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대 중국 여성 철학 현대화 소고

        이상옥 한국여성철학회 2009 한국여성철학 Vol.11 No.-

        현대 중국 여성에 대한 성찰과 시대적 의미를 구현하는 여성철학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현대 중국의 여성철학의 존재 가능성과 그 본질에 대한 본체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그것의 이해를 위해 시대적, 동, 서양 비교 사상적 배경을 살펴 본 것이다. 중국의 역사를 보면 여성에 대한 인식과 존재에 대한 인식의 기초는 현대 문화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계몽과 자각, 생활과 정치 권리의 요구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물론 총 노선으로 군림했던 유가 사상에 대한 철저한 타기가 여성운동의 한 방편으로 사상적 원천을 확보하기 위해 감행되었다. 중국 적화 후에 이데올로기의 고정화와 이에 따른 여성 지위의 평등성 고취, 일방화에 이어 개혁, 개방 이후 실존주의적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르크시즘에서 구태여 연원을 찾으려는 시대적 정치적 의미가 짙게 가미된 절충의 결과였다. 합법성은 중국철학과 사상, 학문 전반에 불어 닥친 제2의 문화혁명과 같은 자각적 지식운동이었다. 중국 현대의 현실 세계의 의미를 이론으로 허위적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전통 중국의 여성에 대한 관념을 청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중국적 여성주의의 본질을 추구하고 적절한 대비와 전통 여성주의 사고와의 단절, 계승이 요구되는 것이다. 현대성은 역시 여성철학이 갖추어야 하는 세계성적인 수준과 관련있는 과제이다. 서양 여성운동과 관념의 기원과 그 과정에 대한 해석적 성찰이 우선 요구되었다. 그 다음 중국 현실에서의 "현대성" 획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여성운동과 여성철학의 성립과 배경에는 반드시 이데올로기의 청산적 요소가 개입되어야 한다. 다원주의와 여성이 세계적이고 보편적인 가치와 자유롭고 독립적인 소통이 가능한 경우에 비로소 현대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중국 여성철학의 상황과 그 내용은 본체론적 특징을 띠고 있다. 즉, 그 본질을 규명하기를 시도하는 작업과 다름 아니다. 철학과 더불어 문학 영역에서 공전의 활약을 보인다. 주변적 인물로서 줄곧 역사의 아웃사이더로서 위치했던 여성의 모습이 재확인되기도 한다. 1980년대 이후 두드러진 특징은 소외와 성적인 무의미, 상품성으로서의 관념, 남성과 복장 등 주변적인 여성을 표현해 주는 의미들에 대한 묘사이다. 상품주의의 만연으로 여성은 더욱 더 좌절을 느끼고 잡다한 일상사에 매몰되어 간다. 부권 중심의 중국 사회에서 공공영역의 획득과 점차 두드러지는 여성의 진정한 의미의 자각이 중국 여성철학의 미래를 가늠한다.

      • KCI등재

        철학부(哲學部) : 현대 중국의 “중국의 꿈”관과 유가철학

        이철승 ( Cheol Seung Lee ) 한국중국학회 2014 중국학보 Vol.70 No.-

        習近平等中國當代領導人爲了實現中華民族的偉大復興而强力主張的“中國夢”觀是指通過實現國家富强、民族振興、人民幸福分別在中國共産黨建黨100周年(2021年)、新中國成立100周年(2049年)完成建設小康社會、大同社會的目標。“中國夢”觀不僅是中國政府的政治議程,對於衆多中國人而言也承擔著給予希望的理念這壹作用。從思想的角度,這是將中國特色社會主義哲學與傳統的儒家哲學有機結合的産物。本硏究將“中國夢”觀內在的儒家哲學內容分爲小康思想與大同思想,欲將上述兩種思想分別和立足於中國特色社會主義哲學的初級階段論及共同富裕論相聯系重新構架邏輯。傳統的小康思想和將壹切視爲公有的大同思想不同,承認壹己之私。但是雖然小康思想承認個人所有,却竝不支持這種所有向少數集中。這是因爲壹旦個人的所有集中到少數人,多數人會陷入貧困;壹旦多數人陷入貧困,就會引起社會矛盾的加劇;壹旦社會矛盾加劇,就難以維持健康的共同體社會。所以傳統的小康思想爲了消除這樣的社會矛盾要求人們具備仁禮義信讓等道德性。最終這樣的道德性能구爲防止腐敗,提供公正的機會,達成均等的分配起到강桿效應。强調“中國夢”觀的現代中國領導人也積極地活用小康思想的這種價値。他們判斷朝著小康社會奮進的現代中國因爲腐敗蔓延和貧富差距加深等原因社會矛盾不斷加劇。他們爲了實現小康社會提出了多種方案,其中也强調了社會的公平與正義。不僅强調爲了實現所謂中華民族復興的“中國夢”壹定要將反腐敗和公平正義作爲前提,也指出要通過和法律配套的民主選擧、民主管理、民主監督提高合理的秩序意識。他們對於“中國夢”這樣的觀點壹方面反映了爲了解決人民對於物質文化不斷增長的需要和落後的生産力之間的矛盾發展社會生産力過程中所謂的社會主義初級階段現代中國的的具體實情,령壹方面繼承了通過領導人堅定的道德意識解決不斷産生的各種社會矛盾的傳統小康思想,竝將其轉化成民主的秩序意識。因此依據現代中國的“中國夢”觀,處於社會主義初級階段的現在中國比起盲目追隨西方價値更需要走體現中國式方法的“中國路”,將提高民主的自强能力與小康思想的價値相契合。鄧小平提出共同富裕論,依此在社會主義初級階段爲提高生産力不得不允許壹部分人先富起來,社會主義初級階段結束眞正的社會主義社會到來之際所有人都能致富。以習近平爲首的今日中國領導人將鄧小平理論與傳統的大同思想結合起來。而依據大同社會,世界竝非私人所有而是所有人民共有,不因爲領導人私人關系而是人格能力竝重根據合理的基準進行人才選撥,展開不只對自己的親戚姻親有利而是全體國民必需的國家政策,對於因爲結構性原因而被邊緣化的社會弱勢群體不會置之不理而是給予溫暖的擁抱構建於他們有實質性방助的福利制度。這樣的大同社會不是就利益的多少而言而是以信義與和睦作爲社會關系的基準,重視계啓發各人的與生俱來的天賦與素質。上述的大同思想與解決因爲所有的集中而導致的社會矛盾問題,實現共同富裕,構建和諧社會的現代中國的“中國夢”觀血脈相通。령外不僅不悖離壹切爲人民服務的公職觀,還與旨在消除邊緣化的原因,重視個體的作用,形成平等的社會분圍現代中國的福利觀壹脈相承。以習近平爲首的現代中國領導人致力於將大同思想與重視馬克思主義的中國化、時代化、大衆化的新的歷史時期的時代精神相融合。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사상 흐름에 대한 한국 철학계의 연구 동향 - ‘문화열’과 ‘중국학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이철승(李哲承)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1978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사상계는 ‘실천이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라는 관점 아래, 중국 사회를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실사구시’와 ‘사상해방’을 주장하며, 신‘백화제방’ㆍ‘백가쟁명’의 시대를 열었다. 경직된 사회 구조에서 벗어난 중국의 지식인들은 1980년대에 더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면한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을 펼쳤다. ‘문화열’이란 학계의 이러한 동향을 지칭한 말이다.<BR>  중국의 사상계는 또한 1989년의 이른바 ‘6ㆍ4 천안문 사태’를 경험한 후, 이 사건의 사상적 배경을 ‘문화열’ 때 확산된 서구의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조의 만연으로 여기고, 중국의 정체성 회복과 새롭게 펼쳐지는 국제 질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 ‘신중화사상’을 토대로 하는 ‘중국학열’을 조성시켰다.<BR>  오랫동안 중국의 현대 사상에 대한 연구보다 전통 사상에 대한 연구에 치중했던 한국의 철학계는 1990년대 초부터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유 체계의 확립을 철학의 중요한 역할로 여기는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중국 현대 철학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BR>  그들은 그동안 한국의 철학계가 중국 사상을 연구하면서 비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면에 한계를 노정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현대 중국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합리적인 한중 관계의 정립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BR>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문화열’과 ‘중국학열’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현대 사상의 연구 경향에 대한 한국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여, 균등하면서도 평화로운 한중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사상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복성(復性)서원 교학 과정을 통해 본 마일부의 교육관

        이연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19 中國學論叢 Vol.0 No.64

        馬一是浮中國現代哲學中與梁漱溟,熊十力並稱三大聖賢之一,對中國現代思想哲學有著重大影響的人物。他樹立傳統儒家哲學,面對時代形勢,值得一提。 我知道現代哲學家們共同將儒學精神融入到他的思想體系中去,但打下這個基礎的正是馬一浮,所以,只要討論他的思想哲學,我覺得是一件非常有意義的事情。他在 複性 的方針下,致力於重新定位國學,提高中國的精神價值。在這些方向性實施的各種領域中,最值得注意的是教育,其中心就是 複性書院 。建立複星書院,把教育內容作爲留學的核心 育藝 ,這是其特點,爲了診斷當時學風的危害,恢複對思想學術研究的純真,書院獨立運作的嘗試,是實際實踐。本論稿探討了福星書院的設立,建立方向,運行方針和規章制度,以考察他作爲民族思想家,教育實踐家的面貌,考察他的思想特點。

      • KCI등재

        중국 현대철학에 나타난 아나키즘의 문제 -유사배의 무중심주의철학을 중심으로-

        이철승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東方學 Vol.27 No.-

        유사배는 동서고금의 많은 철학사상을 비판적으로 흡수하고 재구성하여 평등관을 중심으로 하는 무중심주의철학을 정립한다. 그에게 평등 문제는 철학의 근본 문제이다. 그에게 인간은 본래적으로 평등한 존재이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본래적으로 청정무구한 마음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순수한 마음을 보존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이러한 마음은 양선심이다. 그는 이기심을 토대로 하는 자기중심주의적인 생각[念]을 불평등의 원인으로 여긴다. 그에 의하면 이기심과 질투심이 가미된 중심주의적 사고가 다른 사람과 자신을 구별하여 타인을 주변으로 여기도록 유도한다. 그는 이러한 분리와 구획의 경계의식을 실상이 아니라 가상으로 여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가상의 분리의식을 타파하여, 본래적인 마음의 평등을 회복하고 의무의 평등의식을 구현해야 한다. 유사배의 무중심주의철학은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온 중국의 전통적 사유와 과학과 민주주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의 근대문명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근대전환기의 중국 사회에서 형성되었다. 그의 무중심주의철학이 비록 논리적인 정합성의 문제가 있지만, 그의 무중심주의철학을 비롯한 중국 초기의 아나키즘은 평등의식을 인간의 고유한 정체성과 사회의 보편적인 가치로 여긴 점에서 건강한 삶과 균등한 사회의 방향을 바르게 안내하는 면에 사상적 기여를 한다. 특히 평등을 중시하는 사회주의 사상이 20세기 전반기의 중국에서 보편적인 이념으로 자리 매김하는 측면에, 유사배의 무중심주의철학을 비롯한 중국 아나키즘의 기여도는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Liu Xu Zai(.熙載) research on Ci Poetry Theories was influential to the research of the in Late Qing Dynasty(晩淸). Liu Xu Zai`s thought of Ci Poetry science had special connotation of, was the specific product of Southsong Dynasty. He paid attention to the original form of Ci Poetry. He proposed ‘Shi Jing(詩經)’ hypothesis to its origin question. Succeeding ‘Su Shi`s(蘇軾)’ "used poem as Ci Poetry, He like "Boldness and Unconstraint(豪放)"Style. HaofangCi Poetry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Liu Xu Zai`s Theory. He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Character and Ci Poetry. and Ci Poetry is proportional to Character. Especially, he mainly focused on Xin Qi Ji`s(辛棄疾) Ci Poetry aspect in the South Song Dynasty(南宋). ‘Su Shi`` and Xin Qi Ji is a wonderful person[an excellent man. He put much value on Xin Qi Ji, who had greatly mastered the creating Ci Poerty skill. this paper analyzed the reason that Liu Xu Zai rose in the estimation of HaoFangCi Poetry. First, Xin Qi Ji is the ideal aethetic standard in ci poetry academic world. Second, he Ci Poetry harmonized the sincere scenery of the season and the reconciliation of Emotions. so, he could signified the immament meaning of the Ci Poetry. Its meaings which lie beyond what`s been told, through which a poet could naturally express in his Ci Poetry without bound by the knowledge existing inside of the Ci Poetry. Third, He had an inborn talent of art, through the academic cultivation. Xin Pai Preson`s creative aspect in the topic, Bold and unconstrauned style, skill morely worships and imititates Xin Qi Ji, its phrase make of depth with wide degree because is close with ages mutually allied, nave deep reflection time spirit of characteristic, so surmonted Su Shi in the bold and unconstrauned patties, the important position that is after the phrase history ascend have already accepted front.

      • KCI등재

        "임중(任重)"의 "시대정신" 발현과 "도원(道遠)"의 "우리철학" 정립 문제 -『시대와 철학』제1호(1990)~제19권4호(2008)에 게재된 "동양철학" 논문을 중심으로

        이철승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1990년부터 2008년까지 『시대와 철학』에 게재된 `동양철학` 관련 글들 가운데 상당수는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신이 투영되어 있지만, 일부 논문은 시대 문제에 대한 의식보다 이론을 단순히 소개하고 있다. 필자는 `시대정신`의 발현과 `우리철학`의 정립 문제라는 문제의식으로 14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가운데 103편은 오늘날 우리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전통 철학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는 형식을 띠고 있는데, 각 영역은 중국, 한국, 북한, 일본 등의 전통 사회에서 발생한 철학 내용이며, 주제는 유학(선진유학, 성리학, 양명학, 한국성리학, 한국실학, 기철학, 현대신유학), 불교, 도가를 비롯해 제자, 자유주의, 중국식마르크스주의, 문화, 미학, 근대성, 서학, 근현대사상, 출토문헌, 연구동향 등이다. 나머지 37편은 오늘날 우리 시대에 발생한 문제에 대한 논문이다. 그 가운데 25편은 연구 태도, 번역과 해석, 페미니즘, 신과학 운동과 과학 기술과 아나키즘, 민족 등에 관한 것으로, `책임이 막중[任重]`한 연구자들의 `시대정신`이 발현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문제의식을 잘 드러낸 것에 비해, 문제에 대한 대안의 측면에 제한적이다. 그리고 나머지 12편은 `우리철학`의 정립과 관련된 논문이다. 이 논문들은 오늘날 우리 시대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에 멈추지 않고, 시대 문제에 대한 대안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내용이 대부분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 체계적으로 완성된 논문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우리철학`을 정립하는 일은 여전히 `갈 길이 먼[道遠]` 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철학은 시대의 산물이고, 관계의 어울림이며, 삶의 길잡이이다. 스무 살의 청년이 된 『시대와 철학』은 앞으로 시대에 대한 문제의식을 더 분명하게 갖고, 시대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從1990~2008年, 在『時代與哲學』登載的有關"東洋哲學"論文當中, 相當數包含著解決時代問題的方案。但是, 其中的一部分論文僅僅羅列一些理論, 幷沒有深入分析了時代問題。筆者按照"時代精神"發揮與"我們哲學"定立問題的觀點分析了140篇的論文。當中103篇介紹了有關傳統哲學的內容, 其中大部分是在當今學界裏經常被提出的主題。各別領域爲發生在中國, 韓國, 北朝鮮, 日本等傳統社會裏的哲學內容。他主要包含著儒學(先秦儒學, 性理學, 陽明學, 韓國性理學, 韓國實學, 氣哲學, 現代新儒學), 佛敎, 道家, 諸子, 自由主義, 中國式馬克思主義, 文化, 美學, 近代性, 西學, 近現代思想, 出土文獻, 硏究動向等的主題。其餘的37篇是, 有關如今社會問題的論文。其中的25篇是關於硏究態度, 飜譯與解釋, 男女平等主義, 新科學運動, 科學技術, 無政府主義, 民族等的內容。這裏表現著"任重" 硏究者的"時代精神", 可是他們的硏究只是提出了問題而是沒有充分的對策。剩下的12篇是有關定立"我們哲學"的內容。這些論文不僅反映了如今的時代問題, 還提出了時代問題的解決方案。완惜的是, 其內容的大部分只是留在初步想法, 還沒有系統的硏究結果。樹立"我們哲學"被認爲仍然是個"道遠"的事, 但這件事是個必須被完成的任務。哲學是時代的産物, 是關係的和諧, 是人生的指標。『時代與哲學』已經成了二十歲的靑年。他應該不斷探索時代的問題, 還要努力尋조問題的解決方案。

      • KCI등재

        1949년 사회주의 중국 건국이 중국철학에 미친 영향 : 사회주의 중국 성립 이전과 이후 풍우란(馮友蘭) 철학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중심으로

        이상화 ( Lee¸ Sanghwa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주의 중국 건국 이전과 이후 풍우란(馮友蘭) 철학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분석하여 사회주의 중국 건국이 중국철학에 끼친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과 이후의 풍우란 철학의 단절성을 살펴볼 수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첫째 철학에 대한 이해, 둘째 역사와 철학사에 대한 이해, 셋째 공상(개념, 보편)과 수상(개별, 특수)의 관계에서 단절성이 보인다. 이어서 연속성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공상(보편성) 중심의 사유가 지속된다는 점, 둘째 서양중심의 학문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 셋째 쓰인 역사와 쓰인 철학사를 본래 역사와 본래 철학사와 구분한다는 점이 풍우란의 연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단절성과 연속성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단절성의 이유는 1949년 이후에 풍우란에 대한 비판이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비판 내용을 보면, 풍우란 저작에 대한 계급성과 풍우란 철학의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풍우란은 자신의 부르주아계급성, 형이상학성에서 벗어나야할 상황에 처해있었다. 또한 사회주의 중국의 지성계는 기존의 철학 혹은 중국철학에 대해 인정하는 범위가 정해져 있었다. 그에 맞춰 풍우란 사상은 변화할 수밖에 없었다. 그 범위는 물질의 1차성(유물주의)과 계급성, 그리고 변증법이었다. 이 범위에 맞지 않는 풍우란의 철학은 교정될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연속성의 원인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풍우란의 신실재론이 유물론과 내적·형식적으로 친화적이었다는 이유가 존재한다. 신실재론은 보편 논리의 실재성을 강조하고, 사적 유물론(유물사관)은 역사발전 법칙의 실재성을 인정한다. 풍우란의 입장에서 보면, 생각의 변화가 어렵지 않았다. 자신이 주장하던 ‘보편성’(공상)이 철저하게 물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만 고려하면 유물론은 어렵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는 관점이었다. 또한 사회주의 중국에서 강조된 변증법도 풍우란의 사고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이었다. 이 변증법을 통해 풍우란은 기계적 유물론에서 벗어나 자기 사고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of Fung Yulan’s philosophy before and after the founding of socialist China,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its founding had on Chinese philosophy. There were changes in Fung’s philosophy before and after the Chinese socialist revolution. First, a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philosophy; second, a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philosophy; and third,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al and special. We also look at the continuity of Fung’s philosophy. First, the universality-oriented reasons persist. Second, Fung maintains a Western-centered view of learning. Third, he distinguishes between written history and original history. In addition, the reasons for this disconnect and continuit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for the disconnect is that criticism of Fung has persisted since 1949. The majority of the criticisms were about the work of Fung and the metaphysics of Fung’s philosophy. Fung was 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he had to deviate from his bourgeois class, metaphysics. In addition, the intellectual world of socialist China had a range of recognition for existing philosophy or Chinese philosophy. In response, the ideas of Fung had no choice but to change. The range was the primary nature of matter (physicalism), class, and dialectic. Fung’s philosophy not within this scope had to be corrected. Next, we can look at the causes of continuity. First of all, there is the reason that Fung's theory of neo-realism was friendly to materialism, internally and externally. Neoclassical theory emphasizes the practicality of universal logic, and historical materialism recognizes the practicality of the law of historical development. From Fung's point of view, changing his mind was not difficult. It is enough to understand that the universality(共相) that he claimed was thoroughly based on materials. Materialism was an acceptable point of view. In addition, the dialectic method emphasized in socialist China was also the driving force that enabled Fung to maintain his thinking. Through this dialectic, Fung was able to carry out and announce some deviations frommechanical materialism.

      • KCI등재

        현대 중국사상계의 문화산업에 대한 인식과 연구 동향 — 문화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관방학계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이철승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21세기 세계는 문화를 산업의 주요한 영역으로 여긴다. 중국 역시 이러한 시대의 조류에 호응하며 문화산업을 육성한다. 중국은 2000년 10월에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제15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통과한 「국민 경제와 사회 발전의 제10차 5개년 계획(2001~2005)을 제정하는 것에 관한 중공중앙의 건의」를 통해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로 했다. 중국의 문화산업 규모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사상계는 대부분 문화산업을 강조하는 중국 정부의 관점에 동의한다. 그들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강화하기 위해 문화산업이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곧 그들에 의하면 21세기의 중국은 문화산업의 발전을 통해 중국식 사회주의 사회를 완성하여 세계의 중심 국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문화’가 아닌 ‘문화산업’은 기본적으로 경제적인 이익 산출을 중시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사적 이익을 적극적으로 권장할 때 가능하다. 이 사적 이익이 확장될수록 자본주의적인 시스템은 강화되고, 문화의 양극화는 점점 심화된다. 자본주의적인 시스템이 사회의 공공 영역을 초과할 경우, 사회주의적인 요소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 사회주의적인 영역이 자본주의적인 영역보다 약화될 경우, 중국식 사회주의는 실체가 없이 개념만 남을 수 있다. 이러한 문화산업의 역기능 때문에 중국의 사상계는 다른 한편으로 문화의 공공 영역을 소홀히 하지 않는 ‘문화사업’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문화사업은 문화를 시장화의 대상이 아니라, 광대한 인민 대중이 향유해야 할 공적인 영역이다. 곧 그들은 문화사업의 발전을 통해 문화에 대한 평등의식을 확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중국사상계는 현재 문화 방면에까지 시장경제와 사회주의를 결합하여 중국식 사회주의를 실현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들의 염원이 성공할 확률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관계하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봉합한 상태에서 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필자의 견해는 그들에게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미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여 이념 논쟁에 치중하기보다, 실용주의적인 관점에서 중화민족의 부흥을 통해 세계에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현대 중국사상계의 문화산업에 대한 인식과 연구 동향 -문화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관방학계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이철승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21세기 세계는 문화를 산업의 주요한 영역으로 여긴다. 중국 역시 이러한 시대의 조류에 호응하며 문화산업을 육성한다. 중국은 2000년 10월에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제15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통과한 「국민 경제와 사회 발전의 제10차 5개년 계획(2001~2005)을 제정하는 것에 관한 중공중앙의 건의」를 통해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로 했다. 중국의 문화산업 규모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사상계는 대부분 문화산업을 강조하는 중국 정부의 관점에 동의한다. 그들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강화하기 위해 문화산업이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곧 그들에 의하면 21세기의 중국은 문화산업의 발전을 통해 중국식 사회주의 사회를 완성하여 세계의 중심 국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문화’가 아닌 ‘문화산업’은 기본적으로 경제적인 이익 산출을 중시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사적 이익을 적극적으로 권장할 때 가능하다. 이 사적 이익이 확장될수록 자본주의적인 시스템은 강화되고, 문화의 양극화는 점점 심화된다. 자본주의적인 시스템이 사회의 공공 영역을 초과할 경우, 사회주의적인 요소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 사회주의적인 영역이 자본주의적인 영역보다 약화될 경우, 중국식 사회주의는 실체가 없이 개념만 남을 수 있다. 이러한 문화산업의 역기능 때문에 중국의 사상계는 다른 한편으로 문화의 공공 영역을 소홀히 하지 않는 ‘문화사업’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문화사업은 문화를 시장화의 대상이 아니라, 광대한 인민 대중이 향유해야 할 공적인 영역이다. 곧 그들은 문화사업의 발전을 통해 문화에 대한 평등의식을 확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중국사상계는 현재 문화 방면에까지 시장경제와 사회주의를 결합하여 중국식 사회주의를 실현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들의 염원이 성공할 확률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관계하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봉합한 상태에서 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필자의 견해는 그들에게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미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여 이념 논쟁에 치중하기보다, 실용주의적인 관점에서 중화민족의 부흥을 통해 세계에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소외 문제와 어울림 철학 ―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의 허와 실을 중심으로

        이철승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5 No.-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표방한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이 현실 사회에 투영된 30여 년 동안 중국은 경 제 규모의 확대, 정치외교적인 위상의 제고, 과학기술의 진보, 국방력의 강화, 전통사상에 대한 긍 지 강화, 문화산업의 확대를 통한 문화의식 상승 등 많은 부분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중국인들은 중화민족의 부흥을 적극적으로 선양하고자 한다. 그러나 중국은 현재 이러한 외적인 화려함 못지않게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무차별적 개발로 인한 생태계 파괴 문제, ‘일부 부유’론으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현상, 저변에 확산된 부패 문제 등 소외의 증가에 의한 사회적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의 근원적인 원인은 이른바 ‘중국특색의 사회주의’라는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 이다.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은 이전 시대를 생산력이 낙후된 평균주의로 규정하고, 생산력의 발전 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았다. 그들은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 해결을 사회주의의 중요한 임무로 생각했던 사람들의 관점을 낡은 사상으로 평가하고, 사적 소유를 인정하는 시장경제를 ‘사회주의 시장 경제’라는 이름으로 수용하였다. 그런데 그들은 일부 사람들이 먼저 부유한 다음, 어떻게 공동으로 부유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 합리 적인 정책을 제시하지 않았다. 그들은 생산수단의 사유화란 이기심을 전제로 하는 그 자체의 속성 때문에 특별한 매개 없이 공유화로 전화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간과했다. 곧 그들은 이미 사유화의 달콤함을 경험한 유산자들이 어떻게 곧바로 자신의 재화를 ‘공동 부유’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깊게 성찰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21세기의 중국 지도부는 2004년, ‘중국공산당 제16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 체회의’에서 당면한 중국 문제를 해결하고 당의 집권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전통의 어울림 철학 을 수용한 ‘사회주의 화해사회’론을 제시한다. 이 이론은 2013년 현재 대표적인 정부 주도의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중화민족의 부흥을 위해 ‘중국의 꿈’을 강조하는 습근평(习近平)을 비롯한 신지 도부는 반부패, 공평과 정의, 어울림 등을 중시하는 이 이론의 관점을 현실 사회에 투영하여, 양극 화를 비롯한 사회적 갈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들의 바람이 쉽게 이루어질 것 같지 않다. 왜냐하면 현재 나타나는 문제는 생산력 과 생산관계의 모순에서 나타나는 필연적인 현상인데, 그들은 이러한 근본 문제의 해결보다 봉합 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China opened up its market about 30 years ago to practice the Chinese style of "socialist market economy". It is a common view that China has been successful for the last 30 years in making progres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economic scale, political and diplomatic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science and technology, military power, cultural industry, etc. Inspired by their achievements, Chinese people are anxious to revitalize their traditional culture. Despite their outstanding progress indicators in numerous fields, chinese society suffers many issues, such as ecosystem destruction, social polarization, and prevailing corruption. The main cause of these issues can be found in the Chinese socialist theory, which advocates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as its first priority. That is, the Chinese socialist theory disregards the original socialist efforts which aim at dissolving the conflict between productivity and productive relation, and adopts the market economy which allows the private ownership under the name of "socialist market economy". But the theory does not suggest reasonable measures to suppress the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Also, it ignores the fact that private property is buttressed by human self-interest and is hard to be turned into public ownership. In other words, the theory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at the propertied class might not be willing to give up their property for common wealth. Chinese political leaders started to recognize these issues imbedded in the Chinese socialist theory and suggested the theory of "socialist harmonious society" at the 4th plenary session of the 16th Chinese Communist Party Central Committee in 2004. This new theory is still one of the most influential guidelines even in 2013. Newly elected party leaders, including Chairman Xi Jinping who advocates "Chinese dreams", proposed their policies based on the new theory in oder to resolve the social issues, such as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justice, and corruption. However, the efforts of the Chinese leaders do not seem to be effective or realistic. This is mainly because they tend to ignore the fact that most of the Chinese issues are the unavoidable consequences of the conflict between productivity and productive 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