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김정란,Kim, Jeong Ra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e'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초보운동단계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 개발 -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기법을 활용하여
이윤진,Lee, Yoon Ji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4 No.2
뇌성마비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운동장애 뿐 아니라 지능장애, 언어장애, 경련, 감각장애, 지각장애, 그리고 정서장애와 같은 중복적인 장애를 수반하는 장애이다.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미숙아들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경직형 뇌성마비의 출현율도 높아지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뇌성마비 유아들에게는 생후 1년 사이의 치료적 중재가 특별히 중요하며, 7세 이후의 치료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하는 조기 중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 운동 영역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접근하는 음악치료 영역인 신경학적 음악치료(NMT)의 기법들을 활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들의 운동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아들이 0~2세에 가장 기본적인 운동 기능들을 습득하는 단계인 초보운동단계의 주요 발달과제들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크게 안정성, 이동성, 그리고 조작기능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임상 현장에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를 대상으로 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들을 통하여 시행된 후 활동에 대한 타당성과 적용의 효율성을 평가받았다.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운동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은 치료활동의 개발, 전문가의 검증, 치료활동의 수정 및 보완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치료활동의 개발을 위하여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 혹은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6명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전문가들을 통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 검증에서는 활동의 내용상 타당도 및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살펴보았고, 이를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전문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치료활동의 수정 및 보완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수정 및 보완의 결과에 대해서는 검증집단을 통하여 재확인과정을 거쳤다.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는 각 평가 항목별로 평가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고, 활동별로 전문가들의 조언과 함께 수정 보완한 내용을 함께 제시하였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보운동단계에서의 발달과제인 안정성, 이동성, 조작기능을 바탕으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운동 발달 특성을 적용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총 38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안정성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4개, 이동성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0개, 그리고 조작기능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4개이다. 전체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운동발달단계 적합성, 목표-내용 일치도, 적용 대상 적합성, 음악의 적절성, 악기사용의 적절성, 그리고 실제 활용의 유용성이라는 여섯 가지 평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본 연구의 결과가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조기 중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발달 단계별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한 국내의 현실적 요구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Cerebral palsy is a collection of motor disorders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at arise in multiple handicaps including cognitive disorders, speech disorders, epilepsy, perception disorders, and emotion disorders. Today spastic cerebral palsy has become more prevalent because intensive care for newborns has resulted in higher survival rates for very small premature babies. Since the children grow the fastest in order for a development during one year after birth,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is provided as early as possible to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fter seven year old, there is no effect of intervention. So, the necessity of early intervention to spastic cerebral palsied infant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using the techniques of neurological music therapy(NMT),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music to dysfunctions due to neurologic disease of the human nervous system, for rudimentary movement phase of spastic cerebral palsied infant. This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major developmental tasks of the rudimentary movement phase, the period that children can acquire the most basic movement function at the 0 to 2. The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pastic cerebral palsy were applied to this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This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was classified to three domains, those are stability, locomotion, and manipulation. This study has been consisted of three steps, those are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ies, the evaluation of the activities by th panels, and the adjustment and complement of the activities. Reviewing literatures and interviews were d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ies, and the evaluation the activities was done by seven music therapists. In the evaluation steps,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estimating the content validity and application efficiency. The adjustment and complement of the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the panels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music therapy for cerebral palsied children in the clinical setting, and the results of the adjustment and complement were confirmed by the panels. The evaluation was presented in a mean value with the comment of the panels. In conclusion, the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for the spastic cerebral palsied infants using the techniques of NM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major developmental tasks of the rudimentary movement phase. The program is comprised of 38 activities, those are 14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stability, 10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locomotion, and 14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manipulation. The programed activities would bring out the answers in the affirmative for the conformance with infants' development phase, the harmony between the objective and the activity, the conformance with the cerebral palsied infants, the properness of the music and the instruments, and the utility in the clinic field. This results mean that this developed music activity program is appropriate to help spastic cerebral palsied infants progress their movement development by stages.
조정민,Cho, Jung Mi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4 No.1
유창성 장애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에게서 1~4%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주요한 언어 장애인 말더듬(stuttering)은 조음장애나 음성장애 등 다른 언어장애와는 달리 음악 구조 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대부분의 말을 더듬는 사람들은 노래를 부를 때는 어려움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악 구조 안에서 드러난 유창성이 음악 외적 상황, 즉 일반 언어로 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말더듬을 음악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말더듬을 제외한 전반적인 언어 영역에서의 향상을 목표로 실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의 경우 음악이 언어장애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도구임이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고, 이러한 음악치료의 기본 원리들을 고찰한 결과 이를 말더듬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 중에서도 특히 멜로디 억양 기법(MIT)은 발화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언어 리듬 강화 훈련은 말더듬 아동의 깨어진 언어 형태에 리듬감을 도입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송라이팅 형식을 도입한 즉흥 가창 활동을 통해 말하기에 대한 흥미와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아동에게 위와 같은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비유창성을 감소시키되, 음악구조를 단계적으로 소거시켜 비유창성의 감소가 음악 외적 상황에서의 언어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활동이 말더듬 아동의 소극적인 의사소통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말더듬의 음악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은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첫째, 비유창성의 정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말더듬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 후로 비유창성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하였고 또한 이러한 변화가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양상을 파악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 후의 점수를 비교하였고, 부정적인 의사소통 태도가 단적으로 보여지는 병리적인 행동인 회피 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이것이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이외에도, 음악치료 프로그램 안에서 나타난 아동의 구체적인 언어 및 행동의 반응을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개입 전 후로 모든 아동에게서 정도의 폭은 다르나 비유창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영역별로는 말더듬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션 단계별로는 비유창성의 정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변화 경향은 대상 아동마다 개별적이었다. 둘째, 음악치료 개입 전 후로 모든 아동의 의사소통 태도 검사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입 전 후로 회피 행동이 감소하였으나 세션 단계별로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등, 불규칙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감소와 의사소통 태도 향상에 음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말더듬 치료의 음악적 접근에 대한 Unlike other common forms of speech disorder, such as phonological disorder or dysphonia, stuttering has not been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music therapy. Most cases of stuttering display no difficulty in singing, and fluency within the musical structure does not translate to fluency in speech. Hence, musical approach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to the treatment of stuttering. However, the fundamentals of music therapy assume its extensive application in treating variety of speech disorders, including the case of stuttering. Presented in this paper are the case studies designed to validate the efficacy of music therapy as a remedy for stuttering. This study enrolled 6 children with stuttering and conducted 20 individual sessions over a period of 10 weeks. The sessions focused on the Melodic Intonation Therapy, Reinforcement of speech rhythm, song writing and singing. Musical elements were structured to enhance the verbal expression and rhythmic senses,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initiation of verbal communic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noticed that the disfluency had been decreased in before and after of the music therapy in every child although the result wa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the child. The overall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categorically speak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checked in the frequency of the stuttering. In the steps of the session, the increase and decrease was happened repeatedly, and then after it was decreased little by little. Secondly, the Communication Attitude was decreased in before and after of the music therapy,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lthough the avoidance behavior was decreased in before and after of the music therapy, the increase and the decrease was repeated irregularly in the steps of session. All the results described above shows that music therapy gives positive effect to decrease in disfluency of stuttering child and also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Attitude. And new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can be proposed in the musical approach to the stuttering.
국내 리듬청각자극(RAS) 기법 활용 연구 분석: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연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및 물리치료 분야에서 리듬청각자극(RAS)을 적용하여 수행된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연구 중 RAS 및 보행기능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기준에 부합한 45개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세부중재방법과 리듬자극의 유형, 기술된 치료 원리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영역에서의 연구 모두 일정한 간격의 리듬을 핵심적인 치료 자극으로 사용하고 RAS의 기본 절차를 따른 점에서는 공통적이었지만, 목표기능이나 구체적인 리듬제공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모두 보행기능이 목표 변인이었던 데 비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균형이나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등 관련 신체기능이 목표에 포함되었다. 또한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음악’이 리듬자극으로 활용된 반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메트로놈을 리듬자극으로 활용한 연구가 음악을 활용한 연구보다 많았다. RAS 원리와 관련하여 단순한 기법 설명 외에 동조화와 같이 치료의 원리가 충분히 기술된 연구는 물리치료보다는 음악치료 분야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리듬과 더불어 음악의 다양한 요소가 보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고려되어 음악의 역할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반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체기능에 대한 개입이 포함된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가지 측면 모두 재활에 있어 중요한 부분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다학제간 연구를 기반으로 한 RAS 연구의 기법의 확장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earch that included the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technique and to compare this body of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with that in physical therapy. Forty-five studies were identified that were published from January 1999 through November 2018, and these were analyzed in terms of intervention procedure, type of rhythmic cueing, and therapeutic basis described by the researcher. While research in both fields used rhythmic cueing as the primary therapeutic age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 targeted by training and specific type of rhythmic cueing used. Re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focused primarily on gait function, while research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tended to address gait-related physical issues, such as balance,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tive sensation as well as gait. While all of the identified studies from the field of music therapy used music for cueing, a metronome was used more often for cueing in physical therapy research. In terms of description of theoretical basis, theory of entrainment was more sufficiently described in music therapy researc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music therapy research maximized the role of various elements of music in intervening in gait function, physical therapy research addressed gait in relation to other physical functions. Considering that both aspects are essential for gait training,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neurological rehabilitation with RAS.
3-6세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을 위한 단계별 음악치료교육 활동 연구
이수연,Lee, Su yeo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유아기는 발달의 가소성이 높은 시기로써,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 과정을 거쳐서 성장한 유아들은 학령기에서 성인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을 할 때 발달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단계별로 진행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가 균형적이며 전인적인 발달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유아를 교육할 때는 신뢰를 형성하고 유용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음악은 즐거운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음악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 음악 활동은 유아의 각 영역별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는 이러한 음악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서 대상자의 연령별 수준에 맞는 음악 활동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계획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성장을 돕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유아는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과 정서 영역에서 각각 발달의 특징을 보이며, 각 영역의 발달을 위한 음악적 접근 방법이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모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를 구분하고,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과 발달 촉진을 위한 음악치료 교육 및 음악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연구,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 조사와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조사는 유아의 영역별 발달 특징과 음악적 접근을 모색한 선행 연구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활용 되었으며, 이를 실제 유아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적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활동들은 관련 영역의 전문가 5명으로부터 타당도를 검토 받았으며, 검토 분석 결과,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와 각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음악 활동의 구성이 적합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유용성과 효율성이 있으며,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음악치료를 하는 현장에서는 치료사들이 장애아동을 치료하는데 단계별 수준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ly development of an infant is crucial due to the enormous impact it has throughout an infant's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fant and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an infant can progress at an innate pace to learn how to exercise, understand, speak, socialize, and empathize as well as having a balanced growth. When educating an infant, joy is a substanti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trust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that makes education efficient. Music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offer a fun atmosphere vto the infant in which it stimulat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fant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mensions to the infant's development. Also,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education is utilizes to plan for the different age groups'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 and allow the infant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and develop proper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o exami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fant' developmental steps thoroughly, to suggest interventions using music therapy education to stimulate development of an infant, to prove that infants age 3 to 6 obtain the necessary ability and skill through the effective educational therapy through music, and finally to create a music program for educating infants or music therapy. This study has examined theories of the music approach targeting infants age 3 to 6 and made character observations of infant' Motor, Cognition, Communication, Socialization, and Emotions. With the basis of the above theory, the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has been divided, specific goals has been set up according to the levels, and various music therapy education for infants have been created. The music therapy education activity has been approved by five professionals who are renown in their specific field. They made comments that the development levels were properly divided in the paper. They also commented that the music program is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 of each developmental level and it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an infant'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study reflects that the approach of music therapy education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infant development. Music therapists can utilize this music program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rogress and develop at their own ability.
박하현,박혜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1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 awareness of the music therapy national certification (MTNC).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usic therapis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and 143 completed survey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7 questions (background information,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MTNC, expected effects of national certificat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music therapists reported that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for MTNC.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excessive issueing of private licenses might deteriorate the quality of music therapy services and job opportunities. As alternatives to address private license-related issues,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Given that participant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f MTNC and the MTNC may have both pros and cons, the results should be generalized with caution. Still,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MTNC.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국가자격증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143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10문항,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 필요성 인식 11문항, 기대효과 8문항, 자격관리 7문항, 기타 의견 서술 1문항,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에 대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채용기관 관계자들의 음악치료 인식도가 낮다고 느낄 때 국가자격증의 필요성을 절감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은 민간자격증의 남발이 음악치료 전문성 및 서비스의 질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업 환경이나 처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국가자격증을 사회적 인식 제고 및 음악치료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본 연구의 참여자가 국가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단일화된 국가자격증으로의 전환이 야기할 수 있는 제한점 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가자격증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조현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music therapy literatur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122 articl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from 1999 to 2012 and 76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formerly known 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from 2004 to 2012 were analyzed. Analysis wa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following items: type, population, topic, and methodology of published articles.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between these two publication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descriptive studies (KJMT, 46%,; JMHB, 45%), applied research (KJMT, 51%; JMHB 66%), and quantitative studies (KJMT, 82%; JMHB 37%). In addition, ordinary people with no particular diagnosis were the most often studied population (34%). Differences were found in that a historical study was only found in KJMT whereas a philosophical study was published only in JMHB.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JMHB included a higher proportion of applied research than KJMT. In KJMT, quantitative research was appeared twice as often as qualitative and mixed-method research combined. On the other hand, a similar number of each of the three methodological types of studies appeared in JMHB.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학술지 연구의 현황과 미래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9년에서 2012년까지의 한국음악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122편과 2004년에서 2012년까지의 인간행동과 음악연구(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전, 음악치료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76편의 총 198편의 논문을 유형, 대상, 주제 및 방법에 따라 연도별 게재 현황과 비율을 고찰하고 각 영역별 비율에 대한 두 학술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유형 중 기술연구가 46%(KJMT), 45%(JMHB)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일반대상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34%). 연구주제에서는 학문연구가 51%(KJMT), 66%(JMHB)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82%(KJMt), 37%(JMHB)를 보이며 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차이점으로 KJMT에 게재된 연구유형에는 역사연구가 있었으나 철학연구는 없었던 반면, JMHB에는 철학연구는 있었으나 역사연구는 없었다. 연구주제에서는 KJMT보다 JMHB에서 학문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구방법에서는 KJMT에서 양적 연구가 질적, 통합적 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JMHB에서는 각 연구가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동향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음악치료 학문발전을 위한 연구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폐아동의 즉흥음악치료에서 나타난 주요 음악요인 분석과 아동의 대상선정에 관한 연구
김진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9 No.2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is known to promote social engagement in children with autism. This study investigated salient features that characterize the engagement of the child with autism and the therapist in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Through video analysis of the children’s behavior,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what engages children with autism into mutual play with the therapist in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by measuring the shared musical elements between the child and the therapist during musical synchronicity episodes and the children’s choice of instruments. A repeated measures, a crossover design was employed in two different conditions (n = 10).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group 1 participated music therapy first, followed by play therapy second. Group 2 followed the reverse order. Specific target behaviors were analyzed in the selected sessions 1, 4, 8 and 12. As expected,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produced markedly more and longer events of musical synchronicity in children with autism than the play sessions with toys (p < .001). Rhythm and dynamic appeared to be the two most salient elements during musical synchronicity events between the child and the therapist. Observational findings confirmed that horns and whistles were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instruments in music therapy, whereas a dollhouse set was in play therapy by children with autism.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the detail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urther. 즉흥음악치료는 자폐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즉흥음악치료에서 치료사-내담자간의 상호작용의 음악적 동시성 및 선택대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즉흥음악치료 상황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핵심적 요인을 음악요소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악기를 주로 사용하는 즉흥음악치료를 장난감을 사용하는 놀이치료 상황과 비교했으며, 두 가지 치료를 무작위 배치하는 교차설계를 이용하였다 (n = 10). 특정 회기별 목표행동분석(1, 4, 8, 12회기)을 실시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치료사와 아동간의 음악적 동시성의 빈도와 기간이 즉흥음악치료에서 장난감 놀이치료 상황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p < .001). 또한 리듬과 다이내믹이 치료사와 아동간의 음악적 동시성을 가능케 하는 주요 요소로 측정되었다. 즉흥음악치료에서 자폐아동들은 나팔과 각종 호루라기를 가장 자주 선택했고, 장난감 놀이 상황에서는 인형의 집을 제일 많이 선택했다. 본 연구는 학령 전 자폐아동과 일하는 음악치료 임상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오지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by conducting a survey of music therapists. Completed surveys from 32 certified music therapis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8 items that asked about the participants’ background, work environment and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experience (including assessment, goal establishment, intervention strategy and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D was practiced in diverse facilities. Enhancing social interaction was the most frequently set goal by music therapists, whereas facilities mostly required the music therapy services for emotional stability. Also, instrument playing was used most among music activities, and musical structure was considered most when choosing music for therapy. Among the influential institutional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were considered most frequently, and the level of functioning was the most considered in terms of client-related factors. To advance the effective us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 adults with ID,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assessment tools and more active communication with facility staff were also suggested when working with this pop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임상중재의 현황과 중재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음악치료제공경험이 있고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 39명 가운데 정규 자격증을 취득한 음악치료사 3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환경, 형태, 음악치료 진단, 목표설정, 중재전략,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는 사회복지시설, 병원, 음악치료센터 등 다양한 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사들이 설정한 주된 음악치료 목표는 상호작용 향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관 담당자의 의견과는 일치했지만 음악치료가 소속된 기관의 서비스 항목인 정서 안정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악기연주로 나타났고, 음악치료 내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한 음악 요소는 형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관 관련 요인은 기관의 특성이었고, 대상 관련 요인은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진단도구 개발과 기관 담당자와의 원활한 소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효과적인 중재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향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김은정,김경숙,최윤선,김원철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1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spitals and centers replied by email or post.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30 through December 5, 2014. Music therapists were asked to respond to 65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environment, session process, and personal competence. Coordinators were asked to complete 28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n their perspective setting. Twenty-two (46.8%) hospitals and centers were running music therapy programs with 28 music therapists, and 19 (67.9%) of these music therapists majored in music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ists (M=3.43, SD=0.96) and coordinators (M=2.73, SD=0.77) regar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music therapy sessions (p<.05).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or music therapy are inadquate for optimal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 However, the perceived benefits of music therapy by coordinators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first quantitative baseline data of music therapy statu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3.43, SD=0.96)와 코디네이터(M=2.73, SD=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