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광수(申光洙)의 「탐라록(耽羅錄)」에 나타난 제주에 대한 인식과 정서

        박용만 ( Park Yong-m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6

        조선시대 제주는 신화가 살아있는 공간이었다. 다가갈 수 없었던 육지인 들에게 제주는 관념적 공간이었지만 실제 제주를 경험한 지식인에게 제주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현실의 공간이었다. 1764년 서울에서 파견되었다가 풍랑에 발이 묶여 45일간 제주에 머물렀던 申光洙에게 제주는 ‘갇힌 공간’이었다. 신광수가 제주에 체류하며 남긴 「耽羅錄」에는 모두 49편의 시가 신광수와 李瀷의 서문과 함께 실려 있다. 원래 신광수와 함께 간 이익, 박수희가 창화한 것이지만 신광수의 문집에는 다른 두 사람의 시는 없고 두 편의 서문과 본인의 시만 수록하였다. 신광수는 육지로 돌아온 이후 제주에서 기록한 창화록을 주위 지식인에게 보여 睦萬中, 丁範祖, 李玄煥의 서문을 받았다. 이외에도 蔡濟恭은 그에 대한 묘지명에서 이 일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그러나 신광수와 육지 벗들의 서문에는 제주를 바라보는 인식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제주는 육지인들에게 신선이 사는 동경의 공간인 동시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가기 싫은 공간의 이중성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신광수에게 제주는 絶島이자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孤立無援의 공간이었다.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날 수 없는 ‘갇힌 공간’이었다. 개성주의 문학사상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던 18세기 문학은 현실과 괴리된 관념이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주위의 지식인조차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웠던 제주의 경험을 기록한 「탐라록」은 신광수의 제주 인식은 18세기 문학을 바라보는 중요한 기록이 된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濟州) was a place where myths lived. Jeju was an ideological space for landlords who could not approach, but for intellectuals who actually experienced Jeju, Jeju was a real space where they had to risk their lives. Jeju was a “confined space” for Shin Kwang-soo(申光洙), who was dispatched from Seoul in 1764 and stayed in Jeju for 45 days after being trapped in a storm. In the ‘Tamna-Rok(耽羅錄)’ left by Shin Kwang-soo while staying in Jeju, there are 49 poems along with the forewords of Shin Kwang-soo and Lee Ik(李瀷). Originally, it was created by Lee Ik, Park Soo-hee, who went with Shin Kwang-soo, but in Shin Kwang-soo's writings, there were no other poems, only two prefaces and his own poems. After returning to the mainland, Shin Kwang-soo showed the changhwa-rok(唱和錄) recorded in Jeju to the surrounding intellectuals and received the forewords of Mok Man-jung(睦萬中), Jeong Man-jo(丁範祖), and Lee Hyun-hwan(李玄煥). In addition, Chai Je-gong(蔡濟恭)'s name of the grave for him recorded this in detail.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hin Kwang-soo and his friends on land in their preface to seeing Jeju. In the land, the duality of the space where Shinseon(神仙) lives in, and the space that they don't want to go to, which can lead to death, appears. On the other hand, for Shin Kwang-soo, Jeju was both a remote island and a space of an isolated employee that had nothing to do with his will. It was a "confined space" that could not escape even if it wanted to escape.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in which individualistic literary thoughts were firmly established, was no longer allowed to have an idea apart from reality. Shin Kwang-soo's perception of Jeju, which “Tamna-rok”, about the experience of Jeju, which was difficult for even the surrounding intellectuals, to understand properly becomes an important record for viewing 18th century literature.

      • KCI등재

        石北 申光洙의 송별기록 「鶴歌贈法正東歸」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This paper studies Hakgajeungbobjeongdongui, the newly discovered parting record by Seokbuk Sin Gwang-su, by examining Sin Gwang-su’s life and poetry as well as Hakgajeungbobjeongdongui’s bibliography and content. Sin Gwang-su (1712-1775)’s family clan was Goryeong, his courtesy name Seongyeon, and his pen name Seokbuk or O-ahksanin. He passed the jinsa in the 2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50). In the 48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72) he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girojeongsi and subsequently became donnyeongbudojeong and Yeongwol busa. In the 51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75), he was given the responsibility of ubuseungji. He died the same year at the age of 64. Sin Gwang-su wa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Southern faction in late Joseon, with Yi Heon-gyeong naming him “Siho.” He was especially skilled at gwasi and akbu, writing Gwansanyungma and Gwanseoakbu, with 16 volumes and 8 books of Seokbukjib and 1 book of Seokbukgwasijib remaining. Sin Gwang-su wrote the parting record Hakgajeungbobjeongdongui in the 40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64) to express the sadness of parting when Beobjeong Jeong Beom-jo returned east. The handwritten version is neatly written., and the writing in Book 8 of Seokbukjib is thought to have been partly revised at the time the anthology was made. The specimens of handwriting measure 26 cm vertically and 37.5 cm horizontally. The handwritten version has 14 lines, with 2 lines for the subtitle, 11 lines for the body, and the word “Seokbuksaeng” at the end which show that Sin Gwang-su is the author and the penman. Seokbuk adeptly wrote the small script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both of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ohaengbancho.” His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closely resembles that of Wang Xizhi among the chunhuagetie method, yet retains Seokbuk’s own individuality. A comparison of Seokbuk’s handwritten original record and his work in the anthology reveal firstly, that the original record has no title while the latter was given the title of “Hakgajeungbobjeongdongui.” Second, there are revisions to the subtitle and the content. Third, the poem is a 12-stanza 23-line heptasyllabic poem but Line 17 has six syllables. Line 1 to Line 6 has the character “yak” as the rhyming character in the entering tone, while Line 7 to Line 23 has the character “ji” as the rhyming character in the neutral tone. The heptasyllabic poem is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content-wise. This study will be used hereafter in the most basic studies of private records as well as in those of bibliography, record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anguage.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의 송별기록 「학가증법정동귀(鶴歌贈法正東歸)」를 대상으로 신광수의 생애와 시 및 「학가증법정동귀」의 서지적․내용적 측면을 연구한 것이다. 신광수(1712-1775)의 본관은 고령이고 자는 성연, 호는 석북, 오악산인이다. 영조 26년(1750)에 진사 급제를 하였다. 영조 48년(1772)에 기로정시에 장원하여 승지를 제수 받았고, 이어 돈녕부도정, 영월부사가 되었다. 영조 51년(1775)에 우부승지를 제수 받았다. 그해 64세로 사망하였다. 신광수는 조선조 후기의 남인시단의 대표적인 시인이었고, 이헌경은 신광수를 ‘시호(詩豪)’라 하였다. 그는 특히 과시(科詩)와 악부(樂府)에 능하여「관산융마(關山戎馬)」와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고, 『석북집(石北集)』 16권 8책과 『석북과시집(石北科詩集)』 1책이 남아 있다. 이 「학가증법정동귀」는 신광수가 영조 40년(1764)경에 법정(法正) 정범조가 동쪽으로 돌아갈 때 이별의 슬픔을 담아 서술한 것이다. 자필본은 깨끗이 정서된 것이고, 『석북집』권8에 실린 글은 문집이 작성될 당시 일부 수정된 것으로 여겨진다. 필첩의 원래 크기는 26cm(세로) × 37.5cm(가로)이다. 필사본 전체는 14줄인데 부제목 2줄, 본문 11줄, 끝에 ‘石北生’이라고 씌여 있어 신광수가 저작자 겸 필서자임을 알 수 있다. 석북은 이 송별기록에서 ‘소행반초(小行半草)’의 특징인 작은 행서체와 초서체를 잘 썼고, 행초서는 위에서 지적한 순화각첩의 고법 중 왕희지의 필법에 가까우면서도 일부 글자에서는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있다. 석북이 자필로 쓴 원문의 기록과 문집의 내용을 비교하면, 첫째, 원문의 기록에는 제목이 없고, 문집에는 ‘鶴歌贈法正東歸’라고 제목을 붙였다. 둘째, 부제목과 내용에는 교정된 부분이 있다. 셋째, 이 시는 칠언시 12운 23행이고 17행은 육언이다. 제1행부터 제6행까지는 약(藥)자 운통의 입성운자이고 제7행부터 제23행까지는 지(支)자 운통의 평성운자이다. 이 칠언시는 의미상 세 단락으로 나뉜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석북 한시의 공연예술화에 대한 소고

        송지원 ( Song Ji-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석북 신광수는 시창(詩唱) 「관서악부(關西樂府)」의 작가로 잘 알려진 조선후기의 시인이다. 「관서악부」는 조선시대의 음악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시창이다. 그것을 통해 신광수의 한시에 선율을 붙여 노래 불렀던 전통이 이미 조선시대에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조선시대의 한시가 노랫말로 사용되었던 증거의 하나이다. 석북 외에도 조선시대의 문인들은 한시를 짓고 직접 노래했다. 이 경우 노래의 소통 공간은 작자 개인의 사랑방이 된다. 그러나 석북의 작품처럼 그것이 음악인들에 의해 노래로 불려질 때, 이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음악으로 공개된다. 이 글은 이미 조선시대에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던 석북 신광수의 한시와 음악을 이 시대의 무대에서도 소통될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기 위한 하나의 새로운 시도이다. 그의 한시를 일정 선율에 얹어 실제 무대를 통해 음악화한 작업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시의 공연예술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기 위한 것이다. 신광수의 한시는 그 작품 수도 많지만 한시 하나하나에 그의 삶을 조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의 한시 작품을 통해 그의 삶에서 있었던 주요한 사건을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광수의 음악적 삶을 조명하고 그의 한시를 공연예술화하는 방식과 그 내용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Shin Gwang-su (申光洙, 1712∼1775), also known as Seokbuk (石北), is a well-known poet and author of the song poetry (詩唱) “Gwanseo-akbu (Poems of the Gwanseo Region, 關西樂府)” in the late Joseon Dynasty. “Gwanseo-akbu” was popular among the Joseon Dynasty musicians. This fact confirms that the tradition of adding a melody to Shin Gwang-su’s “hansi (Korean poetry recorded in Chinese characters, 漢詩)” already existed in the Joseon Dynasty. It is also a proof that the hansi poem was used in songs. Besides Seokbuk, other literary figures in the Joseon Dynasty wrote and sang hansi. In that case, the place of communication for songs was a poet’s personal study, or “sarangbang.” But when, like the works by Seokbuk, poems were sung by musicians, they became available to the public to communicate through music.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re-make Seokbuk Shin Gwang-su’s poems and songs, once popular among the Joseon Dynasty people, into the contemporary music that can be performed on stage. By adding a certain melody to his poems,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musical work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consider hansi as performance art. There is a number of hansi works by Shin Gwang-su, and each poem includes material which can help survey Shin Gwang-su’s musical life. And, working on his hansi works makes it possible to narrate major events that took place in Shin’s lif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Shin Gwang-su’s musical life and introduces methods and contents to stage his hansi poems as performance art.

      • KCI등재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권경록(Kwon kyong-r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여강록』을 중심으로 18세기 지식인 石北 申光洙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신광수는 18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에서 좌절감을 맛본 南人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시 조선이 직면한 정치현실에서 절감한 좌절감과 당대의 문화지형 속에서 자신이 체험하고 목격한 여주 ‘여강’을 기존의 문학작품에서 보이는 것과는 또 다른 의미의 그만의 장소로 의미화 시킨다. 이는 여주 ‘여강’에 대한 재발견이며, 18세기 지식인의 의식적장소 만들기이다. 18세기 소외된 남인 지식인에게 산수자연은 현실의 삶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갈등과 모순에서 벗어나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이었다. 18세기 지식인 신광수의 의식적 장소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여강’은 자신의 처지에서 오는 울분을 벗들과 교유하고 자연과 교감하면서 해소하는 소통의 場이었다. 신광수는 신분적 한계를 절감하면서 知友들과의 산수유람을 통해 시를 수창하며 내적 고뇌를 해소했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同人들과 교유를 이어가며 학문적으로 동질감을 유지해 나갔다. 따라서 그의 시에 표상된 여주 ‘여강’과 한강 물길은 정치적으로 소외된 현실적 좌절감을 해소하고 중앙으로의 접근을 의미하는 심상의 장소였다. 표면적으로 신광수에게 여주 ‘여강’은 유람과 체험의 대상인 산수자연이었지만, 심층적로는 堪輿說로 대표되는 그의 공간인식이 구현된 현실정치의 영역으로서의 장소였으며, 한강 물길은 그 통로였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Seokbuk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based on his Yeogangrok. Shin was a Nami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d frustrations from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With his frustrations with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ose days and his experiences and eyewitness accounts with "Yeogang" of Yeoju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the times, he beautified it as a place of his own in different meaning from the old literary works. It was a re-discovery of "Yeogang" of Yeoju and an 18th-century intellectual's conscious place-making. To the Namin intellectuals who were alienated in the 18th century, nature including the mountains and waters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shed off their ment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pursue balance and harmony. "Yeogang," which was born out the conscious place-making of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was a "place of communication" where he could share his pent-up rage derived from his situations with his friends and exchange with nature. Experiencing his social status limitations fully, he promoted poetry by making an excursion to mountains and rivers with his close friends and resolved his internal agony. In addition, he maintained academic consensus with his fellow members, continuing to have social intercourse with them. Thus Yeogang of Yeoju and the waterway of Han River described in his poetry were mental places where he would resolve his realistic frustrations derived from his political alienation and attempt to approach the center. Yeogang of Yeoju was the nature containing mountains and waters he would explore for excursion and experience on the surface and the domain of realistic politics where his spatial percep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Gamyeoseol, was embodied on a deeper level. The waterway of Han River was a gateway to it.

      • KCI등재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의 『반초혼(反招魂)에 대한 고찰(考察)

        김경희 ( Kyung Hui Kim ) 근역한문학회 2015 漢文學論集 Vol.40 No.-

        이 글은 石北 申光洙(1712~1775)의 漢詩 세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면서 그 일환으로 작성된 논문이다. 이 글에선 신광수가 1762년 驪州의 寧陵 참봉으로 있을 당시 세상을 떠난 杜機 崔成大(1691~1762)의 죽음을 추모하며 창작한 『反招魂』.의 특징적 면모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반초혼』은 최성대가 임종을 앞두고 남긴 『觀花賦[絶筆]』의 ‘海上三島’란 시어에서 착안해 창작되었다. ‘해상삼도’는 당나라 시인 孟浩然의 『寄天台道士』의 시어를 끌어 와 사용했는데, 이는 동해에 있다는 三神山을 통해 최성대 자신의 仙境에 대한 열망 을 드러낸 것이다. 이러한 ‘선경에 대한 열망’의 본질을 정미하게 파악한 신광수는 그 의미를 시에 핍진하게 형상하였다. 이 글에서는 현실세계에서의 이런저런 부침에서 오는 심적 고통과 상처를 입은 최 성대의 영혼에 신선사상을 덧입혀 위로하고, 그 고달팠던 삶을 신화의 상상력으로 승 화시켜 통찰한 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반초혼』은 宋玉이 『招魂』에서 屈原의 혼을 불러들이는 발상구조를 모방한 작품이긴 하나, 작품의 중심사상, 서술방식, 문 장운용에 있어선 변형의 묘미를 발휘하여 독특한 창의성을 드러내었다. 무엇보다 『반초혼』은 망자의 평소 행적이 신광수 개인의 문학사상과 심리적 표출과 어우러져 변용되었으며, 그 자신의 시인으로서 지닌 개성과 변별적 기법이 뚜렷하게 나타난 작품이다. This writing is a thesis prepared as a part of conducting the research on Seokbuk, Shin, Kwang-su(1712~1775)’s Chinese poetry world. This writing looked intensively into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oet <Anti-Spirits Invocation> created by Shin, Kwang-su in memory of Dugi Choi, Seong-dae(1691~1762)``s death in 1762 when Seokbuk was Chambong(an official) in charge of Yeongneung Royal Tomb, Yeoju. The poem <Anti-Spirits Invocation> was created by observing the poetic word, ‘Haesangsamdo; Three Islands on the Sea’ of <Gwanhwabu> left by Choi, Seong-dae with his death ahead. Choi, Seong-dae borrowed the poetic word ‘Haesangsamdo’ from the Tang State poet Meng Haoran``s <Gicheontaedosa; Sending to Ascetic Cheontae>, in which Choi,Seong-dae revealed his own aspiration for a fairyland through Samsinsan which was believed to be in the East Sea. Shin, Kwang-su, who delicately grasped the essentials of ‘Aspiration for a Fairyland’, embodied its meaning in the poem vividly. This writing looked into Seokbuk``s attitude of consoling Choi, Seong-dae, who suffered from mental distress and deep scars caused by this & that up and down in the real world, by adding Taoist idea to Choi, Seong-dae’s soul, and also the attitude of discernment by sublimating Choi, Seong-dae``s hard life into mythicalimagination. <Anti-Spirits Invocation> is the work which imitated Song, Ok`s conception structure, in which the writer calls back the spirit of the dead QuYuan in his work <Evocation>, but the work <Anti-Spirits Invocation> exposes unique creativity by displaying transformational subtlety in the central idea of the work, narrative style, and sentence management. First of all, <Anti-Spirits Invocation> is transformed through the mix of the deceased person``s usual deeds in this world with Shin, Kwang-su`s personal literary ideology and psychological expression, showing clearly Shin``s personality as a poet and differential technique.

      • KCI등재

        「관산융마(關山戎馬)」의 작품세계와 두시수용(杜詩受容)의 미의식

        신두환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0 No.-

        이 논문은 石北 申光洙(1712~1775)의 『關山戎馬』에 나타난 작품세계와 두시수용의 미의식을 연구한 것이다. 이 시는 두보의 『登岳陽樓』 시에서 추출한 과거시험의 제목 『登岳陽樓歎關山戎馬』에 의거 과거시험장에서 지어진 칠언 44구 22연의 과시 이다. 그런데도 몇 세기동안 騷人과 唱客들이 가장 애송하는 시였고, 평양 紅樓界의 가장 인기 높은 작품이었다. 이 시는 조선 전시대의 科詩를 통틀어 가장 정통적 위치에 놓여 있는 과체시의 전범이기도 했다. 이것은 석북이 평소에 과거의 준비로 두시를 충실히 연마했고, 또 타고난 시인의 자질과 두보의 우국애민적인 시를 숭배하였음 에 기인한다. 이 논문은 『關山戎馬』에 수용된 두보의 시어들을 분석하고 원시에 충실한 감상과 이해에 중점을 두고 새롭게 비평을 가하여 석북 신광수의 『關山戎馬』의 작품에 대한 문학적 위상을 정립하고 두시수용의 미의식을 파악하여 작품의 진면목을 찾는데 중 점을 두고 연구한 것이다. 두보와 신광수는 약 1000여 년 차이가 난다. 석북은 일천년 전의 이미지로 두보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 시의 형식은 과체시로서 행시체 악부이다. 석북은 두보의 시를 섭렵하고 두시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관산융마를 창작하였다. 그 결과 한성시에 2등을 하였다. 이 시의 주제는 처음부터 끝까지 <등악양루>의주제의식인 우국의 정과 향수로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으며 구구절절이 두보의 시에서 의경을 추구하고 전고를 찾아 시구를 구성하고 있어서 한 편의 두보 시사를 보는 것 같다. 시 전반에 흐르는 憂愁의 비장미는 독자로 하여금 심금을 울리게 하고 있다. 두시 전체를 요약하는 우국과 향수의 이면 짜기는 독특한 정감을 자아내고 있어서 일반적 인 모방을 넘어서 점철성금된 미감이 넘친다. 각 구절마다 예술성 넘치는 시어들의 조합은 비장미의 극치였다. 이 시는 홍루계의 인기 있는 곡조로 시창으로 불러지고 시조의 악보에 얹혀서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걸작이다. 이 시가 영정조대에 최고조에 이른 과시체의 정종으로서 문학사적의의를 가지며, 과시가 대중가요로 발전하는 속화의 과정에서 그 당시 예 술의 사회상을 엿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석북의 『關山戎馬』는 시창과 음악과 무용이 어우러지는 한편의 퍼포먼스 (performance)로써 과시의 악부체시가 드러낼 수 있는 최고의 예술성을 함의한 문 학적 위상을 볼 수 있는 작품이라고 규정하고 싶다. 本文是一篇召于石北申光洙(1712-1775)的<召山戎馬>在杜甫的詩受容羊相硏究. 科體詩是如此的美麗碼石北 申光洙的 <召山戎馬>,這首詩是朝鮮科體詩的最 高杰作. 杜甫詩最能接受的作品. 這是從杜甫的詩被崇拜 這首詩是朝鮮王朝的科詩 考試標題: 「登岳洋樓嘆召山戎馬」. 這句話選自從杜甫的詩<登岳洋樓>. 他 是第二于朝鮮王朝汗城試 石北申光洙(1712-1775)的<召山戎馬>是大約兩個世紀 他是從詩人詩的最愛. 朝鮮王朝紅樓界妓女是最受歡迎的從這首詩是這個學科的一個例子。這首詩是杜甫的詩歌語言硏究中引用, 這篇論文中心硏究的<召山戎 馬> 石北申光洙的汗詩出現在杜甫的詩受容羊相硏究. 說,這件作品的文學價値. 詩是用形象思維的這首詩從杜甫的這首詩是作圍合成. 這首圍字字句句都是杜甫 的詩話 他是一位學者精通杜甫的詩. 他這首詩盡意地抒發了更憂國之情, 他這首 詩盡意地抒發了更思香之情, 他這首詩意地抒發了更悲創之情 這首詩讀起來音 調悲創, 朝鮮時代詩人把這首詩朗聲地讀了又讀 這首詩是科試的典范 這首詩的 主題是憂國之情和思香之情. <登岳洋樓>的作品的主題思想一直從開始到結束. 當時的張安處于戰亂之中杜甫患了嚴重的香思病吟玲一篇壯麗的史詩. 這首詩 是一篇的杜甫詩史. 感受到了詩歌中溫含的悲狀美. 一首描寫悲創的美麗詩歌. 科 體詩是如此的美麗瑪? 杜甫詩最能接受的作品.

      • KCI등재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도상의 재해석

        송혜진 한국국악학회 2008 한국음악연구 Vol.44 No.-

        본고는 지금까지 평양감사를 위한 향연도로 해석된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Peabody Essex Museum)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의 8폭 그림의 도상구성과 주제를 재검토한 연구이다. 이 그림은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의 기획전시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100년 전 한국풍물-유길준과 개화의 꿈>을 통해 국내에 처음 공개된 이래 화면구성, 필치, 채색 기법 면에서 뛰어난 전문화가의 그림이라는 점, 기록화에 걸맞는 구체성과 사실성이 돋보이며, 한 시대의 각 계층의 인물이 두루 망라 되었다는 점에서 시대상을 반영하는 그림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도상의 여덟 폭의 그림 내용은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채 미술사학자들 사이에서는 평양감사의 부임을 축하하는 연회로 해석되어 왔다. 특히 2003년에 간행된 ꡔ조선시대 풍속화Ⅱꡕ에서는 이 그림이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가 죽마고우인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이 평양감사로 부임하자, 그곳에서 유흥에 빠지지 말고 선정(善政)하기를 경계할 목적으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짓고, 이를 그림으로 그린 ‘관서악부도’ 성격의 <평양감사향연도>라고 소개하였으며 작품의 배열순서를 정하고, 각 폭의 제목을 명명한 바 있다. 그러나 유사 주제의 도상자료 및 관련 문학자료를 비교해 본 결과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환영도>에 대한 기존의 해석에 결정적인 오류가 있다는 점과 더 나아가 국문학, 민속학, 음악학 분야의 연구에서도 그림의 오역(誤譯)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첫째, 이 작품에서 환영받고 있는 주인공은 ‘평안감사’가 아니라 창우(倡優)와 무동(舞童), 세악수들을 대동하고 평양으로 오는 ‘청색 관복을 입은 두 주인공’이라는 점, 둘째, 선화당 연회에 여성의 참석이 허용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공식적인 평양감사 환영연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 셋째, 기존의 도상해석에서는 대동강 위의 배의 행렬을 모두 ‘선유(船遊) 장면’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중의 한 폭은 평양으로 입성하는 이들의 도강(渡江) 행렬이라는 점은 대표적인 오역(誤譯) 사례라고 하겠다. 즉, <평양감사환영도>로 해제된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그림을 재검토한 결과 이 그림은 평양감사가 평양에 입성하는 귀빈을 맞이하여 백성들과 함께 공식적인 연회와 소규모연회, 연광정, 부벽루 등의 명소에서의 연회, 대동강의 야연을 베푼 내용을 그린 환영도 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석북 신광수의 <관서악부>와의 관련지은 것은 오류임을 밝혔다. 다만, 이 작품에서 환영을 받는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못하였으나 지금까지의 도상 내용으로 보아 이들은 과거급제자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급제자를 위한 관련 풍속 중, 급제자들이 귀향하면 고을의 수령이 고을 입구까지 나아가 친히 맞이하고, 급제자의 부모를 초청하여 잔치를 벌이는 ‘영친의(榮親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창우와 무동의 존재, 부벽루 연회장면에 보이는 이색적인 민속연희 등은 지방 수령의 도임행차 및 환영연에서 볼 수 없는 도상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거급제자들을 위한 삼일유가 풍속을 연상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정조 6년 10월의 기사에 “관서(關西)의 도과 시관(道科 試官)을 불러 임금이 말하기를, “도과는 성대한 일로서, 합격자를 발표한 뒤에 대동강에서 유람을 하사하는 것은 그전부터 유래된 옛 규례라고 하였다. 경은 그림을 그려 병풍을 만들도록 하라”고 기록된 내용은 이 작품의 제작배경과 특히 목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준다. 즉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는 평양출신의 과거급제자를 위한 축하연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서는 필자의 후속 연구에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This paper was done to make reexamin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me of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own by the Peabody Essex Museum in America, and to intend to introduce new perspectiv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is painting.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was firstly shown to Korea through the special exhibition of the Peabody Essex Museum Collection under the title of Yu, Gil-joon and his dream of civilization; the institution and customs of Korea’s one hundred years ago presen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94. Since then, this painting, composed of eight screens, depicting celebrations taking place in the city of Pyongyang, capital of Pyeong-an province, was considered as the banquet in the celebration of the new Pyeong-an governor’s assumption of office. This painting has also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ones which reflected well the times of Joseon dynasty because of the detailed depiction of the customs and people throughout the various social classes with professional touch, color and composition of the picture, as comparable as a documentary painting. As stated just now, this painting has long time been considered as the depiction of the banquet in the celebration of the inauguration of Pyeong-an governor. That was only because it signified similarities as other banquet scenes belonged in the same category. Moreover, for instance, according to the Joseon Dynasty Genre Scenes of Music Ⅱ, published in 2003, it was said that the painter of this piece was Seokbuk Shin, Kwang-su (石北 申光洙), a best friend of Chae, Jae-gong (1720-1799) and it was a painting version of the prose poetry named Kwanseo-yuhefu (關西樂府) written by himself, to make good wishes for his friend Chae’s successful government, when Chae was inaugurated as the governor of Pyeong-yang. The purpose of this paper, however, was to reappraise the contents and what it was described in the eight screens of the painting to get new approaches. I carefully reviewed every details of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by the gener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the on the painting and compared it with other similar literary texts and paintings, and I finally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errors in translation in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From my point of view, the major mistranslation about the precedent studies was to consider the painting as the interpretation of literal text of Kwanseo-yuhefu (ꡔ關西樂府ꡕ written by Seokbu Shin, Kwang-su without any specific examination. In the result of my work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unidentified opinion that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was the drawing version of the Kwanseo-yuhefu might be corrected by following reasons. From my observati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 looked like military officers and the governor of Pyeong-an gave a banquet to welcome the young officers who won the title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state examinations. The first evidence supporting my opinion can be the facts that they had big parasols each on the horse, accompanied with entertainers such as dancers and musicians and the description on the all kinds of traditional folk arts at the banquet reminds us the journey which was commissioned for the winners of the classic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s service. Secondly, there was a documentation in October, the 6th regime of King Jeongjo, around AD.18C, which supported the background and the precise purpose of the creation of this painting. It was stated as that one day, King Jeongjo called the State governmental examiners in the province of the East-northern and said “the State governmental examin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event in the country. So let’s give a huge festival to celebrate the winners of the state examinations around the Dae-dong river”. And the king commended to his subjects to prepare screens after drawing all the details of the festival. In conclusion, with the evidences that I foun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should be reexamined and it could be considered as a painting about the celebration for the winners of state examinations from Pyeong-an province, rather than about the Celebration for the new governor’s assumption of office. Let me discuss more about this in my next work which is going to handel with “A Study on the performing arts and banquet for the foreign guests in Pyeong-yang.”

      • KCI등재

        石北 申光洙家 신자료 소개

        장유승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4 大東漢文學 Vol.78 No.-

        This thesis classifies 110 materials owned by Shin Kwang-soo's descendants into five categories: the king's handwriting and test paper, the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poetry and letters, manuscripts, and document, and examines their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background. Notable materials include the documentation of the king's writing and criticism. There are also many poem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In Shin Kwang-ha's poem, Chae Jegong's criticism is recorded. In addition, Shin Kwang-soo's manuscripts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for the compilation of writings.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is thesis show the literary capabilities of this family for four generations since Shin Kwang-soo, and can be used to testify to the people and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懶雲 申禹相과 그의 詩文에 대하여

        김동준(Kim Dong-jun)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논문은 申光洙의 첫째 아들인 申禹相(1730~1799)의 문집 『懶雲稿』?『懶雲集』 및 『槐景錄』을 학계에 알리는 것을 겸하여 그의 삶과 한시를 개략적으로 조망한 것이다. 신우상의 문학을 조망하기 위한 관점으로는 家風과의 관련성을 먼저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詩史的 의의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제2장에서는 신우상의 생애를 개괄하고 ??懶雲稿?????懶雲集??의 구성과 주요 내용, 작품의 제작 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제작 시기를 기준으로 삼아 작품의 전체적 흐름을 재정리한 성과는 이후 신우상 연구에 밑바탕이 될 것으로 본다. 이어 제3장에서는 신우상 시문학의 실제와 특징적 면모를 ‘家風과의 관련성’, ‘風流의 시적 수용과 艶情化 경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그의 시에 나타난 緣情的이고 浪漫的인 경향, 풍류와 염정을 활용하는 경향, 음악성을 겸비한 악부 창작의 양상, 艶情風의 한시를 강화한 양상이 家風과 연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이 18세기 前後의 漢詩批評史的 맥락에서 보건대, 擬古派의 자양분을 섭취하여 향토색과 지역성을 능동적으로 흡수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고 보았다. 신우상의 저술과 시문학에 대한 본고의 성과를 통해 古樂府 정신의 토착화 방향이 얼마간 증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aper’s purpose is to introduce Shin Guang-soo(申光洙)’s eldest son, Shin Woo-sang’s (1730-1799) literary collections?Nawoon Manuscripts(懶雲稿), Nawoon Anthology(懶雲集), and the Records of Guae-gyeong(槐景錄)?and to take a broad view on his life and his Chinese poetry. To examine Shin Woo-sang’s literary point of view,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literary works and his family tradition; then study the meaning of poetry history base on it. In the second section, Shin Woo-sang’s biography is summarized; then it describes the construction, main contents, and the period of poetry composition of Nawoon Manuscripts and Nawoon Anthology. An outcome which rearranging the whole course of his literary works base on the period of poetry composition will be the groundwork for later Shin Woo-sang’s research. In the third section, his poetry practice and its distinctive feature are separately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tradition, the reception of pyungrhyu (風流), and an inclination for passion. As a result, we can perceive that his poetry’s tendency for passion and romance, an application of pyungrhyu and love, a creative aspect on arkbu(樂府), and intensifying Chinese poetry with passionate air are succeeded from his family tradition. Furthermore, perceiving these distinctions with the accordance of the eighteenth century Chinese poetry criticism history’s context, his works can be appraised as examples of adopting nourishments from the faction of composing in ancient style and absorb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and regional nature actively. Through the paper’s result on Shin Woo-sang’s literary works, hopefully, prove a part of direction in how the spirit of ancient arkbu settled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단산별곡(丹山別曲)>의 창작 맥락과 전승 동인

        이승준 한국시가학회 2022 韓國 詩歌硏究 Vol.56 No.-

        본고의 목적은 <단산별곡>의 창작 맥락과 전승 동인을 검토하는 것이다. 오늘날 <단산별곡>의 작가에 대한 이해는 쟁점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 신광수 또는 이계원의 소작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가 그것이다. 그러나 현재 학계에서 일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신광수의 작품으로 일반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단산별곡>의 사료를 검토한 결과 이 작품은 이태희의 견해처럼 이계원의 소작으로 판단된다. 이계원은 전주이씨 덕천공파 9대손으로 함열현감과 단양군수를 역임한 인물이다. 단양군수로 재임할 당시 창하정을 중수하였는데, 창하정 중수는 단양 산수 유람 문화에 대한 실질적 기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이계원에게 자부심이 되었으며, <단산별곡>의 창작에도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단산별곡>은 읍지·악부를 비롯하여 여러 문헌에 전승되고, 작품이 창작된 이후 수십여 년이 지나는 동안에도 단양 관기에 의해 가창(歌唱)되었다. <단산별곡>이 단양 산수를 대표하는 문학 작품으로서 그 위상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에 그 동인에 대한 문제를 작품론적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 <단산별곡>은 단양 지역에 대한 당대 사대부의 관념과 현실 인식을 포괄하는 복합적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하정 중수에 따른 단양 유람 문화에 대한 이계원의 기여와 더불어 작품의 활발한 전승을 가능하게 하였던 동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