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 지역 木簡 기록 문화의 특정 小考

        강윤옥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29 No.-

        중국으로부터 木簡을 수용한 한국과 일본은 일부는 중국의 木簡형식을 답습하였으나, 일부는 自國의 상황에 맞게 변화시켜 사용하여 왔다. 우선 한반도의 木簡만 보더라도 중국과 일본에 비해 출토된 수는 현저히 적지만 주목해야할 다른 특정을 갖고있다. 즉, 木簡의 제작에 있어 중국의 多面體 木簡 ‘願’ 라는 漢簡형식을 완전히 模做한 것이 존재하는 한편, 木簡의 길이와 제작 형식에 있어서는 독자적인 면이 있다. 또한 韓· 中· 日에서 공통으로 출토된 典籍類 論語 木簡은 習書라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은 한국과 일본의 것과 기재양식·크기·서체면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한반도에서 중국 木簡을 직접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그 수용한 것이 독자적인 스타일로 창출되고, 그 스타일이 일본에 들어갔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있다. Scripting letters on wooden slip for narrative material prevailed east asia area during several centuries around era. These data contains not only practicality and artiness but also abundant cultural elements. Up to now, excavated 3 hundred thousand bamboo slips from China,2 hundred thousand bamboo slips from Japan, and hundreds bamboo slips from Korea have special meaning for investigate cultural advance and exchange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창녕 화왕산성 龍池 출토 木簡과 祭儀

        김재홍(Kim Jae Hong)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4 No.-

        화왕산성 목간을 출토지인 龍池, 목간의 출토상태, 목간의 제작방법, 목간의 형상 등 고고학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이에 목간 1은 呪符(符?)木簡, 목간 2는 男根形木簡, 목간 3은 祭文木簡, 목간 4는 人形木簡으로 성격지을 수 있었다. 특히 목간 1은 3등분 된 나무조각을 맞추어 하나의 목간으로 완성하여(생성) 원래상태를 복원하여 그 내용이 呪術과 관련이 있음(사용)을 밝혔다. 또한 그 폐기과정에도 주목하여 절단하고 항아리에 넣어 폐기하는 방법(폐기)을 복원하였다. 목간 2와 4는 그 형상에 주목하여 목간 2는 男根모양, 목간 4는 여성과 관련있음을 밝혔다. 목간 2·4의 형상과 목간 4에 보이는 ‘龍王’이라는 묵서에 주목하여 목간을 祈雨祭와 관련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목간이 발견된 고고학적인 환경인 龍池는 물과 관련된 곳으로 용왕과 관련된 제의를 지내는 제장이기도 하였다. 목간과 함께 출토된 유물도 그 구체적인 용도를 규명하여 祭物, 제물을 조리하는 도구, 飮茶, 방울 등의 제의도구 등을 목간의 내용과 연결하여 기우제 때에 사용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공반된 유물 중에서 馬具에 주목하였으며, 국내 다른 발굴조사 예와 일본의 기록과 연결하여 제의를 지낼 때에 제물로 사용한 말의 대용품임으로 밝혔다. 이러한 유물은 9세기 중반 이후의 것이 많아 9세기대에 이루어진 제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왕산성 龍池에서 출토된 목간과 공반유물은 기우제를 지내면서 사용한 것이었다. 제의에 사용한 목간 4 인형목간의 형성과 내용에는 符?, 기우제를 지내는 시기(6월 29일), 주체자(眞族), 제의 대상(龍王), 제의 행위(開祭)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기우제 관련 기록이나 민속례를 참조하여 기우제를 지 내는 과정을 복원하였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nature and usage of certain wooden tablet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Hwawang Sanseong fortress vestige, several archaeological details had to be considered before all else, such as the exact location of the place where the artifact had been buried(the Yongji/龍池 pond), the condition of the tablets, fashion of creation, and the overall shape of them. As a result of such examination, tablet NO.1 was labelled as a Shaman tablet(呪符·符?木簡), while tablet No.2 was categorized as a tablet with a shape of a male genital organ(男根形木簡), tablet NO.3 as a funeral oration tablet(祭文木簡), and No.4 as a human-shaped one(人形木簡). Tablet NO.1 was reconstructed with three separately fashioned wooden pieces which seem to have composed the tablet originally, and it seems clear that the contents documented upon the tablet had something to do with incantations or sorcery(呪術). Also, the fashion of dismantling and therefore getting rid of a wooden tablet, first cutting it and then placing it inside a jar,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ablet NO.1. Meanwhile, tablets NO.2 and 4, according to their shapes, are determined as a male penis-shaped one(former) and also an artifact related to the females(latter). With their shapes, and the word ‘Yongwang(龍王/Sea God, Sea King)’ that we can identify from not only tablets NO.2 and 4 but NO.3 as well, we can consider these wooden tablets to have been either used in or related to some specific rituals that were conducted in the people's prayer for rain(祈雨祭). The location where these tablets were excavated, the Yongji pond, obviously had a lot to do with water, and it was also a place th at hosted rituals which were prepared for or related to the Sea king(God). Other artifacts that were excavated alongside the wooden tablets also turned out be sacrificial offerings(祭物), utensils that were used in preparing such offerings, or even tea leaves(飮茶) and bells(mostly as ritual utensils). Considering their nature, and the contents that are documented upon the wooden tablets as well, they indeed seem to have been used in rituals praying for rain. Especially the horse equipments(馬具) should be noted, as in consultation of other excavation reports and also the Japanese examples, it seems that they were used as alternative items for actual horses that were actually used in ancient rituals. As we can see,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Yongji pond of the Hwawang Sanseong vestige, and other artifacts that were found with them as well, were used in rituals praying for rain. Tablet No.4, the human-shaped tablet, reveals(in terms of both shape and contents) the feature of Shaman charms(符?), the time of conducting such rituals(June 29th),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rituals(true blood, 眞族), the object entity of the rituals(龍王), and the actual process of the rituals, including the initiation of the ritual(開祭). Also considering the usual format of folklore rituals meant for rain, and other general remarks made of such rituals on written records, are consulted to reconstruct the actual process of such rituals in this article.

      • KCI등재

        6~7세기 한국 목간을 통해서 본 일본 목간문화의 기원

        이경섭(Lee, Kyoung-sup)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지금까지 한국의 고대 목간은 대략 700여 점 이상이 출토되어 보고되었다. 이 가운데 묵서가 있는 것은 450여 점 정도이며, 신라의 목간이 70% 정도의 분량을 차지한다. 가장 먼저 국가적으로 문자를 사용하였다고 생각되는 고구려의 목간은 아직 출토되지 않았다. 한국 출토 목간은 중국 간독과 일본 목간의 출토 점수에 비하여 매우 적은 수이지만, 고대 동아시아지역의 목간문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서사문화의 측면에서 고대 중국의 간독문화가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졌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 목간과는 시기적으로도 이어지고 있어 직접적인 비교 연구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개별 목간들을 대상으로 단편적으로 진행되었을 뿐, 동아시아지역에서 목간문화가 어떻게 전파되고 변용 • 수용되었는지에 대한 관점은 부족하였다. 고대 중국의 간독문화는 고조선의 멸망 이후 설치된 한사군을 매개로 직접 유입되었다. 그러나 고대 한반도 서북부지역은 식생 환경의 영향과 고대국가가 미성숙한 사회구조의 한계 등으로 죽간의 문화가 현지에서 전개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대 한국의 서사문화는 죽간이 배제된 목간의 문화가 채택되어 한국적인 변용의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성장과 함께 목간문화는 해당 국가의 역사적 경험과 상황에 맞게 전개되었다. 문자문화의 경우 중국의 왕조나 군현세력과의 교류와 대립의 과정 속에서 고구려와 백제가 먼저 발전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한국의 목간문화는 이미 4세기 무렵에는 국가 내부적으로 어느 정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알려지고 있는 목간은 6세기부터 8세기의 목간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고대 일본의 목간은 지금까지 40여 만 점 정도가 알려지고 있는데, 가장 오래된 목간의 연대는 640년대 무렵의 목간들이다. 이후 소수의 목간들이 발견되다가 天武천황(672~686)대인 飛鳥淨御原宮 시대를 경과하면서 목간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701년 大寶令의 제정과 시행을 전후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수의 목간이 출토하고 있다. 먼저 고대 일본에서 죽간이 사용되지 않았던 것은 고대 한국의 목간문화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초기 일본 목간의 특징은 비록 한정된 출토유적에서 적은 수의 목간들이 출토하지만, 그 목간의 종류는 문서목간과 꼬리표 목간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확인된다. 반면에 기재내용이나 서식에 있어서는 정형화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양상은 초기 일본의 목간문화가 어느 정도 완성된 형태로 유입되어 한정된 사회 국면에서 전개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곧 고대 한국과의 교류 속에서 유입되었다고 해석해도 좋다. 특히 고대 일본의 문자문화와 관련된 전승을 통하여 볼 때 백제계 도래인집단의 역할이 크게 주목되는데, 현재 알려지고 있는 목간의 형태나 기재내용 등에서 7세기 이후 백제목간의 영향이 7세기 전반 이후의 일본 목간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The narrative culture of ancient East Asia originated in the bamboo and wooden documents culture of China, which started to be introduced in the northwest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via the Four Commanderies by Han after the collapse of Gojoseon and underwent transformation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regions and natio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ncient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In ancient Korea, character culture first developed in Goguryeo and Baekje that had confrontations against and exchanges with the Chinese dynasties in high frequency. The character culture based on wooden documents developed in each nation since the fourth century with wooden documents used broadly in Unified Shilla. Most of Korean wooden documents that are currently known were made in the sixth to eighth century, and they are compared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most of which were made in the seventh and eighth century, for similarities across various asp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arly wooden documents of ancient Jap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oden documents in the sixth and seventh century. The origin of Japanese wooden documents culture is estimated to have begun with the direct introduction of ancient Korea’s wooden documents culture that had reached certain level of completion. As Japan had close exchanges with Baekje, it seems that Baekje’s character culture and further wooden documents culture had the biggest influences on Japan’s wooden documents culture.

      • KCI등재후보

        부여 구아리 319 유적 출토 편지목간의 이해

        심상육(Shim, Sang-yuk),김영문(Kim, Young-moon)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5

        백제 후기 사비도성지인 부여의 시가지 유적(부여 구아리 319 유적)에서 2010년에 수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다. 그중 422번 목간은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시대 목간 중 최초로 확인된 서간문이며, 그 내용은 “보내주신 편지를 받자오니, 삼가 과분하옵니다. 이 곳에 있는 이 몸은 빈궁하여 하나도 가진 게 없어서 벼슬도 얻지 못하고 있나이다. 좋고 나쁨에 대해서 화는 내지 말아 주옵소서, 음덕을 입은 후 영원히 잊지 않겠나이다”이다. 즉, 가난한 선비로 추정되는 자가 벼슬을 청탁하기 위해 신분이 높은 고관에게 보낸 편지로 이해된다. 이를 통하여 당시 관리 추천 제도의 이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글의 구성은 목간이 출토된 유적과 함께 출토된 목간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422번 목간의 글자 판독과 표점, 번역을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목간이 ‘인사말-자신의 처지와 청탁 목적에 대한 축약된 표현-양해의 말과 마무리 인사’로 이루어진 서간문임을 밝히고 목간의 필자와 당시 관리 추천제도의 이면을 살펴보았다. In 2010 numerous wooden tablets were excavated from an inner-city site (Gua-ri 319 Site, Buyeo) of the ancient capital city Sabi of the Baekje Kingdom. Amongst these wooden tablet No. 422 is the first wooden tablet letter to be confirmed from the Baekje period. The letter reads “It is an undeserved honor to behold the letter that you have sent. As I stay here in this place I am destitute without any means to obtain an official post. Please do not trouble yourself with good or bad, I will never forget your virtuous help.” It appears to be a letter of request sent by a poor scholar to a high level official asking for an official post. The tablet vividly portrays the realities of recommendation system for official posts during the times of Baekje.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both the site and the wooden tablet from where it was excavated, and deciphers and translates the characters written on wooden tablet No. 422. Through the translation it proves that the tablet was a letter filled with contents forming ‘greeting - stating the writer’s situation and objective of writing - apologies and farewell’. It also studies the realities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official posts and possible conjectures on the author of the tablet.

      • KCI등재

        木簡硏究 現場에서의 2가지 試圖

        馬場基,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1 목간과 문자 Vol.8 No.-

        일본에서 출토문자자료연구의 최신사정ㆍ최첨단 성과에 관한 2개의 화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화제는 디지털기술과 목간연구에 관한 것이다. 나라문화재연구소(이하 奈文硏으로 약칭)에 서는 과학연구비보조금의 지원을 받아 적극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업무의 효율화와 데이터베이스郡의 구축화 공개로 더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선 출토된 방대한 削屑을 디지털 사진을 축으로 한 アノテ?ションツ?ル(Annotation Tool)에 의해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다음으로 木簡 畵像 DBㆍ木簡字典을 기초로 해서 개발된DB郡의 소개, 東京大學 使料編纂所와의 제휴 등으로 DB개발에 의해 가능하게 된 공동연구의 사례, 또 이러한 성과를 활용한 디지털 처리된 연구사례로서 목간 위의 어떤 부분에 어떤 의미 있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것이 많은데, 그렇다고 할 때 기재된 표기 패턴 추출과 관련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두 번째 화제는 목간을 어떠한 관점에서 다루어 연구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것이다. 이번에 제시 하고 싶은 것은 「목간의 작법론」 이라고 하는 시점ㆍ사고방식이다. 「목간의 작법론」은 「목간은 사람이 사용했던 도구」라고 하는 것에서 「사람」과 목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목간이 도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작성자와 수신측, 혹은 사회전체에 다양한 공통이해와 규칙이 필요했을 것이다. 「목간의 작법론」 은 이러한 사고방식에서 구체적인 場面에 따라 목간을 분석하여 목간의 사회적 존재상황, 그러한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의 의의, 목간문화를 생각해 목간의 자료적 특성을 파악하고, 또 목간이 지니고 있는 역사정보를 보다 깊숙이 끌어내어 입체적인 사회양상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몇 개의 사례 소개도 섞어가며 이 견해를 소개하고 싶다. 「목간의 작법론」 은 최신연구 상황이라기보다 보고자의 개인적 최신고찰에 속한다.

      • KCI등재

        고대 목간의 형태 재분류와 고려 목간과의 비교

        한정훈(Han, Jeong-hun)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본 논문은 고대 목간과 고려 하찰목간의 형태 비교를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한 전제 작업으로 고대 목간의 형태를 분류하던 중 선행 연구에서 구멍형 목간을 소홀히 다루었음을 알게 되었다. 고대 목간의 형태와 용도를 대략적으로 검토한 결과, 백제 목간을 중심으로 삼국시대에는 구멍형 목간이 荷札 뿐 아니라 편철용 문서목간, 신분증표용 목간, 주술용 목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장방형과 홈형 그리고 일정한 기능을 부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뾰족한 형상[尖形]과 더불어 구멍형도 고대 목간 형태의 분류체계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양자의 형태 비교에서 손쉽게 확인된 내용은 고대 목간에서 다면형이나 원주형 목간이 어렵지 않게 확인되는데 반해, 고려시대 목간은 기본적으로 두께가 얇은 板材形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고려시대 목간이 荷札이기 때문에 짐 꼬리표로서 부피가 작고 두께가 얇은 장방형이 부착하기에 편리하였기 때문이다. 더불어 고대 목간에서 여러 형태가 확인되는 것은 목간이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해, 통일신라를 거치면서 목간의 용도가 축소됨에 따라 고려시대에는 그 형태도 단순화된 것이다. 뒤이어 동일한 용도의 하찰목간인 성산산성의 것과 고려시대 목간의 형태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 · 중세를 막론하고 좌우 양쪽에 홈을 낸 목간이 하찰목간의 전형이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홈형 목간의 비율이 고려시대에 더욱 높아진 것은 하찰목간 형태의 정형화나 규격화가 보다 진전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려시대는 짐에 부착하기 위한 가공 부위로서 홈이 보편화되면서 荷札목간에서조차 구멍이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compare forms of ancient wooden tablet and Goryeo Hachal(荷札) wooden tablet. At first, forms and uses of ancient Kokgans are reviewed to find that the hole-type of wooden tablet was variously used in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erefore, rectangular, groove and sharp shapes as well as hole-type are also suggested to be included in the class of ancient forms of wooden tablet. In addition, different from ancient one, the use of wooden tablet in Goryeo period was limited to the parcel note[Hachal], so its forms also tended to be simplified. On the other hand, the Seongsan-Sanseong wooden tablet, a representative Hachal wooden tablet was compared with that in Goryeo period. It is found that the wooden table with left and right side grooved was a typical Hachal wooden tablet during both the ancient and the middle age, indicating that an increase in ratio of hole-type of wooden tablet in Goryeo period means the developments in standardization or normalization of forms of the Hachal wooden tablet. As the groove was generalized as a cutting part to which a parcel was attached in Goryeo period, the hole-type of wooden tablet almost disappeared even in the Harchal.

      • KCI등재

        한국 고대 목간의 기록과 서체

        손환일(SON, Hwan-Il)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7

        목간(木簡)은 생활기록과 행정문서들이 대부분이다. 생활기록은 내용이나 기록양식에 있어서 기념기록인 금석문과 달리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기록문 화는 서체학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역사, 국어사, 서지학(문헌학) 등의 종합적인 연구자료를 제공한다. 목간 기록의 분류는 기록방법과 기록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록방법은 표제, 편철, 도각, 낙인, 패찰 등의 기록방법이 있고, 기록내용은 논어, 게송, 기원, 증표, 습자, 재가, 수위, 처방, 인사추천, 서찰, 청원, 부기, 기사, 시가, 구구단, 보고서 등의 내용을 기록한 목간이다. 묵서인 고대목간의 자형은 예서나 팔분에서 해서로 발달하는 과정에 있다. 행정 관료에 의한 행정기록들에는 경생(經生)들에 의한 사경서법(寫經書法) 의 영향도 있고, 독자적인 서법의 경향도 있다. 목간을 통하여 이러한 독특한 서법들을 발견할 수 있다. 목간의 연구가 금석문의 연구와 다른 점이 바로 이런 점에 있다. 한국 고대 해서법은 6세기 생활기록인 행서나 초서를 먼저 선호 하여 사용된 후 해서의 필법이 갖추어졌다. 이 시기가 해서의 기본 필법이 갖추어지는 시기이다. Most of wooden tablets were used for recording everyday life and for administrative purpose. Unlike an epigraph, the records of daily life were various in the contents and the form. A variety of recording culture have been providing the comprehensive research materials in a variety of fields: calligraphy, Korean language history, bibliography and so on. Wooden tablets are classified into a recording method and a content. The recording methods are as in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with : title, filing, carving, branding, labelling and etc. The contents recorded were as in the following : the Analects of Confucius, a praise for Buddha, praying, a certificate, a calligraphy, an approval, a prescription, a letter, an article, a poem, a multiplication table, a report and etc. The shape of character written in the ink in ancient wooden tablets was in the process from ”clerical script” and ”neo-clerical script” to ”regular script”.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written by the officers were influenced by the transcription method of Buddhist scriptures(of young students) and a unique calligraphy method. These special calligraphies were found through studying the wooden tablets. It is clear that chronological calligraphy research brightens the prospects to study the calligraphy, finding trace of ink stick in the wooden tablets. That’s why the study of wooden tablets is different from of an epigraph. In ancient Korea, people had preferred and used “semi-cursive script” and “cursive script” in calligraphy, the “regular script” were used after that. In this period, the basic writing method of “regular script” were set.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과 출토 목간의 연대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2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ongsan Sanseong mountain fortress located in the Haman region and mountain fortresses [山城] from the same Shilla era in other regions could be found in the former’s geographic features in terms of its East Gate [東門] and the East Side Wall [東城壁]. The East Side Wall is composed of the Main Wall [Che-seongbyeok, 體城壁] and the Inner Supplementary Wall [Naebyeok Bochuk, 內壁補築], with another layer [Bu’yeob-cheung, 浮葉層] installed to support the overall structure. Whether or not the Main Wall and the Inner Supplementary Wall (with the Bu’yeob-cheung layer as well) were creat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or in different time periods has been an issue debated for quite some time. Some of the relics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latter are from the early 7th century, so the latter wall may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at very time period. But the former, which features a self-sufficient structure, reveals some earthenware that may be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This leads us to speculate that the Seongsan Sanseong mountain fortress was first constructed i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n went through some renovation (or additional construction) in the early 7th. There are also two types of wooden strips excavated from this fortress, identified so based on descriptions of the times they were created. Due to the fashion of indicating months like ‘◯月中,’ some strips could be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back in the mid-6th century, and the third quarter of that century to be exact. Judging from their contents, the wooden strips of this kind seem to have been official documents, which would have most likely recorded the number and nature of personnel mobilized for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or its management after construction was completed. Meanwhile, there are also other wooden strips whose issue dates are specified with Ganji(干支) years, such as the “Imja year(壬子年, 592)” example. Considering their contents and fashion, these seem like Hachal strips [荷札木簡] which would have been essentially cargo tags for items transported for the fortress’ construction. They seem to have been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Local units indicated on these Hachal wooden strips excavated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are recorded in the order of (Gun, 郡) - Chon[村] - ◯Na[◯那, natural villages named with their directions: east, west, south and north]. Counties[Chon] were the basic unit, with villages inside them indicated with their relative positions. Also recorded on the Myeong’hwal Sanseong Monument (erected in 551) was the concept of “Do[徒]” as a unit of peopl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hon counties. Featuring this kind of concept seems as a result of the underdeveloped nature of natural villages with directional names, so the Seongsan Sanseong strips should have been from an era later than 551. As the [Gun/郡]-Chon(村) relationship was vividly described on the Seongsan Sanseong wooden strips, their counterparts are also visible on the Namsan Shinseong Monument, so one may assume that both relics were from relatively close periods, which would be the four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함안 성산산성이 다른 신라 산성과 다른 점은 동문과 동성벽 주위의 고고환경이다. 동성벽은 體城壁과 內壁補築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浮葉層을 조성하였다. 논쟁의 핵심은 체성벽과 내벽 보축(부엽층)을 동시에 축성하였느냐, 아니면 다른 시기에 축성하였느냐이다. 내벽 보축과 부엽층에서 출토된 유물은 7세기 전반의 것도 있는 것으로 보아 내벽 보축과 부엽층은 7세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체성벽은 그 자체 완결된 성벽 형태이나 내벽 보축 속의 토기로 보아 6세기 3/4분기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성산산성은 6세기 후반에 初築되었으나 이후 7세기 전반에 보축하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보인다. 목간의 사용 연대도 2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연대표기상 ‘◯月中’과 같이 어미로 中을 사용하는 경우로 6세기 중반까지 예가 나타나므로 6세기 3/4분기로 비정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내용으로 보아 문서목간으로 추정되며, 성산산성을 초축할 때 동원된 인원의 관리나 산성의 운영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하나는 ‘壬子年(592년)’과 같이 구체적인 간지를 기록한 경우로서, 임자년은 592년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그 내용과 형태로 보아 하찰 목간으로 보이며, 성산산성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운반된 화물의 꼬리표로 추정된다. 임자년명 목간을 포함하여 하찰 목간은 6세기 4/4분기의 연대를 상정할 수 있다. 성산산성 출토 하찰 목간에 보이는 지역단위는 (郡)-村-◯那(방위명 자연취락) 등의 순서로 기입되어 있다. 촌을 기본 단위로 자연취락을 방위명으로 표시하고 있다. 551년에 만든 명활산성비에는 촌 단위 아래에 지역명보다는 촌락의 사람을 편제한 단위인 徒가 사용되고 있다. 아직 방위명 자연취락 단위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 추정되므로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는 551년보다 뒷시기의 것으로 보인다. 성산산성 목간에서 (군)-촌 단위가 잘 보이는 것과 같이 남산신성비에도 郡-村의 단위성이 보이므로 근접한 시기의 지역단위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내용상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나 6세기 4/4분기의 촌락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한국 출토 목간의 분류와 정리 및 표준화 방안

        이재환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3

        Since studies on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South Korea have been advanced, issues regarding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were raised in terms of organizing and categorizing wooden documents. However, they were still individual proposals, so it was not possible to draw conclusions by exchanging opinions constructively.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wooden document’ is not fully agreed on yet. Even the quantity of wooden documents in South Korea can vary widel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past, wooden document was often defined based on the purpose or form of it. But figuring out the creator’s intent or guessing its purpose without text can be arbitrary. Therefore, I propose to define wooden document as “wooden item on which text has written” and to add a provisory clause such as “except one made for printing and stamping”. The number that identifies each wooden document is the name of it. Making easy to identify and search, that is why numbering fundamentally. Therefore, we should not give the same name to different wooden documents, and should not give several names to one wooden document. So far, it has been very confusing to identify wooden documents in Korea, for one wooden document has more than three names. The most basic direction is to follow the number in the excavation report, but it is not possible practically because a lot of research are carried out on excavated wooden documents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excavation report. As a general rule, it should be recommended to use the number assigned at the initial disclosure in all subsequent studies, catalogs, reports, etc. Nevertheless, the manner to display the assigned numbers may also vary. It can lead to confusion in search in the futur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s must list all the numbers and titles used for wooden documents so far, and specify the standard notation in the journal each year.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should also be established by the society. And categorization criteria are not uniformed yet, so they vary from researcher to researcher. I proposed a code system by appearance for wooden documents in this paper. More important than proposing a criterion or method is the further discussion and conclusio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s could be the center for those discussions. Through the process of ‘consensus’ and ‘accreditation’, standardized results would be produced soon, I hope. 한국 목간의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그 정리나 분류에 있어서 ‘표준화’나 ‘체계화’에 대한 문제 제기도 나오고 있지만, 아직 본격적인 의견 교환 및 결론 도출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우선 ‘목간’의 정의조차 충분히 합의되지 못한 상태로서, 정의에 따라 한국 출토 목간의 수량 파악 자체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제작 의도나 형태에 기반하여 목간을 정의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 의도 파악이나 묵서가 없는 목제품의 성격 추정에 있어서 자의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文子가 書寫된 木製品’으로 정의하고 ‘捺印·印出을 위한 것은 제외한다’ 등의 단서를 부가할 것을 제안한다. 각 목간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일련번호는 그들의 이름에 해당하는데,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근본적 의의는 식별과 검색의 용이성이라는 측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하나의 이름이 여러 개의 목간에 부여되거나, 하나의 목간에 여러 개의 이름이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한국의 목간 정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하나의 목간에 여러 개의 이름을 붙여 버렸다는 점이다. 가장 기본적인 방향성은 발굴보고서의 일련번호를 따르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발굴보고서가 발간되기 이전에 이미 해당 유적 출토 목간에 대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발표되므로, 발굴보고서 이전 단계의 일련번호가 사용되지 않을 수 없다. 발굴기관에서 목간을 최초 공개·보고할 때 부여한 번호를 원칙적으로 이후의 모든 연구서와 도록·보고서 등에서 가능한 한 바꾸지 않고 사용할 것을 권고해야 하겠다. 일련번호가 하나로 확정되어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향후 검색에 있어서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한국목간학회에서 지금까지 공개된 목간들의 호칭들을 정리하고, 표준 표기 방식을 지정하는 표를 학회지에 만들어 싣는 것이 좋겠다. 아울러 한국목간학회의 판독문 범례 및 용어 표준화안 또한 확정될 필요가 있다. 비슷한 유형의 목간을 모을 분류 기준 또한 연구자 별로 각자의 기준을 제시해 둔 정도의 상태이다. 특히 통일이 필요해 보이는 부분은 형태에 따른 분류 방법이다. 日本의 형식 분류를 참조하고, 한국 출토 목간의 특징을 고려한 외형 코드 및 상·하단 형태 코드를 만들어 보았다. 기준이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이후 논의의 진행이다. 한국에서 그러한 논의의 주체는 역시 한국목간학회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어떤 식으로든 ‘합의’와 ‘공인’의 절차를 거쳐, 빠른 시일 내에 많은 연구자들이 따를 만한 표준화의 결과물이 만들어져 나오기를 희망해 본다.

      • KCI등재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市大樹(Ichi Hiroki),오택현(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2

        본고는 일본의 7세기 목간을 여러 차례 살펴본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성산산성 출토 荷札木簡, 월성 해자 출토 前白木簡에 대해 약간의 문제 제기를 시도해 본 글이다. Ⅱ장에서는 성산산성 출토 荷札木簡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목간의 연대를 문제 삼았다. 이제까지 신라 外位의 표기 등을 주된 근거로 삼아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를 6세기 중엽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목간의 표기에는 정도의 폭이 있다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지적했다. 최근 출토된 「壬午年」 목간은 592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다른 목간의 연대도 6세기 말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2절에서는 성산산성 荷札의 서식을 살펴보았는데, 「地名+人名+物品名」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형식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면 이러한 서식은 오래 전부터 사용된 특징이 아닐까 생각된다. 3절에서는 수량이 많은 仇利伐의 荷札木簡을 살펴보았다. 특히 「人名A+奴(人)+人名B+負」의 표기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奴(人)」는 從者 정도의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천민 신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 「負」는 「荷物」을 의미하는 명사가 아니라 「負担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라고 생각된다. 이것과 관련해 「発」도 「発送하다」의 의미인 동사로 보인다. 4절에서는 조금 특수한 사례로서 「◯城下」의 荷札木簡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타입은 「◯城下」의 真下에서 물품명이 기재되었다는 점이 특이하고, 품목과 麦 · 米로 少数派인 것을 확인했다. 또 「◯城下」가 州·郡 중 어디인지를 생각했을 때, 郡에 가깝다고 결론 내렸다. Ⅲ장에서는 월성 해자 출토 前白木簡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大烏知郎」으로 시작되는 4면 묵서 목간을 살펴보면서 일본의 前白木簡과의 공동점이 많다고 소개하였다. 그 후 중국 漢簡과의 비교를 시도한 김병준의 견해에 대해서도 약간의 의견을 덧붙였다. 2절에서는 2017년에 공개된 월성 해자 출토 前白木簡 3점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그 서식에 주목하면서 검토를 진행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한국의 前白木簡과 달리 3점 모두 날짜가 적혀 있지 않으며, 2점은 첫머리에 행선지(상신처)가 기록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것들은 일본에서 출토된 대부분의 前白木簡과 공통된다. 또 이 3점을 포함해 한국의 前白木簡을 살펴보면 행선지가 地位 · 尊称 · 官職으로 기록되는 것, 差出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일본과도 공통되는 부분이다. 일본의 前白木簡의 직접적인 기원이 조선반도에 있었다고 하는 추론은 이미 제기되었지만, 보다 명료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Based on Japan’s experiences in the 7th century, this thesis attempts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荷札木簡, which was excavated from Seongsan Fortress(城山山城), and 前白木簡, which was excavated at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月城垓字) in Gyeongju. In Chapter II looked at the excavated at Seongsan Fortress(城山山城) wooden tablets on tag attached to the luggage(荷札木簡). The first verse took issue with the wooden solidarity. In the second verse, we looked at the wooden documents standard form of Seongsan Fortress(城山山城). In section 3, we looked at the high volume of Guribeol(仇利伐). In section 4, we looked at 「◯城下」 of wooden tablets on tag attached to the luggage(荷札木簡) as a rather special example. Chapter III looked excavated at the moat of the Wolseong palace(月城垓字). The first verse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joint points with Japanese wooden docunents to compare in korea wooden documents. In the second verse, we looked at three pieces of the Wolseong moat(月城垓字), which were released in 2017. The reasoning that the direct origin of Japan’s wooden documents of front writing ‘前’(前白木簡) was found in the ancient korea has already been raised, but is appearing in a clearer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