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자료의 활용 -『日本史B』 교과서와의 對較를 중심으로-

        정선화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1

        Starting with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issued in 2011), the school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ssued in 2013) of high school year. In March this year, Japan’s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after reviewing descriptions of the wooden tablet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response, he examined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 as a comparative example to examine whether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reflects the latest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in the right place. From the 1990s, which was earlier than Korea, Japan has included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its history text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ore wooden tablets than Japanese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writing wooden tablet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m. While Japan clearly described the value of the wooden tablets as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 its history textbooks, it can be seen that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any description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achievements of history studies.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data and accurately reflect the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From a perspectiv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ere reviewe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3 발행)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대 목간의 서술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 3월 역사교육연구회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목간 관련 서술 내용을 검토한 글을 게재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한국사』 교과서에 목간 관련 서술이 역사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비교 사례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우리보다 빠른 시기인 1990년대부터 고대 목간 자료를 역사교과서에 수록하였다. 山川出版社, 東京書籍, 実敎出版에 기재된 고대 목간은 「長屋王家」 관련 목간, 「郡·評論爭」 관련 목간, 「天皇」 호 관련 목간 등 3종류로 대별된다. 『한국사』 교과서는 고대 목간이 수록된 6종의 교과서에 6종류의 고대 목간이 등장한다.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목간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목간의 기재 방식이나 목간의 선정 방식에서부터 상당한 차이를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본은 역사교과서를 통해 1차 사료로서의 목간의 가치를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서술한 반면,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단순한 소개차원이거나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반하는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간 관련 서술은 1차 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서술하면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정확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면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관련 서술상의 특징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본 「세계사」교과서의 전근대 한국관련 서술 분석

        김은숙(Kim Eun-Sook)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본고에서는 2007년에 검정을 통과한 일본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5종(東京書籍,實敎出版의 ?세계사A?교과서와 淸水書院,山川出版社, 帝國書院의 ?세계사B?교과서)을 대상으로 전근대 한국 관련 서술을 검토하였다. 여기에서 확인한 일본 역사 교과서의 韓國史像은 1960년대와 별로 변한 것이 없다.즉 한국사의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고, 한국사 자체에 대한 언급이 소홀하고 부정확하였다. 그러면 일본교과서가 새로 등장할 때마다 한국사의 왜곡 문제로 한국측에서 문제점을 제시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러한 일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교과서의 내용을 구속하고 규정하는 ?學習指導要領?에서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2007년 검정본 일본 세계사 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學習指導要領解說』 (地理歷史編)을 검토하고 그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본 결과, 세계사 교과서에 묘사된 韓國史像이 ?학습지도요령?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즉 현행 ?학습지도요령?에 의하면 전근대 한국사는 동아시아세계사 속에서 전개되는데, 전근대 동아시아세계에서 중심은 중국이고 한국은 일본과 함께 주변에 불과한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이러한 동아시아세계에 관한 이러한 중국중심적 시작은 西嶋定生의 책봉?조공체제론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이 견해는 아직도 이를 극복하려는 새로운 연구들을 압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은 항상 중국 주변의 사소한 존재로 인식되어 현행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에서도 중국중심의 세계관이 반영된 전근대 동아시아 인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5종의 교과서 중에서 實敎出版의 世界史A 교과서가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학습지도요령?을 반영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일본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 왜곡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하는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의 내용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of pre-modern age in five Japanese world history textbooks authorized by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日本文部科學省) in 2007. In those textbooks, the autonomy of Korean history is ignored, and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s neither sufficient nor accurate. Whenever new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in Japan, Korean scholars pointed out false or distorted accounts about Korean history in those textbooks. But the image of Korean history in world history textbooks of Japan has not changed since the 1960s. What accounts for this? This is related with the history curriculum of Japan. In Japanes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authors of world history textbooks have to write according to ‘Course of Study(學習指導要領)’.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n the present ‘Course of Study for High School: Geography and History(高等學校學習指導要領, 地理歷史編)’ and it’s ‘Teachin Guide(解說書)’(reformed in 1999) need to be scrutinized. According to present ‘Course of Study’ and it’s ‘Traching Guide’, the pre-modern history of East Asian world in world history subject is framed from the Sino-centered view. In the pre-modern East Asian world the hisory of Chinese empire and it’s investiture-tribute system are depicted as taking center stage, while Korea and Japan as periphery. The textbook of jitkyo shupan(實敎出判) is the extreme case of such viewpoint. To improve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ical textbook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urriculum, ‘Course of Study’ and it’s ‘Teaching Guide’ which restrain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 KCI등재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정순일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In this article, we analyze how Japanese Buddhist monks are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s in both Korea and Japan. At this time, I consider that history textbooks are texts that intensively show recent research trends while containing research achievements accumulated in the academic world for many years. Among Korean history textbooks, East Asian History and World History , which contain descriptions of Japanese history, are analyzed. Among Japanese textbooks, Japanese History B textbook, which covers pre-modern history, is mainly considered. Furthermore,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monks who entered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Kento-shi (Japanese envoy to Tang China)' and 'Kokufu Bunka (Japan's original national culture)'. Through this, I expect to be able to confirm how the narratives related to traveling monks have been positioned within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history maintained by Japanese academia for a long time. And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how the schematized explanation method influenced the amount, content, and form of the description about monks. 이 글에서는 역사교과서가 다년간 학계에서 축적된 연구성과를 담고 있는 동시에, 최근의 연구 경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텍스트라는 점을 고려하여, 한일 양국의 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고대 일본의 입당승・입송승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한국의 경우 일본사 관련 서술을 담고 있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 세계사 를, 일본의 경우 전근대사를 포괄하고 있는 일본사B 교과서를 위주로 고찰한다. 나아가, 입당승・입송승 관련 서술을 ‘견당사 정지’ 및 ‘국풍문화 발달’이라는 문맥과 연관지어 분석해보려고 한다. 이로써 도해승 서술이 일본 학계가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해온 통념적 역사 이해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되어 왔는지, 또 도식화된 설명 방식이 입당승・입송승 서술의 분량, 내용, 형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