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

        초등교육 미래 비전에 비추어본 초등교원 양성 교육 개편 방향

        박남기 ( Nam Gi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원 양성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주어진 미래로서가 아니라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면서 우리가 바라는 미래, 즉 블루오션을 만들어가기 위해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무엇인지, 이러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필요한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어떠할지를 예측해보고, 이러한 인재상과 요구를 바탕으로 미래 초등교육의 목표를 추출해본다. 이어 제시된 초등교육 목표를 달성하며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미래 초등교사가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그러한 교사를 길러내기 위해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어떠한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지를 분석·제시한다. 이 논문이 밝힌 미래 초등교육의 목표는,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굴·육성하는 개별화된 맞춤형 초등교육,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 열린 세계관과 유연한 적응력을 갖춘 가슴 따스한 에코 지구인 육성, 행복한 삶의 공간으로서의 초등교육 등이다. 미래 초등교사의 역할은 맞춤형 교육자·안내자·조력자, 진로지도자, 네트워크 활용 전문가, 학부모 교육 주도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reorganize the present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research takes into account projections of future elementary schools based on social demands and how to meet its needs. In addition, roles of teachers will be examined and redirect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are provided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goals of futur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re individualized-child center approach as in seeking ways to maximize a child`s potential, educating students to become self-directed and creative, raising students` eco-global consciousness, receptive and adaptable to new ideas and most important concern for global citizen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schools should become a thriving and welcoming place. The roles of teachers will be enhanced to become experts in implementing individualized-child center education, career guidance and motivator, specialists in social networking and leader of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국민학생의 독서 실태 연구

        최현섭,김선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99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8 No.-

        요약敎育大學 敎授學習의 改善硏究는 83년에 서울교육대학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84년부터 각 교육대학이 한 敎科씩 맡아 보다 전문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하였는데, 국어교육과는 서울교대 주관하에 「敎育大學 敎授學習方法의 改善硏究-國語敎育-」이란 題號로 4집(86년)까지 간행되었다. 5·6·7집은 「國語科敎育硏究」란 제호로 春川敎育大學에서 간행되었다.그러나 90년부터 연구비 지원이 敎育部에서 學術振興財團으로 이관되면서 연구비 지원이 끊기자 중단되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敎育大學 存立과 미래의 位相이 初等敎科敎育硏究에 있음을 뼈저리게 재인식하여 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중대한 시기에 우리 大學이 간사대학으로서 국어교육연구 활동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국어교육과 전교수님들이 1년에 한 차례 연구발표회와 협의회를 가지고 연구비 지원 없어도 스스로 연구지를 발간하기로 뜻을 모아 주시고 회비 전액을 납부하여 주시니 함이 솟지 않을 수 없었다. 92년 7월 8일 우리 大學에서 31명의 국어과교수님들이 참여하여 연구발표 및 협의회를 갖고, 한국초등국어교육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초등국어교육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잇는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敎大附國을 비롯하여 전국 국민학교에서 현장연구에 열정을 쏟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하여 전국 각 支會를 결성함으로써 大學과 현장연구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되었다.게재원고난으로 2년간의 진통 끝에 「한국초등국어교육」 8집을 내놓게 되니 기쁨 이루 말할 수 없다. 앞으로는 초등교사들의 알차고 우수한 현장연구로 학회지가 채워질 것을 생각하면 가슴이 벅차오른다.초등교과 교육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시고 만날 때마다 격려와 지원을 쏟아 주신 본 대학 康文柱학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회비를 전액 납부해 주시고 서툰 저에게 격려와 협조를 해주신 국어교육과 모든 교수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특히 더위에 편찮으시면서도 玉稿를 보내주신 최현섭교수님께 고마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21세기를 대비한 한국어 교육의 과제

        최현섭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99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5 No.-

        요약21세기는 세계화 현상이 심화되는 세기이다. 한편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청도 점점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개선해 나가야 할 일이 많다. 그러나 먼저 해야 할 일은 한국어 교육의 의의를 새롭게 깨닫고 그 철학을 바꾸는 일이다. 한국어 교육의 의의를 새롭게 깨닫는다는 것은 한국적, 동양적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뜻이다. 발전과 진보를 서양적인 기준으로만 재어 온 관행을 반성하고 한국적·동양적인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한국어 교육의 철학을 바꾼다는 것은 한국어 교육의 목적을 한국의 말과 글을 가르치는 데만 둘 것이 아니라, 상생적(相生的) 세계관을 세계화하며, 상생적 언어 사용 능력 즉 상대를 고려하며 진실하게 언어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도 두어야 함을 뜻한다. 서양 정신이 이끌어 온 2000년의 인류 문화는 대립, 수탈, 투쟁, 지배, 죽음의 문화였지만, 앞으로의 인류 문화는 그런 늪에서 빠져 나와 서로 돕고 이해하고 세워 주고 보충해 주는 새로운 문화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교육의 착목은 세계의 언어 교육을 이끄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Abstract>Globalization will be enlarged in the 21th century.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come greater. In this condition we have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But first of all we must realize new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ange our viewpoint on it. 'Realizilng new meaning' connotes oriental viewpoint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Our viewpoint' connotes globalizing 'Generation' which is peaceful view of the world and sincere communication. It will be a new paradigm that leads worldwide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 주제발표 : 초등도덕교육 I·II 운영사례와 제언

        차미란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

        한국의 교육대학교에서 ``초등도덕교육``(또는 ``초등도덕과교육``)은 교육대학교 재학생이 수강해야 할 필수 과목으로서, 2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Ⅰ``, 3학년에서 ``초등도덕교육Ⅱ``를 수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교과교육 분야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초등도덕교육Ⅰ``은 초등 도덕교육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다루고, ``초등도덕교육Ⅱ``에서는 초등학교 바른 생활 및 도덕과의 수업과 학습지도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과 전문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표준화 방안은 강의 목표나 방향뿐만 아니라, 주별 강의 주제와 내용의 표준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권고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지난 수년간 강의를 담당해 온 ``초등도덕교육Ⅰ, Ⅱ`` 강좌의 운영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도덕교육 이론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고 초등 도덕과교육의 운영 원리를 확립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도덕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 중심으로-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described in the art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d from third &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2018.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was evaluated to be an significant factor in not only establishing appropriate traditional values, but also on understanding the modern painting, but it is handled in low portion, and studies on its actual state and improvement methods are inadequate. Accordingly, the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itially applied with the 2015 revised textbook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perform content analysis on the revised art textbooks of 4 types and 8 textbooks, and survey was also performed subjected to current art teachers for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environmental survey. Firstly in the textbook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ortion of Korean Painting was only 4.3% of the overall text to be very low. Secondly, illust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at there were low portion of Korean Painting illustrations, and the contents were also focused on the Chosun Dynasty. Thirdly,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 paper notations used on Korean Paintings were different in the textbook or different between textbooks. Fourth, unit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direction of the 2015 revision; elements on creativity⋅convergence was examined, but reflections in comparison with the attempts were low in portion, and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appreciation. In the survey conducted on teachers, Korean Painting class was required for succession of tradition, but realistically low in class portion, and the reasons were pointed out to be a lack of Korean Painting theory and practice, insufficient teaching aids and environment, and inconvenience in preparation. In addition, derived conclusions were high demand for developing teaching aids, and that description on the technique of Korean Painting is required on revising the textbook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rovement methods of the Korean Painting are provided in this study. Firstly, the overall understanding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expan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Korean painting such as mandatory participation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on Korean Painting in the preparation of the art textbook, and systematic changes shall be followed including the expansion of practical training of the teachers, transferring the techniques related to Korean Painting, enhancing the private education us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textbook manual for the teachers. Secondly, convenient and standardized Korean Painting teaching aids shall be develop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the preparation of Korean Painting class, and improvements are also required in the distribution including the Korean papers. Lastly, terms and concepts on the elements related to Korean Painting shall be arranged. Moreover, follow-up studies o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textbooks⋅teachers, development of simplified teaching aids, and arrangement of terms⋅concepts, etc. are to be conducted to put efforts for the unique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ainting to be stabilized as a suitable educational curriculum. 본 연구는 2018년 초등학교 3, 4학년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 미술교과서에 서술된 한국화교육에 대한 실태와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에 목적이 있다. 한국화교육은 올바른 전통적 가치관 정립뿐만이 아니라 현대회화를 이해하는 중요 요소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가 처음 적용된 3,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4종 8권의 검정 미술교과서의 내용분석을 진행하였고, 교육실태 및 환경조사를 위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서 첫째, 정량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영역이 교과서 전체의 4.3%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판분석을 통하여 한국화 도판이 적었으며, 내용 또한 조선시대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에 사용된 종이 표기가 교과서 내에서 차이를 보이거나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단원분석을 통하여 2015년 개정 중요 방향인 창의⋅융합에 대한 요소를 점검하였으나 시도에 비해 반영은 적었으며, 대부분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교사 설문조사에서는 한국화수업은 전통계승을 위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수업비중이 낮으며, 원인으로 한국화이론 및 실기 부족, 교구 및 환경부족, 준비 번거로움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교구개발에 대한 높은 수요와 향후 교과서 개편시 한국화기법 등의 설명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한국화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한국화 전문지식 확충을 위해 한국화 전문인력의 미술교과서 집필진 참여 의무화 등으로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이 필요하며, 교사 실기연수 확대, 한국화 관련 기법전수, 방과 후 활동을 이용한 사교육 확대, 교사 교과지도서 질적 향상 등 체계적 변화모색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한국화수업 준비가 번거롭고 불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간편하면서도 규격화된 한국화교구를 개발해야 하며, 한지 등을 포함한 유통에 대한 제고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화 관련요소에 대한 용어와 개념정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재⋅교사 역량강화, 간소화된 교구개발, 용어⋅개념정리 등의 후속연구를 통하여 고유 문화유산인 한국화가 그에 걸맞은 교육영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