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념사 관점으로 보는 보훈: 독립⋅호국⋅민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임수진(Sujin Lim) 한국보훈학회 2021 한국보훈논총 Vol.20 No.3

        본 연구는 ‘보훈’을 하나의 사회적 개념으로서 살피어, 개념사를 통해 보훈이 내포하는 주요한 의미와 가치를 살펴본다.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를 잇는 라이하르트가 제시한 개념의 ‘의미 장’ 분석의 틀을 차용하여, 보훈의 세 가치, ‘독립’, ‘호국’, ‘민주’를 중심으로 보훈 개념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의미 장, 1) 계열관계의 장, 2) 통합관계의 장, 3) 역사적 사실, 4) 기능적 반의어를 시대적으로 분석한다. 주요한 시대적 변수로서 일제 해방 이후 남한 단독정부의 수립, 1962년 특별원호법의 제정, 1985년 보훈처 설립, 2002년 민주유공자예우법 제정 시기를 고려하여, 보훈 용어와 관계하는 시대별 주요 관련어휘 및 역사적 사건을 살펴본다. 보훈의 주요 가치인 ‘독립ㆍ호국ㆍ민주’를 중심으로 살피면, 일제 해방 이후 보훈 영역 속 ‘독립’의 가치가 가장 중시되었으나, 남북 분단에 따라 ‘호국’의 가치가 최우선의 가치로 부상하였고 이는 더욱 강화되어 ‘호국’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군사원호’의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민주화운동의 발발과 정권 교체에 따라 사회개혁의 차원에서 ‘독립’의 가치가 재부상하고, 2000년대 민주화에 대한 사회 전반적 관심이 높아지며 보훈의 영역 속 부차적 가치로 존재하던 ‘민주’의 가치가 전면에 부상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민주’의 가치가 부상한 이후 보훈의 개념 속 갈등과 분열, 화합과 통합의 연계어가 출몰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이는 ‘독립’, ‘호국’의 가치가 사회 외부의 명확한 대항세력을 지목하는 반면, ‘민주’의 가치는 정치엘리트를 포함한 사회 내부 구성원을 잠재적 대항세력으로 구성할 수 있는 공동체 경계구획의 불확실성을 포함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훈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시대적 이해와 적극적인 사회적 고찰 및 공론화 과정을 통해, 분열의 함의를 극복한 포용적인 보훈의 개념을 현 시대 속에서 재구상할 필요가 있음을 살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oncept of ‘Honoring Patriots and Veterans’ in South Korea through the theory of Conceptual History. By using Rolf Reichardt’s analytical framework, the article looks ‘four fields of significance’ regarding ‘Honoring Patriots and Veterans’, which includes 1) the field of paradigmatisch, 2) the field of syntagmatisch, 3) the field of historical facts, and 4) the field of functional antonyms, considering its three values—Independence, National Defense, and Democracy—, and time variables. First, among the three values, the most important value was Independence right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However, after the South-North division, the value of National Defense became the first. This trend became more consolidate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s. However, after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regime change, the value of Independence rose again. However, as the value of Democracy came to the forefront in the society in 2000s, a number of different opinions on this value were produced, which caused ideas of conflict/division and harmony/integration rose in the society. The article argues that these controversies are due to the different conceptual boundaries among the three values: the value of Independence and the value of National Defense assume their conceptual boundaries by considering national enemies who are outside the national border, while the value of Democracy assume its conceptual boundary by considering social enemies who are inside the society such as political elites, and this means that the value of Democracy draws a vague boundary between ‘us and others’. Therefore, these three values in the concept of ‘Honoring Patriots and Veterans’ need to be more considered and discussed in the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its divisive connotation as regarding the context of time.

      • KCI등재

        근대 한국에서의 ‘민주’ 개념의 역사적 고찰

        최정욱(Jung ug Choi)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1

        이글에서는 우리나라 헌법과 현대 정치학에 등장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민주’ 라는 개념이 우리 역사, 특히 근대사에서 가지었던 의미를 고찰한다. 이것은 특정 개념이 하나의 생물처럼 그 용법과 의미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대적으로 다양한 의미로 변천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과거 이 용어가 근대적인 의미로 최초로 사용되기 시작할 때부터 우리나라 임시정부 임시헌장 제1조에 들어가기까지의 역사적 시기를 통해서 어떻게 이 민주라는 단어가 사용되어 왔는지를 용법과 의미에 주의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여기서는 민주라는 용어가 부재하였던 시기의 개화기 초기 체제구분의 사례들을 우선 살펴보고, 그 이후 민주가 군주국의 반대 의미로 사용된 경우, 민주가 다수정체로 공화와 구분되지만 공화정의 일부라는 경우, 민주가 동류다수정체로 공화와 혼용된 경우, 마지막으로 조소앙에 와서 민주가 민주공화라는 단어의 일부로 사용된 경우 각각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여 본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오늘날 “민주” 를 권위주의의 반대어로 이해하는 통상적인 인식이 얼마나 역사성을 지니는 현상인가를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fundamental concept of “Minju” in Korea’s current constitution, focusing on how this concept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and how its meanings had varied over time until Tjo Sowang reinterpreted it in quite a similar line with today’s predominant usage of the term during the 1930s and 1940s. In more detail, it deals with the works of Yu Kil-chun(1895), Hyeon Chae(1886), Rhee Syngman(1904), Yi Kee(1908), An Kuk-son(1907), Najin and Kim Sanyeon, and Tjo Sowang in addition to some periodicals in the modern period. It finds, among others, that most of the pre-Tjo Sowang writers either used the term of “Minju” to denote “republic” or employed another term of “Minju-Gonghwa” to represent the opposite system of imperial dictatorship. This is contrasted with the contemporary usage of the term, “Minju” and “Minju-Gonghwa” as democracy and democratic republic,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심의민주주의와 정당성 문제

        박상혁 ( Sang-hyuk Park ) 한국윤리학회 2015 윤리학 Vol.4 No.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정당성의 개념을 논한다. 적절한 민주주의적 정당성의 개념을 확립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도 중요하다. 사실 정당성의 개념은 모든 정치체제에서 통용되는 개념인데, 이 논문에서는 특히 현대자유민주주의 사회에 적합한 민주주의적 정당성의 개념을 논한다. 정당성의 문제는 큰 문제로서 단계적인 접근을 취할 필요가 있다. 그 첫 번째 단계에서 우리는 적절한 민주주의적 정당성의 개념이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 유행하는 심의민주주의적 정당성의 개념을 살펴본다. 그런데 심의민주주의를 살펴보면 비록 주창자들은 그 독창성을 많이 강조하지만 사실상 역사적으로 전승되어온 고전적 민주주의 개념과의 차이는 강조의 차이이지 완전한 질적 차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심의민주주의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그 독창성을 도를 넘어 강조하지 않으면서 전통적인 민주주의적 정당성의 개념과 결합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민주주의론의 다양한 요소들이 적절한 민주주의적 정당성의 개념에 일조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deal with the problem of legitimacy. Legitmacy can be used in any political regime. But I discuss the specific conception of democratic legitimacy which is apporpriate for a liberal democratic society. This problem of legitimacy is a tall order, so it needs a step-by-step approach. In the first step, we need to find a proper concept of democratic legitimacy. In the second step, we need to evaluate currently fashionable conception of deliberative democracy. I argue that deliberative democracy has m any attractive features, but it is not so radically different from historically proven conceptions of democracy. So without overemphasizing or underemphasing deliberative democracy, we can accommodate the conceptions of legitimacy of deliberative democracy and more conventional democracy. Each of these methods has a important element which contributes to the democratic legitimacy.

      • KCI우수등재

        민주노조운동의 ‘민주’ 개념 전노협 문서를 중심으로

        최민석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7

        In Korea, democratic union movement blew up after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tructed KTUC as an alternative national labor union cen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ategy and prospect of democratic union movement in the early 1990s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of ‘democracy’ which was used on the documents of KTUC. Usually the concept was employed for dividing enemy and friend on the one hand, and justifying the practice of the movement on the other. This usage reflected radicalism of the activists in the KTUC headquarter and the united front strategy to resist against the cruel repression of government and capitalist. The concept of ‘democracy’ was used habitually, but its meaning could not go beyond anti-government, anti-capitalist, and anti-company union. The limited perception of ‘democracy’ continued even after labor repression moderated. Consequently, strategical thinking of labor movement in the democratic system was restricted. 본 연구는 전노협의 ‘민주’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1990년대 초반 민주화 시기에 민주노조운동이 어떤 현실인식과 전망을 가지고 행위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전노협에게‘민주’는 적과 동지를 구분하는 통일전선적 개념임과 동시에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담론을 구성하는 개념이었다. 이는 당시 전노협 핵심 활동가들의 급진주의를 반영하는 것이자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정권과 자본의 혹심한 탄압이라는 조건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민주’ 개념은 습관처럼 사용되었지만 그 내용은 반정권, 반자본, 반어용을 넘어서 전개되지 못했다. 민주주의에 대한 제한적 인식은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탄압이 이완된 이후에도 지속되면서 ‘민주주의’ 내부에서의 행위에 대한 노동운동의 전략적 사고를 가로막는 결과를 가져왔다.

      • KCI등재

        주민주도성에 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장연진,하은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1

        The citizen-initiativ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community building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by Seoul City. The citizen-initiative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direction of community welfare efforts. However, this concept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in social welfar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practitioners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recognize the concept of citizen-initiative. In this study,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to generate 59 statements about the citizeninitiative in 10 social workers in Seoul.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re used to do mapping and grouping the 59 stat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otal of 6 categories were derived. The six categories are named “Inducement of Participation”, “Practice”, “Procedure”, “Awareness and Interest extension”, “Expression of Opinion”, “Attitude and Emotion”. “Practice” category was revealed as a core category in the concept of citizen-initia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irst step to discuss "what is the citizen-initiative?” and to make consensus in social welfare academic area and practice field.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복지생태계조성사업, 마을공동체지향복지관 변화지원 사업과 최근 발의된 <마을공동체기본법> 등 주민주도성은 지역복지활동의 방향성으로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주민주도성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 없이 사용되고 있어, 현장에서 활용되는데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적용하여 서울시내 복지관의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주민주도성에 대한 59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여 개념지도를 그리고 다차원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총 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6개의 범주는 “참여유도”, “실천”, “절차”, “인식과 관심 확장”, “의견표출”, “태도와 정서”로 명명할 수 있었으며, 주민주도성 개념에서 “실천”이 핵심범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주민주도성의 개념에 대해 실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실무자들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또 주민주도성을 실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논의하고 향후 합의된 정의를 만들어가는 첫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서구 자유주의적 권리-의/책무개념체계

        이봉철(Lee Bong-Cheol) 한국정치학회 2007 한국정치학회보 Vol.41 No.4

        이 연구는 서구 자유주의적 권리개념과 의무/책무개념의 체계적 특성과 정치ㆍ사회 질서개념으로서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2가지로 요약된다. 1)권리-의/책무개념체계가 사회 전부문에 걸친 개인 삶의 현재적, 잠재적 요구를 삶의 질서에 부합하게 구성하여 사회관계 기본단위질서로 표현할 수 있다. 2)이 개념체계는, 서구 자유주의사회의 정치ㆍ사회 질서체계를 3층위복합 개념질서체계로 구성하여 표현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크게 2가지를 시사해준다. 1)자유민주주의 정치ㆍ사회는 사회구성원들의 유기적으로 통합된 삶의 영역이고, 그 정치ㆍ사회질서는 연속된 사회구성원들 삶의 질서의 반영이어야 한다. 2)사적인 개인의 삶의 요구와 공적인 정치ㆍ사회질서의 요구는 삶의 질서의 연속선상에서 상호 피드백과정 속에 있다. 더불어 이 연구결과는 개념 질서체계가 정치ㆍ사회제도 질서체계에 비하여 2가지 특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1)개념 질서체계는 정치ㆍ사회질서의 변화 및 생성과정을 보다 현실에 부합하게 설명해줄 수 있다. 2)개념 질서체계는 정치ㆍ사회질서의 안정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os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liberal conceptual system of rights-duties(obligations) focused on its conceptual structure as well as on its roles of expressing and constituting politico-social orders of liberal democratic societies. Two main results of the study: 1)The conceptual system can construct politico-social demands, present and potential, of the constituents in any liberal and democratic society into the order-units of politico-social relations and express the latter into its conceptual-relational-order; 2)The conceptual system can constitute the individual-living-orders and the social-relational-order-units as such into politico-social order system and express the latter into its complex-three-layered conceptual order system. Two mai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1)Any liberal democratic society should be conceived as a network of individual lives, and its politico-social orders should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individuals' enduring living orders; 2)The demands from private individual lives and those from public politico-social orders in that society are in mutually feedback and ongoing processes. Two stronger points of the conceptual order-system compared to the politico-social order-system understood per se: 1)The former provides us with more realistic explanations about politico-social orders; 2)The former provides us with more concrete information concerning the stability level of the existing politico-social orders.

      • KCI등재

        대의제 의회 입법과정에서 ‘민주’의 의미에 관한 일고찰

        조원용 韓國憲法學會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3

        우리는 흔히 직접민주주의를 최상의 정치체제로 여기며 대의제를 차선책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대의제는 그 자체가 최상의 제도로 기획되었다. 우리는 ‘선거’를 통해 국회의원을 선출하여 대의제 국회를 구성하고 국회는 입법권을 전속한다. 하지만 대의제적 현실은 참담하다. 우리 국민들은 처음 보는 낯선 사람보다 국회, 국회의원을 더 불신한다. 참여민주주의, 직접민주주의자들은 문제의 원인을 ‘대표의 실패’에서 찾는다. 국회가 국민들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대표하는 자와 대표되는 자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며 대의제를 부정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대의제 자체가 아니라 대의제 운영에 있다. 이 과정에서 ‘민주’(demos)는 자치정 민주와 다수정 민주의 의미로 나눌 수 있고 각각 국민주권 실체설과 통치권 정당화 원리설과 결합된다. 대의제 국회입법과정에서 민주의 의미는 다수정 민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통치권 정당화 원리설과 일맥상통하게 되고 국회의 ‘구성’과 ‘운영’의 다수정 민주의 원리 사이의 간극은 헌법 제1조 제1항의 ‘공화’로 채워야 한다. 공화 없는 다수정 민주가 대의제 위기의 근본원인이다. 따라서 대의제 위기의 해결책은 자치정 민주의 강화가 아니라 대의제의 근간인 공화의 정상화에서 찾아야 한다. We usually consider direct democracy as the best system of politics and do representative systems as second best. But representative system was designed as the best system as it is. We constitute the national assembly by selecting the members through “elections” and legislation power is exclusively entitled to it. But reality with representative system is disastrous. People distrust the national assembly and its members far more than the most of strangers to them. Supports of participatory democracy and direct democracy find root cause of issues in a “failure of representation”, which means the national assembly doesn’t reflect the people’s opinions. They try to bridge the gap between who is representing and whom they’re representing in and treat the representative system negatively. But the essence of the issues sit not on the representative system, but on the operation of it. “Demos” is divided into self-rule democracy and majority rule democracy, which leads to substantiality theory of popular sovereignty and justification theory of sovereignty respectively. In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demos” should be understood as majority rule democracy, which is aligned with the justification theory of sovereignty. And the gap between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majority rule democracy can be bridged by “republic”, Article 1 (1),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Majority rule democracy without the concept of “republic” is the root cause of disastrous representative system. Therefore solutions to failure of representative system can be found not in strengthening self-rule democracy, but in normalizing “republic”, the essence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 KCI우수등재

        근대적 기본개념으로서 ‘민주주의(民主主義)’의 개념사: 19-20세기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사용의 일반화 과정을 중심으로

        송경호(Song, Kyungho),김현(Kim, Hyun)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2

        ‘민주주의(民主主義)’는 20세기를 전후로 동아시아에 데모크라시(democracy) 개념의 번역어로 정착되어 수용된 이후 근대적 기본개념으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민주주의’를 기본개념으로서가 아니라 단순한 번역어로 간주했기 때문에 데모크라시가 적합한 번역어인가 아닌가라는 문제에 분석의 초점을 맞춰왔다. 본 연구는 일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민주주의’라는 표현이 어떻게 데모크라시의 번역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는지 그 사정을 개념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이 논문은 ‘민주주의’의 개념사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점을 살펴본다. (1) 19세기 중반 리퍼블릭의 번역어로 ‘민주’가 등장할 수 있었던 맥락으로서 ‘민이 뽑은 주인’이라는 의미, (2) 1860-70년대 ‘민주’가 데모크라시의 번역어로 전환될 수 있었던 맥락으로서 ‘민주’의 의미, (3) 1880년대 데모크라시의 번역어로서 ‘민주주의’가 성립될 수 있었던 맥락으로 서구에서 데모크라시의 의미 변화, (4) 20세기 전간기에 데모크라시의 예외적 번역어로서 ‘민주주의’의 사용이 일반화되는 맥락으로서 데모크라시 담론의 확대.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논문은 근대적 기본개념으로서 데모크라시의 성격을 고려할 때, 그 표현의 추상성으로 인해 또한 역사적으로 이미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는 단순한 오역이 아니라 오히려 서구의 데모크라시에 훌륭히 조응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Minshushugi, the East Asian translation for the English word “democracy,” has been established as a basic modern concept since its creation in the late-nineteenth century.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its appropriate translation for the English word “democracy”, considering minshushugi merely as a translation rather than an idea with its own conceptual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context of how minshushugi, which seems odd at first glance, came to be the Japanese word for democrac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ual history of minshushugi, demonstrating the following four points: (1) the early understanding of the term “minshu” as “the ruler chosen by the people” enabled the wordʼs utilization as a translation for the word “republic” in mid-nineteenth century Japan; (2) because of the alternate understanding of minshu as “the people as ruler,” it was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democracy during the 1860s and ’70s; (3) a semantic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word “democracy” in the nineteenth-century West lay behind the creation of minshushugi as a translation for democracy; and (4) a global expansion of the discourse on democracy in the early-twentieth century resulted in the use of minshushugi, which had been exceptional up until then, becoming widely accept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argued that minshushugi can be regarded as a fitting and appropriate translation in regard to the Western concept of democracy, given that it reflect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emocracy as a modern basic concept.

      • KCI등재

        개화기 한국 자료에 나타난 신개념(新槪念) 용어(用語) “민주(民主)”와 “공화(共和)” -수용과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樸慧眞 한국일어교육학회 2013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6

        본고는 한국 개화기에 수용된 新槪念 어、(정치용어) 중 ``民主``라는 용어와 동시대 類義語로 인식된 ``共和``를 조사 대상으로 개화기 자료를 통해 용어의 수용과 정착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본래 ``民主``는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 ``백성의 주인``, 즉 황제나 군주, ``共和``는 ``여러 사람이 화합하여 일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었다. 19세기중반 한국보다 이른 시기에 중국에서는 ``民主``, 일본에서는 ``共和``가 Democracy와 Republic의 번역어로 고안되었는데, 이들 용어는 e기에는 서양의 정치제도를 일컫는 용어로서 한국 개화기의 정부 문서, 신문, 사전, 대역자료에 수용되어 점차 의미가 구체화된 형태로 출현하였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사용빈도에 있어서도 증가추세가 뚜렷했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국 자료에서도 Democracy와 Republic의 개념은 혼용되는 경우가 나타났다. 또한 당시 자료에 ``民主``, ``共和`` 중 일본식 번역어인 ``共和``의 사용이 많았다는 점에서 당시 한국어가 근대 일본 한자어의 영향권에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本稿は韓國開化期に受容された新槪念用語(政治用語)の中で、「民主」之當時代に類義語之して認識されていた「共和」を調査對象語之して、韓國開化期資料から受容經路之定著過程を調べたものである。本來「民主」之いう言葉は「その地域に住んでいる住民」、或は「人民の主人」、卽ち「君主」之いう意味で、また「共和」は「皆が仲よく力を合わせて事にあたるこ之」之して使用された言葉だった。しかし、19世紀中頃からは「民主」は中國で、「共和」は日本で Democracy之Republicの飜譯語之して考案された。その後から韓國の開化期の政府文書類、新聞類、辭書類、對譯資料にも受容され、意味がもっ之具體化した用語が生産されるようになった。この硏究から解ったこ之は次である。壹時間の流れ之共に「民主」之「共和」の使用頻度は增加した。二中國之日本之同じくDemocracy之Republicの槪念に混同があった。③「民主」之「共和」の中で、日本式飜譯語である「共和」の使用が多かった。このように、當時の韓國語は近代日本漢字語の影響を受けていたこ之が解った。

      • KCI등재

        협동학습이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또래지지, 교사지지, 부모지지 및 사회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문성 ( Moon Seong Jeong ),최현희 ( Hyun Hee Choi ),전영은 ( Young Eun Je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의 특징을 고려한 매개변수를 투입하여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을 정교하게 밝혀보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사회과교육의 목적과 협동학습구조의 특징을 고려하여 협동학습을 독립변수로 하고, 사회적 관계(또래지지, 교사지지, 부모지지), 사회적 자아개념을 매개변수로 하고, 민주시민의식을 종속변수로 구조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1.0과 AMOS 22.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자료(2014) 중학생, 교사, 학부모 설문결과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모델의 분석결과 협동학습은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를 매개로 민주시민의식에, 또래지지를 완전매개로 사회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며 사회적 자아개념과 민주시민의식은 인과관계를 보여주었다. 결국 협동학습은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의 기능이 작동하고 긍정적 사회적 자아개념이 형성될 때 민주시민의식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만 수업의 협동학습과 직접 관계없는 부모지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래지지와 교사지지의 과정을 거쳐야 사회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은 중요한 발견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by inserting cooperative learning into parameter variables. Considering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and the feature of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the independent variable. Moreover,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parents support and social self-concept are the parameter variables. Furthermore,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is the dependent variable. To conduct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the AMOS 22.0 and the SPSS 21.0 was utilized and analyzed. The mediated model was verifi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The subject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the Gyeonggi Province Longitudinal Survey Study on Education (2014) which was conduct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operative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by applying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s the parameter variables. Secondly, cooperative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 self-concept by applying peer support as the full parameter variable. In addition,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lf-concept and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Finally, cooperative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n democratic civil consciousness, when the function of the positive interdependence is operated social self-concept is formed.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operative learning, which had no intimate connection with parents` support, had no effects on social self-concept. On the other hand, peer support was perceived as the significant parameter variable, as well as teacher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