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사교육의 관점으로 본 초·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한국현대미술 도판 분석

        안혜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This study examines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1st National Art Curriculum to 2007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he Korean modern artworks in elementary art textbooks had been poor, while those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had been presented by chron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changes in art styles and movements. Althoug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 textbooks began to actively include more Korean modern artworks from the 7th national art curriculum period. Nevertheless, several problems still exis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approach to art history educa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more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Second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focus on 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being integrated into other content areas. Thirdly,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expanded through connecting students’everyday cultural experiences. Fourthly, Korean modern artworks should be presented with diverse methods of art history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중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속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현대미술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층위 안에서 형성되는 현대미술의 의미를 읽어내는 시각적 문해력이 미술교육의 주요 목표가됨에 따라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사교육은 문화소양교육으로 간주되며 그 비중이 점차커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미술사교육은 시대의 변천에 따른 작품의 양식적 변화를추적하는 연대기적인 접근보다는, 미술작품이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 의미를 구성해가는 다양한 방식들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미술교과서 안에 현대미술을 제시할때 맥락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경우,전통미술을 강조하는 흐름에 밀려 오랫동안 현대미술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중학교 미술교과서는 주로 해방 이전 세대의 미술작품을 제시하는데 머물러 있다가 제7차 교육과정부터 해방 이후의 한국현대미술을포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제시 방법은 주로 연대기적인 접근을 벗어나지 못한채, 맥락주의적인 접근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현대미술 도판을 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한국현대미술 도판의 비중을 더 늘려야 한다. 둘째, 최근 미술계의 동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현대미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 안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일상적인 문화적 경험과 연결하여 한국현대미술의 내용을 확장해야 한다. 넷째, 한국현대미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탐구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 중심으로-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described in the art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d from third &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2018.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was evaluated to be an significant factor in not only establishing appropriate traditional values, but also on understanding the modern painting, but it is handled in low portion, and studies on its actual state and improvement methods are inadequate. Accordingly, the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itially applied with the 2015 revised textbook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perform content analysis on the revised art textbooks of 4 types and 8 textbooks, and survey was also performed subjected to current art teachers for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environmental survey. Firstly in the textbook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ortion of Korean Painting was only 4.3% of the overall text to be very low. Secondly, illust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at there were low portion of Korean Painting illustrations, and the contents were also focused on the Chosun Dynasty. Thirdly,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aper notations used on Korean Paintings were different in the textbook or different between textbooks. Fourth, unit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direction of the 2015 revision; elements on creativity⋅convergence was examined, but reflections in comparison with the attempts were low in portion, and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appreciation. In the survey conducted on teachers, Korean Painting class was required for succession of tradition, but realistically low in class portion, and the reasons were pointed out to be a lack of Korean Painting theory and practice, insufficient teaching aids and environment, and inconvenience in preparation. In addition, derived conclusions were high demand for developing teaching aids, and that description on the technique of Korean Painting is required on revising the textbook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are provided in this study. Firstly, the overall understanding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Korean painting such as mandatory participation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on Korean Painting in the preparation of the art textbook, and systematic changes shall be followed including the expansion of practical training of the teachers, transferring the techniques related to Korean Painting, enhancing the private education us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textbook manual for the teachers. Secondly, convenient and standardized Korean Painting teaching aids shall be develop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the preparation of Korean Painting class, and improvements are also required in the distribution including the Korean papers. Lastly, terms and concepts on the elements related to Korean Painting shall be arranged. Moreover, follow-up studies o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textbooks⋅teachers, development of simplified teaching aids, and arrangement of terms⋅concepts, etc. are to be conducted to put efforts for the unique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ainting to be stabilized as a suitable educational curriculum. 본 연구는 2018년 초등학교 3, 4학년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 미술교과서에 서술된 한국화교육에 대한 실태와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에 목적이 있다. 한국화교육은 올바른 전통적 가치관 정립뿐만이 아니라 현대회화를 이해하는 중요 요소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가 처음 적용된 3,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4종 8권의 검정 미술교과서의 내용분석을 진행하였고, 교육실태 및 환경조사를 위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서 첫째, 정량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영역이 교과서 전체의 4.3%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판분석을 통하여 한국화 도판이 적었으며, 내용 또한 조선시대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에 사용된 종이 표기가 교과서 내에서 차이를 보이거나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단원분석을 통하여 2015년 개정 중요 방향인 창의⋅융합에 대한 요소를 점검하였으나 시도에 비해 반영은 적었으며, 대부분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교사 설문조사에서는 한국화수업은 전통계승을 위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수업비중이 낮으며, 원인으로 한국화이론 및 실기 부족, 교구 및 환경부족, 준비 번거로움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교구개발에 대한 높은 수요와 향후 교과서 개편시 한국화기법 등의 설명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한국화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화 전문지식 확충을 위해 한국화 전문인력의 미술교과서 집필진 참여 의무화 등으로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이 필요하며, 교사 실기연수 확대, 한국화 관련 기법전수, 방과 후 활동을 이용한 사교육 확대, 교사 교과지도서 질적 향상 등 체계적 변화모색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한국화수업 준비가 번거롭고 불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간편하면서도 규격화된 한국화교구를 개발해야 하며, 한지 등을 포함한 유통에 대한 제고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화 관련요소에 대한 용어와 개념정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재⋅교사 역량강화, 간소화된 교구개발, 용어⋅개념정리 등의 후속연구를 통하여 고유 문화유산인 한국화가 그에 걸맞은 교육영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 KCI등재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 An Equitable Path to Prosperity for Korea -

        장용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is paper considers what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ultural change within Korean society and its education system. Korea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and social change after the Korean War. Paralleling this economic growth and societal change, the Korean art education system has also changed and developed. Mainly affected by Western art education, the Korean art education system is becoming an amalgamation of creative self expressionism,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and traditional Korean art practices (Park, 2002, 2008). Not always based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Korean society, Korean art education is a compilation of varying art education theories emanating from the United States. With the newer social challenges facing Korea, such as an increasingly foreign population, a low birth rate, and racism, current Korean society, education,and art education are under a strain. To manage these concerns, Korean art education needs to revise goals and to engage Korea’s increasing cultural diversity. This paper examines Korean history with its various past cultural influences and changing perspectives about art education and conclude that why Korean art education needs to embrace multiculturalism and social justice. I consider how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has ideals that can be modified, updated, and adapted in a re-envisioned approach to art education in Korea. I believe that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could be beneficial in bridging not only the racial differences faced by Koreans but also the rampant socio-economic inequality. 본 연구는 미래 한국 사회의 발전 및 번영을 위해서 앞으로 어떤 미술교육이 적합할것인가에 대한 탐구로부터 시작한다. 한국미술교육도 이러한 사회 변화와 함께 발전해왔다. 일본식민지 시대 및 한국 전쟁 이후 주로 미국을 통한 서양 미술교육의 영향을크게 받았다. 현재는 한국미술교육은 여러 미술교육 사조가 합쳐진 상태가 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한국 전쟁 이후 미국 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은 것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한국은 이제 또 다른 사회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심화되는 국제화, 출산율 저하와 그에 따른 젊은 노동인구 감소, 노령인구 증가, 급속한 외국인 인구 유입, 국제결혼 증가, 한국경제의 대외 의존율증가, 높은 자살률, 심화되는 계층 간의 갈등 등은 예전과 전혀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에 부합하는 미술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 예전과 다른 미술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변화와 그에 따른 한국미술교육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여러 다문화 교육학자들과 미술학자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중심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실정에맞는 다문화 교육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인종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지방(local)과 국제적(global)관계를 이해하고, 증가되는 여러 사회, 문화적 충돌과 불평등(inequality)에 대한 바른 이해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 KCI등재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 서울시교육청 미술영재교육을 중심으로 -

        권준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4 No.-

        서울시교육청은 영재교육 내실화를 위한 『제2차 영재교육 종합 발전 계획(안)』2008년 2월 발표하였다. 이 계획안은 2003년부터 5년간 시행해 온 영재교육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후의 중장기적인 전망을 밝혔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2009년도부터 초등학교에 미술영재교육을 전격 실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은 아직 미술영재교육 실시를 위한 준비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영재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문헌연구를 통해 밝히고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2008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술영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초등 미술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중·고등 미술영재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초등 미술영재교육은 미술영재의 정의, 교사확보, 판별도구 개발, 재정확보 등의 여러 가지 준비할 사항과 극복할 문제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술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한국예술영재교육원과 대구교육대학교 미술영재원)의 선발과정, 교육방법, 교육시수 등을 조사하여 초등 미술영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a arts gifted education for a development and ‘second a arts gifted education synthesis development plan’ 2008 February. In compliance with this blueprint and analyzed the prospect which is mid-long term revealed the result of a arts gifted education from 2003 for 5 years enforced. To this plan from 2009 years in primary grade artistic a arts gifted education lightning attack with the fact that executes. So, the elementary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will be executed from school. But the elementary school not prepare about a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which from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o seek a current point in the elementary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which tried. Middle·high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present condition analyses led and elementary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justice of the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prepare of teacher, and program development, financial security etc. We prepare became escape. It examined instructional method, process of selection, education time by Korean National Institute for Gifted in Art and Daegu teachers' University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Research present solution plan for the problems which had become escape presented. And led and a direction about execution method through out present condition of different elementary visual arts gifted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일본, 중국 근대미술교육의 변화양상 연구

        이성도,김혜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3 No.-

        Modern art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was influenced by the theories of Western art education whose advocators were Europeaneducator such as Jean Jacques Rousseau, Johann Heinrich Pestalozzi, Friedrich Wilhelm August Frobel, Franz Cizek and American educators, Arthur Wesley Dow and John Dewey. In the beginning, several Japanese who studied in America and Europe seized the trends and adapted the theories of Western art education. Their transplanted theories in their homeland were again imported and adapted to Korean modern art education to no small extent. The transplantation and fixation of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along with inflow and development of modern art education in Japan and China greatly influenced to organize and buil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of Korean moder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modern art education as follows. Firstly, we try to find out how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influenced art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Secondly, we briefly investigate Japanese and Chinese modern art education which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Korean art education. We try to re-establish our own desirable art education by inquiring in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art education which was done just by importing foreign education theories. 한국, 중국, 일본의 근대미술교육은 당시 서구 교육사상의 흐름인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치젝 등의 미술교육의 이론과 아더 웨슬리 도우, 존 듀이 등의 미국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개되었다. 1900년 전후 유럽과 미국에서 미술을 전공한 일본유학생들이 당시 서구미술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귀국 후 이를 이식하고 정착시켰다. 그 후 일본에 유학한 한국의 유학생은 우리나라 근대미술교육의 형성에 기여를 하였다. 중국 또한 유럽과 일본에 유학한 미술가나 교육자들은 서구 근대미술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이끌었다. 서구근대미술교육의 이식과 정착 그리고 일본과 중국에서 근대 미술교육의 유입과 전개 등은 한국근대미술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습방법등의 체계를 구조화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서구미술교육이 한국, 중국, 일본 등 미술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전개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직·간접으로 영향이 컸던 일본근대미술교육과 중국근대미술교육을 고찰하면서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외국의 교육이론이 도입되면서 근대 한국미술교육의 형성과정의 검토를 통하여 바람직한 우리 미술교육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영재교육에 관한 초등미술영재 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류재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4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f elementary art classes for gifted students regarding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se teachers’ perceptions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related to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subsequently use the analysis results to draw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s of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For this purpose, 64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eaching elementary art classes for the gifted, were surveyed; 53 (82.8%)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significant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 teachers indicated that creativity is one of the primary considerations when identifying gifted children in ar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Third,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teachers’ study and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teachers responsible for art classes for the gifted. Finally,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he gifted in art is urgently needed to activate ar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이 연구는 초등미술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설문분석을 통해교사들이 인식을 밝히고, 이를 통해 초등미술영재교육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등미술영재교육원과 초등미술영재학급에서지도하고 있는 6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배부하여 53부(82.8%)가 회수되었다.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영재 선발 시 가장 고려해야할 점은 창의성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초등미술영재교육에 특화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영재 지도교사를 자질을 높이기 위해 직무연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미술영재 교육의 활성화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프로그램 개발과보급이다.

      • KCI등재

        국내·외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즐거운 생활」의 쟁점 도출 및 미술교육 정상화 방안 연구

        김정효(Jeong-Hyo Kim),강주희(Joo-Hee Kang)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7 No.-

        제4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40여년간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는 교육과정 문서에서도 학교 현장의 수업에서도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놀이’ 중심의 통합교육을 표방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행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의 항구적이고 본질적인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 기본 학습 내용은 누락된 채 저학년 어린이의 발달이나 정서와의 부합 여부도 파악할 수 없는 주제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의 학교 미술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외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의 선정된 내용 및 내용의 조직 방식 등을 분석하고, 국내 1-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제1차~제4차)과 「즐거운 생활」(제5차~2022개정)의 내용과 비교하여 초등학교 1-2학년 미술교육의 쟁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통합교과 운영에 따른 미술과 교육의 부실화, 유치원 누리과정과의 차별성과 연계,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연속성, 미술 발달 수준을 고려한 미술교육의 부재 등이 쟁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1-2학년 미술교육 정상화를 위해 「즐거운 생활」에서 미술과를 분리·독립하여 운영하고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3,4학년 내용과 연계함으로써 기초 교육을 충실하게 실행하여 창의·융합의 기반을 다져나가야 할 것이다. In the 40 years since the fourth curriculum,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Pleasant Life has not been implemented in curriculum documents or in classrooms in schools. Moreover, the current 2022 revised curriculum, aft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promotes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on 'play', is composed of topics or areas that are missing basic learning contents that are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to lead a human life, such as permanent and essential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that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development or emotions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lected contents and organizational methods of the art curriculum for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s abroad in order to explore ways to organize the curriculum for the normalization of school art education in grades 1 and 2, and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Korean art curriculum for grades 1-2 (1st to 4th) Pleasant Life(5th to 2022 revision) with the contents of Pleasant Life and draw implications for art and education. As a result, issue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art education due to the ope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connection with the kindergarten curriculum, continuity with the art curriculum, and the lack of art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art development were identified. Therefore, in order to normalize art education in grades 1-2, the art department should be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from Pleasant Life and linked to the contents of grades 3 and 4 of the Nuri curriculum,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by faithfully implementing basic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미술관교육에서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의 상호작용 -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 대상 미술관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양진이,김형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7 No.-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2020,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omestic art museums have set up an ‘online art museum’ as a countermeasure to the suspension of face-to-face educati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online art museum' education case has various problems and possibil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online art museum' education offer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developed in the dimension of social context,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art museum education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online art museum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ethnograph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chosen as a methodology. The interac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was observed, and their behavior and conversations were analyz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online art museum education developers. Several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ents and children asked and answered about the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learning materials. Second, parents motivated their children in various ways, such as reminding their children of the learning content as a guide helping their children to learn, or giving their children a new identity by remembering the artist's work concept. Third, the parents and children showed curiosity about the learning outcomes and offered active feedback to each other. Fourth, in the learning process, parents and children frequently showed reactions that are relevant to their lives. In conclusion, if online art museum education i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face-to face learning and online learning can be linked, it is expected that art museum education will be naturally relevant to learners' families and the educational outcomes will be maximized. In addition, if additional education contents can be developed for parent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online learning, art museum education will be further revitalized.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후, 교육환경의 변화로 국내 미술관은 대 면교육의 중단에 대한 대응책으로 ‘온라인 미술관’을 마련하였는데, 국립현대미술관 의 ‘온라인 미술관’교육 사례는 다양한 문제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 회적 맥락의 차원에서 개발된 국립현대미술관의 ‘온라인 미술관’교육에 주목하여 온 라인 미술관교육의 특성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 자녀와 부모의 상호작용은 어떠 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 앞으로의 온라인 미술관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문화기술지를 방법론으로 선택하여 초등학생 자녀와 그들의 부모의 모습을 관찰하 여 행동과 대화를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와 온라인 미술관교육 개발자와의 개별면 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및 해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와 자녀 는 학습과정에서 학습내용과 방법에 관해 묻고 대답하였고 학습재료에 대해 민감하 게 반응하였다. 둘째, 부모는 자녀의 학습을 도와주는 길잡이로서 학습내용을 상기 시키거나 작가의 작업개념을 기억하여 자녀에게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 같이 다양한 형태로 동기부여를 하였다. 셋째, 학습 결과물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서로 적극적인 피드백을 주었다. 넷째, 학습과정에서 부모와 자녀는 삶과 연계한 반응을 자주 보였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미술관교육이 현장학습과 온라인학습이 연계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된다면 미술관교육이 학습자의 가정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교 육적 효과가 극대화될 것을 전망한다. 또한 온라인학습을 주도하는 부모를 위한 별 도의 교육콘텐츠를 개발한다면 미술관 교육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근대 미술교육 제도와 국가 정체성

        김백균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implemented “subject based”, “class based” system. These reforms contributed in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taking required courses. In secondary education, especially for sports and arts area, a drastic revision contributed in reducing the burden of private tutoring, however questions can be raised if these amendments contribute to the national agenda of public education and its role of cultivating individuals with a healthy consciousness. When we are unsure about a certain problem, the easiest way to find a solution is to go back to the initial point of where problems start. Art Education has been from the beginning a part of implementation of Western Education system in East Asian Societies. In China, Korea and Japan, Art has been a “required” course because each countries wanted to secure national identity through art education, essentially to achieve “modern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upon our art education through examining how the Qing government have institutionalized art education to achieve national identity since 1904. Modern Art education in China begins in 1904 as the Qing government declares “Memorial to fix the rules and regulations for new schools” which includes “painting” and “craft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 hundred year old Chinese modern art education is progressing. The Chinese academic world has been developing their discussion in improving their education, the most notable would be the importance of “Chinese traditional art education”. Since China faced similar threats of national identity from western modernity, it would be important for us to examine how China have implemented their art education. 본 논문은 1904년 청 정부의 근대미술교육의 시작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국 정부가 국가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술교육을 어떻게 제도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이며 이로부터 오늘날 우리 미술교육을 반성해 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중국 근대미술교육은 1904년 청(淸) 정부가 ≪주정학당장정(奏定學堂章程≫을 반포함으로써 중·소학당의 교과목에 “도화(圖畵)”와 “수공(手工)”과를 포함한 것에서 시작한다. 중국의 근대미술교육은 이제 100년의 역사를 넘어서 다음 세기를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교육계는 이미 여러 차례의 학술회의를 통하여 지난 1세기의 미술교육을 반성하고, 새로운 세기를 향한 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관한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는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중국 전통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강조이다. 한국의 근대역사와 마찬가지로 근대기에 서구사회의 위협을 통해 국가정체성의 심각한 위기를 거친 중국의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는 시도는 상대적 관점에서 우리의 미술교육에 대해 새로운 인식 기제로 작동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메세나협의회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례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미술교육 -

        허정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0 No.-

        This paper deals with afterschool program of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upported by KBCA(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The Branch of Korean Mécénat). Two cases of elementary schools are introduced to show how private business supports cultural arts education through KBC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search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ervice that was implemented in a local community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a private business and the educational aid of a university research center. In this arts program, these two organizations provide socially marginalized students with a chance to experienc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y participating in art localized traditional art activities, students are given a sense of the importance the arts have in their individual lives, connecting themselves with their emotions, improving their power of expression and creativity allowing students to gain confidence and fulfillment. The paper reports the research results using the program concepts; expression, art making, decoration, exploration of traditional arts' meaning, and the experiencing of traditional art. It notes the utilized art activity forms of direct experience, such as designing and creating works of art for one's self. The main program content focus, Dok-paper dolls making, a traditional Korean art, is shown to be the way that lower grade levels are provided an aesthetic experience while upper grade levels explore hands-on activities. This paper will show how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will share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researchers' conclusions.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improving creativity through providing the students in an economically, socially, culturally isolated region with proper opportunities of art and cultural education. 이 연구는 세계 26개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메세나의 교육지원 활동 가운데 한국메세나의 문화예술 교육 지원에 관한 것이다. 즉 기업의 경제적 지원과 대학 연구소의 교육인력지원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에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제시하는 현장연구이다. 이 두 지원 단체는 경제적, 지리적으로 문화격차가 많은 소외지역의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자신이 경험하지 못했던 문화예술에 대해 친밀감을 갖게 되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지게 된다. 한국메세나협의회와 교육단체의 지원체계가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적용되는 방식과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이다. 표현하기, 만들기, 꾸미기, 방법탐색 등의 일반적인 미술교육 내용과 전통미술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닥종이인형 만들기는 고학년 학생들에게 인내심을 길러주고 저학년 학생들에게 손 근육을 고루 사용하는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내용은 한국메세나협의회에서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지원된 미술교육의 사례들을 통해 교육 환경이 열악한 문화예술 소외지역에서의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지원형태의 교육 사례가 공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의미와 미술교육에 대한 메세나의 사회적 역할을 논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