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악기 디자인의 의미와 활용 연구

        김동언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8

        본 연구는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악기 디자인이 음 악과 공연예술의 시대정신을 담아내면서 인류가 당면 한 문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그 의미와 활용 가능성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 모 형은 쓰레기와 재활용악기를 각각 잠재적 단계와 창 조적 단계로 나누어 비교하면서 디자인의 개입을 통 해 새롭게 변화한 재활용악기의 의미와 활용 가능성 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더이상 쓸모가 없어진 쓰레기와 폐기물에 새로운 예술적 감성과 표현의 가 능성을 확장한 정크아트의 의미와 들뢰즈의 잠재성의 명제들을 분석의 요소로 차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 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악기가 음악 및 기술 변 화의 역사와 더불어 진화하는 과정에서 재활용 소재 를 활용한 악기 디자인이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 이고, 산업 폐기물이 악기로 제작되면서 다양한 표현 방법의 확대와 오브제로서 정크아트의 영역을 확대· 심화시키고 있다. 지금도 거리예술 및 놀이와 결합한 역동적인 악기로 여전히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또한, 개인과 공동체의 이야기와 정체성을 나타내면서 재활 용악기 디자인이 인류 문명의 새로운 꿈과 희망의 메 시지를 담아내고 있고, 전기·전자 기술과 접목된 재 활용악기의 친환경적 생태 산업디자인으로 발전 가능 성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application potential of how musical instrument design using recycled materials can contribute to the problems facing mankind while captur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music and performing art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The case analysis model divided and compared waste and recycled instruments into potential and creative stages, respectively, and derived the meaning and application potential of newly changed recycled instruments through design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the meaning of Junk Art, which expands the possibility of new artistic sensibility and expression in garbage and waste that is no longer useful, and the proposition of potential mentioned in Deleuze's propositions of virtuality were borrowed as elements of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derived. As musical instruments evolve along with the history of music and technological change, musical instrument designs using recycled materials raise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as industrial wastes are made into musical instruments, various expression methods are expanded and the area of Junk Art as an object. expanding and deepening. It is evolving into a dynamic instrument combined with play, including modern street art. In addition, while expressing the story and identity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 design of recycled musical instruments captures the message of new dreams and hopes of human civilization, and discovers the fact that it has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 eco-friendly ecological industrial design of recycled musical instruments combined with electric and electronic technology.

      • KCI등재

        백제악기연구 (I)

        이종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0 音樂論壇 Vol.24 No.-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Baekje dynasty's music instrument which are 'Go'(鼓: drum), 'Gak'(角: horn), 'Gong-hoo'(箜篌:harp) and 'Jaeng'(箏: zither). This information is based on the literatures of history showing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instrument of Baekje founded in Dang dynasty 50 years after Baekje in region of part of korean peninsular ended and it is way of how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s their students. The literatures of history exclude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various types of music and instrument of Baekje in the early period of Dang dynasty although it was reduced to the only four types of instruments left as a result. In contrast to the 700years of history of cultural nation 'Baekje', the instruments of Baekje seems to be remained as a poor figure to us nowadays. In the university level, three more instruments are added which are 'Dopipilryul'(桃皮觱篥: oboe), 'Jee'(篪: bamboo flute) and 'Woo'(竽: eastern mouth organ) resulting a sum of seven instruments of Baekje. However, it is only based on the record of 'Samguksagi'(the histroical record of three kingdoms of korea) which were written 500 years after Baekje in the region of part of korean peninsular ended. Futhermore, there is a tendency that people regard those instruments as chinese instruments due to the reason that those are not commonly used in 20th century's Korea, resulting a low interest among the people Reaching to the end of 20th century, specialists founded four more instruments called 'Hweing-juk', 'Mak-mok', 'Goon-hoo'and 'Darijigo' from the literature of Japan and those were classified into the instruments of 'Baekje' to make a sum of 11 types of instruments. However,it doesn't still contain the instruments identified from the artifacts excavated between the end of 20th and 21th century. This dissertation is published and translated with a general research of 27 types of literature on Baekje dynasty's music, identifying that there are at least 23 types of instrument of Baekje after a discovery of 12 more instruments based on 'The triad stone statue of Gye-you-myoungjun-ssi-a-mi-ta-bul', 'The gold-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e string instrument excavated from woelpyeong-dong', 'The string instrument of Baekje excavated from Sinchang-dong' and 'Palbujoongsang(八部衆像) in the site of a bowon temple'. The 12 added instruments are 'Bae-so'(排簫: pan flute), 'Jang-so'(長簫: large recorder), 'Saeng'(笙: mouth organ), 'So'(蕭: pan flute with a reed), 'Baekje-Saenghwang'(百濟笙篁, mouth organ in Baekje style), 'Gokgyeong bipa'(曲頸琵琶: bipa with a curved neck), 'Baekje Samhyun'(百濟三絃, plucked instrument of Baekje), 'Soo gong hoo'(垂箜篌:harp in L-shape), 'wa gong hoo'(臥箜篌: plucked zither with frets), 'Geum'(琴: long zither, Qin), 'Baekje Geum'(百濟琴: long zither in Baekje style) and 'Yogo'(腰鼓: two-side drum). Fu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a possible approach to the addition of 19 types of instruments which are 'Yup'(葉),'Ga'(笳), 'Seul'(瑟), 'Samhyun Geum'(三絃琴), 'Bipa'(琵琶), 'Oh hyun'(五絃),'Chook'(筑), 'Gyeok Guem'(擊琴), 'Bang Hyang'(方響), 'Jong'(鐘), 'Soon uh'(錞于), 'Jing'(鉦), 'Tak'(鐸), 'Ryeong'(鈴), 'Bal'(拔), 'Bakpan'(拍板), 'Gyeong'(磬), 'Julgo'(節鼓) and 'Galgo'(羯鼓), based on the record in the 185th volume of 'Tong Jeon' showing that 'There are many similar instruments of Bek jae in 'Naeji(內地 = the capital city of Dang dynasty). Baekje's instrumental music is an overall performance assuming the form of 'kgamoo'(song, instruments, dance) in the concept of folk music as well as name of the musical form played for the independent music. The contents were diverse including from Buddhist propagation to the secular matter and were performed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all the Baekje's territory such as central district123 and Japan. Nowadays, it was confirmed that hose music' has... 백제 악기를 살필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사료는 「북사」 이다. 고(鼓)․각(角)․공후(箜篌)․쟁(箏)․지(篪)․적(笛)등의 7종 악기가 백제악기라 기록하고있다. 그 다음 오래된 기록은, 한반도백제가 망한 후 50년 뒤 당나라에 있던 많은 백제 음악과 악기가 사라지고 겨우 고․각․공후․쟁의 4종 악기만 남아 있었다는 「통전」 이다. 이러한 기록으로 말미암아 700년 긴 역사를 가진 문화국가백제에 겨우 7종의 악기가 있었다는 것으로 우리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그나마이러한 기록에 있는 백제 악기들은 20세기 한국에서 상용하는 악기가 아니기에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경향도 있다. 중국악기 또는 중국계열의 악기로 흘려버리는 것이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서야 횡적, 막목, 군후, 다리지고 등 일본문헌에 있는 악기들이 전문가들 사이에 등장하여 백제악기로 말하게 되었다. 이를합한다면 11종이 된다. 여기에도 20세기 후반에 발굴한 유물의 도상으로 확인된악기들은 여전히 포함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백제금동대향로, 월평동 출토 현악기, 신창동 출토 백제 현악기, 보원사지 팔부중상(八部衆像) 등을 근거하여 12종의 백제 악기를 추가하여야 한다는 주장을하고 있다. 이로서 백제악기가 최소한 23종이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된 악기는 배소(排簫)․장소(長嘯)․생(笙)․소(蕭)․백제생황(百濟笙篁)․곡경비파(曲頸琵琶)․백제삼현(百濟三絃)․수공후(垂箜篌)․와공후(臥箜篌)․금(琴)․백제금(百濟琴)․요고(腰鼓) 등이다. 본 연구는 또 「통전」(通典) 185권의 “백제 악기는 내지(內地, 당나라 수도)와 같은 것이 많다”는 기록을 근거로, 엽(葉), 가(笳), 슬(瑟), 삼현금(三絃琴), 비파(琵琶), 오현(五絃), 축(筑), 격금(擊琴) 방향(方響), 종(鐘), 순어(錞于), 징(鉦), 탁(鐸), 령(鈴), 발(拔), 박판(拍板), 경(磬), 절고(節鼓), 갈고(羯鼓) 등의 19종이 백제악기로 더 추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문헌들은 기악(伎樂) 때문에 백제 악기를 소개하고 있다. 고대국가에서는 악기가 음악활동을 위한 도구라는 차원을 넘어서 궁중의물로 또는정치적 수단이라 여겨 중요시하였다. 이런 환경에서 백제기악(伎樂)은 민속악형태를 띈 악가무(樂歌舞)형태의 종합 공연물이었지만 독자적인 음악에도 사용하였던 한 형식이었다. 내용도 불교 포교적인 것에서부터 세속적인 것 까지 다양하였으며 한반도는 물론 중원(中原)과 오늘날의 일본에 이르는 백제의 모든강역(疆域)에서 공연되었다. 회중보(懷中譜), 인지요록(仁智療錄), 기악곡(妓樂曲) 등의 일본 측 문헌에 악보집이 남아있어 그 해독과 음악 재현이 가능하리라는 추정도 하였다. 수․당나라에서는 승전국의 전리품(戰利品)으로 점령국의 음악을 모아 연회에서 사용한 바, 백제악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런 전통은적어도 한반도백제가 멸망한지 50년 정도 되는 8세기 초 까지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편 오늘날의 일본 땅에는 이보다도 100년이 훨씬 넘은 9세기중엽까지 백제악이 있었고 또 백제왕이 존재하여 이를 연주하였다. 여기에는 서로 다른 5명의 백제왕 이름이 동시에 거명되었으며 일본 왕과 군신(君臣)의 관계를 가지고 풍속무(風俗舞)라는 음악으로서 교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백제 기악은 맑아서 당나라 사람들이 즐겨 불렀다”는 「태평어람」 (太平御覽)의 기록은지금까지 음 ...

      • 악기연주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박명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instrumental playing through Body percussion and unpitched percussion which are the basis of instrumental playing among various mu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Research methodsI studied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for playing instruments and suggested early childhood instrumental playing teaching methods in stages based on Orff's theory and methodology.ResearchI presented instrumental playing into different stages: Body percussion, Body percussion Ostinato, and unpitched percussion, unpitched percussion Ostinato. I gave “tempo” for Body percussion and “Body” and “speaking” for Body percussion Ostinato. Also, I proposed “imitation” for unpitched percussion and “assimilation” for unpitched percussion Ostinato.For this instrumental playing program to be applied in the real field of music, it is important that the children be given appropriate musical environment and phased and systematic instrumental playing be offered using quality percussion. Also, instrumental playing reference need to be supplied in the music scene and the teacher herself need to put efforts to improve her own ability in playing instruments.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악기연주의 기초가 되는 신체악기, 무선율 타악기 연주를 통하여 악기연주 능력과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악기연주의 지도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문헌을 중심으로 유아의 악기연주 능력 발달단계를 고찰하고 악기연주 지도에 관한 Orff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유아기 악기연주의 교수방법과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악기연주 프로그램은 단계별로 신체 타악기, 신체 타악기 Ostinato, 무선율 타악기, 무선율 타악기 Ostinato를 제시하였다. 신체 타악기에서는 ‘박자’를 제시하였으며 신체 타악기 Ostinato에서는 ‘신체’, ‘말하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무선율 타악기에서는 ‘모방’, ‘동화’를 제시하였으며 무선율 타악기 Ostinato에서는 ‘합주’를 제시하였다.악기연주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아에게 적절한 음악환경을 제공하고 신체 타악기와 무선율 타악기를 활용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악기연주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악기연주 지도 자료가 현장에 보급되어야 하고 유아교사 자신이 악기연주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중 악기류의 수출경쟁력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 미국 악기시장을 중심으로

        심재희(Shim, Jae-Hee) 韓國商品學會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5

        본 연구는 한·중 양국간 악기산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미국 악기시장에서 양국의 악기제품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지를 동태적 경쟁력 변화 측면에 초점을 맞춰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악기산업의 실태를 점검하고 한국 악기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양국간 악기류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의 무역통계에서 피아노,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전자 악기, 뮤지컬박스, 부분품 등 7개 품목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수출입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HS 코드 기준 악기제품별 데이터로부터 무역특화지수, 수출편향지수, 시장별 비교우위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시장에서 한국산 악기제품의 수출 경쟁력은 중국산에 비해 전반적으로 비교열위에 있었다. 연구결과는 우리 정부와 관련업계에 한국 악기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산 악기제품의 고부가가치 브랜드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새로운 악기 수요 분야로 부각되고 있는 전자악기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악기산업의 수요기반이 되는 음악산업을 필두로 한국내 연관산업의 발전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some implications which will develope Korean musical instrument industry by empirically analyzing changes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musical instrument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U.S.A.market. For the purpose, Trade Specialization Index, Export Bias Index, an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were selected as analyzing method. HS 4 unit code in the musical instrument industry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obtained fromthe trade statistics from2000 to 2010 produced by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ITA).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Koreanmusical instruments products are less competitive than Chinese ones in the U.S.A. mark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 government authorities and relevant industry shoul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musical instrument industry by pursuing such development plans for musical instrument industry as making high value-added instruments, developing electronic instruments, and promoting domesticmusic industry.

      • KCI등재후보

        국립국악원 고악기 복원현황 및 성과 연구

        이윤주(Lee, Yoon-joo) 한국국악교육학회 2015 국악교육 Vol.40 No.40

        국립국악원은 국악의 정통성 확립과 전승을 위하여 국악기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초기 1960년대에는 현악기의 음량을 키우거나 악기의 조현을 편리하게 하는 등의 개량과 철제․목제․합성수지 등 관악기의 재료를 다양화하여 대량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현대화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는 개량제작이 아닌 연구로 사업방향을 전환하고 징, 꽹과리 등 타악기의 음고 측정과 가야금, 비파, 월금 등 현악기의 음향특성과 방사패턴을 조사하였다. 이후 국악이 고유의 정체성과 원형질을 보존하고 문화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국악기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2006년 악기연구소를 신설하고 국악기 음고․음량․음색 등의 음향연구와 구조․재료 등의 세분화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아가 국악기의 제작과정, 고악기 복원 및 재현, 신악기 개발 등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중 국악기의 복원과 재현은 고악보의 연구와 함께 과거의 음악을 유추해 볼 수 있다는데 연구 가치가 매우 높다. 고악기 복원사업은 첫째, 출토된 유물 편(片)을 근거로 유실된 부분을 복원하는 방법, 둘째, 문헌 등에 나타난 근거를 가지고 복원하는 방법, 셋째, 도상자료를 근거로 복원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국악원의 연도별 국악기 복원현황을 살펴보면 2005년에는 광주 신창동의 유적 현악기 편을 가지고 각각 가야금식과 거문고식으로 복원한 현악기, 대전 월평동(月坪洞)에서 발견된 8개의 구멍이 뚫어져 있는 몸통이 없는 양이두(羊耳頭)를 근거로 복원한 8현 가야금, 하남(河南) 이성산성(二聖山城)의 유적을 복원한 요고(腰鼓)가 있다. 2008년에는 『악학궤범』에 근거하여 15세기의 삼현삼죽(三絃三竹)을 고증하였으며, 2009년과 2010년에는 『세종실록』과 『악학궤범』에 근거하여 세종조 편종과 편경을 복원하였다. 또한 2010년에는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조각된 다섯 악사의 도상을 근거로 백제시대의 오악기를 재현하였다. 또한 국악원은 악기의 복원에 그치지 않고 그에 맞는 곡을 새롭게 작곡하여 네 차례의 ‘고악기연주회’를 개최하였다. 이는 과거의 것에 현재의 것을 더함으로써 실제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고 과거의 음악을 짐작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2010년과 11년에는 한국의 연구 성과와 기술력으로 베트남의 편종․편경을 제작하고 기증했다. 이를 계기로 베트남은 전승이 단절된 궁중음악 나냑[雅樂]을 복원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편종․편경 제작과 제례음악을 전승하고 있는 한국은 고악기 복원 기술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문화지원국으로의 입지를 넓히게 되었다. 2015년에는 중국 하남박물원 소속 화하고악단을 초청하여 중국 고대음악 복원음악의 현황과 성과를 공유하는 세미나와 연주회를 개최하였다. 중국 낙양(洛陽)인근에 자리한 하남박물원과 국립국악원의 연주단이 함께 고려 때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낙양춘(洛陽春)을 연주하는 등 한․중간의 전통예술분야 교류 및 소통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향후 국악원은 과거에 발견된 문헌과 앞으로 발견될 유물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복원과 함께 다양성이 공존하는 악기를 재현할 것이며 그 평가는 후대의 과제로 남길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궁정 악기 제작기구의 조직과 역할

        오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이화음악논집 Vol.26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ial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musical instruments were an essential element to observe the five rituals and perform ceremonial music. In terms of the music-history,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conditions and procedures for the production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Dynasty. The note names, scales, installations, and organization charts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Annals and Uigwe. The name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stitution of the temporary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it appea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Dogam(都監), So(所), Sack(色), and Cheong(廳),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scale of the ministry. In the late 17th century, as the character of Dogam was set as handling important ceremonial matters in terms of the scale of ministry as well as symbolism, the name of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was changed to Cheong. The instrument-making organization was a temporary organization, establish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king at the request of the Jangakwon(掌樂院), Yejo(禮曺), etc.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ministry, the organization is divided into the provincial Docheong(都廳), Byeolgongjac(別工作), Joseongso(造成所). The entire ministry was carried out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administration, supporting business, and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In this paper, the existence of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organ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was investigated, and detailed review of its size, name, organization, and func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be a broader historical study that reveals the them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strument in the future, going further from the discussion that has focused only on the instrument itself. 본 논문은 조선시대 악기 제작기구의 조직에 관한 사회 제도적 측면의 고찰이다. 조선시대 궁정에서 악기는 오례(五禮)를 지키며 예악(禮樂)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으로 갖춰져야 하는 의물(儀物)로서 악기를 갖추는 일은 궁정의 주요 사안이었다. 음악의 연행에 있어 악기의 제작을 위한 조선시대의 사회적 이행의 조건과 절차에 관하여 알아보는 일은 음악사적인 의의가 있으므로 조선시대 악기 제작을 위한 임시기구의 명칭과 규모, 설치와 조직에 대하여 실록 및 의궤 등의 사료를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악기 제작기구의 명칭은 조선시대 권설관서(權設官署)의 직제 정립과 관련이 깊다. 조선 전기까지 도감(都監) 및 소(所), 색(色), 청(廳)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사역의 규모와 관련이 깊다. 17세기 후반에는 도감의 성격이 사역의 규모뿐 아니라 상징적인 면에서 의례와 관련된 중대한 사안을 처리하는 기구로 확립되면서, 악기 제작기구의 명칭이 도감보다는 한결 간편한 사업으로서 청아문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례화된다. 악기 제작기구는 정해진 기간 안에 사역을 마쳐야 하는 임시기구로, 평소 궁정의 악기를 관장하는 장악원, 예조 등의 요청에 따라 왕이 허락하는 절차로 설치되었다. 조직은 사역의 성격에 따라 크게 도청(都廳), 별공작(別工作), 조성소(造成所)로 구별된다. 각기 행정적 사무 및 이를 지원하는 역할, 실제 악기를 생산하는 곳 등으로 유기적인 관계로 전체 사역이 이루어졌다. 조선시대 악기 제작기구의 존재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나아가 기구의 세부적인 규모와 명칭, 조직과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간 악기 자체에만 집중했던 논의에서, 앞으로 악기 제작의 주체와 제작과정 등을 밝히는 폭넓은 사적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전통 타악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

        김혜정 ( Kim Hey-jung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한국 전통음악에는 다종다양한 타악기가 다양한 연주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교육현장은 외래 타악기로 넘쳐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의 전통 타악기의 종류를 장르와 범주를 확장하여 살펴보고 연주법의 다양성, 또 생활 속의 타악기 대체물 활용 양상에 대해서 정리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방안을 찾아보았다. 논의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알려진 악기들 이외에도 더 많은 악기가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무구 정도로 치부되어 악기로서 조명받지 못했던 경우, 일반인들이 생활 속에서 활용하던 생활악기 등이다. 이들의 특성상 크기와 음량이 작은 경우들이 많아서 교육용 악기로서 활용한다면 많은 학생들이 일제히 연주하는 상황에는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무엇보다 현재 초등학교의 음악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외래종의 타악기군을 대체할 토종의 악기 개발이 시급하다. 교육용 악기 개발과 보급은 국립기관에서 주도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 본다. 8음과 같은 악기 재료 구분법을 토대로 다양한 음색의 악기를 갖추어주고, 크기를 달리하여 여러 음색과 음고의 악기들을 개발하여 다양한 타악기 합주 음악을 구현해볼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하나의 악기이지만 모양과 크기의 다양성을 띄거나 연주법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사례를 찾아보았다. 특히 채를 다양하게 사용하거나 연주법을 달리함으로써 음색이 달라지고 연주법의 난이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장구와 같은 악기를 예술음악의 활용과 동일한 방식으로만 제한하여 사용했다면, 앞으로 좀 더 다양하게 연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장구의 궁편 만을 북처럼 연주하거나 장구의 통 부분을 연주하여 나무 악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민요의 반주로는 장구보다 북을 더 많이 사용했던 전통을 반영하여 가창 수업에서 북을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그동안 타악기의 활용이 장단교육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양한 음악활동에서 악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악ㆍ가ㆍ무 종합적인 활동들을 만들어가야 한다.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의 각 영역, 나아가 영역통합과 교과 통합 등 다양한 적용 사례들이 있을 수 있다. 타악기는 단소나 소금과 같은 관악기나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보다 훨씬 쉽게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작은 크기의 유율타악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교실용 타악기 개발은 국악교육의 현장을 훨씬 생동감 있고 신명나는 곳으로 만들어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Various percussive instruments are used in diversified manner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at the education field in Korea,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foreign percussive instruments.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d the genres and extensions in th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ve instruments and organized the variety of techniques and aspects of possible replacement for percussive instrument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look for ways to apply them in school education fiel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more instruments were found being used besides the instruments that were already known. They were some instruments which were considered shaman instruments and given little attention, and the everyday instruments that general people used. These instruments, by their nature, are small in size and low in volume which are the features that make them appropriate tools for school education where many students play them together at the same time. W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wareness of academics about the existing percussive instruments in order to look for ways to actively apply percussive instruments. Secondly, some cases were found where there are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one instrument or there are different techniques for an instrument. Especially, using different sticks or techniques is found to change the tone of music and the difficulty of techniques. So far, instruments such as Janggu were constrained to the identical application of art music, which suggests the necessity to play and apply in various manners. Thirdly, there is an imperative need to replace the foreign percussive instruments that are currently used in music class in elementary school. Developing and supplying education instruments should be carried out by national agencies. Various education Korean instruments with appropriate volume and with better sound for classroom use should be developed. Fourthly, percussive instruments were used primarily for rhythm education. However, music with dance should be created in order to use instruments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For example, in folk songs, instrument sounds are used as lyrics a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is used in folk songs. These features should be acknowledged in the application of percussive music in singing activities. In addition, percussive instruments are relatively easy to play and this feature makes them a good tool for creative expression. Lastly, the current aspects of everyday life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well-organized and based on this tradition, various materials and tools should be used for making an instrument. Observing existing instruments and making a new one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y are associated with other subjects such as math, science, and art. Also, using materials that are easy to find should make it possible to relate the class with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course.

      • KCI등재

        조선시대 明器樂器의 시대적 변천 연구

        송지원 한국국악학회 2006 한국음악연구 Vol.39 No.-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의 국장(國葬)시 시신과 함께 광중(壙中)에 부장하는 악기인 명기악기(明器樂 器)의 시대적 변천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에 제작된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와 실 록, 오례서(五禮書)의 기록을 분석하여 오례(五禮) 중의 흉례(凶禮)로서 치러지는 국장의 주요 과정과 함께 명기악기의 종류, 제작 내용과 이동 상황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명기악기는 정조대(正祖代)를 기점으로 종류와 재료 등이 변화한다. 정조대 이전의 명기악기에는 아 악기와 당악기, 향악기가 모두 포함되어 악기의 종류가 31종으로 다양하였으나 정조대 이후 아악기만 을 부장함으로써 11종으로 축소되었다. 또 종(鐘)의 제작 재료도 변화하여 숙종과 그 이전시기 국장의 종은 진흙을 구워 만들었으나 정조대 이후에는 동(銅)으로 제작하여 원 재료에 가깝게 되었다. 경(磬) 또한 진흙으로 제작하던 것에서 자기(磁器)로 제작하는 전통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기악기 는 악기궤(樂器櫃)에 어교(魚膠)로 바닥을 고정시켜 넣어 능(陵)으로 옮긴 후 광중에 부장한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치른 영조의 국장에서부터 아악기 일색의 명기를 부장한 사실은 아악의 부흥을 꾀하고자 했던 정조의 국가전례정비 노력의 상황과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고악(古樂)과 고제 (古制)의 회복을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던 정조의 국가운영 맥락이 왕의 무덤에 부장하던 악기의 종류에서도 확인되는 셈이다. 정조의 즉위와 함께 치러졌던 영조국장시의 명기악기가 아악기로 고정된 전통은 정조 자신의 사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치러지는 모든 국장의 명기악기도 아악기로 고정되 어 이어짐으로써 정조대 이후의 조선 왕실 국장문화의 새로운 전통이 되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supposed to be buried with the dead body in a royal funeral(明器樂器, myeonggi instruments). This paper clarifies the funeral rite, the kinds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the contents of the production, and the conveyance of the instruments, by analyzing Gukjangdogam'uigueo(國葬都監儀軌, a book for national funeral) and silrok(實 錄, True record of Joseon Dynasty), a book of Five Rites五禮書, which were produced in Joseon period. The kind and material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began to change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Before King Jeong-jo's reign,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consisted of 31 kinds including the instruments for court music, the instruments for the Chinese music in Tang dynasty and the instruments of native Korean music. However, in King Jeong-jo's reign, only 11 kinds of the instruments for court music were buried in the funeral. In this period, the material of the bell was changed from mud to copper. Gyeong磬 also began to be made by ceramic, not by mud. These instruments were conveyed to the tomb, being fixed in an instrument box. This kind of change implies the policy of King Jeong-jo, who trie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rites by recovering the old music and the old system and reviving the court music. The way which took only the instruments of court music for burial at the funeral of King Yeong-jo英祖 was taken when King Jeong-jo was dead. It became a new tradition of royal funeral after King Cheong-jo's reign.

      • KCI등재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와 대응의 역사적 전개 양상

        송혜진 한국국악학회 2013 한국음악연구 Vol.54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 왕실의 악기수요와 대응에 대한 역사적 전개양상을 살폈다. 악기는 국가의 제례와 연향의 주요 구성요소였으므로 왕실에서는 이의 구비와 제작, 관리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 수요와 대응 양상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세종조의 악기 제작 및 조선후기의 악기제작 관련 의궤 (『제기악기도감의궤』,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사직악기조성청의궤』) 외에 조선조 왕실악기 수요 및 대응 양상을 전반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악기 제작과 관련된 기사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현전하는 조선 후기의 연향관련 의궤에도 악기의 신제(新製) 및 수보(修補) 내용이 기술되었으므로, 이 내용을 포함하여 시기에 따른 수요의 추이와 이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악기의 수요는 ①국가의 예악의 전반적인 미비(건국초와 임진왜란 직후), ②악기의 노후와 파손․도난․화재 등에 의한 결손(성종․중종․명종․영조․순조), ③신규의례 악기(영조-황단, 정조-경모궁제례, 고종-원구) 및 의례의 주악 전통 복원(숙종조의 담제(禫祭) 후 풍악), ④제작기술 부족으로 음정이 불안정한 경우(세종ㆍ중종ㆍ명종ㆍ영조), ⑤악대 편성에서 누락된 악기의 보충(숙종:敔․塤), 영조-管簫笙琴), ⑥악대 편성에 신규로 편성되는 악기 보충(순조:운라․부구 등, 헌종:笳․洋琴, 고종:특종․특경), ⑦의례용 악기와 습악용 악기의 구비(성종), ⑧전정 의례 악기 전반적 수보(광해군․고종), ⑨계기에 따른 궁중연향의 시행(숙종 이후 고종), ⑩연산군 때에 발생한 연향악기의 이례적인 요구, 등이었다. 이와 같은 수요에 대하여 조선왕실에서는 ①신규제작(세종ㆍ세조ㆍ성종ㆍ중종ㆍ선조ㆍ인조ㆍ광해군, 숙종ㆍ영조ㆍ정조ㆍ순조ㆍ헌종ㆍ고종) ②중국에 자문(중종ㆍ명종ㆍ광해군ㆍ영조) 혹은 수입(태종ㆍ영조), ③증수 및 교정(矯正), 수보(修補)의 방법(세종ㆍ세조ㆍ성종ㆍ중종ㆍ선조ㆍ인조ㆍ광해군, 숙종ㆍ영조ㆍ정조ㆍ순조ㆍ헌종ㆍ고종)으로 충당하였다. 신규제작은 주로 악기도감(樂器都監)ㆍ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ㆍ주종소(鑄鐘所)ㆍ종경청(鐘磬廳)ㆍ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등을 설치하여 진행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악학도감(樂學都監)․장악도감(掌樂都監)․장악원(掌樂院) 등이 주관하거나 공조(工曹)에서 제작하였고, 연향악기는 진연청의 관리 하에 해당 부서의 업무협력으로 충당되었다. 각 시기마다 음률에 밝은 관리 및 공장(工匠)들을 중용하였는데, 세종 때에는 박연ㆍ남급(南伋)ㆍ이천(李蕆)ㆍ장영실(將英實), 중종 때에는 이청(李淸), 정자지(鄭子芝)가, 명종 대에는 조성(趙晟)이, 영조 때에는 이휘진(李彙晉)과 이연덕(李延德), 최천약(崔天若)이, 정조 때에는 장악원 제조 이종호, 김용겸, 판중추 서명응과 서생 서상수 등이 천거된 바 있다. 한편, 시기별 수요와 대응 양상은 크게 4시기로 정리되었다. ①건국 초부터 1431(세종 13)년까지, 왕실악기제작의 기반이 조성된 시기, ②성종에서 명종 때까지, 세종 조에 완비된 악기의 결손을 부분적인 증수로 대응한 시기, ③선조에서 현종 때까지, 전란으로 인해 왕실악기가 전반적으로 미비하게 되었으나 국가 재정 악화로 악기 제작이 총체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하고, 제향 및 연향의 필요에 최소한으로 대응한 시기, ④숙종 이후 조선말, 다양한 수요에 안정적으로 악기를 충당한 시기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rituals and banquets during the Joseon Dynasty. Major sources for this research include the royal protocols (uigwe) for the manufacture of musical instruments and for banquets, and other documents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provision of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historical peri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need in each period and the method employed to meet that demand, either new manufacture, repair, or purchase. The initial period (1392~1431),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to just prior to the reign of King Sejong, saw the active creation of demand with the founding of the new nation. During Taejong’s reign (1400~1418), some ritual musical instruments were imported from China; during King Sejong’s time (1418~1450), however, the foundations of domestic royal instrument manufacture were firmly established through systematic research by scholars, and many instruments were produced to meet the royal demand. The second stage, spanning (1432~1567), was a period for fixing and repairing instruments as needed, following damage or loss. Mostly, it was the fixed-pitch idiophones, like the pyeongjong, pyeongyeong, and saenghwang, that required repair. Even though the Akhakgwebeom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Seongjong and systems for instrument manufacturing were established, in reality, it was a time of reduced and very limited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The Yeonsangun era marked a temporary, if exceptional, increase in the, as a result of the king’s extravagant orders.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Seonjo through Hyeonjong (1567~1674), demand heightened to replace damaged instruments in the wake of the two wars. However, in reality, only ritual and banquet musical instruments were replaced, due to the financial strains on the nation. The fourth stage (Sukjong to Sunjong; 1674~1910), saw the establishment of new rituals and the continuous hosting of royal banquets during the reigns of Sukjong, Yeongjo, Jeongjo, Sunjo, Heonjong and Gojo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musical instruments was steady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instruments had to be produced to replace those lost due to fire. The aspects of supply and demand for Joseon royal instruments were, first, second, newly-developed instrument manufacturing institutions; second maintenance and repair; and third dependence on China.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were requests from China for the importa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o fix the pitches. New manufacturing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sic, replacing losses from fire and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rituals and banquets. Meanwhile, “subo(修補:fixing and repairing)” was the default method of meeting demand.

      • KCI등재

        실물로 전하는 신라의 악기(1)-국내 소장품을 중심으로-

        김성혜 ( Kim Seong-hae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9 No.-

        실물로 전하는 신라시대 악기는 문헌이나 도상자료에서 파악할 수 없는 악기재료나 제작방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음색이나 음정 및 음역 등의 음원 정보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물은 신라음악을 복원하고 재현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료이고, 또한 역사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본고는 신라악기를 복원하고 신라음악을 재현하기 위해서 실물로 전하는 신라악기의 종류와 소장처를 파악하고 각 악기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시도한 글이다. 국내 실물로 전하는 신라악기의 종류는 관악기 1점과 타악기 9점, 이상 총 10점으로 파악된다. 관악기는 당삼채(唐三彩) 훈(壎) 1점이 유일하다. 그리고 타악기의 경우 북 종류가 2점인데, 창녕(昌寧) 화왕산성(火旺山城) 출토 북통 1점 및 하남시(河南市) 이성산성(二聖山城) 출토 요고(腰鼓) 1점이 전한다. 징 종류로는 함통(咸通) 6년명 징 1점과 군위(軍威) 인각사(麟角寺) 징 1점이 있다. 그리고 신라종으로 5점이 있는데, 상원사종(上院寺鐘)과 성덕대왕(聖德大王) 신종(神鐘), 청주(淸州) 운천동(雲天洞) 출토 종 이상 3점은 지금도 타종이 가능한 종이며, 선림원종(禪林院鍾)과 실상사종(實相寺鍾)은 전란 등으로 파손된 상태임을 파악하였다. 당삼채 훈은 고대 사냥이나 군대에서 신호용으로 사용되던 것이 악기로 전용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것은 국내 소장된 신라시대 관악기로서 유일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신라와 당나라 간의 음악문화 교류의 결과물인 점에도 의의가 있다. 이 악기는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향후 정확한 실측과 3D촬영 등으로 유물을 복제하여 음정을 측정하는 작업이 진행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창녕 화왕산성에서 출토된 북통의 목제품은 현재 국립김해박물관(國立金海博物館)에 소장되어 있으며 신라인들의 북 제작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에 유물의 가치가 크다. 이 북은 당시 군대의 신호용으로 혹은 연주 겸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하남시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요고 역시 요고의 출토 사례로서는 유일하기에 역사적 가치가 큰 악기다. 현재 한양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악기 용도로는 신라인들의 노래 반주용 악기로 해석하였다. 신라시대 징으로 865년 함통 6년명 징과 군위 인각사 출토 징이 있다. 이러한 징은 규모 면에서 볼 때 오늘날 무속용 징과 농악용 징의 규모와 유사한 크기다. 2점 모두 당시 사찰에서 예불의식이나 스님들의 단체생활에서 신호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군대에서 정지(停止)와 퇴각(退却)의 신호용 혹은 군악에서 연주용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이 징의 제작방식은 모두 주물식으로 오늘날 징의 제작방식과 차이가 있고, 역사적 변천과정을 보여주는 악기 실물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그리고 신라종 5점이 전하는데, 이러한 종은 규모에 따라 대종과 소종으로 구분되며, 용도는 대종의 경우 야외 종각에 놓여서 여러 대중들에게 사찰의 특별한 행사를 알리거나 예불의식에 사용되었고, 소종은 법당 내부에 두면서 예불의식이나 기타 재(齋)의식 때 타종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5종의 신라종은 고려시대에 송(宋)나라에서 유입된 편종보다 그 역사가 오래된 데 의미가 있고, 신라의 소리를 지금까지도 낼 수 있음에 그 가치가 크다. 특히 상원사종은 현존 신라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종이며, 성덕대왕 신종은 가장 큰 규모의 종이라는 데 유물적 가치가 크다. 신라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 이상의 간극을 가진 나라였기에 국내 현존하는 신라악기 실물은 소량에 불과하다. 비록 소량이지만 악기 실물은 당시 악기 재료나 제작방법의 정보를 담고 있고, 음색이나 음역 등의 음원을 내포하기에 소중하고 가치 있는 유물이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신라음악 신라 악기의 복원 및 재현에 디딤돌이 되길 희망한다. Silla instruments of archaeological remain contain the information on materials for and methods of production of the instruments that could not be found documentary records or drawings. They are highly valued historical materials in restoring Silla music because they can provide such sound sources as timbre, interval and range. The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about the kinds and the whereabouts of the existing instruments and to reveal their historical value and implication in an effort to restore both Silla instruments and Silla music. There are ten Silla instruments of archaeological remain, a piece of pipe instrument and nine pieces of percussions. The only existing pipe instrument is a piece of tangsamch'ae 唐三彩 hun 壎. Among the existing percussions are a piece of yogo 腰鼓 excavated in Isong mountain fortress 二聖山城, Hanam city 河南市 and a drum case in Hwawang mountain fortress 火旺山城 and two pieces of gong, one Hamt'ong 咸通 six-year-myong ching 징 and the other, Kunwi 軍威 In'gak temple 麟角寺 ching. There are five pieces of Silla bell. The three of them, Sangwon temple 上院寺 bell, the King Songdok 聖德王 bell and the one excavated in Unch’ondong 雲天洞, Ch’ongju 淸州 can still be used while the remaining two, Sollimwon 禪林院 bell and Silsangsa 實相寺 temple bell are confirmed damaged. Tangsamch'ae hun, which was originally used for signaling in the army or during hunting, is presumed to have been transformed to a musical instrument. Its significance comes from the fact that it is the only existing Silla pipe instrument. It adds to its significance that it resulted from the music exchange between Silla 新羅 and Tang 唐 Dynasties. It is currently in the property of the National Kyongju 慶州 Museum.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terval of this instrument will be measured if a replication is available made through exact physical measurements and 3D filming technique. The wooden drum case, excavated in Hwawang mountain fortress, Ch'angnyong 昌寧, now belongs to the National Kimhae 金海Museum.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because it has information on the drum production method of Silla. The drum is presumed to have used both for signalling in the army and performance. The yogo from the Isong mountain fortress 二聖山城, Hanam 河南, is histor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only one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t is assumed to have been used for accompaniment for singing. The Hanyang 漢陽 University Museum currently owns it. There are two gongs from the Silla era, one, Hamt'ong 咸通 six-year-myong ching and the other excavated in In'gaksa 麟角寺, Kunwi 軍威, the size of which are similar to that of the gongs used today for shamanistic rituals and farm music. In temples, they must have been used for Buddhist ceremonies and signaling to groups of monks living there. In the army, they may have been used to signal the troops to stop and retreat and as an instrument for military music. The method of produc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oday. They were made in cast. They are significant in terms that they show the change of methods of production in time. There are five pieces of Silla bell that still exist. They are classified into big and small bells according to their size. The big bells were installed outdoors in belfry for Buddhist ceremonies and announcements for special events of temple. The small bells were kept indoors and used for Buddhist ceremonies and rituals. The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older than the bell chimes imported from the Song 宋 Dynasty in the Koryo 高麗 era and that they still keep the sound of Silla. The oldest one is Sangwon temple 上院寺 bell and the biggest, the King Songdok 聖德王 bell. There are only a handful of instruments left from the Silla Dynasty that existed 1000 years ago. However few they are, they are precious and important relics in that they can provide us with information on materials for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that they have source sound of Silla.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stepping-stones to the restoration and representation of Silla music and Silla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