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영ㆍ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

        고영진 ( Koh Young-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시기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졌는데 이 글은 영·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를 두 시기로 나누어 16-17세기 전반의 시기는 지방관 역임과 유배, 교제와 서신 등을 중심으로, 17세기 중반 이후의 시기는 서원과 예송, 서적과 학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6-17세기 전반 시기 지방관 역임을 통한 교류는 김종직과 노진, 김성일 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유배를 통한 교류는 김굉필과 노수신, 교제·서신을 통한 교류는 이현보와 이황, 박영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 영남과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김종직·김굉필·이황 등의 영남사림과 김인후·이항·기대승·유희춘 등 호남사림과의 활발한 학문·사상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16세기에는 학파와 당파를 초월해 폭넓게 이루어졌다. 또한 17세기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조선사회는 서로 다른 붕당끼리 혼인도 자유스럽게 하고 학문 교류도 활발히 하였는데 이는 성리학과 예학을 비롯한 학문·사상의 수준을 높이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 서인·노론으로의 권력 집중과 붕당 간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영·호남의 교류도 점점 그 폭이 좁혀져갔다. 그리하여 주로 영남남인과 남인계 호남사림(호남남인) 간에 교류가 이루어졌는데 서원과 예송, 서적·학파 등을 통한 교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서원을 매개로 한 교류는 경현서원과 미천서원, 자산서원 등의 경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예송에서도 남인계 호남사림과 영남남인은 예학적 입장을 같이 하며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또한 서적과 학파를 통한 교류는 『반계수록』을 둘러싼 유형원·배상유·이현일·최흥원 등의 교류와 영향, 기정진학파의 문인집단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유형원은 학문적으로 배상유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반계수록』은 이현일과 최흥원 등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17세기 중반 이후 독자적인 학파를 형성하지 못한 호남사림이 다시 학파로 결집되는 것은 한말 기정진에 가서였는데 기정진학파는 16세기 호남사림의 인맥과 학맥이 다시 결집되는 양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영남지역의 학자들도 대거 문인을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은 학문·사상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교류·제휴하면서 중기에는 사림의 시대를 열고 성리학을 심화·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며 후기에는 서인·노론의 권력 집중화에 반대하고 한말에는 위정척사사상을 내세우며 제국주의의 침략에 저항하는데 함께 하였던 것이다. There are vari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looks into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focusing on the work of local official, exile, friendship and letter during th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and also focusing on Seowon and Yesong(Ritual disputes), book and schoo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First, I look into the exchanges of local official work by Kim Jong-jik and No Jin, Kim Seong-il. Second, I look into the exchange of exile by Kim Goeing-pil, No Soo-shin, and the exchanges of friendship and letter by Yi Hyeon-bo, Yi Hwang, Park Young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In those days Neo-Confucianism developed diversely and reached highest level. This owes to vigor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sarim like Kim Jong-jik, Kim Goeing-pil, Yi Hwang and Honam sarim like Kim In-hoo, Yi Hang, Ki Dae-seung, Yoo Hwi-choon. The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s made widely beyond the school and faction. Even until the 17th century the people married opposite faction without reserve, and had vigorous scolastic exchange. This largely contributed to raise the level of learning and thoughts as Neo-Confuciansm and Yahak(Ritual thoughts). But as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Seoin Noron and the conflict of factions were intensified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the width of the exchange came to be narrowed. Therefore mostly exchanges between Youngnam namin and Honam namin were made by Seowon and Yesong, book and school. First, the exchanges through Seowon could be looked into by Kyeonghyeon seowon and Micheon seowon, Jasan seowon. Honam namin and Youngnam namin had a effect academically each other in Yesong too. In the case of book and school there were exchanges and effects of Yoo Hyeong-won and Bae Sang-yoo, Yi Hyeong-il, Choi Heung-won, and the members of Ki Jeong-jin School. Yoo Hyeong-won had a effect with Bae Sang-yoo academically and 『Bangyesurok』 affect on Yi Hyeon-il and Choe Heung-won. Honam sarim which had no independent school was concentrated into Ki Jeong-jin School in the middle 19th century. Ki Jeong-jin School shows that personal connections and academic line of Honam sarim in the 16th century were concentrated and also scholars in Youngnam region participated in Ki Jeong-Jin School. Like this Youngnam and Honam scholars have scolastic and intellctual, polical exchanges. They opened the period of Sarim and contributed to develop the Neo-Confucianism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also opposed the concentration of power of Seoin Noron in the late Joseon and resisted the invasion of the imperialism together.

      •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

        고영진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이 글은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를 16세기 사림문화 융성기에 영남과 호남사림의 학문 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본 것이다. 호남사림은 조선 건국과 세조의 쿠데타, 연산군의 사화 등의 정치적 변동을 계기로 형성 되었는데 중종대 이후 본격적으로 흥기하였다. 당시 호남사림의 인맥은 크게 김굉필, 최부, 송흠, 박상, 이항, 김안국계열 등 여섯 계열로 나눌 수 있으며 명종대 서경덕과 이황·조식학파가 형성되면서 호남사림도 그 영향을 받거나 대응하면서 성장하였다 따라서 인맥에 학맥을 더하여 고려한다면 크게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로 나눌 수 있다. 이황과 호남의 학문적 교류는 이미 이황 이전부터 지방관 역임, 유배, 교제·서신 등 다양한 형태로 있어 왔으며 호남 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인물은 김종직과 김굉필이었다. 김종직은 지방관으로 와서, 김굉필은 귀양 와서 호남사림과 관계를 맺으면서 학문적인 영향을 미쳐 적지 않은 문인들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 두 사람 외에 호남성리학의 형성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며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인물이 이황이었다. 그는 기대승, 송순, 유희춘 등과 학문적 교류와 논쟁을 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확립해 나갔으며 이는 호남 사림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아울러 그는 송순의 면앙정시단에 참여하는 등 문학적 교류도 활발히 하였다. 이황이 호남사림들과 학문교류를 활발히 하는 동안 그 문하에 들어간 문인이 되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황의 문인으로는 보성의 박광전, 장흥의 문위세, 무장의 변성온·변성진, 해남의 윤강중·윤흠중·윤단중, 창평의 양자징, 순천의 김윤명, 화순의 조대중 등이 있다. 이들을 인맥으로 정리해보면 주로 김굉필계열과 최부계열, 특히 유희춘, 김인후와 연관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호남의 이황 문인들은 이황이 학문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한 유희춘과 김인후를 매개로 하여 이황의 문인이 되었으며 뒤에 학파와 정파가 분기되면서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었다. 이들의 학문은 초기에는 이단에 엄격하고 주자에 충실한 모습을 띠어 이황의 학문적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 김인후와 관련한 문인들은 정치적으로 서인이 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관계가 점차 옅어져가고 유희춘과 관련한 문인들은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유사성을 계속 유지하지 않았나 여겨진다. 어쨌든 16세기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는데 이는 이황을 비롯한 영남사림과의 학문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호남에서의 이황문인들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걸쳐 호남의 성리학이 분화·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spread of Yi Hwang academic stream to Honam in view of study exchange between Youngnam and Honam area in the 16th century, when Sarim culture was in full flourish. Honam Sarim was formed with political fluctuations such as Chosun establishment, King Sejo's coup de′tat, and massacres of scholars by Yeonsangun, and was developed in earnest after King Jung-jong age. At that time, personal connection of Honam Sarim was classified into six parties of Kim Gwengpil, Choi Bo, Song Heum, Park Sang, Yi Hang, Kim Ahn-kook. While S대 Gyeong-duk, Yi Hwang, Cho Sik academic schools were formed in King Myeongjong age, Honam Sarim Was affected and grew up corresponding to them. Therefore, considering personal and academic connections, the part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ies;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in large. Academic exchange between Yi Hwang and Honam had already existed in various forms by consecutive entitlement of local officers, banishment, friendship and letter and representative persons who affected the formation of Honam Confucianism were Kim Jong-jik and Kim Gweng-pil. Kim, Jong-jik, who came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Kim, Gweng-pil, who came for banishment, had a relationship with Honam Sarim and affected academy, producing not too few disciples. Besides these two men, it was Yi Hwang who affected formation of Honams metaphysics and had a close relation ship with each other. He established his own theory through discussion and academic exchange with Gi Dae-seng, Song Soon, Yoo Hee-chun, and so did Honam Sarim. In addition, he exchanged culture actively such as participating at Song Soon's Myeon-ang-jeong literary organization. While Yi Hwang was exchanging academy actively with Honam Sarim, some people became disciples under his studies. Yi's disciples were Park, Gwang-jeon from Bosung, Moon Wee-se from Jang-jeung, Byeon Sung-on and Byeon Sung-jin from Moo-jang, Yoon Gang-jung, Yoon Heum-jung, and Yoon, Dan-jung from Haenam, Yang Ja-jing from Chang-pyeong, Kim Yoon-myeong from Soon-cheon, and Jo Dae-jung from Hwa-soon. Classified by personal connection, they are mainly connected with Kim Gweng-pil party and Choi Bo party. Especially they had lots of connection with Yoo Hee-chun and Kim In-hoo. In conclusion, Yi's disciples in Honam became his disciples through the medium of Yoo Hee-chun and Kim In-hoo who had exchanged academy actively with Yi Hwang. They were divided again into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and East men and West men as the academy party was divided into academy party and political party later. Initially, their academy was not so different from Yi Hwangs academic characteristic since it was strict to heresies and faithful to Juja. As it went to later ages, however, it's considered that disciples related to Kim In-hoo had lightened their academic relationship with Yi, Hwang as they became West men politically, but disciples related with Yoo Hee-chun kept academic similarity with Yi while they were acting as East men Anyway, it can be said that Honam metaphysics was developed in various manners and was the best in its theory at that age due to the academic exchange with Youngnam Sarim including Yi Hwang. Besides, Yi's disciples in Honam area played a mediation role when Honam metaphysics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from the late 16th to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

        디지털 지도를 활용한 ICT융합 연구방법 : 지중해 문명교류의 르네상스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강지훈(Kang Jihoon),김정하(Kim Jung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4차 산업혁명을 대변하는 키워드는 ‘융합’이다. 학문 분야에서도 융합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정보기술을 학문 연구의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학문형ICT융합’, 즉 학문 분야에서의 ICT융합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기존의 ‘학문형ICT융합’ 연구 방법에 대한 한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형ICT융합’ 연구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학문형ICT융합’ 연구의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본 글에서 수행한 연구사례는 다음과 같다. 인문사회과학의 한 분과인 지역학 분야에서는 연구의 효율성과 연구 결과의 효과적인 표출(시각화) 및 확산을 위해 ‘디지털 지도’를 활용하는 연구방법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역 연구의 기반이 되는 지식이 지리정보이며 이러한 지식을 함축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는데 가장 적합한 인터페이스가 지도이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지역학 분야의 핵심 콘텐츠로 평가되는 디지털 지도를 배경으로 ‘학문형ICT융합’ 연구 방법론에 근거, 지역학 연구의 사례를 제시했다. The keyword represen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vergence.” The demand and necessity for convergence in the academic field are also increasing, and interest in research and methods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s a methodology for academic research is also increasing. Here, research refers to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the ICT convergenc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cademic fiel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research method will be investigated in detail, and solutions will be suggested. For this, a specific case study of the “Academic ICT Convergence” study will be conducted,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verified. The research case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rea studies a branch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need for a research methodology that uses “digital maps” is steadily increasing,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earch, and the effective expression and spread of the research results. This is because the knowledge that is the basis of area studies is geographic knowledge, and maps are the most suitable interface that can aid users’ intuitive understanding by expressing such knowledge visually. Here, we investigate the case of the application of digital maps to area studies, according to the “Academic-type ICT Convergence” research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paper, targeting digital maps that have potential as the core content in the field of area studies.

      • KCI등재

        순암의 편지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 연구

        허순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Soon-Am exchanged idea and knowledge with writers through letter. The letters Soon-Am sent out to writers may not be an artistic one but, they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about Soon-Am's character, how Soon-Am lived, spent time n learning, and his sincerity was shown in his own way of writing. Therefore, observing his life, his character appeared in many records and his way of writing appeared in his letters, I tried to understand what he concentrated while writing the letters and what was his purpose of writing letters. Soon-Am's letter was mainly concentrated in seeking truth. His letters are materials for widening topic of letters and at the same time good materials for us to understand his writing, passion for life, greed and what kind of person he was. His letters also shows his characteristics and those writers who studied together with him. Ay that time, short essay was popular and even letters was considered as literature. so, those letters they exchanged humorous and strange stories in 18 century will be a good material to analyze the conservative writers' way of writing. Analyzing their way of writing will be a good way to confirm how those writers express facts as Gyeong-Se-Chi-Yong(經世致用) Sil-Sa-Gu Si(實事求是) sect. 순암은 성호, 혹은 성호 문인들과 편지를 통해 사상적, 학문적 교류를 했다. 순암이 문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비록 문예미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내포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 글 속에 순암이라는 인물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있고 또한 삶과 학업에 대한 그의 진지함이 나름의 글쓰기 방식으로 강렬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순암의 생애와 여러 기록들에 나타나는 그의 성품, 그리고 그의 편지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그에게 있어 편지글 쓰기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 작업이었는지, 또 그가 편지를 쓰면서 가장 집중한 문제 혹은 목적은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하려 했다. 진리탐구라는 목적에 충실했던 순암의 편지는, 편지 장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대상이면서 동시에 그의 글쓰기를 이해하게 하는 자료고 그의 삶 속의 열정, 욕심 등을 드러내주는 작가이해의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그의 글쓰기 방식은 그 개인의 특성인 동시에 그가 함께 공부하고 교류하였던 문인들의 특성을 드러내주는 자료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품문이 유행하고, 편지글도 하나의 문예문으로서 인식하고 희문, 기문을 주고받기 시작하던 18세기에 보수적인 학풍을 지닌 순암과 성호 문인들의 글쓰기 방식에 관한 특성 연구는 '경세치용(經世致用)'과 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실학에 대한 학파적 차이를 간접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자료인 동시에 '실사구시'적 학풍을 지닌 순암을 비롯한 성호문인들의 문학관도 확인하게 되는 계기이기도 하다.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한문서학서와 근대적 학술용어 형성의 문제

        이현구 ( Lee Hyeon G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이 논문은 17,8세기에 중국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한문 저술들이 조선후기 새로운 학문을 추구한 학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고, 그 문화사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다루었다. 논문의 구성은 한문서학서의 형성과 조선에 전래되는 과정, 그리고 구체적으로 수용된 사례들을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예수회 선교사들의 한문서학서는 조선 후기 새로운 학문을 추구한 학자군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정치 경제적 영역의 실제적 관심이기보다 문화적 지적 관심으로서 새로운 학문 방법과 다른 문화전통에 대한 개방적 이해의 태도로 평가되었다. 한문서학서를 계기로 전통적 세계관의 중요 주제인 오행설에 대한 논증적 비판이 제기되었고, 지구설이나 지전설, 새로운 과학 용어의 형성이 있었음을 밝혔다. 한문서학서에 접근하는 태도는 시기별, 학자별로 차이를 보이지만 실학자로 분류되던 새로운 학문 추구의 의지를 가진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적극적 관심을 보였고, 그 기본적 태도는 주체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지식을 흡수 하는 형식이었다고 정리하였다. In 17, 18 centry, Jesuit ministry work in china have made many books. It reached about 400 volums and more. The books flowed into josun reached about 60 volums and more. In late Josun, the attitudes to the books are divided into two. A group takes a strong interest in the books written by Jesuit, another group is of no interest. The former have made new trends in studies. Many scholars read the books written by jesuit and accept new thoughts of western science. For example, traditional five elements(u-heang, 五行) thought are replased by four elements(四行) thought. Atomic theory was acceped. by them. But it was a cultural influence, not a whole influence in Josun.

      • KCI등재

        헝가리에서 한국학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김보국(Bo-Gook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구 소련 연방 해체를 정점으로해서 체제간의 이념대립이 급격히 무너진 이후 이전의 양대진영에서는 현재 활발한 경제, 정치, 문화, 학문 등의 교류가 전방위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간접적, 제한적이고 때 로는 왜곡, 가공된 자료로서 체제전환 이전의 상대진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밖에 없었던 많은 연구의 한 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하지만 기존의 ‘간접적, 제한적, 왜곡, 가공된’ 자료들로 진행되 었던 상대진영에 대한 많은 연구자료들이 알려지면서 선택과 수정, 계승의 과정이 필요한 것은 비단 ‘헝가리 에서의 한국학’에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기획이 가능하기위해서는 헝가리에 산재해있는 기존의 한국학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며, 자료탄생 의 배경 등 그 외부조건에 대한 고찰도 뒤따라야 할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리고 한국은 분단국이라는 특수상황이 이어져 오기에 북한과 이전에 외교관계를 가졌던, 소위 구 적성국가들에 산재한 북한 관련자료들 은 현지의 한국학 발자취를 되짚어 보는 것 이외에도 북한 사회를 들여다보다는 또다른 거울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헝가리에서 한국학의 발전을 위해 한국과 문화적, 역사적으로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중 국학과 일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을 참고해보는 것도 참고가 되리라고 본다. 본고에서는 헝가리에서 19세기 말부터 등장하는 한국학 관련 언급에 대한 자료와 한국학에 관심과 성과를 이끌어낸 인물들을 세 시기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북한과 헝가리가 외교관계를 유지해오던 시기의 ‘북한학’에 대해서도 마땅히 대체할 용어를 찾지못해 ‘한국학’의 이름으로 조사를 해보았으며, 헝가리에서 뿐 만 아니라 해외한국학의 발전을 담보해낼 수 있는 나름의 방안에 대해서도 나열해보았다. As many indicators show, some interchanges of politics, culture, academical science, and economy between Korea and Hungary have been increasing year after year, especially since 1989 when two countries started diplomatic relations. Concerning these materials, we can find positive and stimulating outcome from these numerical indicators. And this is of course connected with 'area studies'. In this thesis, I'd like to try to investigate the Korean studies in Hungary as history of hungarian area studies on Korea. So I make a summarized report about history on the evolution of Korean studies in Hungary, not just one or two special fields of Korean studies, but general and several overview I focalize. Chiefly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up to now some scattered materials are gathered, and on the basis of these materials, some policies are also mad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Hungary. Nevertheless, I still have some difficulties to approach some limited materials and get another ones. Accordingly, this study consists of general overview and a chapter of some cases of Chinese studies and japanese studies in Hungary. More than anything else, what makes this study more difficult is that the materials written in a period when North Korea and Hungary started a diplomatic relationship are not arranged until now. The document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untries can provide many clues to get over some obstacles of Korean vs Hungarian studies and expect the new alternatives in the future. The documents can also have important historical value reflecting the world history especially in the cold war period. In addition, with the help of those documents, we can try to find a wise way not to repeat same mistakes any more they might have committed long before.

      • KCI등재

        明版本 「二程全書」의 17세기 조선 및 일본에서의 수용 양상 연구

        이유리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This study is about book exchange in the East Asia in the 17th Century by Erchengquanshu (二程全書) published in Ming period. This book is about Chenghao(程顥) and Chengyi(程頤)’s quotation that had been recorded by their students or a collection of works and so on. It had been published since Song (宋) period because they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for the doctrines of Chu-tzu (朱子學). But It was Ming period Chenghua (成化) in 1476 that was first published in the form of collection, and It was six times to publish during Ming period at least. These six editions differ in included chapters and part of text each other. Among those, there are two editions published in Joseon until the 16th Century. Meanwhile, Japan began to be accepted doctrines of Chu-tzu in the 17th century. And this Ming edition published by Xubida (徐必達, 1562-1645) in 1606 had been introduced to Joseon and Japan each. And this book was accepted by publishing or holding by an individual or the government services in each country. But it was different publisher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case of Joseon, It was government, but in Japan, it was the publishers. Therefore, This ming edition is valuable as research material for study about the book exchange in the East Asia in the pre-modern period. 이 연구는 17세기가 동아시아 삼국 모두 성리학을 수용하고 있었던 시기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명판본 「二程全書」가 조선과 일본에 각각 수용된 양상을 서적교류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程顥 및 程頤의 학문은 성리학 성립에 큰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에 그들의 어록과 문집 등은 송대부터 간행되어 유통되었다. 그러나 주희가 죽은 후 성리학의 방향은 실천에 초첨이 맞춰지는 한편, 과거제로 인해, 성리학의 이론적 연구는 깊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로소 成化 연간(1465-1488) 이후에야 출판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그동안 간행되지 않았던 경서를 비롯한 유학서, 고전 등이 재간되었다. 「이정전서」는 1476년에 처음 편찬 및 간행되어, 적어도 6차례 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그 중 일부가 16세기 조선에서 간행되기도 하였다. 17세기에는 1606년에 徐必達이 校刊한 판본이 조선과 일본에 각각 전해져 수용되었다. 조선에서는 원본이 소장되거나, 번각되거나, 기존 유통 판본의 내용에 없는 내용만 보완하는 방식으로 간행되거나 하여 개인 및 관청에서 수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상업 출판으로 간행되었는데, 에도 후기에는 관학인 昌平坂學問所에도 소장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손호연의 단가 12편에 의한 가야금 독주곡 「호연4계」(2008) 분석연구

        강은수 민족음악학회 2014 음악과 민족 Vol.47 No.-

        Music and literature have been closely connected since the beginning of music history. This is true not only for the art of songs, but also for many compositions written by so many famous composers. One very famous poet is Son Ho-Yeon. The form of her poem, “Danka, Waka, Short poem”, is written in Japanese; and consists of only 31 Japanese characters, an extremely short form of poetry. On the basis of these poems by Son Ho-Yeon, toned by Unsu Kang, is music played by Gayakeum, a 12 string-plucke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he music is composed exactly the same as the poetry, with 31 beats, each character one beat. The music consists of 12 movements, just as there are 4 seasons, which is the image created by the poetry. This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working together is another form of the interdisciplinary chain of genres, which recently has been a popular trend. However, this work is not only interdisciplinary but also intercultural, bringing together Japanese and Korean cultur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se two aspects, whi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a new form of combined co-work, such as film, dance and the visual ar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