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철학의 역설에 관한 한 연구 - '한'과 파르메니데스의 제 3의 인간 논변을 중심으로 -

        김상일 고조선단군학회 2004 고조선단군학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gain a profou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oncept 'Han' (which simultaneously means, many, one, middle, same, large etc.) through an inquiry into the so called 'third man argument' which appears in Plato's Parmenides. This work of Plato has been focused on by recent scholars such as Karl Popper and many others, but still has not recieved the full attention it deserves. Through this comparative process the logic of Korean thought will be brought into clearer focus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hought and Ancient Greek thought will be exhibited. I believe that it is through reading Parmenides that the rich and profound nature of the Korean notion of Han can be disclosed, in the sense that we can understand ourselves better through the other. It is my hope that this investigation can serve as a beginning of a much needed discourse on the profou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an'.

      • KCI등재
      • 金守溫 시문학의 일 국면 : 불교적 시세계를 중심으로

        김상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5 한국문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崇儒排佛의 정책적 기조가 강제되던 조선전기에 儒家士大夫로서 불교 세계를 지향했던 金守溫(1409~1471)의 시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김수온은 性理學[新儒學]을 지배이념으로 삼은 조선전기의 유가사대부였다. 따라서 그는 유교적인 의식과 규범으로 삶을 살아야 했다. 하지만 그는 異端으로 배척되었던 불교 세계를 지향하였고 왕실의 佛事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불교를 신앙하는 행위도 감추지 않았고, 드디어는 세조에게 出家를 탄원할 정도였다. 때문에 그는 儒林으로부터 '유가사대부로서 불승의 행동을 한다[儒名僧行].'는 비난과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儒佛融通論으로 이러한 비난에 대응하고 오히려 다스림의 방법으로 유교의 仁義에 의한 德化와 불교의 淸淨寡慾에 의한 無爲之治가 다르지 않다고 하였다. 그의 유불융통론은 유교와 불교가 '一心'이란 根源에서 보면 '一理'로 관통되어 있어 서로 다르지 않다는 담론이다. 하지만 이는 엄밀히 말해서 불교 중심적 유불융통론이다. 한편, 김수온은 徐居正,姜希孟 등과 더불어 조선전기의 대표적인 館閣文學人이었다. 세종과 세조는 그의 문장력을 높이 사 많은 官 주도의 佛書의 諺解나 통치용 서적 편찬 사업에 참여시켰고, 성종은 그의 문집을 간행하도록 명하였다. 또한 중국사신과의 酬唱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그 명성이 중국에까지 났다. 그러나 그의 시문은 많은 양이 소실되어 전하는 것이 많지 않다. 하지만 그는 당대 문단의 거수로 一家를 이룬 문장가였다. 특히 불교적 사유와 감성이 녹아들어 있는 작품들은 당시 성리학적 일색의 주제의식에 바탕을 둔 작품들과 그 미의식이 다른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 글은 먼저 그의 佛敎詩에 한정해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작품의 성격을 살펴보았는데, 그의 불교시는 승려들과의 交遊와 불교적 사유가 들어 있는 작품들이 중심을 이룬다. 승려들과 교유를 다룬 시는 시상이 이원적 구조로 짜인 작품이 많다. 이것은 사대부로서의 자신의 처지와 승려로서의 상대의 모습을 대비하고 세속적 환경에 묻힌 자신의 처지를 경계하면서 각자의 처지에서 추구하는 도가 결국은 하나임을 주제로 삼은 것들이다. 한편 불교적 사유가 반영된 시는 불교에 대한 인식과 깨달음의 세계가 녹아든 작품들이다. 이상에서 김수온의 유불융통론은 그 자신만의 孤聲에 그친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그의 시문학은 조선전기 이후의 문학사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다. 그리고 그의 유불융통론은 미온적이고 절충적이긴 하나 성리학적 지배 질서가 專制的으로 구축되어 가는 과정에서 유가사대부쪽에서 제시한 儒佛同質論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studies Kimsuon's poetry -he(金守溫: 1409~1471) sought a Buddhist world as a Confucian in early Chosun Dynasty in which the policy of 'Respect of Confucianism, and rejection of Buddhism' (崇儒排佛) was compelled. Kimsuon was a Confucian in early Chosun Dynasty. As is generally Known, it was a nation which rejected Buddhism and took New-Confucianism as a dominating ideology. So. he had to live as an individual in accordance with Confucian value and rule. But, he liked Buddhism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Buddhist project(佛事). In addition, he didn't conceive religious faith for Buddhism, and at last, supplicated King Sejo to permit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Because of the affair, he did Buddhist action as a Confucian of Confucian scholars. He was blamed for 'Introducing himself as Confucianist and doing like Buddhist'. However, he responded to this criticism with a talk that Confucian and Buddhism have a same essence.(儒·佛融通論), then, he insisted that in the method of the governing, moral influence by humanity and justice of Confucian, and inactive government by purifing greed. In other word, Confucian·Buddhism versatility theory(儒·佛融通論) is that Confucian and Buddhism aren't different each other because on the ground of a single heart, two sides are penetrated by one logic. But, strictly, this is Buddhism-oriented Confucian·Buddhism versatility theory(儒·佛融通論). At the same time, Kimsuon was a significant academical government officer(館閣文學人) with Seogeojung and Kangheemaeng in early Chosun Dynasty. King sejong and King sejo had him participate in publishing books related with government and Buddhism as they acknowledged his literate ability. King Seongjong ordered him to make his collection of works.(collection of lifelong works) He also spreaded his fame to China with his significant ability of making proetry, and give-and-take. But, his a few poetry and proses were handed down because they are burnt. However, he made a particular literature containing his special beauty-view as the best writer of early Chosun Dynasty. Especially, his works contained with Buddhist thought and sense attracted readers to the contrast with Confucian themed ones. From second half of this thesis, I divided Kimsuon's poetry with topics and studied. Works theming Friendship with Monks and Buddhist thought take a center position of KImsuon's buddhist poetry. poetry managing friendship with Monks are almost dual structures. This structure is that he apologies his social position, contrasting his worldly position with pure figure as monk. In addition, Works theming Buddhist thought reflect consciousness and recognition for Buddhism. In conclusion, Kimsuon's Buddhism-oriented Confucian·Buddhism versatility theory(儒·佛融通論) is to keep his ideological aspects. But his poetry have been focused in literature since early Chosun Danasty. And, it has another important meaning that his Buddhism-oriented Confucian·Buddhism versatility theory(儒·佛融通論) is Buddhism-oriented Confucian·Buddhism same nature theory(儒佛同質論) which Confucian scholars pointed in the course of Confucian controling ord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