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장환의 시간 ―『병든 서울』에 나타난 시간의 중의적 의미를 중심으로

        오세나(Oh, Se-na)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본 연구는 근대시인 오장환의 시집 『병든 서울』에 나타난 시간의 중의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병든 서울’에서 ‘병든’에 사용된 관형사형 어미 ‘-ㄴ-’은 과거형과 현재형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의미는 ‘병들어 있는’의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고 ‘병들어 버린’의 과거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시간의 차이는 오장환의 시 의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병든 서울』에 수록된 시들은 1945년에 창작되었기 때문에 해방기 시간을 연구 범위로 한다. 또한 시간에 대한 이해는 하이데거의 현존재가 바라보는 존재론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기독교적 시간 이해 방법인 크로노스와 카이로스를 통해 ‘현재’적인 시간과 ‘과거’적인 시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연구 결과 『병든 서울』에는 오장환이라는 현존재가 병든 서울의 모습을 ‘현재’(크로노스)로 바라본 부정적 현실과 그것을 ‘과거’(카이로스)로 넘기고 새로운 소망의 시간, 기회의 시간을 기다리는 의식이 포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시간의 주관적 변용에 대한 이해가 시에 투영된 시인의 의식을 파악하는데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시간연구의 지평을 넓혀 줄 것을 확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biguous meanings of time shown in the poetry Sick Seoul by Oh Jang-hwan. The suffix ‘-ㄴ-’ used in 병든[Sick] in ‘Sick Seoul(병든 서울)’ can be used in both past and present forms. The meaning can be the present status ‘is getting sick’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terpreted as past as ‘caught an illness and is sick’. The difference of time presents important direction in the understanding of his poetic awareness. As poems in Sick Seoul were written in 1945, this article dealt with the time of independence. In addition, the time is understood as the ontological view of Heidegger, and it is divided into ‘current’ time and ‘past’ time through Chronos and Kairos, the Christian method to understand the tim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in Sick Seoul there is a negative reality that Oh Jang-hwan as Dasein looks at the image of sick Seoul as Present(Chronos) and the consciousness of waiting for the time of new hope so to speak the time of opportunity passing the negative reality as the Past(Kairos).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time would be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consciousness of the poet projected in poems and it will surely further expand the horizon of studies on time.

      • KCI등재

        오장환 후기시와 고향의 동력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6

        이 논문은 ‘나 사는 곳’의 일제 말기뿐 아니라 해방 후 오장환의 시편에서도 ‘고향’ 모티프가 주된 동력으로 작용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오장환의 후기시는 해방기의 새로운 현실에 부응하는 고향 찾기와 모색의 과정을 보여준다. 현실에의 기대와 환멸, 실천과 좌절, 내적 성찰로 이어진 그의 시의 과정은 ‘새 고향’과 ‘옛 고향’의 상보적 관계를 통해 구성된 특징이 있다. 시 「병든 서울」을 통해 서울을 이념의 ‘새 고향’으로 설정하게 된 오장환은 1945년 말부터 “똥수깐”으로 변한 현실과 마주하면서 회의와 환멸에 빠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새 고향에 계속 남아야 할지, 어머니가 있는 ‘옛 고향’으로 돌아가야 할지의 고민은 1946년 초의 그에게 중요한 문제가 된다. 새 고향의 방법적 모색을 위해 일단 서울에 남게 된 그는 문학가동맹과 함께 하면서 문예 대중화를 실천하기도 하지만, 미소공위 결렬에 따른 현실의 벽 앞에서 다시 옛 고향을 찾는 모습을 보인다. 어머니의 “크나 큰 사랑”이 있는 옛 고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한 그는 이후 농민시론을 모색하거나 농촌 현실의 구조적 문제를 시화하면서 옛 고향의 생명력을 통해 “다시한번 용기와 히망”을 얻기에 이른다. 이 용기와 희망의 에너지로 ‘새 고향’ 수립을 위해 다시 한 번 대사회적 실천을 전개한 것이 1947년 오장환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시는 집단적 목적의식과 투쟁의식에 일체화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과거와 달리 현실에 대한 주체적 모색을 상실하고 만다. 이후 총검거로 상황이 열악해지자 그는 소월의 말년을 거울삼아 또 한 번 옛 고향으로의 귀향 가능성을 타진한다. 새 고향의 추구가 어려워질 때마다 옛 고향에서 활로를 찾으려는 태도가 반복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런 점에서 고향은 일제 말뿐 아니라 해방 후의 오장환 시까지를 움직여간 중요한 시적 원천이었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at the ‘hometown’ worked as a major poetic dynamic not only in ‘Where I Live’ during the lat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in Oh, Jang-hwan’s poems after the Liberation. Oh, Jang-hwan’s later poems show the process of his search for and pursuit of hometown in response to the new reali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is later poems consist of expectation and disillusion from the reality, practice and frustration, and inner reflection, and these represen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new hometown’ and ‘old hometown.’ Just after the Liberation, Oh, Jang-hwan defined Seoul as ‘new hometown’ through his poem ‘Sick Seoul,’ but seeing the reality that the city turned into “toilet,” he fell in skepticism and disillusion. At the beginning of 1946, consequently, he wandered between staying in the ‘new hometown’ and returning to the ‘old town’ where his mother was. In methodological search of new hometown, he remained in Seoul and was involved in the Literature and Art Popularization Movement with progressive literature groups, but faced with the barrier of political reality, he appeared to search for the old hometown again. In the old hometown where the mother’s “great love” was, he discovered new possibility and sought peasant poetics or created on the theme of the structural problems of farm villages. Going further, he came to attain “courage and hope once again” through the vitality of the old hometown. With energy from the courage and hope, in 1947, he waged another pro‐social campaign for constructing ‘new hometown’ in Seoul. At the same time, however, his poems showed the tendency of being incorporated into a collective sense of purpose and a sense of struggle, losing the trait of subjective searching for the reality. As the situation grew unfavorable due to the mass arrest, Oh, reflecting calmly on Kim, So-wol’s later years, considered returning to the old hometown again. That is, it appeared repeatedly that he tried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 old hometown whenever it became difficult to pursue new hometown. In this sense, hometown was an important poetic source that directed Oh, Jang-hwan’s poems not only during the lat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 연구

        한세정(Han, Se-Jeong)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이 논문은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직후 오장환이 번역한『에세-닌 시집』은 해방기 오장환의 시적 모색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창작시집보다도 먼저 간행된『에세-닌 시집』은 오장환이 ‘해방기’의 특별한 역사적 인식 아래서 기획적으로 번역한 창작물로 주목된다. ‘러시아 혁명’과 ‘식민지 해방’이라는 역사적 공감대 속에서 오장환에게 예세닌 시는 해방기 시단에 대응될 수 있는 문학적 가능성을 보여준 전범으로서 인식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예세닌 시에서 ‘모스크바’로 표상되는 ‘내 나라’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오장환은 ‘모스크바’ 표상을 통해 혁명기 러시아 현실에 적극적인 인식을 보여준 예세닌 시의 특징을 수용함으로써 해방 이후 ‘병든 서울’로 표상되는 조선의 현실을 직시하고 성찰하는 태도를 심화한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는 ‘모스크바’가 표상하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하고 절망적 태도를 보이는 예세닌 시와는 달리 ‘병든 서울’이 표상하는 해방 후 현실을 목도하면서 새롭게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변별점을 지닌다. 오장환 시에 나타난 또 다른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고향 모티프로 이루어진 시편에서 확인된다. 해방기 오장환은 예세닌의 귀향 시편에 나타난 고향 모티프를 변주하여 ‘돌아가야 할 땅’으로 고향을 환기시키고 이념적 공간으로서 고향의 의미를 변주하고 확장한다. 예세닌 시에서 화자가 돌아온 고향의 현실에 절망하고 있었다면 오장환 시의 화자는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공간으로서 고향을 인식한다. 오장환의 해방기 시에서 고향은 화자의 이념이 성취될 수 있는 긍정적인 공간으로 제시된다. 오장환은『에세-닌 시집』을 출간함으로써 해방 이후 자신의 문학적 입지점과 시적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었으며 예세닌 시를 독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시 세계를 확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오장환은 예세닌 시를 통해 ‘지금 여기’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동시에 그가 비판적으로 평가했던 예세닌 시의 특징을 쇄신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시적 방법론을 구축한다.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은 주체적인 관점에서 예세닌 시를 창조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발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ose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ir effects on the poetic world of Oh, Jang-Hwan. Esenin’s Collection of Poems, which was translated by Oh, Jang-Hwan, offers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his poetic search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eing published before his collection of creative poems, the Collection attracts attention as a collection of creative works that he translated according to his plan based on the special historical perceptions of Liberation period. He must have taken Esenin’s poems as classics that demonstrated the literary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poetical circl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ased on the historical consensus of ‘Russian Revolution’ and ‘liberation of colony’.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e works of Oh, Jang-Hwan are related to Esenin’s perception of “my country” represented by “Moscow.” By accep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of Esenin, who exhibited active perceptions of Russian reality during the Revolu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Moscow,” Oh, Jang-Hwan intensified his attitude of facing squarely and looking back on the reality of Joseon represented by “sick Seoul.” His poems are, however, distinguished from those of Esenin, who failed to correspond to the reality of Soviet Russia represented by “Moscow” and showed a desperate attitude, in that he searched for new directionality in the reality represented by “sick Seoul.” Another acceptance pattern of Esenin"s poems in Oh, Jang-Hwan’s works is found in his poems based on the hometown motif. Oh, Jang-Hwan aroused the significance of hometown as “land to return to” by altering the hometown motif in Esenin’s poems about homecoming and also altered and expanded the meanings of hometown as an ideological space. In Esenin’s poems, the speakers get frustrated with the reality of hometown and fail to fuse with it. In Oh, Jang-Hwan’s poems, on the other hand, the speakers perceive the hometown as a space of new possibilities, in which case the hometown is reorganized as a positive space where an ideology can be fulfilled. Oh, Jang-Hwan clearly presented his literary positions and poetic strategies after Liberation by publishing Esenin"s Collection of Poems and showed the pattern of expanding his poetic world by accepting Esenin’s works independently. He deepened his perception of “right now, right here” through Esenin’s poems and established a more active poetic methodology about the reality by renov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senin’s poems that he was critical of. The acceptance patterns of Esenin’s poems in the poems of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laim their significance in that he accepted Esenin’s poems in a creative manner from an independent perspective.

      • KCI등재

        식민과 해방; 두 "탑" 사이의 거리 -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

        장만호 ( Man Ho Jang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오장환의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이다. 해방 후 발간된 『病든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해방기 시편들과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월북 이후 오장환의 시를 통해 해방에서 월북에 이르는 오장환의 시적 이력과 정치적 행보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필자가 찾아낸 오장환의 시 「탑」과 번역시 「튀스터-氏」, 한효의 오장환 관련 평문은 해방을 맞이한 순간부터 월북에 걸친 시기의 오장환의 시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오장환은 식민지 시기의 행적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을 일회성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이 점에서 오장환의 자기반성은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의 해방기 시편들은 피식민의 역사를 건너 온 한 시인의 자기반성과 머뭇거림을 당대 어느 시인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개아적(個我的)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월북 후 오장환은 「탑」을 발표하는데 이 시는 식민지 시기 「絶頂의 노래」와 상호 참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탑」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과 다짐을 노래하였지만 북한 내에서 이 시는 봉건적이며 재래적인 시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두 시의 대상인 ``탑``의 거리는 오장환 개인에게 있어 피식민의 억압으로부터 새로운 세상을 기약하고자 한 바람의 거리였지만, 해방기 시문학사로 보면 해방기 남과 북, 또는 정치와 시의 거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Jang-hwan`s career as a poet and political practices from the liberation to detection to North Korea through his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Byeong-deun Seoul``(Diseased Seoul)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and poems written after his detection to North Korea, newly unearthed by the author. Especially, his poem ``T`ap``(Pagoda) and translated poem ``Mister Twister`` newly unearthed and Han, Hyo`s criticism related to Oh, Jang-hwan are expected to offer new persp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Oh`s poems. It seems that Oh, Jang-hwan had been thoroughly and consistently reflecting on his whereabouts in the colonial period not as a one-off thing and in this respect, we needs to shed new light on Oh`s self-reflection. His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much more clearly showed self-reflection and hesitation of a poet who had passed the history of colonized nation than any other poets in that period and displayed ``individual sincerity`` based on this. After detection to North Korea, Oh wrote ``Pagoda``, which showed the cross-referential characteristics with poem ``Song of Zenith``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He expressed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in poem ``Pagoda``, however, it was criticized as feudal and conventional in North Korea. To Oh, Jang-hwan, the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objects of poems, was the distance of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free from the suppression due to the colonization, but it also showed the dis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or politics and poetry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 history back then.

      • KCI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질병과 생명의 문제

        김종태(Kim, Jong-tae)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8 No.-

        Oh jang-hwan is the poet who was active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thesis studied matters of disease and life in Saengmyeongpa(Life Shool) Oh jang-hwan’s all poems. Oh jang-hwan resisted inconsistency of times through grotesque diabolism. ‘Chapter2. loss of the paternal nature and dangerousness of the modern life’ discussed Oh jang-hwan’s early poems. His early poems embodies reproach criticism of traditions and history. He explored pollution of a body and form of disease with the modern environment. ‘Chapter 3. vitality like something evil and a sensuous sublimation of a death consciousness’ discussed Oh jang-hwan’s middle poems. His middle poems embodies acceleration of contraction of life. He marked death down as beauty and wad concerned about contradictions of the Christian faith. ‘Chapter 4. a longing of cure and rebirth though a maternal instinct and ideology’ discussed Oh jang-hwan’s late poems. His late poems embodies new life though a maternal instinct and ideology. The maternal instinct which he sought was connected by ideology. Oh jang-hwan’s poem included deep thought in time and history. Also, his poem embodied pain and tragedy at the colonial era. This thesis want to be the new forum for debates of Oh jang-hwan’s po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