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소설 독서 주체로서의 사대부가(家) 여성 독자층에 대한 통시적 이해 - 계층적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중심으로

        이민희(Lee, Min-heui)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고소설사에서 독자층의 실재(實在)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사대부가(士大夫家) 여성’을 고유한 독서 문화 취향을 지닌 독자층으로 보고, 그들이 보인 고소설 독서 실태를 여러 시대의 문헌 기록을 토대로 통시적으로 고찰해 그 문학 사회학적 의미를 고구(考究)하고자 했다. 16∼18세기에 사대부가 여성들의 소설 독서에 대한 파편적 기록들을 통시적으로 살필 때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고유한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16세기 이후 사대부가 여성들은 사대부 남성들이 중국 전기소설과 중국 통속연의소설을 한글로 번역한 소설책을 다수 접하고, 국내 창작 한문소설의 한글 번역본을 읽게 되었다.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본 소설 독서는 ‘1) 사대부 남성의 중국소설번역 -〉2)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번역본 소설의 독서, 필사, 보관 -〉3) 가문 내 한글본 소설의 전승’이란 과정을 통해 통시적으로 이어졌다. 18세기에는 상층 남성들의 세책본 소설 독서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글소설을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선택해 읽고, 이를 소비하는 독서 주체로 성장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한글소설을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사대부가 여성 독자들이 여러 대에 걸쳐 한글소설을 필사, 향유, 보관, 전승하는 독서 문화 취향을 마련하고, 자기검열과 ‘일탈적 긴장감’을 통한 소설 독서 욕구를 충족해 나갔으며, 소설 독서를 소비 행위로 인식하고 화폐 경제사회의 소비 주체로 성장한 것 등에서 소설 독서에 관한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계층적 문화 취향 형성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reality of class in classical fiction history? To solve this question, this study uses the ‘upper-class female[士大夫家 女性]’ readership as an example of the reality of reading their classic novels and their literary and sociological meanings. The upper-class female readership was viewed as a social class, and the novel reading patterns and real images of aristocratic female were viewed collectively based on literature records from different ages in terms of classes, not individuals. Since the 16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have enjoyed reading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Chinese popular novels,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Korean-made chinese novels, and Korean-language novels.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 were continuously passed down through the process of 1) translating Chinese novels by upper-class men-〉2) reading, transcribing, and stor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3) transcribing Korean novels in the family. This clearly shows that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 readers has become a hierarchical cultural taste. In th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chose and consumed Korean novels handled by book rental shops, and in the lat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even created Korean novels themselves. By examining fragmentary records of upper-class female’s novel reading diachronically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it is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unique hierarchical taste of upper-class females’ culture of reading novels. The taste in novel reading culture, in which upper-class female readers copy, enjoy, store, and transmit Korean novel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satisfying the desire to read novels through self-censorship and ‘deviating tension’, and reading novels as an act of consump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eference for reading novels of upper-class females readership, such as the fact that it has been recognized and established as a consumer in the monetary economy and society.

      • KCI등재

        사대(事大) · 사소(事小)의 정치사상: 『춘추(春秋)』에서 『맹자(孟子)』로

        김기연 ( Gi Yeon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1 韓國 政治 硏究 Vol.30 No.2

        본 논문은 서주(西周)시대로부터 기원한 동아시아 전통 국제질서의 주요 개념인 사대(事大)·사소(事小)가 시대적·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 왔음을 설명한다. 기존 연구들은 유교 경전 『춘추(春秋)』와 『맹자(孟子)』에 언급된 사대·사소를 국제평화를 위한 공존의 원리로 파악하고, 특별히 다르지 않게 해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사대·사소에 대한 일원적 해석이 유효하지 않음을 밝히고, 서로 다른 시대적·역사적 상황의 결과물인 유교 경전 『춘추』와 『맹자』의 사대·사소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춘추』의 시대는 서주시대의 이상적 국제질서를 회복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 속에서 대소 열국 사이의 세력 구도가 변화하지 않는 현상 유지의 국제질서를 지향했다. 그런 후에라야 주왕실의 회복을 기대해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유교 경전 『춘추』는 대국과 소국이 쌍무적으로 사대하고 사소하는 국제 관계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현상 유지의 국제질서를 위해 대소 열국의 평화적 공존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시된 것이었다. 반면,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쓰여진 『맹자』는 구(舊)질서의 회복이 아닌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희망했던 정치사상서였다. 따라서 『맹자』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는 『춘추』가 의도했던 현상 유지의 국제질서가 아닌, 전국시대를 재편할 현상 타파의 국제질서라는 맥락이 고려되어야 한다. 『맹자』는 대국과 소국이 쌍무적으로 사대하고 사소하는 국제관계가 아니라 대국이, 그리고 소국이 일방향으로 사대하고 사소하는 교린(交隣)의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왕자대일통(王者大一統)을 주장했던 맹자통일론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소실행의 주체가 대국이든 소국이든 왕도(王道)를 실천하기만 하면 누구라도 천하를 통일할 수 있는 방법론이 었지만, 『춘추』에서와 같이 쌍무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맹자가 기획했던 새로운 시대는 점점 멀어지게 되는 방법론이었다. This paper explains that Sadae (事大) · Saso (事小), the main concepts of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which originated from the West Zhou (西 周) Dynasty, have been used and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times and situations. The earlier studies understand Sadae (事大) · Saso (事小), mentioned in the Confucian texts,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the Mencius, as a principle of coexistence for international peace, and interpret them as not particularly different. In respons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xisting studies’ oneway interpretation of Sadae (事大) · Saso (事小) is not valid, and argues that Sadae (事大) · Saso (事小) in the two Confucian texts, which are the results of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and situation,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imed at maintaining the international order of status quo in which the power structure between the major and lesser powers does not change amid the demand of the times to restore the ideal international order of the West Zhou Dynasty. After then, it was expected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family of Zhou.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presented an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great and small states mutually served. This was suggested as a way to achieve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great and small states for the sake of the international order of status quo. On the other hand, the Mencius, writte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was the book of political thoughts that hoped for opening a new era, not restoring old order. Therefore, the context of breaking the international order of status quo that would reshape the Warring States Period’s era should be considered. Mencius did not suggest international relations that the great and small states serve in a bilateral way. He rather presented a neighbor policy that the great or small states served in one direction. This should be seen as a part of Mencius’ unification theory that a true royal sovereign could unify the whole world. It was a methodology that anyone could unify the whole world regardless the state’s size when they carry out the rule of right, but the new era that Mencius planned would gradually move away when it worked in a bilateral manner as it did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 KCI등재후보

        중화체제와 ‘사대’

        장인성(Jang In-S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3 No.2

        이 논고에서는 중화체제에서 성립했던 한중사대관계에 관한 정치학적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사대는 이념적 사대(사대주의), 제도적 사대(조공책봉), 현실적 사대(사대정책)의 세 측면이 있다. 한중관계에서 영위된 사대의 양상과 성격은 사대의 이념(관념), 제도(규범), 권력(이익)의 상관적 작용을 보아야 제대로 파악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특히 세 요소의 상관적 작용을 추동하는 권력에 유의하여 사대에 관한 동태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사대와 세력균형을 대립 개념이 아니라 상관 개념으로 이해한다. 이념, 제도, 권력의 상관적 작용을 포착하기 위해 사대와 관련된 정치언어의 용법에 주목한다. 권력, 이념, 제도의 상관적 작용은 동아시아에 출현했던 천하의 존재 양태와 중원국가-한반도국가 간 세력구도의 유형에 따라 파악될 수 있다. 천하의 유형으로서는 <봉건적 천하>, <전국적 천하>, <다원적 천하>, <일통적 천하>를 상정한다. 또한 조공책봉이 작동한 세력구도로서 중원 국가가 단수인가 복수인가, 한반도 국가가 단수인가 복수인가에 따라 네 유형의 세력구도를 설정한다. 각 유형에 나타난 세력구도와 국가간 권력관계의 모습에 따라 사대의 제도, 이념, 권력의 상관적 작용이나 사대와 세력균형의 작동은 달랐다. 사대와 자주의 양태도 이들 유형을 고려했을 때 제대로 파악될 수 있다. This research tries some political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of Korean Sadae(事大) or tribute relationship with Chinese states under the Chinese world order.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nterrelated workings of Sadae as idea (conception), norm (institution) and power (interest)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Korean Sadae toward China especially by illuminating how Sadae as the action of power affected the workings. The conceptions of Sadae and the balance of power are here regarded correlated, not oppositive. The meaning of Sadae as a political language is also examined to grasp the correlative workings of three aspects of Sadae. The phenomena or principles of Sadae and the balance of power were interrelated and they worked differently according to not only the types of Tianxia(天下) or the Chinese world but the pattern of power structure between Chinese state(s) and Korean state(s): four types of ‘feudal,’ ‘warrior,’ ‘plural’ and ‘unified’ Tianxia and four types of power structure depending on the power and the number of Chinese and Korean state. The nature of Korean states’ Sadae and autonomy vis-a-vis Chinese also relied on those types of the two.

      • KCI등재

        남당사(南唐詞)의 사대부사(士大夫詞)적 특징

        김수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4 No.-

        本稿從`北宋詞人爲什?比花間詞更喜愛南唐詞`的問題出發, 根据李請照的`文雅`和王國維的`士大夫詞`的述語試圖解釋這一問題。 首先說明`文雅`ㆍ`士大夫詞`的正確內涵。李請照是一位儒家的詞學理論家, ?說的文雅就是士大夫的思想感情所體現出來的風格, 與士大夫的特征有關。本文爲闡明王國維`士大夫詞`的正確意義收集了葉嘉瑩、孫康宜等諸家的意見。?們認爲這兩個述語都與個人抒情有關,然而敦煌曲子詞和韋莊詞都已經運用過這個手法,個人抒情不足爲南唐詞的特征。王國維說`堂?特大, 眼界始大, 感慨遂深`。這句話與南唐詞的內容和主題有關。南唐詞在內容和主題上抒情的對象更爲普遍化、感情更爲深化了。抒情對象的普遍化和感情的深化,這才是南唐詞的特征。本文着重南塘詞的這一特征進行了議論。 從抒情的對象和感情的深化來看, 可以分出士大夫`閑情`和士大夫思想的兩個部分。`閑情`以馮延巳詞爲代表。他把自然的無限和人間的有限作對比,敍述了由此引起的存在論的悲哀。他打破了春恨ㆍ別恨的狹小范圍, 謳歌了人生的悲哀。在南唐詞出現的士大夫思想是忠君愛國。馮延巳把他的忠誠寄託于詞, 而這種寄託是詩的手法幷不是詞的手法,這引起了詞的詩化ㆍ士大夫化。李煜也把他的亡國之恨和故國之情敍述于他的後期詞。這種內容和主題也是在詞中較爲罕見的。這也對詞的詩化ㆍ士大夫化助了一臂之力。 總上所述,不僅是個人抒情,抒情對象的普遍化和感情的深化,也是南唐詞的士大夫詞特徵。這就是北宋詞人比花間詞更喜愛南唐詞的原因。

      • KCI등재후보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김상일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This paper carries the topic that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terrelate through the exchange of poems in the era of King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Especially, It is focused on how they interrelated through the literary works related with monks written by the typical writer Lee Jeong Gu(李廷龜) and the poet Lee Ann Nul(李安訥) at the era of the King Seon Jo and Kwanghae Gun. Noblemen excluded monks as the heretics while they were insisting the theory of Juja’s Neo - Confucianism(朱子性理學) that they must more study the Confucianism than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y forced them to participate to public works and works. They even imposed them to pay a tribute such as paper. Therefore, there was never the friendship between noblemen and monks who were treated humb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reformed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1592. Because the Uiseungjang(義僧將) the monk who fights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such as Seosan(西山) and Samyung(四溟) repelled the Japanese army. They also made many efforts at restoring their homeland. Then, noblemen treated them tolerantly. Particularly, they give and take some poems with the intelligent monks or the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Meanwhile, this era is called ‘Literary Generation’ when many writers and poets emerged such as Samdag(三唐), Sadaega(四大家), Leejae(二才). But their literary works that had been given to monks were discovered more easily than those that had discovered before. That means the noblemen and monks improv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exchanging their works. Therefore, this manuscript has an eye this point and carries the literary works of Lee Jeong Gu(李廷龜) and Lee Ann Nul(李安訥). Lee Jeong Gu didn’t exclude and indulge in Buddhism. But He always met prominent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He also had a good friendship with Seosan, Samyung, Chungmae(靑梅), Ssangik(雙翼) who they had been the Uiseungjang(義僧將)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Especially, he respected their personality. Then, He inscribed a Seosan’s epitaph, met Samyung to give him a poem and write a preface to Chungmae’s works. He also wrote some poems out of pity monks who had tried to restore their country. His works is dealt with things related to monks and is estimated about 300 works. We can easily understand about friendship between he and monks through his works’ meaning. He especially got along with HeeAnn (希安), SueCho(守初), Chungwhee(沖徽). We can know that he was kind to them tolerantly through his works that he had given them. Finally, we can understand Lee Jeong Gu and Lee Ann Nul treated Buddhist and monks generally more than they excluded them, and know that they had a relation through their poems. Likewise, the friendship between monks and literary noblemen is able to be related to true that the monks fought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in 1592. 이 논문은 선조 ․ 광해군대의 文人士大夫와 佛僧이 시를 매개로 교유했던사정을 고구한 것이다. 특히 그 시대의 대표적인 문장가 李廷龜와 시인 李安訥의 시문집에 들어 있는 불승 관련 시문을 통해서 그들의 불승들과의 교류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儒家士大夫들은 朱子性理學적 지배이념으로 불승을 이단으로배척하였다. 그러면서도 국가의 토목사업과 전쟁터는 물론 종이 제조와 같은생산 현장에까지 불승들을 동원하였다. 따라서 지배층인 사대부와 일반 민중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불승 사이에 평등한 만남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런데 16세기 말 선조 때 일어난 임진왜란은 이러한 儒家와 佛家 사이의 관계를개선토록 했다. 그것은 이전에 없었던 대규모의 왜란을 당해서 西山, 四溟 등과 같은 義僧將이 크게 활약하였고 전후 복구 사업에서도 불승들의 역할이컸기 때문이다. 유가사대부들은 이전과 달리 불승들에 대해 얼마간 관용의태도를 보였다. 한편, 선조 ․ 광해군대는 시인 ․ 문장가가 많이 배출된 ‘문장의 시대’였다. 三唐과 四大家, 二才가 나와서 문명을 떨친 시대였다. 그런데 이들 文人士大夫의 시문집에는 이전에 비해 불승들과 교류한 시문이 쉽게 발견된다. 이런 점은 이들과 불승들이 시문을 매개로 교류의 폭을 넓힌 것임을 뜻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당대의 문인사대부의 표본인 이정구와 이안눌의 불승 관련 시문을 고구하여 불승과의 교유를 살펴본 것이다. 이정구는 불교와 불승에 대해 탐닉하지 않았지만 배척하지도 않는 중용적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다만, 高僧과 詩僧이 있다고 하면 적극 찾아가 교유하였다. 그는 서산, 사명, 靑梅, 雙翼 등과 교유했는데 이들은 모두 임진왜란때의 義僧將이다. 특히 이정구는 서산, 사명과 청매 등의 고결한 인품을 깊이사모하였다. 때문에 서산의 비문을 지었고 사명의 처소를 찾아가서 시를 酬唱하였으며 청매의 문집에 서문을 지어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전쟁과 그 복구 사업으로 고통을 받는 불승들의 처지를 동정하고 시를 지어 주어 위로하였다. 이안눌의 시문집에는 불승 소재의 시가 300여 수가 실려 있다. 이들 시편에서 그의 불승에 대한 태도와 그들과의 교유의 내막을 잘 알 수 있다. 이안눌이그들에게 주거나 수창한 시를 보면 그가 불승들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로 교유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막하를 수시로 드나드는 수많은불승과 禪談을 나누며 우의를 다졌다. 특히 시승인 希安, 守初, 沖徽 등과는교유가 깊었다. 이상에서 문인사대부인 이정구와 이안눌이 불교와 불승을 배척하기는 보다는 오히려 관용적인 태도로 대우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그들이 시를매개로 불승들과 친밀하게 교류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정구나 이안눌과 같은 문인사대부들이 불승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었던것은 선조 ․ 광해군 시대에 불승들이 크게 활약했던 사정과 맞물려 있었음도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선조 광해군시대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의 불승(佛僧)과의 시적 교유 -이정구(李廷龜)와 이안눌(李安訥)을 중심으로-

        김상일 ( Sang Il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이 논문은 선조 광해군대의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와 불승(佛僧)이 시를 매개로 교유했던 사정을 고구한 것이다. 특히 그 시대의 대표적인 문장가 이정구(李廷龜)와 시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에 들어 있는 불승 관련 시문을 통해서 그들의 불승들과의 교류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유가사대부(儒家士大夫)들은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적 지배이념으로 불승을 이단으로 배척하였다. 그러면서도 국가의 토목사업과 전쟁터는 물론 종이 제조와 같은 생산 현장에까지 불승들을 동원하였다. 따라서 지배층인 사대부와 일반 민중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불승 사이에 평등한 만남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런데 16세기 말 선조 때 일어난 임진왜란은 이러한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사이의 관계를 개선토록 했다. 그것은 이전에 없었던 대규모의 왜란을 당해서 서산(西山), 사명(四溟) 등과 같은 의승장(義僧將)이 크게 활약하였고 전후 복구 사업에서도 불승들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유가사대부들은 이전과 달리 불승들에 대해 얼마간 관용의 태도를 보였다. 한편, 선조 광해군대는 시인 문장가가 많이 배출된 ``문장의 시대였다. 삼당(三唐)과 사대가(四大家), 이재(二才)가 나와서 문명을 떨친 시대였다. 그런데 이들 문인사대부(文人士大夫)의 시문집에는 이전에 비해 불승들과 교류한 시문이 쉽게 발견된다. 이런 점은 이들과 불승들이 시문을 매개로 교류의 폭을 넓힌 것임을 뜻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당대의 문인사대부의 표본인 이정구와 이안눌의 불승 관련 시문을 고구하여 불승과의 교유를 살펴본 것이다. 이정구는 불교와 불승에 대해 탐닉하지 않았지만 배척하지도 않는 중용적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다만, 고승(高僧)과 시승(詩僧)이 있다고 하면 적극 찾아가 교유하였다. 그는 서산, 사명, 청매(靑梅), 쌍익(雙翼)등과 교유했는데 이들은 모두 임진왜란 때의 의승장(義僧將)이다. 특히 이정구는 서산, 사명과 청매 등의 고결한 인품을 깊이 사모하였다. 때문에 서산의 비문을 지었고 사명의 처소를 찾아가서 시를 수창(酬唱)하였으며 청매의 문집에 서문을 지어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전쟁과 그 복구 사업으로 고통을 받는 불승들의 처지를 동정하고 시를 지어 주어 위로하였다. 이안눌의 시문집에는 불승 소재의 시가 300여 수가 실려 있다. 이들 시편에서 그의 불승에 대한 태도와 그들과의 교유의 내막을 잘 알 수 있다. 이안눌이 그들에게 주거나 수창한 시를 보면 그가 불승들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로 교유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막하를 수시로 드나드는 수많은 불승과 선담(禪談)을 나누며 우의를 다졌다. 특히 시승인 희안(希安), 수초(守初), 충휘(沖徽) 등과는 교유가 깊었다. 이상에서 문인사대부인 이정구와 이안눌이 불교와 불승을 배척하기는 보다는 오히려 관용적인 태도로 대우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그들이 시를 매개로 불승들과 친밀하게 교류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정구나 이안눌과 같은 문인사대부들이 불승들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선조 광해군 시대에 불승들이 크게 활약했던 사정과 맞물려 있었음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carries the topic that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terrelate through the exchange of poems in the era of King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Especially, It is focused on how they interrelated through the literary works related with monks written by the typical writer Lee Jeong Gu(李廷龜) and the poet Lee Ann Nul(李安訥) at the era of the King Seon Jo and Kwanghae Gun. Noblemen excluded monks as the heretics while they were insisting the theory of Juja`s Neo - Confucianism(朱子性理學) that they must more study the Confucianism than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y forced them to participate to public works and works. They even imposed them to pay a tribute such as paper. Therefore, there was never the friendship between noblemen and monks who were treated humb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reformed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1592. Because the Uiseungjang(義僧將) the monk who fights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such as Seosan(西山) and Samyung(四溟) repelled the Japanese army. They also made many efforts at restoring their homeland. Then, noblemen treated them tolerantly. Particularly, they give and take some poems with the intelligent monks or the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Meanwhile, this era is called ``Literary Generation`` when many writers and poets emerged such as Samdag(三唐), Sadaega(四大家), Leejae(二才). But their literary works that had been given to monks were discovered more easily than those that had discovered before. That means the noblemen and monks improv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exchanging their works. Therefore, this manuscript has an eye this point and carries the literary works of Lee Jeong Gu(李廷龜) and Lee Ann Nul(李安訥). Lee Jeong Gu didn`t exclude and indulge in Buddhism. But He always met prominent monks who wrote poems very well. He also had a good friendship with Seosan, Samyung, Chungmae(靑梅), Ssangik(雙翼) who they had been the Uiseungjang(義僧將)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Especially, he respected their personality. Then, He inscribed a Seosan`s epitaph, met Samyung to give him a poem and write a preface to Chungmae`s works. He also wrote some poems out of pity monks who had tried to restore their country. His works is dealt with things related to monks and is estimated about 300 works. We can easily understand about friendship between he and monks through his works` meaning. He especially got along with HeeAnn (希安), SueCho(守初), Chungwhee(沖徽). We can know that he was kind to them tolerantly through his works that he had given them. Finally, we can understand Lee Jeong Gu and Lee Ann Nul treated Buddhist and monks generally more than they excluded them, and know that they had a relation through their poems. Likewise, the friendship between monks and literary noblemen is able to be related to true that the monks fought against to Japanese invasion in 1592.

      • KCI등재

        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

        기무라타쿠(Kimura Kaku)(木村 拓)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emyeongsadaeron (logic to justify Daemyeongsadae) of neo-Confucianists (Chu Hsi school government officials) at the end of Goryeo in consideration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aedae. As you may know, Saedae(事大) is diplomatic ideology contained in Confucian scriptures, and its legitimacy can also b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Among Confucian scriptures, those containing the view to Sadae (explanation on Sadae) are ≪Chunchujwassijeon(春秋左氏傳)≫ and ≪Maengja (孟子)≫. Based o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ir view to Sadae, the author has found that ① their view to Sadae is not basically related with Hwairon(華夷論), ② ≪Maengja≫'s view to Sadae is supported by "Cheon (天)" which transcends difference from Hwai, and ③ Chu Hsi school(朱子學) transmitted and developed ≪Maengja≫'s view to Sadae. Considering what is written above, this study examined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at the end of Goryeo.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justifies Daemyeongsadae on account of "Cheonmyeong (天命)" and this Sadaeron can be said to be Cheonmyeongron's Saedaeron(天命論的事大論), and it is not associated with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明)=Hwa(華)> <Goryeo(高麗)= i(夷)> at all. Moreover, it pointed out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Maengja≫'s view to Sadae. Although it has been understoo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supposes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Hwa> <Goryeo=i>, it needs to be corrected afterwa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本稿は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 (朱子学者官僚) の対明事大論(対明事大を正当化するための論理) の性格を、事大の基本的性格を踏まえた上で、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 周知のように、事大とは儒教経典の中に見られる一種の外交理念であり、その正当性は儒教経典の中に求められた。儒教経典の中で一定の事大観を示しているのは、『春秋左氏伝』 と 『孟子』 である。両書の事大観を検討した結果、①両書の事大観は基本的には華夷論とは関係しないこと、② 『孟子』 の事大観は華夷の別を超越した 「天」 の存在に裏付けられていること、③朱子学の事大観は、『孟子』 の事大観を継承しながら、それを発展させたもの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以上のことを念頭に置きながら、高麗末期の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を検討した。その結果、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は、「天命」 に基づいて対明事大を正当化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り、天命論的事大論と捉えることができるが、一方で 「明=華」ㆍ「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とは結びつくものではなかったことが分かった。また、新興儒臣の天命論的事大論は 『孟子』 の事大観の影響を受けてい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指摘した。 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については、これまで 「明=華」ㆍ「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が前提とされていたと考えられてきたが、そうした理解は修正される必要がある。 본고는 고려말기 신흥유신(주자학자 관료)의 대명사대론(대명사대를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의 성격을 사대의 기본적 성격을 고려하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사대라는 것은 유교경전 속에 보이는 외교 이념이며, 그 정당성은 역시 유교경전에서 찾을 수 있다. 유교경전 중에서 사대관(사대에 관한 설명)이 들어 있는 것은 『춘추좌씨전』과 『맹자』이다. 이들의 사대관을 고찰한 결과, ①이들의 사대관은 기본적으로는 화이론과는 관계하지 않는 것, ② 『맹자』의 사대관은 화이의 구별을 초월한 "天"에 의해 뒷받침되었다는 것, ③주자학이 『맹자』의 사대관을 이어받으면서 이를 발전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것을 염두에 두면서 고려말기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을 생각해 봤다. 그 결과,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은 "天命"으로 말미암아 대명사대를 정당화한 것이고 이런 사대론은 天命論的事大論이라고 할 수 있는데, <明=華> <高麗=夷>라는 화이론적 세계관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은 『맹자』의 사대관에서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있는 것을 지적했다. 지금까지는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에 대해서는 <明=華> <高麗=夷>라는 화이론적 세계관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 왔으나 이런 이해는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조선 중기 한문 사대가의 비평사적 존재 양상과 위상 재고

        권진옥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8 No.-

        This thesis examines how they exist in a critical-historical context, and what is the reality of their status, targeting the ‘Chinese character four great writers’, a literary group representing the mid-Joseon period.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Seonjo(宣祖) to Injo(仁祖) period are Lee jeong-gwi(李廷龜), Shin heum(申欽), Lee sik(李植), and Jang yu(張維), and these The so-called ‘Chinese character four great writers’, which refers to the four people in parallel, began with the mention of Kim tae-jun(金台俊). In addition, Kim tae-jun(金台俊) presented the critical data of Kim chang-hyeop(金昌協) and Kim yun-sik(金允植), who are the figures of Noron (老論), as a basis for naming these four people side by side. In Kim yun-sik(金允植)'s critical data,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se four people are referred to as ‘Sangwolgyetaek(象月溪澤)’. After Kim tae-jun(金台俊), when describing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or criticism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Joseon Dynasty, researchers generally mentioned the Chinese character four great writers in the mid-Joseon period, and explained the main factors that unite the four people under the name of ‘the Chinese character four great writers’. The core discussions are the eight great wri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y(唐宋八大家), sunjeong gomun(醇正國文), and Huncheokgye(勳戚系), but it is not clear to unite them with these factors alone. Then, in terms of the history of Chinese prose critics, what was the aspect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critical materials produced the period of their activities and after them? Kim yun-sik(金允植)'s writing is the only case in which these four people appear alone, but it shows various aspects, such as when one, two, or three of the four major Chinese characters are mentioned, or other authors including four are mentioned together. The fact that Chinese prose writers in the mid-Joseon Dynasty pursued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as pure literature and awakened the beauty of individuality is a point distinct from the previous period. In the process of finding differences by comparing them without recognizing them individually, in the process of finding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ymbol of the Chinese character four great writers functions a major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mid-Joseon period, where numerous writers were produced. However, apart from these functional aspects, it is always necessary to reflect and examine whether the basis or background of the symbol is reasonable and whether it is a unique conclusio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meaningful to re-excavate the rational arguments that unite the Chinese character four great writers. 이 논문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문장가 집단인 한문 사대가(漢文四大家)를 대상으로, 비평사적 맥락에서 이 작가군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검토하고, 또 그 위상의 타당성을 재고한 글이다. 조선 중기의 한문 산문 작가들이 순수 문학으로서 문예미를 추구하고 개성미를 각성한 것은 확실히 이전 시기와는 변별되는 지점이다. 수많은 문장가들이 배출된 조선 중기 한문 산문사에서 이들을 파편화된 채 인식하지 않고 서로 비교하여 그 동이점을 찾아가는 과정에 한문 사대가와 같은 표상이 주요하게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기능적인 측면과는 별개로 표상의 근거나 배경이 합리적인지, 또 과연 유일무이한 결론인지에 대해서는 언제나 반성하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 한문학에서 조선의 선조(宣祖)~인조(仁祖) 시대 문장을 대표하는 이정귀(李廷龜), 신흠(申欽), 이식(李植), 장유(張維) 이들 4명을 병칭하는 이른바 ‘한문 사대가(漢文四大家)’라는 명칭은 김태준(金台俊)의 언급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김태준은 이들 4명을 묶어서 병칭하는 근거로 노론(老論)의 인물이었던 김창협(金昌協)과 김윤식(金允植)의 비평 자료를 제시하였는데, 김윤식의 비평 자료에는 이들 4명을 ‘상월계택(象月溪澤)’으로 병칭한 사례가 처음으로 보인다. 김태준 이후로 연구자들이 조선 시대 한문 문학사 혹은 한문 비평사를 서술할 때 대체로 조선 중기의 한문 사대가를 거론하게 됨에 따라 학계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었다. 그렇다면 한문 사대가를 한문 산문 비평사 측면에서, 이들이 활동했던 시기와 그 이후에 산생했던 비평 자료들을 통해 그 존재 양상이 과연 어떠했는가. 이들 4명만 단독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김윤식의 글이 유일하지만, 한문 사대가 가운데 1명이나 2명 혹은 3명이 거론되거나 4명을 포함하여 여타 작가들까지 함께 언급되는 경우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문 사대가의 위상은, 결국 김태준이 이들 4명을 한문 사대가로 확정하는 데 주요 근거로 삼은 김창협의 「농암잡지(農巖雜識)」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농암잡지」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서술하고 있는 대상은 역시 한문 사대가이다. 그만큼 김창협은 한문 사대가 구성원 4명을 당시까지 조선 최고의 문장가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김태준은 위와 같은 김창협의 비평 내용, 그리고 김창협의 비평을 그대로 인용하면서 ‘상월계택’이라는 병칭을 덧붙여 제시한 김윤식의 글을 토대로, 이들 4명을 ‘월상계택 사대가’로 표상한 것이다.

      • KCI등재

        원불교 四大奉公會의 역사적 변천, 그 특징과 성격

        오세영(吳世榮),구형선(具亨宣)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사대봉공회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분석·정리하고, 그 특징과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대산종사의 취임과 사대봉공회의 출현시기인 1960년대의 시대적 상황을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대봉공회가 출현하는 과정에서부터 세계봉공재단의 설립에 이르기까지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그 특징과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대봉공회는 5.16군사쿠데타로 인한 군사정부의 등장으로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한 상황이었고, 국민의 대다수가 절대적 빈곤에 처해 있던 시기에 대산종사에 의해 주창되었다. 둘째, 그러나 인류의 영과 육의 무지와 질병과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주창된 사대봉공회는 실체조직으로서 발현되지 못하였다. 셋째, 원불교 봉공회의 규정은 사대봉공회 취지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였고, 유사한 봉공단체들과의 관계성도 정립하지 못했다. 넷째, 1969년 사대봉공회의 출현에서부터 1989년 중앙봉공회의 최종결실을 보기까지 너무도 오랜 시일이 걸렸다. 다섯째, 이러한 사대봉공회는 일원대도와 삼동윤리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기구이자 기관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와 같은 특징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사대봉공회는 많은 과제를 남겼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organize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in Won -Buddhism, and to identify its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first looked at the social situation in the 1960s, the inauguration of Daesan and the emergence of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And it analyzed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appearance of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World Bong-Gong Foundation. Based on this, I tried to examine its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was politically unstable due to the emergence of a military government in the May 16 military coup, and was advocated by Daesan while the majority of the people were in absolute poverty. Second, however,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advocated for the elimination of poverty, disease, and ignorance of the human spirit and body, could not be expressed as a real organization. Third, the provisions of Won-Buddhism Bong-Gong Association did not properly convey the intent of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nor did they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similar bong-gong groups. Fourth, it took so long from the appearance of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in 1969 to the final fruition of The Central Bong-Gong Association in 1989. Fifth, such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inherits the great Way of Il-Won and Ethics of the Threefold Unity as it is, and has a character as an organization and an institution for practicing it. Despite these features and meaning, the Four Bong-Gong Associations has many challenges.

      • KCI등재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시기의 사대와 독립의 의미

        박병주(Park Byoung-Ju)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사대(事大)'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인 ①약자(弱者)가 강자(强者)를 붙좇아 섬김 ②소국(小國)이 대국(大國)을 떠받들어 섬김이라는 뜻이 과연 적당한가? 지나치게 근대 편향적인 해석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대의 원래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 춘추전국시대 노나라의 역사서인 『춘추』에 나오는 '자소(字小)사대(事大)'의 용례를 살펴보고, 둘째, 조선 시대의 '사대'는 어떤 의미였는지 살펴본다. 세 번째는 '사대'가 독립의 반대말로 설정되어 '사대주의'라는 부정적인 단어로 변화ㆍ왜곡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개화기의 기록인 황현의 『매천야록』과 안자산의 『조선문학사』를 주로 비교해보고, 후대 작가인 민태원의 『김옥균과 갑신정변』, 김기진의 『청년김옥균』에서는 그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k whether the definition of the word 'sadae' in the dictionary is right. Dictionary says 'sadae' means a small country worships a strong and big country. I think it is too modern-oriented interpretation. According to my study, 'sadae' was a method of foreign policy to keep their kingdom from other stronger kingdoms in the Middle Age. But from the late 19th century, 'sadae' became to have some negative meaning which we have today. I researched the change of meaning of 'sadae' through the writing of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