 희망보다는 구체적, 실용적 문제에 천착했고, 이념적 리더가 추구하는 신념의 동질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실용적 리더로서 장기적 관점의 근본적 문제해결에 집중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위기 상황에서 실용적 리더가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위기 속에서는 ‘공익적(사회적) 권력 지향’이 필수적이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아울러, 계량 역사학적 방법론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으며, 나아가 류성룡의 역사적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었다. 류성룡은 단순히 징비록의 저자가 아니라 우리 역사에서 ‘공익적 실용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위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향후의 연구 방향은, S-N-D-F 모델에 입각한 종합적 조망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며, 한국형 리더십 8요인을 통한 한국형 리더십의 뿌리 찾기 연구와 ‘두름성’(versatility) 연구, 오늘날의 관료 리더십의 표준 설정 연구, 그리고 류성룡 리더십의 독자영역구축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valuates Ryu Seong-Ryong’s leadership with the CIP-sp(C=Charismatic, I=Ideological, P=Pragmatic; s=socialized, p=personalized) Model as deveoped by Michael Mumford in 2006. As a prime minster, defence minister, and the Commander-in-Chief, Ryu Seong-Ryong made great contributions in defending the country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during the period from 1592 to 1598. With the ‘historiometric method,’ this study analyzes Ryu Seong-ryong's roles and abilities in five distinct perspectives: (1) the standards of evaluating military generals; (2) the management of wartime human resources; (3) the methods of responding to the Ming troops; (4) military strategies; and (5) the historical records. This article argues that Ryu was “the socialized pragmatic leader.” He made contributions to the country, sacrificing his personal interests, for the sake of public interests. He addressed specific and pragmatic problems rather than pursuing visions for a remote future like a charismatic leader does; he sought to find fundamental solutions as a practical leader with a far-reaching vision rather than try to forge the homogeneity of faith as an ideological leader often does. This article shows that a pragmatic leader could be effective at times of military crisis, and that pragmatic leadership entails the ‘socialized power orientation.’ The article confirms the value of historiometric method. Moreover, it illuminates Ryu Seong-ryong's place in history. Ryu should be recognized not simply as the author of the Jingbirok, but as a heroic leader who pursued ‘socialized pragmatism’ in Korean history. By analyzing Ryu Seong-ryong’s leadership in S-N-D-F model and conceptualizing eight factors of Korean-style leadership, this study suggests new directions in future researches,

      • 자유와 귀의(歸意) -류성룡 시심(詩心)에서 읽다 (1)

        송복 ( Song Bok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이 글은 서애(西厓)의 시(詩)를 통해 西厓의 7개 리더십을 구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西厓 연구는 사회과학적 분석을 통한 西厓 리더십 연구였다. 西厓의 언사, 西厓의 행태와 정책 그리고 전쟁에 대한 그의 수많은 기록들과 실록을 위시한 다른 사람들의 기록이 西厓 연구의 기본 자료들이었다. 연려실기술 등 후대에 쓰여진 자료들도 물론 기본 자료로써 연구에 크게 이바지해온 것 또한 사실이다. 이 자료들의 기본 특징은 모두 밖으로 드러난 사건 사실 등 현실세계의 자료들이고 그리고 그 현실세계를 가능한 한 왜곡됨이 없이 있었던 그대로 관찰해서 기록한 자료들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과학적 연구에 동원된 자료는 이같이 모두 ‘밖으로 드러난’ 사실 사건들에 근거한 자료들이라는 점, 거기에 이 글은 주목한다. 그런데 그 자료들이 보여주는 현실세계는 어떤 세계인가. 그 세계는 눈으로 그리고 피부로 감지하는 세계이다. 이 세계는 바로 ‘표층의 세계’이다. 지금까지 西厓 연구는 이 ‘표층의 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西厓의 ‘심층의 세계’를 보려는 데 있다. 사건 사실들을 서술한 ‘의식의 세계’가 아닌 ‘의식의 저류’를 찾는 것이다. 그 ‘심층의 세계’, ‘의식의 저류’는 지금까지 눈으로 피부로 확인되고 감지된 서사적 기록이 아니라, 마음 한가운데서 솟아 나온 영혼의 소리다. 이 글에서는 그것을 시(詩)라 명명하고, 이 시를 통해서 西厓 ‘본연의 세계’를 찾으려 하는 것이다. 이 글은 그 ‘본연의 세계’를 설명하는 도구로 西厓의 7개 리더십이 어떤 것인가를 먼저 설명한다. 그리고 그 리더십이 다른 리더들의 리더십과 근본적으로 차별화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그의 시심(詩心)에서 찾아 설명한다. This article seeks to illuminate seven aspects of leadership through a close reading of Seo-ae's poems. Scholarship to date on Seo-ae's leadership has been predominantly social scientific. Seo-ae's sayings, his actions and policies, his extensive writings on war, historical records in the Veritable Records have served as primary sources on Seo-ae studies. Historical records constructed in the later periods such as the Narratives of Yeollyeosil (燃藜室記述) have also been used extensively by researchers as the basic historical sources. Such sources are basically the sources of the external world, historical records describing the real world. This article begins with an observation that the sources used by social scientists describe the events that had been externally revealed. What kind of world is the real world that those sources present? It is the world seen by the eye and felt by the skin; it is the world on the surface. Studies on Seo-ae have focused on the world on the surfa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deeper world of Seo-ae, not to observe the world of consciousness that is shown in the descriptions of events and facts, but to explore the undercurrent of consciousness. "The deeper world" and "the undercurrent of consciousness" is not historical narratives, but the sounds of a soul welling from the center of his heart. I call it poetry, and try to seek Seo-ae's real world through his poems.

      • KCI등재

        소재 노수신과 서애 류성룡의 경세론, 그 실천과 의의

        정우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1

        Even though Noh Su-sin and Ryu Seong-ryong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deologically, they varied in the perception attitude towar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and the theory of governance. Both of them were based on Zhu Xi studies, but they were different in the position for Gyeokmulchiji, Jondeokseong, and Domunhak, the theory of governance, and its practice as well as the timing and concentration of the acceptance of Wang Yangming's teachings. While Noh believed that a monarch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men of virtue from men of small character through Chiji and made active recommendations of revolutionary figures, Ryu summarized the studies of kings into Myeongchejeokyongjihak and argued that governance should vary according to Chise and Nanse. In the ideological circles of Joseon running up only toward the principle of Zhu Xi, both of them held significance in various ways including raising certain questions, showing the ways that thinking based on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took up the challenge of the times and its outcomes relatively clearly, providing the ideological grounds of practicality found in the bureaucratic Sarims, and sharing certain solidarity in the viewpoint of Ganganhak, part of the shore studies of the Nakdong River. In addition,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sought after by Noh that was active before Imjinwaeran provid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Ryu to secure the practice power of the teachings based on Zhu Xi studies after the war. Ideologically speaking, Noh made an ideological competition against Lee Hwang under the guidance of his master Lee Eon-jeok and led to the appearance of Ryu. While Lee Hwang compiled Lee Eon-jeok's doings and found Neo-Confucian purity and depth in him, Noh sensed the atmosphere of Wang Yangming's studies in him through Daehakjangguboyu published by Lee Eon-jeok. Like his master, Ryu criticize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but he maintained his affection and interest for them until his later days. The acceptance, criticism, and critical acceptance of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contributed to the further dynamic development of the ideological history in Korea. 노수신과 류성룡은 사상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명학에 대한 인식의 태도 및 경세론이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주자학을 기반으로 하되 양명학을 수용하는 시기와 농도는 물론이고, 格物致知와 尊德性·道問學에 대한 입장, 경세론과 그 실천의 문제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노수신은 치지를 통해 군주가 마땅히 군자와 소인을 변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개혁적인 인물을 적극 추천하였다면, 류성룡은 제왕학을 明體適用之學으로 요약하고 치세와 난세에 따라 경세를 달리 해야 한다고 주장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노수신과 류성룡의 경세론은 주자주의 일변도로 치닫는 조선 사상계에 일정한 문제를 제기하였던 점, 양명학적 사유의 시대적 응전과 그 결과를 비교적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 관료형 士林이 지니고 있었던 실천성의 사상적 근거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 낙동강 연안학문인 江岸學的 시각에서 일정한 연대의식을 지니고 있었던 점 등 다양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었다. 그리고 임란 전에 활동한 노수신의 양명학은, 류성룡이 임란을 거치면서 주자학에 바탕한 양명학적 실천력을 확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상사적 측면에서, 노수신은 이언적을 스승으로 삼아 이황과 사상적 경쟁을 벌이면서 류성룡을 탄생시켰다. 이황이 이언적의 행장을 찬술하면서 그에게서 성리학적 순수성과 깊이를 보았다면, 노수신은 이언적 찬술의 『大學章句補遺』를 통해 그에게서 양명학적 분위기를 감지하였다. 한편 이황의 제자 류성룡은 스승이 그러하였던 것처럼 양명학을 비판하였지만, 만년까지 양명학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놓지 않았다. 이처럼 양명학에 대한 수용과 비판, 그리고 비판적 수용을 통해 한국사상사는 더욱 역동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획주제: 소통 부재의 시대, 한문학에서 길을 찾다 : 서애 유성룡의 상소문을 통해 본 소통의 미학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신두환 ( Doo Hwan Shin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논문은 임진왜란 중에 작성된 서애 유성룡(1542~1607)의 상소문을 소통과 관련하여 연구한 것이다. 서애는 임진왜란 당시 재상을 지낸 경륜가로서 조선중기의 정치가이자 성리학을 공부한 학자였다. 그는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수많은 상소문을 작성하였으며 그의 상소문에는 우국애민의 충정이 묻어난다. 상소문은 奏議류의 문장으로 임금이나 황제 등 자기보다 높은 사람에게 올리는 글로 주로 관각에서 이루어지는 관료의 문학이다. 서애의 상소문에는 임진왜란이라는 누란의 위기를 당하여 국가를 보전하려는 위대한 구상과 임금을 안정시키고 왜란을 진압하기 위한 위대한 전략이 들어 있었다. 이를 위해 명나라 황제를 설득하고 국내에 파견된 명나라 장수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일이 긴박하게 펼쳐지고 있었다. 이 소통의 중심에는 서애의 상소문이 있었다. 그의 상소문은 간절하고 절실한 현실대응 논리를 담고 있었다. 설득과 경계, 겸손과 예의, 그리고 상대방을 감동시키는 유려한 문장력과 명나라에게 구원을 요청하는 간절하고 호소력 넘치는 그의 상소문은 모두가 한편의 문학 작품이었다. 서애의 상소문은 임진왜란이라는 절박한 상황에서 나라를 구하고 전쟁을 승리를 이끌어낸 소통의 미학이었다. This thesis is a Discussion on he aesthetics of communication in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上疏文)`` for Seoae, Ryu Seong-ryong(1542-1607). He was a great premier who got over suffering from Japanese invasion in 1592(壬辰倭亂)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He was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academic aspact as well as political and military aspect. Seoae, Ryu Seong-ryong(1542-1607)``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上疏文)`` is accomplished on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he was many they made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上疏文)`` in Japanese invasion in 1592(壬辰倭亂). The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but the construction of these eulogies is very close and the plot is unified. The realistic and vivid description makes them outstanding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 literary works. a great strategy in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上疏文)``. It is the literary works of bureaucracy His The ``the sentence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上疏文)`` was aesthetics of communication, and persuasive, be appealing, and To move his opponent a fluent writing skills. He always put his point of view with clarity and with courage. his the sentence was save the nation in a great crisis. his the sentence was aesthetics of communication. He led us to victory in the war through his a fluent writing skills ingenious strategies.

      • KCI등재

        西厓 柳成龍의 人性敎育

        이동기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0 No.-

        Seoae Ryu Seongryong(1542~1607) was a Confucian scholar in the Yeongnam region, a typical Confucian scholar, and an educator at the same time. Seoae left a vast amount of ≪Seoae Literature≫, but the researcher discussed Seoae's character education centering on the <Miscellaneous Books(雜著)> in ≪Seoae Literature≫, and the summary is as follows. Seoae's character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spiritual cultivation and practice orientation. The character education related to the spiritual cultivation of Seoae can be seen from the poetry edification theory(詩敎說), and the character education related to the practice-oriented can be found from the knowledge and behavior theory(知行說). Seoae's poetry edification was used as personal purification to cultivate human nature and social edification to cultivate Neo-Confucian order. In other words, Seoae emphasized the purifying of self-discipline and voluntary disposition through the poetry edification, and emphasize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Seoae longed for personal academic progress through the study for yourself and pursued the social ideal of a peaceful world through study for others. And Seoae emphasized the practical-oriente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organic relationship of knowledge and behavior, regarded knowledge that was not practiced in life as knowledge of the mouth. Seoae pursued the purification of the human mind and social edifi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edification of poetry, and emphasized the practice-oriente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knowledge and behavior. 서애는 영남지역의 유학자로서 전형적인 관인 학자였고, 경세가인 동시에 교육자였다. 서애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루어졌지만, 인성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애의 도학사상을 인성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한다. 서애의 인성교육은 심성수양과 실천지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애의 심성수양과 관련된 인성교육은 시교설(詩敎說)에서 엿볼 수 있고, 실천지향의 관련된 인성교육론은 지행설(知行說)에서 찾을 수 있다. 서애의 시교는 인간본연의 심성을 수양하는 개인적 순화와 성리학적 질서를 함양하는 사회적 교화로 활용되었다. 즉 서애는 시교를 통해 자기 내면에서 저절로 우러나오는 감발과 자발적 성정의 순화를 강조했고, 성리학의 근본원리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함양론적 인성교육을 중시했다. 따라서 서애는 시교를 통해 위기지학으로 개인의 학문적 진보를 염원했고, 위인지학으로 태평세상의 사회적 이상을 추구했다. 그리고 서애는 지행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실천지향의 인성교육을 강조했고, 삶 속에 실천되지 않은 지식을 구이지학(口耳之學)으로 여겼다.

      • KCI등재

        17세기 西厓 柳成龍家의 學風과 그 계승 양상

        김학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leanings unique to the Seoae Lyu Seongryong family of the Pungsan Ryu clan and how such patterns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a focus on the 17th century and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uch patterns. To date, the history of theories in the Joseon era had been actively focused on schools of thoughts or specific historical figures while the academic patterns of each families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Since the mid 16th century, as the academic field in the Joseon era started to become re-organized around schools, it is true that an individual’s thoughts and theories were closely related to such schools but the factor of academics within certain families, located somewhere between an individual and schools have largely been excluded from studies and thus have undermined the richness and practicality of research on theories during this era. This paper analyzes how the academic pattern of the Seoae Lyu Seong ryong family, known to have been at the center of the Toegye School, was formed, in which context it was formed, what its true nature was, and how it evolved throughout the 17th century. Moreover, the paper also focuses on how the Seoae academics around families were related to the schools of thought in 17th century Joseon and the Youngnam School, in particular. 이 글은 풍산 류씨 柳成龍 집안의 가학적 성격과 그 계승 양상을 17세기를 중 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지금까지 조선시대의 사상사는 학파 단위 또는 그것의 개체가 되는 특정 인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된 반면 家學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약했음은 부정할 수 없다. 16세기 중엽 이후 조선의 사상계가 學派 단위로 편제되어 감으로써 개인의 사 상적 좌표 또한 학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과 학파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가학적 요소에 대한 간과는 사상사 연구의 실질성과 풍요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 본고는 退溪學派의 핵심 가문으로 일컬어지는 류성룡 집안의 가학이 어떤 맥락 속에서 형성이 되고, 그것의 실체는 무엇이며, 어떤 변화 및 발전의 과정을 거치는가를 17세기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이른바 ‘西厓家學’이 17세기 조선의 사상계, 특히 영남학계와 어떤 관계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해명도 이 글의 또 다른 주안점이다.

      •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서 보이는 중층성 해명 - 17세에서 29세 사이의 기록을 중심으로

        최재목 ( Choi Jae-mok ) 서애학회 2023 서애연구 Vol.8 No.-

        Focusing on the records of adolescence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time, this paper elucidates the middle layer of Ryu Seong-ryong's approach to Yangming Learning. Ryu Seong-ryong’s scholarship was well established in his early years before he studied under Toegye Yi Hwang’s (李滉, 1502-1572) guidance. Sources show that from in the year of 1558, when he was no more than seventeen, Ryu Seong-ryong came across Wang Yangming’s (王陽明, 1472-1529) literary collection. He recounted the gratifying experience of reading Wang Yangming’s writings to his father, and produced a hand-copied version of the Wang Yangming’s literary collection, which he kept for thirty-five years until it was burned during the Imjin War. This article addresses the following points: (1) neither Ryu Seong-ryong nor his father had antipathy towards Yangming learning; (2) his father did not caution Ryue against Yangming learning, which shows that he did not agree with the anti-Yangming voices of Joseon literati at the time; (3) It seems that Ryu Seong-ryong was excited to learn new intellectual trends from Ming China; (4) in his later years, Ryu Seong-ryong seems not to have lost interest in Yangming learning. Before meeting with Yi Hwang, Ryu Seong-ryong was far from being critical of Yangming learning. At the age of 21, he began to be critical of Yangming learning. In 1562, Ryu Seong-ryong studied at the Dosan Academy in Andong for several months. The influence of Yangming learning on Ryu Seong-ryong is shown in a poem he wrote at the age of 27 in 1568. In 1569,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Yi Hwang, Ryu Seong-ryonhg criticized Wang Yangming and the relevant scholars, which Yi Hwang unhesitatingly endorsed. To King Seonjo who also developed a fondness for Yangming learning, Ryu Seong-ryong emphasized that importance of balance in learning between respecting innate virtue and learning the way. Between the two, it was that Ryu who set great store by the practicality, creativity, and dynamism of the mind was more intent on respecting innate virt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