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밀양의 퇴계 학맥

        鄭景柱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2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1

        밀양은 고려조 이래로 嶺南雄府로 불리면서 인재가 배출되어 대대로 끊이지 않았다. 고려 중엽 西河 林椿의 시에, "風存禮義鄕 多儒如蜀郡"이라 하였고, 또 "老儒久歎斯文喪 始喜名都禮義新"이라 하였으니 密陽의 禮義 풍속은 유래가 오랜 것이다. 朝鮮이 개국한 뒤로 松隱 朴翊, 春堂 下中良, 春亭 下季良, 格齊 孫肇瑞 등이 文學行誼로 알려졌고, 점필제선생 金宗直이 이곳에서 태어나 儒風을 크게 떨침에 迂拙齊 朴漢柱, 木溪 姜渾, 訥齊 朴增榮, 苔巒 안구, 勖齊 閔九齡 등의 문도가 배출되었다. 燕山 戊午에 이르러 점필제가 泉壤의 화를 당하고 이후 여러번 士禍를 겪으면서 學風이 크게 꺾이고 士氣가 위축되었다. 明宗 宣祖朝에 이르러 退溪先生과 南冥先生이 학풍을 진작하면서 밀양에서도 이를 좇아 흥기하는 자 적지 않았다. 鄒川 孫英濟, 聚遠堂 曺光益, 操庵 南弼文, 聞松 安守寬 등은 退陶門人이요, 松溪 申季誠, 玩龜亭 安嶸, 述庵 金希魯, 矩翁 金太乙 등은 南冥과 종유한 학자들이다. 兩賢이 세상을 떠난 후 密陽의 儒林은 대개 寒岡先生 鄭逑의 문하에 問學하였는데, 寒江의 學問淵源은 退溪로부터 왔기 때문에 密陽의 退陶學은 여기서 점차 융성해졌다. 孫鄒川은 密陽人이다. 學行으로 천거되어 訓導로서 여러 고을 생도를 교육하다가 明宗 때 文科에 올라 여러 벼슬을 거쳐 宣祖 2년 예안현감으로 부임하여 退陶先生에게 執贄하였다. 선생은 謙下하여 地主의 禮로 상대하였지만 추천은 끝내 弟子의 예를 잃지 않았고, 先生의 사후에 鄒川이 지은 祭文을 보면 그 嚮慕의 정성을 알 수 있다. 聚遠堂 曺光益은 昌寧人으로 그 조부 孝淵은 호가 韋齊인데 松齊의 이우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므로 일찍부터 退溪先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宣祖 때 文科 重試에 오르고 그 아우인 芝山 好益 또한 문과에 올라 學行으로 세상에 아려졌다. 退陶 당대에 密陽 사람으로 及門한 사람 중 이 두 분의 學問 文章이 비교적 드러난 편이다. 오한 孫起陽은 密城人으로 鄒川의 猶子이다. 文科에 올라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星州敎授로 재직하면서 寒岡 鄭逑의 門下에 執贄하였다. 光海朝에 조정의 관직을 사절하고 물러나 향리의 자제를 가르치는데 盡力하였는데 성취한 자가 많았다. 오한의 門下에 五休子 안공, 釣耕庵 蔣文益, 菊潭 朴壽春 등 제현이 일어나 寒岡 旅軒의 문하에 출입하였으므로 密陽 學者들은 이를 종주로 하여 퇴계학맥에 접한 이가 많았다. 孝宗 顯宗 肅宗朝의 密陽學者 중에는 미수 許穆과 葛庵 李玄逸의 문하에 따른 이가 많았고, 英正朝에 이르러서는 密庵과 大山을 좇아 嶺中의 退溪學 本旨를 구하는 이와, 星湖 順庵 등 近畿南人의 實事求是學을 따르는 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양자를 내왕절충하였다. 朝鮮末의 密陽 儒者들은 定齊 柳致明을 따르는 이가 많았는데, 定齊 死後에 性齊 許傳이 김해부사로 부임하여 丈席을 펼치자 예전 寒岡淵源家의 자제들이 性齊의 문하에 가서 嶺學과 畿學의 양대 退溪學統의 諸論를 겸하여 배우는 자 많았고 成就한 자도 많았으므로, 이 때에 와서 密陽 儒學이 융성하여 자못 볼만하였다. 이것이 밀양 퇴계학맥의 개략이다. Mi-ryang, which was called as one of the greatest district in Youn-namhas, has raised many great talented men since Korea-Dynasty. After the foundation of Chosen-Dynasty, the custom of reading and learning in good manners continued for a long time. During that time Jumpilje Kim Jong-jik who was a distinguished literary man and the great Confucianist, adovcated a confucian moralist idea in this aera, therefore a great number of the disciple appears one after another. After the purge of confucian scholars in 1498, the Year of the Horse, the academic traditions in the Mi-ryang area had been discouraged. In the 15 century most of the students in the Mi-ryang area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Nammyong, the greatest confucianist in Kim-hae near Mi-ryang. The number of Toegye's followers was small, including Chu-chun Son Young-je, Chuywondang Cho Kwong-je, Jo-am Nam Pil-mun and so 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y of the students in the Mi-ryang area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Han-kang, the scholastic successor to Toegye school and Nammyong school. In the many of the younger generation the most influential scholar was Ohan Son Ki-yang who is nephew to Chu-chun Son Young-je, and one of the followers of Han-kang. Ohan educated good many students such as Ohuja An-Sin, Jokyungam Jang Mun-ik, Gukdam Pak Su-Chun etc. From that time the school of Toegye in Mi-ryang area became flourish to the last of Chosen Dynasty.

      • KCI등재

        밀양농악의 전승과 의의

        한양명(Han, Yang-myeong)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7 No.-

        근대 이후 등장한 고을농악은 주로 농민들이 전승한 마을동악이나 유랑예인을 비롯해 전문적 기량을 가진 이들이 전승한 연희농악과 다른 새로운 농악으로서, 경연과 공연, 그리고 문화재지정을 염두에 두고 창출된 것이다. 밀양농악 역시 1970년대 초에 만들어진 현대의 농악으로서, 고을농악이 갖는 탈공동체성과 뛰어난 치배에 의존한 전승의 실상을 잘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성격을 지닌 밀양농악의 전승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양농악의 창출은 지역민 다수의 필요에 따라 이루어진 게 아니라, 국가 정책에 호응하고 자신들의 지역 내 위상을 제고하려는 소수 문화예술인과 연행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둘째, 밀양농악의 연행 텍스트는 지역 내에서 전승된 특정 농악에 근거하지 않고 지역은 물론 지역 외의 농악 자원도 일부 인용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요소의 결합으로 인한 혼성성을 지녔다. 셋째, 밀양농악의 판제는 공연을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무대화에 필수적인 시공간의 압축, 구성요소의 선별과 초점화, 플롯의 재구성 등의 작업이 수반되었다. 넷째, 밀양농악의 전승은 지연공동체가 아니라, 특정 개인이 주도하는 소집단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텍스트의 개변이 비교적 자유로웠고, 전승력도 전승 주체의 의지와 전승상황에 따라 달라졌다. 다섯째, 이런 성격을 지닌 밀양농악은 주민들의 삶에 리듬을 부여하는 시간의 마디인 전통적 세시, 그리고 공동체의 문화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웠기 때문에 전승주체의 판단과 결정이 전승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여섯째, 이에 따라 밀양농악은 공동체의 신명풀이보다 연행집단의 신명풀이, 공동체성보다 예술성과 여가행위로서 유용성을 더 중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면모는 비단 밀양농악에서만 나타나는 게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급 수준에서 ‘무대화/재현’의 과정을 거쳐 텍스트 구성하고 ‘경연/공연’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드러내는 현대의 농악에서 적지 않게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밀양농악은 현대의 민속 가운데 하나인 고을농악의 창출과 전승양상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modern era, the town’s Nongak was invented with competitions, performances, and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in mind, unlike the Nongak, which was inherited by village residents or specialized entertainers. Miryang Nongak is also, a modern Nongak invented in the early 1970s. It shows the reality which has the town’s Nongak, relies on de-regionality, de-community and outstanding perform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Miryang Nongak’s inheritance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vention of Miryang Nongak was not done by the needs of the majority of local people, but by the will of a small number of cultural artists to respond to national policies and enhance their status in the region. Second, the performing text of Miryang Nongak has hybrid cultural identity resulting in the mixing of various elements, because it is not based on specific nongak was passed down within the region. Third, performance form in Miryang Nongak was invented for competitions and performances, so it involved compression of space-time, component selection and focalization, reconstruction of plots, and spectacle of performance. Fourth, the transmission of Miryang Nongak was made not by a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but by a small group relying on a specific individual, so it was relatively free to alter the text, and the power of transmission was determined by the will of the individual who had the initiative and transmission environment. Fifth, Miryang Nongak, which has this characteristics, was free from the seasonal customs, which are the nodes of time that gave rhythm to the lives of the residents, and community restraints, so the judgement and decision of the performance grou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mission of Miryang Nongak. Sixth, therefore Miryang Nonga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tistry and usefulness as leisure activities rather than Sinmyung-Puli of local community. This aspect is not only seen in Milyang nongak, but also considerably in modern nongak, it’s kind of a difference of type and degree, the text was composed through the process of staging and representation, and performed through a contest & performance at various levels. In this regard, Miryang Nongak i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e invention and changing phase of the town’s Nongak, one of the modern folklore.

      • KCI등재

        밀양아리랑의 변용과 전승에 관한 연구

        서정매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5 No.-

        한국의 아리랑이라고 하면, 흔히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을 손꼽는다. 이 중 특히 밀양아리랑은 일제강점기에 다양한 창자에 의해 음반으로 발매되어 전국적으로 함께 부른 통속민요로서의 특징을 지니지만, 무엇보다 항일운동의 노래로 불러졌다는 사실이 다른 아리랑과는 차별되는 특징이기도 하다. 즉 항일 운동의 거점지이던 만주에서는 독립군아리랑으로 개사하여 불렀고, 임시정부 수립 후 1940년에는 광복군아리랑으로 개사하여 군가로 불렀다. 뿐만 아니라 1953년 중공군 발행 군가집 <朝鮮之歌>에서도 파르티잔아리랑이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밀양아리랑의 전파력은 매우 크다. 그러나 이러한 밀양아리랑이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묵계월의 음반 <경기소리 95>에서 밀양아리랑이 경기민요로 수록되면서 그 정체성이 모호해졌다. 뿐만 아니라 북한가수들의 소리가 담긴 <북한아리랑>(1999)․<북한아리랑 명창전집>(2005) 등의 음반에 나타난 밀양아리랑은 북한식 창법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밀양아리랑은 통속민요로서 다양하게 변용되어 불려왔지만, 근원지인 밀양지역에서의 활동은 너무도 미비하다. 즉 발원지가 오히려 불모지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2010년 현지조사로 발간된 『밀양민요집』에서는 창자가 작고하거나 현저히 줄어 조사 내용의 부족으로 인해 과거에 기록된 밀양아리랑의 가사를 모두 포함하여 책이 발간되었다. 또한 매년 개최되는 밀양아리랑대축제에서는 2011년에 이르러서야 밀양아리랑의 존재성을 부각시키기 시작했으며, 2011년 3월에는 토박이들의 노래로 구성된 밀양아리랑 음반이 최초로 발매되었고, 밀양시티투어의 일환으로 밀양관아에서 밀양아리랑 공연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개최된 아리랑한마당에서는 토박이들로 구성된 밀양아리랑 단독 공연이 공식적으로는 최초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2012년 4월 국립민속박물관 아리랑 특별전시에서 밀양아리랑의 현지조사 및 인터뷰가 영상으로 소개되고 공연되었으며, 2012년 5월 밀양아리랑 상설공연이 처음으로 만들어지는 등 지역성을 지닌 밀양아리랑이 2011년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지에서의 밀양아리랑은 민요로서가 아닌 민속놀이의 일부분으로서 자리 잡고 있어서 민속놀이와는 분리된 독립된 밀양아리랑 공연 프로그램 개발과 새로운 창자의 발굴이 요구된다. 또한 밀양아리랑은 유희요의 기능을 넘어 군가 및 운동가로서의 기능까지 겸비하고 있지만, 경기민요 명창들 뿐 아니라 현지인 밀양지역에서조차 유희요로만 전승하고 있어서 밀양아리랑의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를 강조할 수 있는 공연방식의 개발 등 올바른 전승과 계승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representitive Arirangs in Korea. One is Jeongseon another is Jindo Arirang, the other is Miryang Arirang. In particular, Miryang Arirang became popular among Koreans after the disks by many musicians were releas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op of that, It is the distinct characteristic that Miryang Aririang was sung as a anti-Japanese song by the fighters for independence. In Manchuria in China which was a stronghold of anti-Japanese movement, it was sung with revised lyric lines called Independence Army Arirang. Afte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it was sung as a martial song with revised words called Liberation Army Arirang. There is a surprising evident that even Chinese soldiers could sing revised version of Miryang Arirang in the collection of martial songs issued in 1953 by the Chinese military. Taking these facts into consideration,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great ripple effect. Unfortunately, after Miyarng Arirang had been contained in the disk, ‘GyeongGi Sori 95’, sung by MuckGyeWol who holds the title of the artists of GyeongGi folk songs, its identity became vague. Besides, Miryang Arirang was included in the disk, ‘North Korea Arirang’(1999) ‘The collection of best singers of North Korea Arirang‘ (2005) sung by several singers who sang in their own way. Considering the facts mentioned above, It cannot be denied that Miryang Arirang has a great spreading power and variability. Likewise, it has been sung in a commonplace way with various usages. It also has the local characteristics as a folk song. Strange to say, the activities of it as a folk song are not good enough in Miryang, its original place. In other words, the soil of the origin place is barren not fertile and that condition has been so up to now. but recently things have changed. Although Miryang Arirnag Festival has been held every year, it borrowed just its name from Miyrnag Arirang. that is, it has not performed Miryang Arirang. But Miryang Arirang has started to get its proper position since 2011. ‘The Collection of Miryang Folk Songs’ published through the research in the field in 2010 covered all the lyrics from the past records of Miryang Arirang because of the lack of materials on it as to the death of the song writers of Miryang Arirang. A disk on Miryang Arirang sung by the only local people was first released in March 2011. Miryang Arirang is being performed in Miryang GyanA as a part of Miryang City Tour, and was first performed officially by the team which consisted in the only local people in Arirang HanMaDang Festival held in the NanSan Korean Classical Music Institute in December of the same year. Through the special Exhibition of Arirang sponsor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in April 2012, the presentation on Miryang Arirang sung by the local singers, which was made by the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of the local singers of it, was introduced and performed. Miryang Arirang has being performed on the regular basis for the first time since May, 2012, through which it started to gain the adequate position as a local folk song. Namely, it has begun to be basically and earnestly activated in Miryang, the birth place of Miryang Arirang, since 2011. but the problem is that because the folksy Miryang Arirang is being led by the Institution of Miryang Folk Art Conservation whose members are Miryang BaekJung Nori, signific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68, and GamNeGaeJul DangGiGi, GyeongNam intangible cultural asset NO.7,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new performers and musicians who can concentrate on and specialize in Miryang Arirang. There are other things to develop and improve Miryang Arirang. For example, It’s important to make the condition and circumstance for the people in Miryang to sing and publish the collections of lyrics of Miryang Arirang. But in reality, As Myrang Arirang is positioned as a part of folk play not as a folk son...

      • KCI등재

        밀양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3 No.-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folk song Milyang Arirang that have been accepted in contemporary literary culture, art culture, fusion and industrial culture an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ew culture. It is aimed to concentrate on whether or not new text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o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works of modern poets embracing Miryang Arirang, the poetry poems written by the poets of Miriang Arirang's works have been relatively successful poetical works, while effective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ditorial and rhythm with Miriang Arirang. The works of Myeongyang in the standpoint of Myeongyang showed the limitation of being able to escape from the observer position by only visualizing the outer appearance of Miryang despite delicate sensual depiction. In the future, it is based on Miriang Arirang, but the task is to continue the effort of city creation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symboliz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of Miryang in a new perspective. I could find 4 kinds of recordings by mass popular song with Miriang Arirang. "New Miryang Arirang"(1968) of Petit Kim, "New Miryang Arirang" (1973) of Beauty Girls, "Miryang Meosum Arirang"(1983, 1988) of Han Kyu Cheol and Song Chang Sik. Keel Ok-yoon's composition and Petit Kim’s song, “New Miryang Arirang”, which is a song of defamatory songs, is based on the light melody of Miryang Arirang, while reviving the song appropriately, while expressing the spirit of drawing on the basis of the union of men and women relatively well. It was a popular song, and the Beauty Girls' “New Miryang Arirang” was not new in the editorial content and only a few lyrics were available, but the song was relatively short and simply ended, which led to a renewed interest in the public. Hwang Kyu Chul and Song Chang Sik's “Miryang Meosum Arirang” not only k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ghtful melody of Miriang Arirang well but also captured the psychology of a woman who hesitated to speak out boldly despite the desire to reveal herself. As a repetitive language expression, it became an popular popular song with public appeal.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new K-pop based on Milyang Arirang. 이 글은 민요 밀양아리랑이 현대의 문학문화, 예술문화, 융합․산업문화에 수용되어 새로운 문화 창출에 기여한 양상을 살핀 후, 문학문화 중 현대시, 예술문화 중 대중가요에서 밀양아리랑이 어떻게 수용, 변용되어 새로운 텍스트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집중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 작품들을 검토한 결과, 밀양아리랑의 소리 권역 출신 시인들이 쓴 시 작품들이 대체로 밀양아리랑과의 사설과 리듬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면서 비교적 성공적인 시적 형상화를 이룬 작품들인 반면, 길손의 입장에서 밀양을 다녀와서 쓴 시 작품들은 섬세한 감각적 묘사에도 불구하고 밀양의 겉모습만 형상화함으로써 관찰자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밀양의 인물과 역사를 새로운 안목에서 형상화하는 등 다각적인 방향에서 시 창작의 노력을 지속해야 하는 것이 과제로 부여되어 있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대중가요로 총 4종의 음반을 찾을 수 있었다. 패티김의 <신밀양아리랑>(1968),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1973), 한규철의 <밀양머슴아리랑>(1983), 송창식의 <밀양머슴아리랑>(1988) 등이 그것이다. 길옥윤 작곡, 패티김 노래의 <신밀양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경쾌한 가락을 바탕으로 노래의 흥을 적절하게 되살리는 한편, 남녀의 연정을 기초로 임을 그리는 마음을 비교적 잘 표현했다는 점에서 당시 많은 인기를 얻었던 대중가요였으며,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은 사설의 내용에서 새로움이 없고 일부 가사만 개사된 형태이면서 노래가 비교적 짧고 단순하게 끝남에 따라 대중의 관심을 새롭게 끌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규철과 송창식이 부른 <밀양머슴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흥겨운 가락이 갖는 특징을 잘 살렸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속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말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여성의 심리를 잘 포착하되 이를 반복적 언어표현으로 사설로 엮음으로써 대중적 호소력을 지닌 대중가요가 되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K-pop의 탄생 등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밀양아리랑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 – 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

        박경수(Park, Kyung-su)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3 No.-

        이 글은 민요 밀양아리랑이 현대의 문학문화, 예술문화, 융합·산업문화에 수용되어 새로운 문화 창출에 기여한 양상을 살핀 후, 문학문화 중 현대시, 예술문화 중 대중가요에서 밀양아리랑이 어떻게 수용, 변용되어 새로운 텍스트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집중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 작품들을 검토한 결과, 밀양아리랑의 소리 권역 출신 시인들이 쓴 시 작품들이 대체로 밀양아리랑과의 사설과 리듬의 효과적으로 반영하면서 비교적 성공적인 시적 형상화를 이룬 작품들인 반면, 길손의 입장에서 밀양을 다녀와서 쓴 시 작품들은 섬세한 감각적 묘사에도 불구하고 밀양의 겉모습만 형상화함으로써 관찰자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밀양의 인물과 역사를 새로운 안목에서 형상화하는 등 다각적인 방향에서 시 창작의 노력을 지속해야 하는 것이 과제로 부여되어 있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대중가요로 총 4종의 음반을 찾을 수 있었다. 패티김의 <신밀양아리랑>(1968),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1973), 한규철의 <밀양머슴아리랑>(1983), 송창식의 <밀양머슴아리랑>(1988) 등이 그것이다. 길옥윤 작곡, 패티김 노래의 <신밀양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경쾌한 가락을 바탕으로 노래의 흥을 적절하게 되살리는 한편, 남여의 연정을 기초로 임을 그리는 마음을 비교적 잘 표현했다는 점에서 다시 많은 인기를 얻었던 대중가요였으며,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은 사설의 내용에서 새로움이 없고 일부 가사만 개사된 형태이면서 노래가 비교적 짧고 단순하게 끝남에 따라 대중의 관심을 새롭게 끌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규철과 송창식이 부른 <밀양머슴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흥겨운 가락이 갖는 특징을 잘 살렸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속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말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여성의 심리를 잘 포착하되 이를 반복적 언어표현으로 시설로 엮음으로써 대중적 호소력을 지닌 대중가요가 되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K-pop의 탄생 등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folk song Milyang Arirang that have been accepted in contemporary literary culture, art culture, fusion and industrial culture an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ew culture. It is aimed to concentrate on whether or not new text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o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works of modern poets embracing Miryang Arirang, the poetry poems written by the poets of Miryang Arirang’s works have been relatively successful poetical works, while effective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ditorial and rhythm with Miriang Arirang. The works of Myeongyang in the standpoint of Myeongyang showed the limitation of being able to escape from the observer position by only visualizing the outer appearance of Miryang despite delicate sensual depiction. In the future, it is based on Miriang Arirang, but the task is to continue the effort of city creation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symboliz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of Miryang in a new perspective. I could find 4 kinds of recordings by mass popular song with Miriang Arirang. “New Miryang Arirang”(1968) of Petit Kim, “New Miryang Arirang”(1973) of Beauty Girls, “Miryang Meosum Arirang”(1983, 1988) of Han Kyu Cheol and Song Sik. Keel Ok-yoon’s composition and Petit Kim’s song, “New Miryang Arirang”, which is a song of defamatory songs, is based on the light melody of Miryang Arirang, while reviving the song appropriately, while expressing the spirit of drawing on the basis of the union of men and women relatively well. It was a popular song, and the Beauty Girls’ “New Miryang Arirang” was not new in the editorial content and only a few lyrics were available, but the song was relatively short and simply ended, which led to a renewed interest in the public. Hwang Kyu Chul and Song Chang Sik’s “Miryang Mesoum Arirang” not only k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ghtful melody of Miryang Arirang well but also captured the psychology of a woman who hesitated to speak out boldly despite the desire to reveal herself. As a repetitive language expression, it became and popular song with public appeal.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new K-pop based on Milyang Arirang.

      •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과 문화유산적 가치

        성기숙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2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8 No.-

        본 논문은 밀양검무(密陽劍舞)의 복원 전승과 문화유산적 가치를 조 망한 것이다. 밀양검무 고유의 향토성과 예술적 독창성에 주목하되, 현 재적 관점에서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과 문화유산적 가치를 서술하였다. 조선후기 밀양검무와 관련한 다양한 기록을 남아있는데, 대부분 밀양 출신의 기녀 운심(雲心)에 관한 내용이다. 신국빈(申國貧, 1704~1799) 의 『태을암문집(太乙菴文集)』 권2 「응천교방죽지사(凝川敎坊竹枝詞)」, 성대중(成大中, 1732~1809)의 『청성잡기(靑城雜記)』 ,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이면승(李勉昇, 1766~1835)의 『감은편(感恩篇)』 등에 밀양검무의 명인 운심에 관한 기록이 전한다. 특히 조선후기 실학자 박제가(朴齊家)는 묘향산을 유람하고 「묘향산소기(妙香山小記)」라는 수필을 남겼는데, 이는 후에 『정유문집에 「검 무기」라는 제목으로 재수록되었다. 근세의 검무는 밀양의 운심이 유명 하며, 당시 이 춤을 추는 사람은 대개 운심의 제자라는 사실에서 운심 이 검무의 명인이었으며, 당대 최고의 무용스타였음을 알 수 있다. 운심 의 밀양검무는 일제강점기 이후 전승이 단절되었다가 1980년대 후반 밀양 출신 전통무용가 김은희에 의해 복원되어 현재로 이어지고 있다. 밀양검무는 두 차례에 걸쳐 복원과정이 추진되었다. 제1차 복원은 1987년 시작되어 1992년 서울 국립국악원 무대를 통해 선보였는데, 이는 편의상 ‘일제강점기 밀양권번본 검무복원’이라 이른다. 일제강점기 권 번을 매개로 전승된 밀양검무로서, 이른바 구전심수(口傳心授) 방식으 로 이검무 형식의 검무를 복원한 것이다. 제2차 복원은 2004년 이후 시도되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밀양교방본 검무 복원’이라 하겠다. 조선후기 밀양검무의 명인 운심을 매개로 한 밀양교방본 검무복원 작업은 문헌기록에 나타난 운심의 밀양 이검무, 신윤복의 풍속화 「쌍검대무」, 「무예도보통지」 등 세 가지 전거(典據)를 바탕으로 복원되었다.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에 함축된 문화유산적 가치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거에 내재된 역사성, 둘째, 지역 고유의 향토성, 셋째, 예술적 완결성·독창성, 넷째, 시대의 징표로서의 이검무 형식, 다섯째, 고증을 통한 복원의 엄밀성 등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While focusing on Milyang Sword Dance’s own local features and artistic uniqueness, this study states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from the contemporary view here in this article. Remaining are a variety of records about Milyang Sword Da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most of which are about the Gisaeng (Korean traditional female entertainer) Woon-shim (雲心) from Milyang region. The records about her are shown on many books including the section 2 EungCheonGyoBangJukJiSa (凝川敎坊竹枝詞) of TaeEulAmMunJip (太 乙菴文集) written by Shin Kook-been (申國貧, 1704~1799), CheongSeongJapGi (靑城雜記) by Sung Dae-joong (成大中, 1732~1809), CheongJangGwanJeonSeo (靑莊館全書) by Lee Deok-moo (李德懋, 1741~1793), GamEunPyeon (感恩 篇) by Lee Myeon-seung (李勉昇, 1766~1835) and etc. Especially, Park Je-ga, a Confucian of Shilhak School late in the Joseon Dynasty, wrote a collection of essays named MyoHyangSanSoGi (妙香山小記) after travelling around the mountain Myo-hyang, which later was included in JeongYooMunJip, a collection of Jeong-yoo’s literatures. In the modern period, Woon-shim from Milyang region was famous of Sword Dance. That period, most of dancers of Sword Dance were Woon-shim’s students, which indicates that Woon-shim was a master of Sword Dance and the top dancing star in that period. The succession of Woon-shim’s Sword Dance had been interrupted since Japanese Invasion. Late in 1980s, however, it was restored by Kim Eun-hee, a traditional dancer from Milyang region and has been lasting to this day. The restoration of Milyang Sword Dance had been carried out two times. The first restoration work began in 1987 and its results were performed on a show of National Gukak Center in Seoul. This restoration work is, for convenience sake, called ‘the Restoration of Under-Japanese-Rule Milyang Gisaengs’ Association Version of Sword Dance’, which is the Sword Dance transmitted through Gisaengs’ associations controll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is is the duet Sword Dance style restored in the way of so-called GuJeonSimSu (口傳心授: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not written words but spoken words and minds). The second restoration work was implemented after 2004. This work was for ‘the Restoration of Milyang Gisaeng School Version of Sword Da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focusing on the Sword Dance of Woon-shim, a master of Milyang Sword Da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and based on three types of record: Woon-shim’s Milyang Duet Sword Dance shown on literatures, Shin Yoon-bok’s folklore painting piece SsangGeomDaeMoo and a martial art textbook MuYeDoBoTongJee. The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implied in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is summarized into such characters as first, its historical value, second, its own unique local features, third, its artistic completion and uniqueness, fourth, its duet style form as a sign of a period, and fifth, its precise restor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 「밀양십경」·「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김지현(Kim, Chihyoun)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조선시대 밀양의 명승에 대한 인식과 형성양상을 살피기 위해 조선시대 문집과 고지도, 그림을 중 심으로 살펴보았다. 밀양의 명승을 읊은 작품으로는 15세기 서거정의 「밀양십경」, 19세기로 추정할 수 있는 「금시 당십이경」 두 작품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이 두 자료를 중심으로 현 밀양팔경의 명승지를 고찰하였다. 서거정 의 「밀양십경」 속에 보이는 우령산, 마암산, 응천, 삽포, 용두산, 율도, 산성산, 나현(날치고개), 삼문동 들, 남포 등 의 장소와 「금시당십이경」에 보이는 산성산, 용두산, 무봉산(아동산), 마암산, 영남루, 밀양읍성 그리고 율도, 삼문동 들은 모두 영남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공간 속에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금시당십이경」 속에서 월연 정이 현재 밀양 팔경이 되었음을 살폈다. 지금의 밀양 팔경 중 조선시대에 시제 및 소재가 된 곳은 영남루와 월연 정을 제외하고 거의 전하지 않는다. 이처럼 밀양 명승과 관련한 시문이 적은 것에는 밀양지역 문인들의 문집이 임 진전쟁 이후 18세기 이전까지 간행되지 못했던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후 개별적으로 밀양 지역의 개인의 정 자를 읊은 작품과 화첩이 있으나, 작품 속 장소가 밀양의 명승으로 밀양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곳으로는 자리 잡지 못하였다. 살펴본 바처럼 밀양의 승경을 읊은 작품은 도리어 많지 않으며, 현 밀양팔경을 만든 것은 조선 시대의 시문이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formation of famous Buddhist temples in Mir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chool focused on the literature, maps, and paintings of Joseon Dynasty. Among the works that introduced the famous Buddhist temples of Miryang, only two works were identified: Seo Geo-jeong s The Ten Scenic Views of Miryang in the 15th century and Geumsidang 12th Scene, which can be presumed to be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ese two materials were used to consider the scenic spots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Uryeongsan Mountain, Maamsan Mountain, Eungcheon Mountain, Sappo, Yongdusan Mountain, Yuldo Mountain, Nahyeon(nalchi hill), Sammundong-dong, Nampo Mountain, and Mt. Yongdusan Mountain, Mubongsan Mountain(Ai Mountain), Maamsan Mountain, Yeongnam-ru, Miryang-eupseong Fortress, and Yul-dong. In The Twelve Scenes of Geumshidang, it was observed that Wolyeonjeong is now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Among the current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few of them were mentioned except for Yeongnamnu and Wolyeonjeong. The fact that there are so few poems related to the famous Buddhist temples in Miryang is related to the fact that literary works of writers in Miryang were not published until the 18th century after the Imjin War. Since then, there have been works and albums that recited individual pavilions from Miryang, but the place in the work has not been established as a place loved by Miryang people due to the famous scenery of Miryang. As we have seen,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recite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a poem of the Joseon Dynasty that produced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 KCI등재

        일제강점기 <밀양아리랑>의 유행 양상 연구

        정서은 민족음악학회 2022 음악과 민족 Vol.- No.64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의 문헌 자료 및 유성기음반, 경성방송국 방송목록 등 미디어에 등장하는 <밀양아리랑>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밀양아리랑>의 유행 요인 및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아직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밀양아리랑>의 정체성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시기별 <밀양아리랑>의 등장 순서는 유성기음반, 문헌 자료, 경성방송국 국악방송목록 순이며, 유성기음반 및 경성방송국 국악방송 등의 소리미디어에서 다른 지역아리랑에 비해 월등히 잦은 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밀양아리랑>은 유성기음반의 발매와는 별개로 1929년 이전부터 밀양지역이나 이외의 지역에서불리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밀양아리랑>이 소리미디어를 통해 대중화되기 이전부터 일반에 유행한 이유는 음악적인 특징에서 찾을 수 있는데, 도약해서 질러내는 특징적인 선율, 따라부르기 쉬운 선율 구성, 선율 및 리듬의 조화, 흥겨운 리듬감 등이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밀양아리랑>은 일반에 유행되고 있었고, 소리미디어를 통해서도 인기를 누리게 된다. 1930년대 이후 <밀양아리랑>은 소리미디어를 통해 대중화되는데, 다른 종류의 아리랑소리와 비교하여 가창자의 출신 배경이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밀양아리랑>이 가진 대중적인 음악 요소로 인해 당대 유명예술인 출신의 가창자들에 의해 불릴 수 있게 되고, 이들의 섭외는 다시 <밀양아리랑>이 대중들에게 관심을 받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리미디어에 나타나는 <밀양아리랑>의 악기 편성을 살펴본 결과, 1930년대 중반을 전후로 기존 국악기 편성에서 벗어나 서양식관현악단이나 선양악단의 반주가 등장한다. 1930년대 이후 기존 민요들이 쇠퇴하고 유행에서 밀리게 되는 상황 속에서 <밀양아리랑>은 새로운악기 편성과 조화를 이루어 대중음악 영역에서도 도태되지 않고 유행을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제의 밀양지역 탄압기구 설치와 탄압 양상 -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 직전까지를 중심으로 -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이 글은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의 한 동인으로써 밀양지역에 설치된 탄압기구와 그 탄압 양상에 주목했다. 밀양에는 청일전쟁 이후부터 일본군과 일본헌병대가 수비대와 분견대의 형태로 주둔했다. 특히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수비대와 분견대가 밀양에 주둔하며 조선의 식민지화에 저항하던 의병의 진압에 나서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다. 나아가 ‘헌경통일’과 강제병합으로 헌병분견소와 출장소가 여전히 다수 설치되어 이 지역의 치안 유지는 물론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에 나섰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3.1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폭력적 진압(밀양 사건)이었다. ‘밀양 사건’인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는 당시의 인식에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대표할 만큼 치열한 저항운동이었고 대대적인 탄압을 받은 사건이었다. 특히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일본 군경 측의 보고가 발포를 누락하고 사상자 수도 축소했지만, 미국 선교사와 영국 외교관의 보고에서 각기 다른 네 방면의 정보 제공에 의해 그 실상을 알렸고, 이를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등 해외독립운동가들은 가장 대표적인 탄압 사례, 학살 사건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의 ‘학살 사건’은 당대인의 기억 속에 3.1운동의 대표적인 탄압 사례로 알려져 있었기에, 그 탄압기구인 밀양헌병분견소(밀양경찰서)는 당연히 의열단의 첫 번째로 처단되어야할 기관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김원봉을 비롯한 의열단 다수와 투탄의거를 실행한 최수봉이 밀양 사람이기 때문에 의열투쟁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겠지만, 그 이상으로 밀양경찰서가 일제 탄압의 전국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suppression agency installed in the Miryang area, which was one of the causes of the Euiyeoldan"s bombing of the Miryang Police Station, and the aspect of its suppress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were stationed in Miryang in the form of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In particular, the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were stationed in Miryang from 1907 to 1909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who resisted Japanese colonization, producing many victims. Furthermore, due to the "unific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the forced annexation of Japan, a number of military police depots and branch offices were still set up to maintain public order in the area and suppres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decisive event was the massive violent sup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Miryang Massacre). The Taeryong-ri market protest where the "Miryang Massacre" took place was a fierce resistance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whole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and it was an event that was heavily repress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hich violently suppressed the protests, concealed the firing and reduced the number of casualties. On the other h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British diplomats informed the world of the massacre. At that time, independence activists abroad,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stood this a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oppression and massacre. As such, the “massacre” of the Taeryong-ri market demonstration was known to the people of the time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so the Miryang Police Station, the subject of the massacre, must have been an institution that the Euiyeoldan must punish.

      • KCI등재후보

        밀양 지역 극장의 역사적 연원과 분포 구도에 관한 연구

        김남석(Kim Namseo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8 동서인문 Vol.0 No.9

        지금까지 일제 강점기 밀양에 지역 극장이 존재했다는 학문적 연구는 제기된 적이 없다. 하지만 밀양에도 지역 극장이 존재했고, 적어도 1920년대 후반에 두 개의 지역극장이 설립되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밀양극장이며, 다른 하나가 조일극장이다. 조일극장은 밀양 구시가에 위치한 극장이었고, 밀양극장은 신설된 철도역 인근에 위치한 극장이었다. 이 두개의 극장은 서로 경합하기도 하고, 상호 보완하기도 하면서, 밀양의 극장 인프라를 형성했다. 그리고 1940년대에는 밀양영화극장이 설립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 극장의 연원과 자취, 설립 과정과 설립 이유, 그리고 운영 상황과 역사적 의의에 대해 조사 분석한 연구이다. 자료의 부족으로 네 극장의 실체가 상당 부분 해명되지 못했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관련 학계의 분발과 조사 보고 활동이 촉진될 것을 기대한다.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existence of local theaters in Miry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local theaters did exist in Miryang and at least two local theaters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1920s. One was called ‘Miryanggeukjang’, the other ‘Joilgeukjang’. The latter was located in the old town of Miryang while the former wa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newly built railway station. These two theaters competed with each other but also complemented each other, building thereby the theatrical infrastructure of Miryang. In the 1940s, ‘Miryangyeonghwageukjang’ was established.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genesis of this three theaters, the process of and reason for their establishments, the way they were managed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Although the existence of a fourth theater could 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dat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ave the way for further research and academic activities related to this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