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차 캄차카 원정대의 개별 탐사 연구

        이상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4 중소연구 Vol.47 No.4

        1차 캄차카 원정대의 탐사 활동이 종료되고, 1733년 2차 캄차카 원정대가 결성되었다. 2차 캄차카 원정대는 1차 원정대보다 훨씬 규모가 큰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베링과 치리코프가 지휘하여 베링해협,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등을 탐험한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외에도 마르틴 쉬판베르크와 윌리엄 월튼이 일본 지역을 탐사한 남부 해양탐사대, 북드비나강, 오비강, 예니세이강, 레나강, 타이미르반도 등을 탐사한 북부탐사대, 러시아 학술원 소속 학자와 학생들로 구성되어 시베리아 지역, 캄차카반도 등을 조사한 학술탐사대 등 개별 원정대의 활발한 활동도 이루어졌다. 2차 캄차카 원정을 ‘시베리아-태평양 원정대’, ‘시베리아 원정대’, ‘대북부 원정대’ 등으로도 부르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남부 해양탐사대는 중요한 지리학적 발견을 이룩했다. 그들은 쿠릴 열도와 일본 일부를 지도에 표기했다. 또한, 쉬타토프 섬(현 이투루프섬)과 지믈랴 콤파니 섬(현 우루프섬)이 쿠릴 열도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섬이라는 것도 밝혀냈다. 그리고 최초로 북쪽 항로를 통해 일본으로 가는 길을 개척했다. 시베리아 북부탐사대는 시베리아의 여러 지역과 강, 타이미르반도, 북부 해안가 등을 측량하고 지도에 표시하였다. 러시아 학술원 소속 학술탐사대는 시베리아, 캄차카반도 등을 학술적으로 탐사하여 여러 자료와 기록을 남겼다. 뮐러와 그멜린은 시베리아, 시베리아 민족, 고문서 자료 등을 연구하고 광물, 동·식물 표본 등을 수집하였다. 크라세닌니코프는 4년 동안 캄차카반도를 탐사했으며, 슈텔러는 그의 뒤를 이어 캄차카반도와 베링섬 등에 머물면서 동식물에 관한 생생한 기록을 남겼다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the First Kamchatka Expedition ended, and the 2nd Kamchatka Expedition was formed in 1733. The 2nd Kamchatka Expedition was a much larger project than the 1st Expedition. It is well known that Bering and Chirikov led expeditions to the Bering Strait, the Aleutian Islands, and Alaska. In addition, Martin Spanberg and William Walton explored the Japanese region in the Southern Ocean Exploration Team, and the Northern Exploration Team in which the Northern Dvina River, Ob River, Yenisei River, Lena River, and Taimyr Peninsula were explored. Explorations were also carried out by particular expedition teams, such as an academic expedition team composed of scholars and students from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who investigated the Siberian region and the Kamchatka Peninsula. This is why the 2nd Kamchatka Expedition is also called the ‘Siberian-Pacific Expedition’, ‘Siberian Expedition’, and ‘Great Northern Expedition’. The Southern Ocean Exploration Team made important geographical discoveries. They marked the Kuril Islands and parts of Japan on the map. It was also revealed that Shtatov Island (now Iturup Island) and Zimlya Kompany Island (now Urup Island) are two different islands in the Kuril Islands. And for the first time, he pioneered the route to Japan via the northern route. The Northern Siberian Exploration Team surveyed and marked various regions of Siberia, including rivers, the Taimyr Peninsula, and the northern coast. The Russian academic expedition team conducted academic expeditions to Siberia and the Kamchatka Peninsula, leaving behind various data and records. Müller and Gmelin studied Siberia, the Siberian people, and ancient documents, and collected minerals, animal and plant specimens, etc. Kraseninnikov explored the Kamchatka Peninsula for four years, and Steller followed him and stayed in the Kamchatka Peninsula and Bering Island, leaving vivid records of flora and fauna.

      • KCI등재

        니키아스의 시켈리아 원정 연설 분석(Th. 6.9-24)—투퀴디데스의 역사서술 방식과 관련하여—

        장시은 한국서양고전학회 2023 西洋古典學硏究 Vol.62 No.2

        이 글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시켈리아 원정과 관련한 논의를 위해 기원전 415년 민회에서 행해진 니키아스의 연설을 다루고 있다. 니키아스의 연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시켈리아 원정이 아테네 민중들 사이에서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의 연설은 이 원정의 사령관이었던 그의 성격을 비롯한 여러 면모를 보여주며, 특히 그의 그러한 면모들이 어떤 방식으로 민중에 대한 그의 판단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다음의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맞춰 논의된다. 첫째, 투퀴디데스가 니키아스의 내적 상태와 연설의 의도를 미리 알게 하는 장치를 둠으로써 독자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그는 니키아스가 마지못해 지휘권을 맡게 된 것과, 원정을 철회시키기 위한 의도로 연설을 하고 있음을 독자들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니키아스의 연설의 내적 동기와 연설이 표방하는 외적 메시지 간의 불일치를 의식하면서 이 연설을 읽도록 만든다. 둘째, 니키아스의 두 개의 연설의 내용과 문장구조,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표현을 세밀히 분석하면서, 이 연설들의 결과가 보여주는 아이러니의 의미를 고찰한다. 셋째, 니키아스의 연설 속에 반영된 시칠리아 원정의 실패 원인에 대한 투퀴디데스의 판단. 투퀴디데스는 니키아스의 연설을 통해서, 시칠리아 원정 과정뿐만 아니라 앞으로 원정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일들을 매우 치밀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투퀴디데스가 니키아스를 시켈리아 원정의 실패의 하나의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This paper examines Nicias’ speeches delivered in the so-called Sicilian debate in Thucydides’ History 6.9-24. The debate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a first-hand account of how the decision to send the Sicilian expedition, arguably the most important event of the Peloponnesian War, was made among the Athenian demos. His speeches reveal many aspects of his character as the commander of the expedition, and it shows how those aspects were influenced by his judgment of demos. This article analyzes the speeches by focusing on three points. First, it explains the effect Thucydides has on his readers by foreshadowing Nicias’ internal state and the intentions of his speech. By foreshadowing his reluctance to assume command and his intentions to rescind his appointment, Thucydides makes the reader aware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nner motivations and the outer message of his speech. Second, I closely examine the content, sentence structure and recurring expressions of both speeches. The style and rhetoric of Nicias’ speeches are consistent with Thucydides' characterization of him. Without revealing his intentions, Nicias tries to sway the Athenians in the direction he wants them to go with a variety of plausible reasons, but his speech produces the opposite effect of his intentions. Third, I will examine the ways in which Nicias' speeches reflect Thucydides’ judgment about the reasons for the failure of the Sicilian expedition. Through the speeches, Thucydides provides a very detailed picture of not only the course of the Sicilian expedition, but also of what is bound to happen in the future. In doing so, Thucydides reveals that he judges Nicias as one of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the Sicilian expedition.

      • KCI등재

        AD. 2세기 이전 고구려의 요서원정遼西遠征

        윤병모(尹秉模) 한국국학진흥원 2010 국학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기원후 49년 모본왕이 주체가 되어 고구려가 우북평ㆍ어양ㆍ상곡ㆍ태원 등지를 원정하였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검토한 것이다. 이런 『삼국사기』 기록에 비해 『후한서』에서는 원정의 주체가 ‘요동요외맥인’ 또는 구려로 나와 있는 점을 주목하였다. 여기서의 구려는 기원전 107년 이전부터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우북평ㆍ어양ㆍ상곡ㆍ태원 등지를 원정한 구려는 주몽의 고구려에 앞선 원고구려인이었을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구려의 원거주지로는 환인지역을 주목하여 망강루 유적을 구려의 흔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후한서』「교현전」등에 166년부터 168년 사이에 고구려 신대왕이 선비 등과 함께 후한의 변경인 유주와 병주를 원정하였다는 것을 다루었다.이 기사에 나오는 예맥은 고구려로 해석되며 태조왕대에 자주 등장하는 예맥은 원고구려인 즉 구려인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신대왕이 166년에 양맥을 국상인 명림답부에게 맡긴 것은 166년부터 168년 사이의 유주와 병주 원정에도 일정한 연계점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thesis is aimmed to explore the attack for Liaoxi of ancient Koguryo. This thesis inquired about the attack for Liaoxi to 1th and 2th century. Liaoxi, named the administrative section as it first appeared in the Hun biography of Shiji.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the title Liaoxi than Liaodong later on. Because Liaoxi appears by relativity of Liaodong. On side, the boundary between Liaoxi and Liodong was Yiwulu Mountain and Dalinghe untill the period of the Later-Han. Since then, Liaoxi hasn't remained the name of an administrative district. However, the concept of nature as the block is continued to this day. Ancient Koguryo was expanding into Liaoxi for the safe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But it is the first nation who tried to advance for Liaoxi and expand its power. This has an advantage that can control the periphery tribes in the region. Koguryo is dangerous if it is lost. So far, this thesis has inquired about advancement for the Liaoxi by ancient Koguryo. Therefore, through the advancement for Liaoxi by ancient Koguryo, one can learn very important historical events.

      • KCI등재

        18․19세기 擊錚․上言․擊鼓의 제도사적 고찰과 童蒙擊錚

        조윤선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본 논문은 19세기 격쟁․상언․격고를 제도사적인 면에서 고찰하고 동몽격쟁을 통해 격쟁제도의 이용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본 글이다. 격쟁․상언에 있어서 原情, 上言 등 용어의 정의는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원정은 구두 뿐 아니라 문서의 형식이기도 하고, 격쟁 만이 아니라 상언에도 쓰이며, 상언은 소원 방식이라는 측면 외에 원정을 올리다는 동사로써 격쟁에 쓰이는 경우도 많다. 상언, 격쟁, 원정의 기계적인 구분은 주의해야 하고, 사료에서 그 쓰임과 차이를 살펴야 할 것이다. 지방 격쟁의 경우, 감영에서 供辭를 받아 형조에 장문할 것을 정식으로 한 것과 행행할 때 외람한 내용의 격쟁 원정이라도 모두 後錄하여 보고하게 한 정조대의 두가지 조처는 18세기 이후 격쟁․상언의 증가, 다양한 내용 들을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주목할 만 하다. 격쟁은 장소에 따라 궁궐 내 차비문 밖에서 하는 차비격쟁과 도성내 동가나 교외에 동가할 때 시위하는 권역 밖의 위외격쟁으로 구분되는데 신문고 복설 이후 차비 격쟁은 금지되고, 정조대부터 위외 격쟁으로 제도가 정착되어 갔다. 그 결과 격쟁은 “차비문 밖에서의 격금을 허락하며 이를 격쟁이라고 한다”는 속대전 규정에서 전율통보 의 “동가할 때 위외에서 擊金하는 것을 격쟁이라고 한다”는 정의로 바뀌게 되었다. 18세기 이후 격쟁 증가는 정조가 추진한 격쟁에 대한 엄격한 규제의 완화를 기반으로, 중앙과 지방 관사 간의 미숙한 행정 업무 처리, 민생 관련 사안 등이 제도 내에서 해결되지 못하였던 점, 개인적인 억울함 뿐 아니라 가족이나 공동체의 문제도 왕에게 직접 알려서 해결을 보고자 했던 경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조 47년에 창덕궁의 進善門과 경희궁의 建明門에 신문고를 설치하여 신문고제도를 부활하였는데, 19세기에는 전루고, 차비고, 이원고, 오정고 등이 신문고를 대신하였다. 격고인은 철릭이나 군복 등 궁문을 통과하는데 유리한 복장 차림을 하였고, 격고 역시 상언이나 격쟁처럼 원정 문서를 소지한 경우가 많았다. 신문고제도는 격쟁과 상언과 더불어 19세기까지도 나름대로의 訴冤의 기능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독자적인 판단이나 행동이 가능하지 않고, 형벌을 면할 정도의 어린아이인 동몽의 격쟁 내용은 대부분 ‘爲父訟寃’이었으나 山訟, 奪宗, 宗統歸正事, 제언ㆍ민답에 관한 내용 등 동몽이 감당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아 가족, 친족, 외지부와 같은 자들이 배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동몽은 원칙적으로 처벌되지 않았으므로 이미 결정이 난 사건이나 격쟁할 수 없는 내용 등도 동몽을 앞세움으로써 결국 임금이 살펴보게 만들었고, 수차례 격쟁을 반복할 수 있었다. 이것이 곧 동몽 격쟁의 효과였고, 동몽 격쟁 배후자들이 의도한 바였다. 개인이나 공동체의 다양한 문제를 피력하는데 있어서 위부송원이라는 명목의 동몽격쟁은 나름 좋은 방법이 되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19th century's sang-eon[上言], gyeok jaeng[擊錚], gyeok go[擊鼓] in terms of institutional history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nflict system through the dongmong gyeok jaeng[童蒙擊錚] Terminologies such as won-jeong[原情] and sang-eon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finitions. Won-jeong is not only a form of oral, but also document and used in sang-eon. Sang-eon is often used for submit won-jeong in addition to the meaning system of resolve grudge. So mechanical distinction of sang-eon, gyeok jaeng, won-jeong needs to be careful. The two measures of the King Jeongjo are important, one is that made local governments have repor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about the gyeok jaeng, and the other one is made to record and report presumptuous content. These measures have allowed us to know the contents of sang-eon and gyeok jaeng. Gyeok jaeng is divided into cha-bi gyeok jaeng[差備擊錚] and wee-wae gyeok jaeng[衛外擊錚]. after reinstalling the sinmoongo[申聞鼓], cha-bi gyeok jaeng is banned, a system of wee-wae gyeok jaeng has been established. Since the 18th century, the increase in gyeok jaeng has been compounded by the relaxation of strict regulations, immature administrative affair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tendency to directly inform the king of family and community problems. In the 19th century after re-installing the sinmoongo, a time-signalling drums were used instead sinmoongo, persons who play the drums were dressed in an advantageous manner for passing through the palace, such as chulik[天翼] or military uniform, and had a document. The contents of gyeok jaeng by child who is unable to make independent judgment or act and who can avoids punishment are mostly for father, brother and relative relation.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children cannot handle such as san-song[山訟], deprivation of lineage, land problem. In these case, It can be seen that people such as family, relatives, and waejibu[外知部]s were behind it. Children were not punished in principle, so dongmong gyeok jaeng eventually made the king examine at cases that have already been decided or content that cannot be raised by gyeok jaeng. This was the effect of the dongmong gyeok jaeng. To solving various problems i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 dongmong gyeok jaeng was a good way.

      • KCI등재

        고려시대 元正朝賀儀의 구성과 의미

        이민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9 No.-

        This study, focused on WonjeongJohaui(元正朝賀儀, The royal celebration of New Year) and Wonhoel(元會, The royal feast of New Year) in Goryeo Dynasty, analyzed the example related to Wonjeong(luna new year) and the structure of rite, and reconstruct the movements of the participants, time, and space to find the meaning of it. Hobusangseo(戶部尙書)’s donation to the king and Sanhomanse(山呼萬歲, Hail to the king) of the military officer of 6Wi(衛) at koojeong(毬庭) is feature of WonjeongJohaui in Goryeo Dynasty. So it could be thought that the rite was much higher than dongjijoha(冬至朝賀, the royal celebration of winter solstice) and jeoliljoha(節日朝賀, the royal celebration of king's birthday). The aspect of Wonjeongjoha is divided into Soojoha(受朝賀) and Bangjoha(放朝賀). Bangjoha is overwhelmingly numerous. Bangjoha was the way to conduct if the kind doesn’t attend the ceremony. The reason of Bangjoha is thought be the king’s audience at Gyeongryeong-jeon(景靈殿) at the same day. As the king received congratulations at the authority place(大觀殿) that composed as political symbol at the beginning that is time system to be foundation of national system, even in the king’s absence, it functioned that the official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confirm each positions through the congratulatory rituals and learn the authority and social order at the same time in the centered of the king. 본 논문은 고려시대 원정조하의와 원회의의 구조를 분석하고, 시간과 공간, 의례참여자의 움직임을 재구성하여 의례적 의미를 살핀 것이다. 원정조하는 기본적인 의식 순서가 동지․절일조하와 동일하나, 반수의 치사와 봉표원의 표문 올림 사이에 호부상서의 물장 진상 절차가 추가되고, 이후 6위 소속 무관이 구정에서 산호만세를 하는 절차가 포함되어 있어, 그 위상이 동지조하나 절일조하보다 한층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6위 소속 무관들이 구정에서 산호만세를 하는 행위는 고려 원정조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원정조하는 수조하와 방조하로 나뉜다. 수조하는 국왕이 직접 참석하며, 방조하는 국왕이 참석하지 못할 때 진행한다. 방조하의 원인은 경령전 배알로 생각된다. 고려국왕은 태음력의 시작에 정치적 상징으로 구성된 조회의장으로 만들어낸 장소(대관전)에서 축하받고, 국왕이 부재해도 경관과 지방관들의 치사와 표문을 통한 축하를 통해 각자의 위치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권력적·사회적 질서를 체득하는 장으로서 기능했다.

      • KCI등재

        『이고리 원정기』의 시학적 공간

        최정현(Choi Jung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1

        『이고리 원정기』에서의 “루시 땅”이라 일컫어지는 러시아 땅에 대해서는 러시아 땅이란 개념설정에서부터 시적 이미지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이 글에서 역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러시아 땅’은 기존의 논의인 ‘좁은’ 의미의 러시아 땅, ‘넓은’ 의미의 러시아 땅이란 논의와 조금 각도를 달리해, 러시아 땅 vs 러시아 땅 변경, 또는 러시아 땅 바깥이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원정기〉의 가장 큰 시학적 특징 중의 하나인 신화적 순환성에 대한 탐구라는 측면 역시 기존의 논의와 궤를 약간 달리했다. 통상 우주론적 스케일과 메타퍼의 차원에서 많이 논의되는 신화적 순환성을 아래의 논문에서는 역사성과의 결합을 시도해, 역사적 사실 역시 반복, 되풀이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러나, 이고리의 원정이 일어난 12세기 후반부는 영광스런 과거, 할아버지대의 명예가 모두 러시아 땅의 변방, 또는 바깥에서 뒤집혀져 벌어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작품에서 활용되고 있는 메타퍼 역시 개별적 모티프의 수준에서 신화적이라기보다 모티프간의 결합을 통한 종합적인 제시 역시 신화적 차원임을 밝히려했다. 무엇보다 이고리의 부활과 정신적 갱생이라는 주제론 역시 삶과 죽음의 뚜렷한 경계의 부재와, 그 경계의 넘나듦이란 신화론적 사유에서 이해할 수 있음을 밝히려했다. 끊임없이 제기되는 텍스트 자체의 불완전함과 객관적 자료의 부재 등으로 인해 비록 단정할 수는 없지만, 무명의 작가의 궁극적인 시학적 의도 역시 러시아 땅은 역사적 공간이라는 기본적 토대 하에 영광스런 과거의 러시아 땅, 현재의 러시아 땅 주변의 공간 등을 신화적 매개를 통해 이해하며, 이 중첩되는 공간성을 뚜렷이 의식하며 자신의 문학적 공간, 즉 〈이고리의 원정에 관한 이야기〉를 축조해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프로야구에서의 원정팀, 요일에 따른 홈팀의 관중 수 예측

        김혁 ( Kim Hyeuk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1 No.6

        본 연구는 중도절단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요일, 원정팀의 설명변수들을 통해 프로야구의 각 홈팀별 관중 수를 예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요일에 따른 관중 수의 차이뿐만이 아니라 원정팀에 따라서 관중 수가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 한국 프로야구의 경기별 관중 수 기록을 활용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통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R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일에 따라 관중 수에 차이가 있었다. 주말에는 평일에 비해 관중수가 24.71% 더 증가했으며 주말에서도 특히 토요일이 일요일보다 관중이 더 많이 입장했다. 토요일에는 일요일보다 17.50% 더 많은 관중들이 입장하고 있는데 이는 일요일과 다른 평일들과의 차이들(16.00%)과 비슷했다. 둘째, 홈팀에 따라 평균 관중 수에 차이가 있었다. 구장별 최대수용인원이 다르기 때문에 최대수용인원 대비 관중수인 좌석점유율로 설명하자면 서울을 연고지로 사용하는 LG, 넥센, 두산과 수용인원이 작은 구장을 사용하는 한화, NC는 기본적으로 좌석점유율이 높았다. 셋째, 홈팀이 어떤 원정팀과 경기를 하냐에 따라 좌석점유율에 차이가 있었다. 좌석점유율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원정팀들은 전통적으로 인기 구단으로 알려진 KIA와 김성근 감독 부임 이후 인기를 얻고 있는 한화였다. 또한 2008년에 창단한 넥센, 2011년에 창단한NC, 2013년에 창단한 KT 등 신생팀들은 아직 원정에서의 인기가 높지 않았다. 이처럼 중도절단 회귀모형의 회귀계수를 통해 여러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구장 별로 요일과 원정팀에 따른 좌석점유율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구장의 입장료 설정, 구단 상품 및 매점의 수요예측, 또한 한국프로야구위원회의 시즌 일정 제작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number of attendances for each home team of Korean Baseball League by using a censored regression model and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day and the away team. We quantitatively suggested not only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ttendances according to the day but also the number of attendances according to the visiting team through a censored regression model. We used the day-by-day records in the whole 2016 Korean professional games and all analysis were performed by the statistical software R. We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ttendances depending on the day of the week. On weekends, the number of attendances has increased by 24.71% over weekdays, and there were more attendances on Saturdays than on Sundays on weekends. On Saturday, 17.50% more crowds attended than on Sunday, which was similar to the difference between Sunday and other weekdays(16.00%). Secondly, the average number of attendanc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home team. The occupancy rate of seat was introduced as the measure of the attendances since the maximum capacities of the stadiums were different. LG, Nexen, and Doosan, which were located on Seoul, and Hanwha and NC, which used a small ballpark with a small capacity, basically had a high seat occupancy rate. Thir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at occupancy rate depending on which team the home team played with. Kia and Hanwha were the best two away teams which influenced on the increase of seat occupancy rate positively. Kia was known as the most popular away team traditionally and Hanwha has been popular recently after Sung Keun Kim was hired as the manager. Nexen, which was founded in 2008, NC in 2011, and KT in 2013, have not been popular on the road yet. We figured out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censored regression model, and we predicted the occupancy of seats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and the visiting team for each fiel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t the admission fee of the stadium, to forecast the demand of the stadium goods and kiosk, and to make the season schedule of the Korean Baseball League.

      • KCI등재

        元世祖忽必烈两次征日本及高丽的态度

        鸟云高娃 효원사학회 2009 역사와 세계 Vol.- No.36

        일본과 몽골은 종래 왕래가 없었다. 원세조 쿠빌라이가 汗位를 계승한 후, 고려를 매개로 일본과 통교하려 하였다. 1266년부터 1273년까지 쿠빌라이가 고려인을 향도로 하여 여섯 차례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고 詔書를 전달하였으나, 몽골과 고려의 사신은 일본측의 호응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쿠빌라이가 무력으로 일본을 정복하려 하였으며, 1274년과 1281년에 두 차례 일본에 군대를 파견하였다. 그러나 몽골과 고려 연합군은 태풍을 만나 막대한 손실을 입었으며, 元朝의 일본 원정이 실패로 돌아갔다. 고려는 원조의 제1차 일본원정과 제2차 일본원정에 대한 태도가 달랐다. 원조의 제1차 일본원정 시 군사를 동원하고 배를 만들며 糧餉을 운송할 것을 요구한데 대해, 부득이 응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왜구의 소요가 잦아짐에 따라, 고려 충렬왕은 쿠빌라이의 제2차 일본원정에 주동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원조에 입조하여 배를 만들것을 요구하는 등, 일본원정을 돕고자 하였다.

      • KCI등재

        나폴레옹 프로파간다: ‘구원자’ 신화의 탄생

        이용재(Yong-Jae LEE) 한국프랑스사학회 2021 프랑스사연구 Vol.- No.44

        1796년 이탈리아원정에서 불세출의 전쟁영웅으로 등장한 나폴레옹은 불과 3년여 남짓 후에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를 성공시키고 권좌에 올랐다. 나폴레옹이 새로운 지도자의 출현을 고대하는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던 것은 물론 적군의 연파한 그의 혁혁한 전공 덕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치적을 장식하고 선전하는 그의 탁월한 프로파간다 전술 덕이기도 할 것이다. 이탈리아원정에 뒤이어 이집트 원정에 나선 원정군 총사령관은 총재정부에 보내는 군보고서들뿐만 아니라 자가가 직접 만든 군대 신문들, 여러 정치언론들을 통해 원정군의 치적을 과시하고 적극적으로 정치선전을 펼쳤다. 판화와 회화, 메달과 훈장도 ‘국민 영웅’의 이미지메이킹에 한몫을 했다. 언론과 여론에 등장하는 나폴레옹은 무능하고 부패한 총재정부 정치인들과는 대조되는, 조국의 미래를 책임질 젊고 청렴한 공화파 장군의 이미지였다. 병사들을 이집트 땅에 남긴 채 나폴레옹은 도망치듯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국민 대중은 그를 위기에 처한 조국의 ‘구원자’로 열열이 환영했다. 나폴레옹은 실로 현대식 정치프로파간다 와 이미지메이킹의 달인이라고 할 만하다. Having become the war hero in the Italian campaign in 1796, Napoleon, following his successful "Brumaire coup", took power only after less than four years. He had succeeded in wooing the people who had longed for the arrival of a new leader, with his brilliant military exploits as well as his excellent propaganda tactics designed to glorify his triumphant successes on the battlefield. During the campaign in Italy as well as in Egypt, Bonaparte wanted to promote the exploits of the French army through military bulletins addressed to the Directory, his own military newspapers and various political media. In addition, there are prints, paintings, medals and decorations to also shape the image of a "national hero". The press and public opinion present Napoleon as a young Republican general who is incorruptible and in charge of the future of the country, unlike incompetent and corrupt politicians. He escaped, however, from the English navy and returned to France on his own, while leaving his soldiers in Egypt. But he is received with enthusiasm by the French people who consider him a great "savior" of the country in crisis. He would be the genius of political propaganda and image-making.

      • KCI등재

        비투스 베링 캄차카 원정대의 탐사에 관한 연구

        이상철,박종관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2 중소연구 Vol.46 No.3

        러시아는 16세기 중엽부터 시베리아를 개척하기 시작하였다. 1581년 본격적으로 티모페예비치 예르마크가 카자크 부대를 이끌고 시베리아로 진출하여 러시아 제국에 복속시켰다. 약 반세기 이후인 1639년 톰스크 카자크인 이반 모스크비틴은 이미 오호츠크 해안에 도착하였다. 이처럼 시베리아 정복은 영토 확장을 개시한 이후 채 1세기도 지나지 않은 짧은 기간 안에 태평양까지 도달하게 된다. 표트르 대제의 칙령으로 비투스 베링은 1725년부터 1730년까지 5년 동안 1차 캄차카 원정을 떠나 베링 해 지역 탐사를 진행하였다. 베링 원정대는 캄차카반도의 남쪽 경계선을 정확하게 규정하고 홋카이도가 캄차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하지만 1차 원정대는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사이의 바다를 직접 가로질러 항해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아메리카 대륙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불완전함이 존재했다. 2차 원정 활동은 1733년부터 1742년까지 10년 동안 진행된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베링과 치리코프는 각각 <성 표트르> 호와 <성 파벨> 호의 지휘를 맡아 베링 해협과 알래스카 및 알류샨 열도 등을 탐험하였다. 그들은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이 육지로 하나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두 대륙 사이에는 해협이 존재한다는 1차 원정대의 보고서를 베링 해협을 탐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증명하였다. 또한 원주민들과 직접적인 교역을 이끌어내는 데는 실패하였지만, 시베리아와 극동 및 태평양 개척의 첫발을 내딛었다는 점과 교역활동의 기반을 다졌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탐사 과정에서 그 이전까지 서구에 알려지지 않았던 수십 개의 섬을 새로 발견하였다. 특히 아메리카 대륙 북서부에 위치한 거대한 알래스카 반도를 발견해 러시아 제국에 합병시켰다는 점은 러시아 영토 개척사에 한 획을 긋는 일이었다. Russia began to pioneer Siberia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In 1581, Timofeyevich Yermac led the Cossack troops into Siberia and subjugated it to the Russian Empire. About half a century later, in 1639, the Tomsk Cossack Ivan Moskvitin had already reached the coast of Okhotsk. As such, the conquest of Siberia reached the Pacific Ocean within a short period of less than a century after the territorial expansion began. By the royal order of Peter the Great, Vitus Bering left for the first Kamchatka expedition for five years from 1725 to 1730 to explore the Bering Sea area. The Bering expedition accurately defined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Kamchatka Peninsula and proved that Hokkaido had no relationship with Kamchatka. However, there was an incompleteness that the 1st expedition could not directly identify the America, even though they sailed directly across the sea between Asia and the America. The second expedition was a large-scale project that lasted 10 years from 1733 to 1742. Bering and Chirikov took command of the <St. Peter> and <St. Pavel>, respectively, and explored the Bering Strait, Alaska and the Aleutian Islands. They finally proved by exploring the Bering Strait the report of the First Expedition that Asia and America are not connected by land, and there is a strait between the two continents. In addition, although it failed to induce direct trade with the natives, it is commendable for taking the first step in pioneering Siberia, the Far East and the Pacific Ocean, and for laying the foundation for trade activities. And in the course of the expedition, dozens of new islands that were previously unknown to the West were discovered. In particular, the discovery of the huge Alaska Peninsula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Americas and annexation of it into the Russian Empire was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Russian territorial pione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