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增東國輿地勝覽』의 ≪新都八景≫과 『大明一統志』의 ≪京師八景≫ 비교

        안장리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6

        This thesis compare ≪Sin-do pal-gyeong≫ in 『Dong-guk yeo-ji-seung-nam』 with ≪Gyeong-sa pal-gyeong≫ in 『Tae-myeong il-tong-ji』. Because the poets’ subject is the capital of Joseon and Myeong. These were reported in the geography book compile by government. The ‘pal-gyeong-si 八景詩’ with capital was created by bureaucrat of the Joseon and Myeong for propaganda. Also pal-gyeong-si was considered a poem of the country praise. An ‘je-yeong’contents was added in 『Dong-guk yeo-ji-seung-nam』, because chinese culture is embraced korea. The subject of ≪Gyeong-sa pal-gyeong≫ is three. The first is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defence. The secend is a invitation of talented person, The third is enjoyment of an ideal world. The subject of ≪Sin-do pal-gyeong≫ is constructing an ideal world by king, bureaucrat and people. The ideal world of Joseon is more need participation. Since then, ≪Sin-do pal-gyeong≫ and ≪Gyeong-sa pal-gyeong≫ is created continuously. And it has enfluence the fashion of pal-gyeong-si in korea and china. 본고는 조선의 ≪新都八景≫과 명나라 ≪京師八景≫이 14세기 말 15세기 초에 조선과 명나라 양국에서 도읍을 대상으로 창작되었으며, 모두 국가편찬 지리지에 수록한 점에 착안하여 창작 및 수록 배경, 수록 내용 등은 물론 시의 내용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한편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瀟湘八景을 전범으로 삼아 탈속한 세계를 주제로 하는 팔경시의 경향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명나라와 조선은 건국 후 수도를 옮긴 뒤 새로운 도읍의 타당성을 홍보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팔경시를 창작하였다. 또한 지리서 편찬에 있어서도 국토에 대한 찬시를 첨부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관련 시들이 지리서에 수록되었다. 특히 『동국여지승람』에는 ‘題詠’條가 신설되어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팔경시가 대량으로 수록되었다. 이는 조선이 중국문화 수용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면모를 지녔음을 보여준다. ≪新都八景≫과 ≪京師八景≫을 비교하면 명나라가 국방의 강화, 인재초빙, 자연스런 왕화 실현을 통한 선계 향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조선에서는 국방의 강화나 성리학의 교화에 있어서 왕과 신하, 백성들이 부단한 노력을 통해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어 천년간 지속될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 조선이 지향한 세계상이 보다 실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新都八景≫은 조선에서, ≪京師八景≫은 청나라는 물론 조선에까지 계속 창작되었는데 이와 같은 지속과 국가 편찬 지리지의 수록 등은 한중양국에서 팔경시의 유행을 공고히 하고 확대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歷史文獻資料를 대상으로 한 地名 硏究의 成果와 課題

        박병철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1

        Researchers of toponymy has focused o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Geography sections of History of Three Kingdoms, and studied native place names in Songs of Flying Dragons and Chosun Geographic Materials. However, place names in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which is published in early Chosun Dynasty, History of Goryeo, Geography sect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and Geographical Map of Korea, which is the most important book on geography in late Chosun Dynasty, are mostly neglected as the object of comprehensive study. As a result, though the origin and history of most place names in Korea are identified, still remains many unsolved and controversial materials. For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toponyms, it is required to find new documents hitherto neglected i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nd to do a systematic research on place names registered in Geography books of Chosun Dynasty which have been the object of insufficient study.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tarting point of research with an indisputable document of later period for the historical study of place names of earlier period. 그동안 지명 연구자들은 역사문헌 자료 중 『三國史記』 「地理志」에 주목하면서 『龍飛御天歌』의 註解에 나오는 정음표기 지명, 그리고 『朝鮮地誌資料』에 실려 있는 지명에 관심을 두었다. 상대적으로 조선 초기에 편찬된 『(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하여 『高麗史』와 『世宗實錄』의 「地理志」에 실려 있는 지명 그리고 조선후기의 대표적 지리지인 『輿地圖書』에 나오는 지명에 대해서는 관심의 정도가 높지 않았다. 그동안의 연구를 통하여 古代地名을 비롯한 韓國地名의 실상을 상당 부분 파악하였다. 하지만 아직도 未解決로 남아있거나 論難이 거듭되고 있는 부분이 많다. 보다 진전된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國內外의 歷史資料 發掘과, 그동안 검토가 미흡했던 조선시대 지리지의 지명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논란의 여지가 없는 후대의 客觀的 資料를 확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이른 시기의 지명에 대한 탐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전기 이전의 지리지와 지명

        박병철 ( Park Byeong-cheol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지리지」란 일정한 지역 내에 분포하는 땅과 관련된 제 현상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중앙집권제 강화와 통치 자료 확보 나아가 문화적 이념의 확산을 위하여 지리지가 편찬되었다. 시대 상황을 반영하며 편찬된 지리지 중 우리나라 최초의 지리지인 『三國史記』「地理志」는 대부분 군현의 명칭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高麗史』「地理志」에서는 각 군현의 명칭을 그 연혁과 함께 열거하였다. 이들 사료는 이칭과 함께 복수의 형태를 제시한 경우도 있어 당시의 언어를 비롯한 지리, 역사, 민속 등을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조선의 건국과 함께 중앙집권화가 진전되면서 각 지역의 지리를 비롯한 종합적 정보를 담은 지리지가 편찬되었다. 『世宗實錄』「地理志」의 경우 군·현명 위주의 자료가 대부분이지만 동리명, 향·소·부곡명, 산명, 역명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마을명칭으로 볼 수 있는 所屹串里, 加左谷, 牛項등의 명칭을 확보할 수 있다. 비록 이들 지명은 한자로 표기되었지만 솔곶이, 가자골, 쇠목 등을 표현한 것으로 한국 지명의 원초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전성기 조선의 주역들이 영속적인 지배를 염원하며 문화적 내용을 강조하여 편찬한 것이 조선 전기 지리지의 결정판 『(新增)東國輿地勝覽』이다. 그 명칭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 문헌은 단순한 지리지가 아니라 이 땅에서 축적된 문화까지 망라된 종합지이다. 앞선 시기의 지리지가 군·현명을 중심으로 한 행정지명의 반영에서 출발하였지만 이 문헌은 산천명을 비롯한 자연지명과 문화를 담은 인문지명까지 망라되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지명이 한자어화하였으며 그 영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Geography is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all the aspects of land in a limited area. Its publication serves as the consolidation of centralized government by accumulat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spreading cultural ideology. Geography sections of History of Three Kingdoms, which is the first extensive treatise on geography published in Korea, lists the place nam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Geography sections of History of Goryeo follows the example of History of Three Kingdoms and put together the place names and their history of counties and prefectures. These documents also contains variations of some place names and are 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language, geography, history, folklore of those days. As the centralized government is intensified with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comprehensive treatises on geography that encompass all the area of Korea are published. Most parts of Geography sect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deal with counties and prefectures. However, there can be found contemporary and ancient names of villages, mountains and post towns. '所屹串里', '加左谷', and '牛項' are some examples of such village names. Though transcribed in Sino-Korean words, these are faithful translations of '솔곶이', '가자골', and '쇠목' and thus reflect the archetype of native Korean place names.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is a definitive book of geography in early Joseon period with its emphasis on cultural aspects. It is published by the protagonists of the glory days of Dynasty who aspired everlasting power and authority. As the title suggests, it is a compendium that encompasses all the cultural aspects rather than a simple description of geography. By including place names of all natural, physical, cultural and human geographic elements, it surpasses all the former treatises of Geography which ar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administrative names. As a result, almost all the names are transcribed in Sino-Korean words and it still effects current naming of place names.

      • KCI등재

        『東國輿地勝覽』에 반영된 自主意識

        徐仁源(Seo, In-W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29

        『동국여지승람』은 세종 조에 편찬된 지리지 이후, 변경된 사항을 바로잡기 위하여세조 조부터 시작하여 1477년에 양성지 등이 완성한?『팔도지리지』에 우리나라 문사들의 시문을 첨가하여 1481년(성종 12)에 50권으로 완성되었다. 이 책은 1485년(성종 16) 김종직 등에 의해, 1499년(연산군 5) 임사홍·성현(成俔) 등에 의해 2차에 걸쳐 교정과 보충이 이루어졌으며, 중종 조에는 새로운 보충 작업이 시도되어 『신증동국여지승람』으로 전해지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을 주도했던 인물은 조선 초기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成宗의 6대 왕조를 거치면서 군주의 신임을 두터이 받은 양성지였다. 그는 조선 초기 훈구파들 중에서도 변계량과 함께 가장 강력한 자주주의자였다. 따라서 그는 민족주의적 역사인식과 지리인식을 바탕으로 天祭에 대한 거행을 주장하는 등 자주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양성지는 단군을 신화 상의 인물로 파악하지 않고, 실제 인물로 파악하면서 중국과 대등한 역사의 시작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우리도 중국처럼 제천 행사를 단독적으로 치루자고 함으로써 중국에 예속되지 않은 자주 독립 국가임을 강조하였다. 지리에서는 요동에 이루는 광활한 영토가 우리의 땅임을 강조하면서 언젠가는 수복할 지역으로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양성지의 역사·지리·문화의 자주적 의식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동국여지승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친 수찬과 한 차례에 걸친 신증으로 인하여 양성지의 자주의식을 부분적으로 밖에는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Adding poetry and prose of our country"s literary men to Paldojiriji commencing from King Sejo to correct changed matters since Jiriji compiled at the reign of Sejong and completed by Yang Seong Ji in 1477,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was completed as 50 volumes in 1481(the 12th year of Seongjong"s rule). This book was proofed and complemented over two times by Kim Jong Jik in 1485 (the 16th year of Seong"s rule) and by Yim Sa Hong, Seong Hyeon in 1499(the 5th year of Yeonsangun"s rule), and supplemented anew at the reign of Joongjong, and handed down as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The figure taking lead of compiling Donggukyeojiseungram was Yang Seong Ji trusted by the kings through Sejong, Moonjong, Danjong, Sejo, Yejong, and Seongjong early Joseon Dynasty. He was the foremost independence proponent along with Byeon Gye Ryang among meritorious retainers early Joseon Dynasty. Thus he shows awareness of independence by arguing performance for the ritual for the heaven based on nationalistic perception of history and geography. Not understanding Dangun as a mystical character, but as an actual character, Yang Seong Ji stresses the start of history corresponding to China. Also he insisted we should independently perform a ritual event for the heaven like China, by which he emphasized that we are an independent nation not subordinated to China. Geographically, pointing out that the spacious territory reaching Liad?ng is our earth, he underscored that it should be restored whenever. Likewise, it is the very Donggukyeojiseungram that reflects Yang Seong Ji"s awareness of independence about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However, due to editing twice and addition once, it has limitations of being understood only partially.

      • KCI등재

        문학과 문화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난 온양팔경시(溫陽八景詩)연구

        강지혜 ( Ji Hye K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자연의 경관을 여덟 수의 시로 읊은 팔경시는 고려시대 이후 우리나라에 전해졌다. 조선 이전에는 개인문집에 한정되어 경관을 읊던 팔경시가조선 이후에는 고을에서 간행한 읍지 및 국가적 차원에서 간행된 문서에 수록되게 된다. 온양팔경시 역시 이처럼 국가적 차원에서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동국여지승람』의 토지·면적·인구·행정·군사 등의 측면을 약화하고 인문·예속·시문 등의 측면이 강화하여 증수한 것이다. 온양팔경시는 이숙함과 임원준 두 사람이 1483년(성종 14) 3월에 지은팔경시이다. 이숙함과 임원준은 1464년(세조 10)에 세조가 정희왕후와 온양에 행차했을 때 함께 했던 인물들이다. 특히 임원준은 당시 세조의 명으로 비석에 신정에 대해 기록했던 인물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정에 대한 기록만 남겼을 뿐, 시를 짓지는 않았다. 이후 이숙함과 임원준은 1483년, 정희왕후가 안순왕후와 인수대비와 함께 온양에 갔을 때, 다시 온양의 행궁을 방문하게 된다. 이때, 정희왕후는 약 20년 전 세조가 세운 비석의 글이 상한 것을 보고 이전에 비석에 기록한 적이 있는 임원준으로 하여금 다시 기록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온양팔경시가 지어지게 된다. 온양팔경시는 이러한 성립 배경만으로도 개인의 감회를 읊은 다른 팔경시와는 그 성격을 달리한다. 또한 명에 의해 지어진 것이기 때문에 시 안에 임금에 대한 찬양이 나타난다. 팔경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특징적이다. 온양의 모습을 바라보는 장소가 행궁 안이라는 점이다. 직접 가서 보고 느낌감회를 적은 것이 아니라 ‘행궁에서 바라본 주변의 풍경’이라는 점 또한 다른 팔경시와 변별되는 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온양팔경시의 성립 배경과 작품을 통해 그 이면에 담긴 온양팔경의 목적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Poems on eight scenes, which sing about eight scenes, were transmitted to Korea during the Koryo Dynasty. Poems on eight scenes were limited to private anthologies before the Joseon Dynasty, but in the Joseon Dynasty, they began to be recorded in literature published by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The poems on the Eight Scenes of Onyang to be covered in this study are also found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published by the government.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extended Donggukyeojiseungram (東國輿地勝覽) by simplifying the aspects of land, area, population, administration, military, etc., and strengthening the aspects of culture, custom, poetry, etc. The poems on the Eight Scenes of Onyang found in the books were written by two persons Lee Sook-ham and Lim Won-joon in March, 1483 (Year 14 of King Seongjong). Lee Sook-ham and Lim Won-joon joined the travel of King Sejo and Queen Jeonghee to Onyang in 1464 (Year 10 of King Sejo). Especially, Lim Won-joon is the person who recorded about Sinjeong (Sacred Well) in a stone monument by King Sejo’s order. At that time, however, he only recorded about Sinjeong and did not compose poems. Later in 1483, Lee Sook-ham and Lim Won-joon visited again the temporary palace in Onyang while Queen Jeonghee visited the place together with Queen Ansun and Queen Mother Insu. At that time, Queen Jeonghee, having found that the inscription of the stone monument erected by King Sejo about 20 years ago had been damaged, ordered Lim Won-joon to record it again. In the course, the poems on the Eight Scenes of Onyang were composed. Even with the background alone, the poems on the Eight Scenes of Onyang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poems on eight scenes singing personal feelings. As composed by a royal order, moreover, the poems include praises for the king. In addition, the view of the Eight Scenes is characteristic. That is, the scenes are viewed from inside the temporary palace. They wrote the poems about ‘surrounding scenes seen afar from the temporary palace’ and not about their feelings at the sites of the scenes, and this is a distinction from other poems on eight scene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the poems on the Eight Scenes of Onyang and hidden purposes behind the poems.

      • KCI등재

        『동국여지승람』에 반영된 해도 인식

        서인원 동북아역사재단 2022 영토해양연구 Vol.24 No.-

        조선시대 초기의 관찬(官撰) 지리지(地理志)의 제작은 국가 문물 제도 정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편찬 사업이었다. 특히 지리지는 국가 수취 체제의필요성 이외에도 국가의 영토 개념이 들어가는 중요한 관찬 사업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요동 지역을 위시한 북방 지역 이외에도 하삼도(下三道)의 해도(海島)에 대한 영토 인식이 확대되어 가는 시기였다. 조선 정부의 해도 인식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뿐만이 아니라 조선초기에 편찬된 지리지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지리지의 편찬 과정에서 해도에 대한 숫자와 내용 등이 다양해지고 확대되기 때문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산천조(山川條)」에 수록된 해도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에 비해 훨씬 정밀하고, 답사를 바탕으로 축적된 경험들로 구성되었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서는 12개만 파악된 해도의 수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의 107개를 거쳐 『동국여지승람』에서는 572개로 확대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해도(海島)를 산천조에 편입하여 영토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조선 초기 중앙 정부의 해도 인식은 대단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조선 초기의 지리지 편찬 과정에서 중앙 정부가 각 도의 지리지 편찬사목(編纂事目)을 하달하고 국가의 관리들이 직접 조사하여 확인한 내용을 여러 번에 걸쳐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해도에 대한 내용 역시 편찬사목으로 정하여 정확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초기 우산도(于山島)·무릉도(武陵島)에 대한 탐색뿐만 아니라, 요도나 삼봉도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존재하는 해도와 존재하지 않은해도에 대한 파악을 끝낸 후, 우산도와 무릉도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였으므로 국가가 공식적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기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이기봉(Lee, Kib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1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수록된 경상도 고을의 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1415년(태종 15)에 결정된 ‘주척 6척=1보, 360보=1리’의 거리 측정 원칙이 언제부터 적용되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도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에 수록된 거리 정보는 주척이 아니라 영조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주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다.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거리측정의 원칙은 1415년에 결정되었지만 그것이 적용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토대였던『팔도지리지』(1477)를 편찬되기 위해 전국적으로 거리 정보를 측정할 때였다. 『팔도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1481)을 거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그 이전의 어느 지리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거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고 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자료가 되었다. 그 토대는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새로운 원칙 아래 전국 방방곡곡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수록하려 했던 팔도지리지 편찬 사업의 거대한 결과물이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yeongsang Province villages" distance information from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1425),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Gyeongsang-do-Sokchan-Jiriji (慶尙道續撰地理誌, 1469), a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all of which are jiriji (geography book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udy"s aim is to find out when the distance measuring principle of “jucheok(周尺) 6 cheok(尺) = 1 bo(步) ; and 360 bo = 1 li(里),” which was determined in 1415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information in Gyeongsang-do-Jiriji, Sejong-Sillok-Jiriji, and Gyeongsang-do-Sokchan-Jiriji was measured based on yeongjocheok and not jucheok. Seco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was measured based on jucheok. Even though the distance measurement principle was proclaimed in 1415, it was actually applied when distance information was measured nationwide to publish Paldo-Jiriji(八道地理志, 1477), the basis for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completed after Paldo-Jiriji and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1481), contains more distance information than any other previous geography books, and becam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identifying Joseon"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apmaking practices.

      • KCI등재

        漢詩에 나타난 江原道 高城의 심상 : 『新增東國輿地勝覽』 소재 題詠詩를 중심으로

        주지영(Joo Ji-young)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1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literary image of Goseong, Gangwon-do, and discuss how the image of the region is related to the area s identity. Goseong is a Gun-level administrative district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Gangwon-do. In a situation wher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it is located in the northernmost part of Korea. After the division of Goseong, about half of the area belonged to South Korea, and the other half belonged to North Korea. Goseong has not received relatively much social attention compared to neighboring regions and has been marginalized in literary research. As part of an attempt to focus on the unique character of Goseong, which evokes a sense and emo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ncorporate a region that has been neglected in regional literature studies in the past into the realm of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Goseong in Korean poetry literat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Jeyoung Poetry(題詠詩) of Goseong recorded in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contains poems in various articles describing local information. The poem expresses specific places belonging to each category, such as Sancheone, Nujeong, Yeokwon, and Bulwoo, and plays a role in revealing the entire region in the Jeyoung category. Jeyoung and other items show a difference in the form and aspect of the poem. Jeyoung Poetry reciting various places in the Goseong area was analyzed to show three images: a bizarre unseen scene reminiscent of another world, a pleasant scenery that evokes a sense of style, and a tranquil view that transforms consciousness. The images of Goseong in the poems included in the section of Jeyoung are condensed into two images: the blessed land and the desolate area. The two contrasting image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et s moment of contact with the object, the relationship he/she has with the thing, and his/her inner state. The image of a reg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individual s individual experiences and inclinations. Different personal experiences appear chaotic and inhomogeneous, but they are shared by people and build a coherent image in the process of being integrated or separated. The image clearly present in mind is established as the region s identity. Through Jeyoung poetry of Goseong, we can examine the process of regional understanding in which experiences are gathered to form images, and images are connected back to identity. 이 논문은 강원도 고성의 문학적 심상을 분석하고 지역의 심상이 지역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 글이다. 고성은 강원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 단위의 행정구역이다.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사실상 한국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이다. 분단 이후 절반 정도의 면적은 남한에, 나머지 절반 정도의 면적은 북한에 속하게 되었다. 고성은 인근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사회적 주목을 받지 못했고, 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소외되어 왔다. 한반도에 대한 감각과 감회를 불러일으키는 고성의 독특한 성격에 주목하고, 그동안 지역 문학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한 지역을 논의의 영역으로 편입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한시 문학에 나타난 고성의 심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 제영시(題詠詩)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지역 정보를 서술하는 다양한 항목에 시를 실어 두고 있다. 시는 산천, 누정, 역원, 불우 등의 항목에서 각 항목에 속하는 구체적 장소들을 표현하고, 제영 항목에서는 지역 전체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제영과 그 외 다른 항목들은 시를 수록한 형식과 양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성 지역 내 다양한 장소들을 읊은 제영시들은 이계를 연상시키는 기이한 비경, 풍류를 일으키는 장쾌한 풍광, 의식을 전환시키는 고요한 풍경의 세 가지 심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영 항목에 수록된 시에서 고성의 심상은 천혜의 승지와 적막한 벽지라는 두 심상으로 집약되었다. 대비되는 두 심상은 시인이 대상을 접한 계기, 대상과 맺고 있는 관계, 내면의 상태 등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지역에 대한 심상은 개인의 개별적 경험과 성향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개인의 서로 다른 경험들은 무질서하고 불균질해 보이지만, 그것들이 사람들에게 공유되며 통합되거나 대별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일관된 심상을 구축한다. 마음속에 뚜렷이 존재하는 심상은 지역의 정체성으로 정립된다. 경험이 모여 심상이 되고 심상이 다시 정체성으로 연결되는 지역 이해의 과정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고성 제영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 「삼성기」 저자를 중심으로

        노종상(Roh, Jongsang) 세계환단학회 2019 세계환단학회지 Vol.6 No.2

        1911년 운초 계연수에 간행된 『환단고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논의가 축적되었다. 역사서로서 『환단고기』에 대한 논의도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환단고기』 자체에 대한 서지학적 측면의 논의도 진행되었다. 문제는 『환단고기』의 위서논쟁이다. 이 논쟁은 아직도 정리되지 않았다. 『삼성기』는 『환단고기』의 앞부분에 실려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안함로, 원동중이다. 위서론자들은 『삼성기』도 위서라고 주장한다. 위서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위서의 첫번째 조건인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삼성기』는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란 혐의를 받고 있다. 있지도 않은 저자를 조작해서 지어내었다는 것이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문헌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세조 3년(1457) 5월 26일자 기사이다. 이 기사에는 “안함로·원동중 「삼성기」”라는 그의 이름과 저술명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안함로·원동중을 안함·노원·동중 3인이라고 주장한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의 근거로 제시된 다른 문헌사료는 『신증동국여지승람』 해주목 고적조 ‘수양산성’조이다. 여기에 “세상에서 전하기를 ‘옛날에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이 있어, 터를 보아 쌓았다.’ 한다.”는 문장이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3인의 이름은 『세조실록』에 나오는 이름과 한자가 조금 다르고(안함), 글자도 다르다(노원). 그러나 위서론자들은 한글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3인이 동인인물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을 근거로 『삼성기』의 안함로·원동중은 처음부터 없었으며, 조작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3인이 등장하는 기사는 역사적 사실과 무관한 내용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단지 ‘세상에서 전하는 이야기’를 옮겨 적었다고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떠도는 이야기가 안함로·원동중 조작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또한 같은 기사에는 “산성 안에 고죽군 옛터가 있다.”고 했다. 이 고죽군은 이 지역에 대한 별명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배경에는 수양산, 백이·숙제, 고죽국과 관련이 있다. 고죽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영평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죽국이 이 지역에 있었다는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시대의 조선유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대주의적 의식과 관계된 것으로 허상에 다름 아니다.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수양산성’ 기사에서 전체 내용을 무시하고 자기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안함·원로·동중 3인의 이름만을 갖고와서 『세조실록』의 관련기사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하고, 나아가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였다. 한마디로 전혀 역사적, 지리적 사실이 아닌 기사 가운데 이름 몇 개만 갖고 와서 자기에게 유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이 주장하는 『삼성기』 저자 조작설은 『환단고기』 위서론의 근거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를 논박치 않을 수 없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iscussions about Hwandan Gogi published by Gye Yeon-su in 1911. It was discussed by the history, and also it was continued to discuss Hwandan Gogi itself by the site of bibliography. The problem is the argument about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This argument is not ordered yet. Samseong Gi (“The Annals of the Three Sacred Dynasties”) is on the front part of Hwandan Gogi. The writers of this book are Anhamro and Won dong-jung. However, the people who believe that was pseudograph have said the reason of the false writing was ‘making fake writers’. Samseong Gi has been suspected of making fake writers. The first basis of fake writers is the article on May 26th in 1457(King Sejo 3year),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article, Anhamro and Won dong-jung are appeared as authors. But the people who believe that a view of pseudograph said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Anham, Rowon, and Dongjung. The another basis is the article, Suyangsanseong in Dondkug-Yeojiseungram. There is one sentence, ‘Once upon a time, Anham, Rowon, and Dongjung prepared the ground.’ But those are different from Chines characters(Anham) and letters(Rowon). However, for the only reason that those names are similar pronunciation, they have asserted that the three men were right. They asserted that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nothing from the beginning and made counterfeitly. The article that three men were appeared in Dondkug-Yeojiseungram is unrelated to history. In this book, there is a saying ‘it was copied and written about the stories circulating around the world. So, the stories circulating can’t become a basis of those insistence. And in the same article, it says ‘there was the old site of Gojukgun in Sanseong’. But it is not true. Because Gojukgun, Gojukguk, was Yeongpeongbu in China. The people who believe that is pseudograph ignored that whole article. And they just referred to only three men’s name, Anham, Wonro, and Dongjung, only for theirs advantages. It has to be rejected that special pleading not to consider historical, geographical facts. Furthermore, their opinion, making fake writers of Samseon Gi and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has to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