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민국’ 국호의 기원과 의미

        황태연(Tai-Youn Hwa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5 정치사상연구 Vol.21 No.1

        ‘대한민국’ 국호의 ‘민국’의 의미는 분명치 않다. 일각에서는 대한민국의 ‘민국’이 1912년에 선포된 ‘중화민국’의 ‘민국’을 모방한 것이라고 한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민국’을 미국 민주국가를 모방한 ‘민주국’의 준말로 본다. 이는 우리나라 국호가 ‘중화민국’이나 미국식 민주국가의 모방이라는 말이다. 애국지사들이 우리의 자주독립을 되찾기 위해 수립한 상해임정이 그 국호부터 이렇게 비자주적?사대주의적이었던가?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민국’은 일찍이 영?정조시대에 생겨나 관용어로 쓰였고, 고종대와 대한제국기에는 대중집회와 일간지에서도 자주 쓰일 정도로 널리 대중화된 자생적 한국어였다. 또 ‘대한민국’도 중화민국 선포나 미군의 한국상륙 훨씬 이전인 대한제국기에 최대 일간지들에서 대중적으로 쓰이던 비공식 국호였다. 이 글은 사료를 바탕으로 이를 입증함으로써 저 두 모방설을 물리치고, ‘대한민국’ 국호의 역사적 의미(대통합된 한민족의 국민국가)를 규명한다. The meaning of Mingook(民國: 民=people or nation, 國=state) of the Korean country name ‘Daehanmingook’ is unclear. Many people think, Mingook was from ‘Choonghwa mingook’(Republic of China). Another people regard Mingook as from American ‘democratic state’. Both mean that the Korean country name is a imitation from China or USA. Were that Provisional Government of Daehanmingook which our patriots 1919 founded in Shanghai in order to regain the independence of our country, so dependent even in the country naming? Never! Mingook in a sense of the nation state is autochthonic in Korea. That word was coined naturally to be used in the government in the period of the king Young-jo and Jung-jo of Chosun Dynasty, and became widely popularized and used frequently, even in mass meetings and in the newspapers in the age of the king Ko-jong and the Empire of Great Korea. And ‘Daehanmingook’ was a popular inofficial Korean country name which was already coined and used in the daily newspapers in that period, which was even earlier than the founding of Republic of China and the winning fame of USA democracy in Korea. By demonstrating this facts, this paper rejects those imitation theorems and discloses the hidden sense (Nation State of Great Korea) of ‘Daehanmingook’.

      • KCI등재

        첩전(諜戰) 드라마에 표현된 민국(民國)시기 남성 양복에 관한 분석 - <위장자(僞裝者)>와 <마작(麻雀)> 드라마를 중심으로 -

        이애진 ( Li Aizhen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분 연구는 중국 드라마<위장자(僞裝者)>와 <마작(麻雀)>을 통하여 민국(民國)시기의 남성 양복을 살펴보고 얼마나 고증에 입각하여 표현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의상 관련자 총 6명이 민국시기 남성 양복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성 의상 총 139점의 사진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형태, 색채, 문양으로 분류한 후 총 38점을 선정하고 양복의 체계적 조형 요소, 의복 구성, 실루엣, 문양, 배색, 주요 소품으로 세분화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민국시기에는 남성 양복의 종류 및 일반적 양식은 양복상의, 와이셔츠, 양복바지, 조끼 등에 모직물을 사용한 앙상블 슈트 양식을 많이 착용하였다. 둘째, <위장자>에 표현된 남성 양복은 주로 흰색 와이셔츠에 조끼를 입고 그 위에 상의를 입는 것이 기본 스타일로 표현되었다. <마작>에 표현된 것은 달라붙는 슬림(Slim) 양식에 상하의에 다양한 칼라 양식, 깃 양식, 뒷 트임 양복을 착용하였다. 셋째, 민국시기의 남성 양복과 <위장자>는 루즈 핏과 같이 넉넉한 스타일이 유행하였는데, <마작> 양복의 경우 어깨가 넓고 딱딱한 각을 이루며 가슴에서 허리선 까지 꼭 맞는 슬림 양식으로 고증과 다르게 표현 하였다. 넷째, 민국시기와 <위장자> 양복상의 깃의 경우 피크트 라펠, 세미피크트 라펠, 노치트라펠 등 다양한 양식의 깃과 함께 더블 브레스티드 슈트, 싱글 브레스티드 슈트를 착용하였으며, 단추는 더블과 트리플 양식이고 양복바지는 주름을 있는 넉넉한 실루엣 형태를 주로 착용하였다. <마작> 경우 당시에 착용하지 않는 원 버튼(One Button) 슈트와 주름이 없는 바지를 착용하는 등 고증과 다르게 표현 하였다. 다섯째, 민국시기 와이셔츠는 윙칼라와s 스탠드칼라가 유행하였는데, 윙칼라 와이셔츠는 주로 일반 양복에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탠드칼라는 예복용으로 구분하여 착용하였다. <위장자>의 경우 고증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취하였으나 <마작>의 경우 일반 양복에 많이 사용된 롱 포인트 칼라 와이셔츠를 입고 연회 장면에도 자주 등장하는 등 고증과 다르게 표현 하였다. 여섯째, 민국시기와 <위장자> 양복 문양은 체크 문양과 스타라이프 문양을 많이 착용하였으며, 양복 배색의 경우는 검은색, 짙은 회색, 다갈색, 곤색을 주로 사용하였다. <마작>의 경우 양복 문양은 민국시대와 유사한 문양을 사용하였으나, 배색의 경우 민국시기와 <위장자>에 비해 다양한 배색을 사용하였다. 일곱째, <위장자>와 <마작>의 주요 소품으로는 넥타이, 행커치프, 예모 그리고 회중시계 등 모두 고증과 기본적으로 유사한 소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위장자>에서 표현된 양복은 대체적으로 민국시기 양복의 고증에 입각하여 제작되었으나 <마작>의 경우 실루엣, 깃, 뒷 트임, 단추, 바지, 와이셔츠에서 민국시기 양복과 다르게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mainly studies whether the male suits in the Chinese TV series "The Disguiser" and "Sparrow" are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y of male suits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After classifying pictures collected according to shape, color, pattern, etc., a total of six Chinese and South Korean personnel working in the garment industry select 38 pictures to analyze. The analysis is based on modeling elements of suits, that is, clothing construction, silhouette, pattern, color schemes and main suits accesso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ype of male suits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are ensemble shoots consisting of blazers, shirts, pants and vests. Second, male suits in “The Disguiser" are basically white shirts and vests, with blazers wearing outside, while most male suits in “Sparrow” adopt a formfitting style, including a variety of collar styles, lapel collar styles and vented styles. Third, male suits in “The Disguiser" are of a loose style, the same as those in the Republican period. However, suits in “Sparrow” are different, with a formfitting style emphasizing chest line and waist line. Fourth, male suits in “The Disguiser” and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are mainly of peaked lapel, semi-peaked lapel, notched lapel and other various single-breasted and double-breasted lapel styles. And pants are of a loose style with pleate. Nevertheless, most male suits in “Sparrow” are made up of One Button Blazers and pants without pleate, which did not exist in the Republican period. Fifth, shirts in the Republic period are mostly wing collar shirts and stand collar shirts. Wing collar shirts are usually wore with general suits, while stand collar shirts can match dress suits. Male suits in “The Disguiser” coincide with the history. However, in “ Sparrow” appears people who wear both long point collar shirts and general suits, which is incongruous with the history. Sixth, same as suits in the Republican period, male suits in “The Disguiser” adopt stripes and plaid patterns, with colors varying in black, dark gray, dark brown, blue and black, etc. Suits in "Sparrow" are similar in pattern with those in the Republican period, but richer in color. Seventh, accessories of suits in both "The Disguiser", "Sparrow" are mainly ties, bow ties, hats and pocket watche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record. It can be seen from the analysis above that male suits in “The Sparrow” are basically identical with the history of suits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However, suits in “Sparrow” adopt a different style in regard to modeling elements of silhouette, lapel style and vented style, etc.

      • KCI등재

        高宗時代의 ‘民國’ 이념의 전개 - 儒敎 왕정의 近代的 ‘共和’ 指向 -

        이태진 진단학회 2015 진단학보 Vol.- No.124

        The Confucian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was not a product of the ancients. The eighteenth-century rulers such as Sukjong, Yeongjo, and Jeongjo, were concerned about the ill treatment of the common people, even by the political factions of the day, and under the banner of protecting the common people they called out for the overthrow of factional politics and insisted on the propriety of direct rule. The doctrine of protecting the common people espoused by these impartial rulers jumped beyond the concept of the people as foundation(minbon). The term minbon means that the people(min) ar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but in the world of Neo-Confucianism where kingly rule is achieved through the counsel of the literati, the people(min) were not the subject(chuche) of the state but were in all instances the object of rule. Just as the character ga(family) was emphasized in the word gukga(state), the royal family (wangga) and the hereditary noble families of the literati(sadaebuga) acted as the subject of the country. It was stressed that the concept of the people as foundation simply meant that while the king and the literati practiced politics, they must not forget that the people were none the less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But these impartial rulers, who advocated protecting the common people, newly coined and began using the term republic (min-guk) meaning that the country was made up of the people and the king(roughly equated with guk as state). A figure such as King Jeongjo even went so far as declaring that the people were the ruler’s other self(bunsin). Eighteenth-century impartial governance and the concept of republican politics (minguk jeongchi) were both intended to solve some of the problems brought on by the social system whose very core was literati and the hereditary noble families, without rejecting Neo-Confucianism itself.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term republic (min-guk) and focused to read the developing trend of the republican politics during the nineteenth-century to early twentieth-century when King Kojong had tried to accept the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under the banner of “Eastern Way-Western Technique.” The aim is to check if the term min-guk of the Taehan min-guk(Republic of Korea), the Korean state name, wa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Western democracy or the modern appearance of the inherent development of the impartial rulers’ Confucian thoughts of protecting the common people since the Eighteenth-century. 유교 정치사상에서 나라는 전통적으로 國家란 단어로 표현되었는데 조선 후기, 특히 정조대 이후 民國이란 용어가 조정에서 자주 쓰이게 된다. 이에 대해 필자는 앞서 다음과 같은 해석을 내놓았다. 즉, ‘국가’는 왕가와 귀족의 가문이 중심이 되어 나라가 된다는 ‘家’ 의식을 반영한 것인데 반하여 ‘민국’은 그것이 배제된 상태에서 민은 서민 대중, 國은 나라의 대표로서 王을 각각 가리키는 합성어로서 백성과 왕이 나라의 주인이란 의식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는 숙종, 영조, 정조가 탕평정치를 펴면서 내세운 小民 보호 정치 이념의 추구에 따른 것으로 풀이하였다. 이 논고는 정조 이후, 純祖- 憲宗 - 哲宗의 치세를 거쳐 高宗 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민국이란 용어가 어떤 변전을 거쳤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용어는 민란기, 개항기에도 각 시기의 과제에 대한 논의에서 상용되는 추세로서 본고는 춘향전이나 심청전의 내용을 통해 서민 대중 속에서 성장하는 민국 이념의 측면을 살피고자 하였다. 나아가 청일전쟁 전후, 동학농민군의 무장현 포고문, 1895년 2월 반포「敎育詔令」등에서 민국이념의 전개를 살폈다. 1904년 2월 이후 러일전쟁을 배경으로 한 일본제국의 침략 앞에 주권 수호 운동이 전개된 가운데 국권 방위의 국민적 항쟁이 절실한 상황에서 ‘태황제’(고종)가 1909년 3월에 내린 「諭西北間島及附近各地民人等處」에서 대한제국이란 국체를 언급하여 “나 한사람의 大韓이 아니라 실로 너희 萬姓의 大韓이니라.”고 한 것에서 민국 이념의 共和主義로의 지향을 읽고자 하였다. ‘민국’이란 용례에 대한 이러한 추적은 1919년 상해 임시정부 수립에서 등장하는 대한민국이란 국호가 순전한 서양으로부터의 영향에 따른 것인지 여부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필자는 본고에 이어 1910년 이후 1919년 사이에 해외 특히 중국에서 활동한 독립지사들의 저작물을 통해 마지막 검증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만주인의 흔적 찾아내기

        이영옥 이화사학연구소 2011 梨花史學硏究 Vol.0 No.42

        在韓國, 一些中國史硏究者對滿人和滿語注目, 這是最近幾年的事. 2002年, 滿洲學會創立, 以其會員爲中心關心、硏究滿洲地區和歷史, 但是比較多數學者眞正開始學習滿語、硏究``滿淸史``以及專門機構(高麗大學民族文化硏究院)組織硏究人員還不到五年的時間. 今年, 二月中旬, 筆者發見, 中國史硏究者開始關心的時候, 中文學硏究者當中也有同樣關心來寫論文的. 本稿試圖敍述淸朝皇帝和滿人中華民國時期遇到的變化, 倂且分析描寫滿人生活的文學作品, 有何種意義和界限. 之所以中國史硏究者和中文學硏究者同時關心、硏究同樣主題, 是因爲``滿人認同``對他們提供相逢空間. 過去, 在淸史硏究著作裏, 滿人只不過是被漢人文化及制度吸收的存在. 目前, 一些著作逐漸强調滿人認同和淸朝的內陸亞洲性質. 2007年, 金水珍發表三篇論文, 分析老舍作品, 主張滿人在民國時期還保持認同. 저的硏究, 從中國史硏究者的觀點來說, 有質疑的部分. 首先, 저把一部分滿人所處的狀況看做爲全體滿人的. 中華民國誕生了, 皇帝失去以最高權力者的地位, 但是他一直到1924年在保護地區紫禁城裏受到一定的經濟津貼, 維持淸朝皇帝的名義. 許多滿人成爲中華民國的國民, 卽與漢人同樣地位的一般老百姓. 他們再也不能受到作爲旗人的經濟津貼, 走上下層階層的路. 盡管如此, 滿人的生活不是一槪而論, 而是過去地位決定民國的處境. 其次, 需要嚴密校對歷史事實. 文學硏究能구在硬硬的歷史敍述裏添上軟軟的感性, 有助于歷史硏究. 但是不應該脫離歷史事實. 康熙年間國語騎射倂沒有放松過, 義和團旣有愛國特點又有迷信色彩. 文學作品可以用縮小或誇張事實來吸引一般讀者, 歷史敍述絶代不該脫離事實. 我們雖然有餘地質疑, 而金水珍的試圖有意義的. 滿人寫自己故事的資料不足, 親身經歷民國時期的老舍作品給我們提供看滿人的思想和生活的機會. 參考歷史事實倂分析他的作品, 這對歷史學者, 至少也對我, 使得認眞思考文學作品的歷史性. 淸末民初的大轉換期涌現出許多文學作品, 從歷史學的觀點分析那些作品, 有助于擴大理解當時社會.

      • KCI등재

        민국시기 고등교육의 변화와 의의

        김덕삼(Kim, Dug-Sa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본 연구는 정치·사회·문화적으로 격동기이자 전환기였고, 교육적으로 고등교육이 본격적으로 실행되었던 민국시기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의 상황과 의의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민국시기에 일어났던 고등교육 관련사건 등을 중심으로 북양정부시기(1912∼1928)와 남경민국정부시기(1928∼1949)로 구분하여, 민국시기 고등교육의 특징과 의미를 교육법령과 학제의 변화, 고등교육이념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개혁을 통해 변화를 시도했고 법규와 법령 등이 정비되었으며, 본격적인 근대학제로의 전환이 일어났다. 그리고 학교교육이 양적으로 증가했으며, 서양의 고등교육을 중국에 도입하여 적용시켰다. 고등교육이념의 변화 측면에서는 다양한 교육사상이 나타났고, 그 영향으로 다양한 교육모델을 현실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은 사회변화를 주도했고, 교육 평등권을 강조하여 여자 교육의 개혁과 개방을 유도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and significance of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Republican China age, a rapidly changing and transition era in terms of politics, society when culture and higher education was conducted to some extent. First, incident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during the age were examined by dividing two periods; the Beiyang Government between 1912 and 1928 and the Nanking Government between 1928 and 1949. By doing this,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Republican China age were examined in two terms: changes in education laws and school system and changes in ideology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age, changes were attempted through various reforms and statutes and regulations were organized, and transition to full-scale modern tertiary education system occurred. School education increased quantitatively and western higher education was applied to China. In terms of changes in ideology of higher education, various education thoughts made their appearances and this led to actions to apply various education models to the reality. Also, higher education led social changes and reform and opening of women's education were induced with the emphasis on education equality.

      • KCI등재

        대한제국의 꿈과 대한민국임시헌장의 제정 정신

        김대환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19 世界憲法硏究 Vol.25 No.1

        National System Charter of Empire Dai Han is the Constitution made by Emperor Gojong. His efforts to strengthen the tyranny of politics have been a manifestation of a strong willingness to be independent from foreign powers. But the efforts of Emperor Gojong eventually ended in failure. The reason is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imperial politics did not match the demand of the Korean people at that time. However, the desire of the nation which is independent from foreign powers became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on the occasion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March 1, and made the provisional government be established. The first Constitution enact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s been configured with a brief 10 articles, but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The fact that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s a democratic republic was established in this first provisional constitution is very remarkable. In addition, the focus is on the Korean people's will for the abolition of discrimination, which was the cause of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religious pluralism. And it is essential that humanism and justice for which the first provisional constitution had directed and defined 100 years ago are the very core values of the modern world citizenship. Especially, in this paper, we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mental values on which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is based, in the sense of the Korean People’s oath published with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In this oath, the fact that the March 1 1919 was not the day when independence was demanded, but the day when it declared, that our national identity as democratic republic was established, that the abolition of discrimina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the Korean people, that religious pluralism could be read from the text, that the constitution expressed a strong commitment to international peace, and that our people aimed to be the citizen of the world by declaring justice and humanism are our national spirit. We should clearly recognize the fact that it is the spiritual basis of today's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ve to effort to succeed it. It is the lesson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gives for us. 대한국국제는 고종황제의 흠정헌법이다. 전제정치를 강화하고자 한 노력은 시대상황적으로 외세로부터 독립하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러나 고종황제의 이러한 노력은 결국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 이유는 전제정치의 강화는 당시 한민족의 시대적 요구와는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주독립이라는 민족의 염원은 3・1독립선언을 계기로 민족의 자각으로 되었고 이는 임시정부의 수립으로 나타났다. 임시정부에서 제정한 최초의 헌법인 임시헌장은 10개조의 간략한 조문으로 구성되었지만,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라는 점에서 대한민국헌정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우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민주공화국으로 확립하였다는 점은 헌정사상 특기할만하다. 또 여기에서는 조선과 대한제국 망국의 원인인 각종 차별의 철폐에 대한 한민족의 의지가 들어 있다는 점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가 갖는 헌법사적 의미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것은 100년 전 임시헌장이 지향했던 인도와 정의라는 것은 현대의 세계시민성의 핵심가치임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임시헌장과 함께 공포된 선서문에 나타난 임시헌장이 기초로 하고 있는 정신적 가치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이 선서문에서는 3・1운동이 독립을 요구한 날이 아니라 독립을 선언한 날이라는 것, 국가의 정체성을 민국으로 하고 있다는 것, 3・1독립선언이 일어난 1919년을 민국의 원년으로 하고 있다는 것, 차별의 철폐가 한민족의 가장 주요한 가치라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 종교적 다원주의를 읽어 낼 수 있다는 것, 국제평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는 것 그리고 정의와 인도를 민족정신으로 함으로써 세계시민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신은 오늘의 대한민국헌법의 정신적 기초가 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를 계승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이 오늘 임시헌법 100주년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연호의 변화 양상과 논쟁: 한말,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헌국회의 연호 논쟁

        서희경 ( Hee Kyung Suh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근현대 한국 연호의 변화 양상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연호는 역사의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기호이다. 그러나 연호는 단순한 기호와 상징이 아니라 역사인식과 정체성을 표현하며, 특정 시기에는 국가건설 및 정통성 문제와 직접 관련되었다. 이 때문에 역사적 격변기인 19세기 말부터 연호 사용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1910년 일제의 강제병합 이후, 국가를 상실한 한국인은 ‘한민족’을 상징하는 연호로서 단군 기원을 사용했다. 그런데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단군 기원이 아닌 대한민국 기원을 채택했다. 한민족의 ‘민족’보다 민국이라는 ‘정체’를 앞세운 것이다. 해방 후에도 연호의 혼란은 계속되었다. 과도입법의원과 신문은 단기와 서기, 일상은 단기와 대한제국의 연호를 병기했다. 1948년 정부 수립 후에도 연호의 혼란은 끝나지 않았다. 이승만 대통령과 정부는 1919년부터 기산한 대한민국 연호를 사용했다. 민국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임시정부의 민주공화국 수립 정신을 계승하고, 동시에 북한의 공산 독재체제를 비판하고자 했다. 그런데 다수의 제헌의원들은 단기 연호를 지지했다. 단기는 민족주의에 부합했고, 편의성도 뛰어났다. 사회 일반과 국가 행정에서 광범위하게 단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정부도 결국 제헌국회의 다수의견을 수용함으로써, 1961년까지 단기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연호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odern Korean era names and the political controversies over them. An era name is a sign to indicate the time of history. However, it is not a simple sign, but a kind of symbol that expresses historical view and identity. For this reason, great confusion arose in the use of era names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 period of historical upheaval.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in 1910, Koreans who lost their nation used the era name of Dangun (檀君) as an symbol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n 1919,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dopted the era 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rather than Dangun. It puts the ‘polity’ ahead of the ‘nation’ of the Korean people. Even after liberation of 1945, the confusion of era names continued.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1946-1948) and newspapers recorded the era name of Dangun and Christian era together. People used the era name of the Dangun and Korean Empire in daily life.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the confusion of era names did not end. President Syngman Rhee and the government used the era name of the Republic of Korea counted from 1919. By using it, era nam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t was intended to deny North Korea’s historical legitimacy and criticize the communist dictatorship. However, majority of constitutional lawmakers supported the era name of Dangun. It was not only in line with nationalism, but also convenient. Therefore, it was used widely in society and in government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eventually accepted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The era name of Dangun was used until 1961. However, the issue of era name is an ongoing process.

      • KCI등재

        한국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

        나정원(Nah, Jeong W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한국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최초의 ‘근대국가’가 무엇인가를 찾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조선조 이후 한국사에서 선포된 두 개의 국가,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가운데 대한제국의 근대국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위해서 한국에서 근대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시대구분 작업을 먼저 진행하였다. ‘근대국가’는 ‘근대’에 만들어진 국가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근대국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근대’의 시작 문제를 먼저 다루어야 한다. 서양사의 삼분법을 바탕으로 한국사에 적용될 수 있는 시대구분 틀을 만들어, 이를 바탕으로 한국정치사상사에서 ‘근대국가’가 무엇인가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검토 결과, 조선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한국정치사상사에서 대한제국은 ‘근대국가’가 아니라 중세와 근대의 과도기인 절대주의 국가로 평가되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을 최초의 ‘근대국가’로 가정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는 대한 민국임시정부가 있었지만 한반도에 영토와 국민은 있었어도 주권이 일제에 박탈당한 상황에서 주권 회복을 위해 노력했던 시기, 즉 국민국가나 민족국가인 ‘근대국가’를 이루려고 노력했던 시기이므로 ‘근대’라고 할 수 없다. 일본의 식민지근대화는 민족국가 · 근대국가와 관계가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식민지근대화 과정 이후에 형성된 한국 역사상 최초의 ‘근대국가’라고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된 민족국가를 ‘근대국가’라고 하면 대한민국은 아직도 ‘근대’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은 ‘근대성’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북한은 절대주의 국가, 절대군주권 , 군주의 지배에 가깝다. 그리고 지금으로서는 이념과 체계를 초월하는 통일헌법의 구상조차도 이론적으로도 거의 불가능하다. ‘인민국가’와 ‘국민국가’의 근본적인 차이는 ‘민족국가’의 형성을 지연시키고 있다. 한반도의 ‘근대화’는 1876년 이후 미완의 ‘근대화’로서 2019년 지금도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은 ‘근대’ ‘국민국가’이지만 ‘근대’ ‘민족국가’는 아니다. This treatise investigates the first Modern State in the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Accordingly, it examines which among the two States the DaeHan Empire and Republic of Korea, following the reign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first Modern State in Korean political thought history. For this purpose, periodiz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what is modern in Korea, since identifying the Modern State is the preliminary step to estimating the start of the modern era; the Modern State was built during the modern era. To realize a periodization that could be applied to Korea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the tripartite periodization method based on European history was revised to suit the Modern State.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DaeHan Empire was an absolute state and not a modern one in the history of Korea. The DaeHan Empire was situated between medieval Joseon and the Republic of Korea, which could be supposed merely as modern before being examined. Although the Republic of Korea had a provisory government at the tim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not be considered modern since Korea was deprived of its national sovereignty during this period; hence, the colonial period is not related to the Modern State. Therefore,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it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can be considered the first Modern State in Korea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However, if the unified national One Korea is the Modern State, two Koreas are still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Republic of Korea should undergo unification to become a Modern Nation State by connecting the citizen’s state and people’s state. Hence, the two Koreas must work together to build the Modern Nation State.

      • KCI등재

        논문(論文) : 정부, 종사(宗祠)와 종족 운명 -민국(民國) 시기 중산현(中山縣)을 사례로-

        치더홍 중국사학회 2013 中國史硏究 Vol.82 No.-

        종사(宗祠)는 종족내의 공유 재산이다.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내거나 종족 차원의 의례를 갖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이 곳은 종족의 상징이다. 종족 집단은 이 종사나 사당(祠堂)을 통해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냄으로써 조직된다. 민국(民國) 시기 중산현(中山縣) 정부는 훈령(訓令)을 통해 종족 공유의 것으로 내려온 재산에 대한 통계를 집계하였고, 이를 통해 조세를 부과하고 각종 명목의 징수금을 부과하는 근거로 삼았다. 민국 당안으로부터 신문에 이르기 까지 정부가 종사에 개입한 모든 기록들은 정부가 명령 형식으로 문서를 발포하여 종족의 상징인 사당에까지 진출하여 사무 공간으로 사용하여서, 실제상 조상들을 위한 공간을 침범하였으며, 종족들로서는 자기 종족 사당의 권리를 침해받았다. 정부가 임의로 징발하는 것을 지방 유력 종족들로서도 묵과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정황은 지방 종족들의 쇠락을 가져왔다. 1930-40년대 중산현의 종족들은 잇달아 족보를 중수하고 기존 종사를 확장하고 사당을 건축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종족과 종사가 거의 번영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종족 내부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하는 문제도 상당히 많았다. 예컨대 종족 구성원이 종사의 물건들을 훔쳐 팔기도 하였고, 사당 안에서 무리지어 도박이나 계투(械투)를 벌이기도 하였고, 사당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자산을 사취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출현은 직접적으로 종족 구성원들 간 상호 불신을 초래하였다. 동시에 종족 법정이 이미 권위를 잃어버려서, 종족 성원들은 항상 종족 사무를 관청에 제소하여 공평한 처리를 기대하는 상황이 되었다. 선거를 통해 종족과 종사 자산을 관리해 오던 전통은 더 이상 의미를 가지기 어려워졌고, 종사의 관리 역시 변화가 초래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중산시당안관(中山市당案館)에 소장된 정보, 종족, 종사 관련 당안과 민국 시기 중산현에서 발행한 신문이나 종족 관련 보도 자료를 중심으로 1930-40년대 중산현 종사가 정부의 간여하에 발생된 변화 및 종족의 존재 상황을 검토하였다. The ancestral hall is the common property of the Patriarchal Clan, for ancestor worship, pay homage to the place of the family who is a symbol of the clan as a whole clan Group ancestor worship in the ancestral hail or ancestral hall was organized In the republican period, Zhongshan county government be always gathering statistics of the property of the clan by the instruct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s for apportioning the tax with a variety of names to donate. From the republic of archives to the newspaper, there were records which the government encroached on ancestral hail. The government released the instruments in the form of a command, stationed in the clan symbol of the ancestral hail to get the office place, actually invading ancestors established space clans lack the right to dispose of their ancestral temple. Arbitrary expropriation of the government, has the local I Ian forces turn a blind eye to this situation along with local clans fading. In the `0s and `0s, Zhongshan County`s clan, emerging rebuilt genealogy, repairs to the expansion of the old ancestral hall or the construction of a new ancestral halls, clan and ancestral hail seems to be prosperity, but quite a few clans internal problems exposed, such as clan members stealing and selling the ancestral temples material, gambling, fighting in the ancestral hall, and the managers are riddled with corruption, due to the emergence of these phenomena, a direct result of the distrust between the clan members. At the same time, the clan court already lost authority, clan members often resort to the clan affairs official in order to obtain more equitable treatment. The traditional management does not have the advantage, and the ancestral hall management restructuring. Based on the archives collected by Zhongshan City Archives and the reports in the newspaper during the the republic of China, which related the government, the patriarchal clan and the ancestral hail, this paper discuss the changes in the ancestral hail in Zhongshan County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200th century 30-40 ages, as well as clan-like existence in the period.

      • KCI등재

        민국시대 이전 중국무술의 발전사

        왕운,왕난,황향희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민국시대 이전 중국무술의 변화와 특징, 내용을 탐색하고, 발전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로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무술의 기원 배경은 생존을 위한 기격(技擊), 전쟁, 종교와 연관이 있다. 둘째, 민국시대 이전 중국무술은 선진(先秦), 진한삼국(秦漢三國), 양진남북조(兩晉南北朝), 수당오대(隋唐五代), 양송(兩宋), 원나라 (元朝), 명나라(明朝), 청말(清末)까지 8개시기를 아우르는 역사 속의 무술 활동으로 역사가 길고 내용이 가장 풍부하며, 중국무술의 발생기, 발전기, 형성기, 번성기의 발전과정을 탐색할 수 있었다. 민국시대 이전 중국무술의 발전사 연구는 현재 중국무술의 발전현상에 대한 보다 이성적인 인식과 발전을 도모하고, 중국무술 이론의 토대 마련과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료(史料)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hinese martial arts before the Republic of China,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to find ways to develop them. Research results, First, the origin of Chinese martial arts is related to the spirit of survival, war, and religion. Second, Chinese martial arts before the Republic of China are martial arts activities that span eight periods, including pre-Qin, Three Kingdoms of Qin and Han Dynasties, Yang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 Sui, Tang and Five Dynasties, Yangsong, Wen Dynasty, Ming Dynasty, and Qingmal. It has a long history and the most abundant content, and it was able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martial arts generators, developing period, formation period, and prosperit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Chinese martial arts before the Republic of China will be a very important source for promoting more rational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the current development of Chinese martial arts, laying the foundation for Chinese martial arts theory and presenting new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