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현영(Jung, Hyun-Young),김호(Kim, 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사회ㆍ경제적 배경이 비슷한 2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은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5명(남7명, 여8명)이었고, 비교집단은 M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5명(남7명, 여8명)이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소비자교육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소비자교육 주제와 관련하여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경제기본개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합리적 소비자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 현장에서 소비자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이 유아의 소비자 교육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by integrated approach on young children’s basic concepts and consumer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of under age of 5 attending at 2 kindergartens with a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 located in A city, Gyeonggi-do.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by 6 themes of experiential learning from May 16, 2011 to July 8, 2011. Th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by young children’s learning behavior(awareness, exploration, inquiry, and application)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themes, and the control group talked about the theme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young children’s consumer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were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by integrated approach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implement the consum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t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한 다음 프로그램의 목표,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0주간 총 60시간(1주일에 2회씩)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2명과 특수교사 일반연수에 참여한 통제집단 12명으로, 모두 유아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이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통합교육 교사효능감, 교수수행능력, 통합교육 직무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천을 증진시키는 현직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바람직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care teachers' demands on the teachers' efficacy, teaching performance, and teachers' work satisfaction. The demand characteristic of teacher about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0 weeks(20 times) with 12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effects of the teacher support program of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areas of teacher efficiency-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eaching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ork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 현장 적용 및 효과 연구

        박현진(Park, Hyun-Jin),김숙자(Kim, Suk-Ja),김현정(Kim, Hyun-Jung),장갑희(Jang, Gap-Hu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 활동안을 개발하여 5세반 유아 25명에게 5주간 1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의 현장 적용 및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에게 유아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ANCOVA와 M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기에 유아 인성교육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with a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Korean Valu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49 five-year-old children. The effect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self-concept inventory’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pre- & post-test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improved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권미량(Kweon Mee R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현황과 요구에 근거하여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교사 면담을 통한 조사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생태유아 교사교육의 현황을 고찰하고, 현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조직원리에 근거한 구성준거를 설정하고, 초안을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타당도를 살폈다.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생태유아교사 2급, 생태유아교사 1급, 생태유아교사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모형으로 직급별 교육목표는 생태유아교사로서의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소양을 돌보는 지속적 과정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교과목 및 교육내용은 생명학의 이해, 생태적 삶, 생태유아교육학의 기초체계, 아동 본성의 이해,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 생태유아교육과정 실천과 운영,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실제의 7가지 영역을 직급별로 심화ㆍ확장시켜나가도록 구성되었다. 교육방법 및 운영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운영의 틀을 가지고, 체험과 삶을 중시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that can produce well qualified teachers in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1) to study of the sit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2) to analyze of both the problems and demand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3) finally, to establish of the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irst,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eacher education, and through collecting data, the problems and needs of contemporary teacher education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tudied. Seco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of the model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et, through an experts' advisory committee and the research of propriety. The model of teacher education is established as selected from various teacher education systems. This includes courses to produce experts in teaching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data. So, continu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통합학급 교사 6명이었으며, 15주 동안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지원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나, 협력교수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협력교수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다. 둘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 수행을 시도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려는 의지를 보였다.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 역할과 책임, 전문성 발달과 향상, 협력과 소통 등으로 세분화 되어 나타났으며, 각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교수 수행은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과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실천은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적 체계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teaching performance i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developed by Yang jin-hee(2008) was us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llaboration of the team of 6 co-teachers includ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eriod of 15 week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f co-teachers related to the changes in co-teaching performanc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and arranged by the purpos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 philosophy and belief on co-teaching performance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mutual confidence and trust between the co-teachers. The co-teachers shared communication techniques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Second, the thought on role and the responsibility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the designation of the ro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imit of responsibility. The co-teachers shared the method of trouble-shooting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t supporting systems that are responsive to the requests of instructors while co-teaching with co-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R-러닝 적용 시 장점, 효과적인 일과운영 및 교육내용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이연승(Yeon Seung Lee),정정희(Chung Hee Chung),홍희주(Hee Ju H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매체로 등장하고 있는 로봇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R-러닝 적용 시 장점과 효과적인 일과운영 및 교육내용을 파악한 후 시사점을 제시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R-러닝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 학계와 현장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러닝 적용 시 장점으로는 멀티미디어의 복합체적 성격, 콘텐츠의 연계 가능성, 입체적인 수업전개, 이동성 있는 매체, 교사-유아, 유아-유아 간의 관계형성,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 자극, 학습에의 자벌적인 참여유도, 집중도 향상, 놀이에의 몰입유도, 첨단과학기술의 경험,매체소양의 함양, 일반 컴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아의 조작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R-러닝 적용 시 효과적인 일과운영은 등원, 대.소집단활동, 전이활동, 방과 후 과정으로 나타났고, 효과적인 교육내용은 언어, 인지, 창의인성, 문학, 음률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유아교육기관에서 R-러닝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이론적 가정과 실천적 방안이 도출되지 않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R-러닝의 장점과 효과적인 일과운영 및 교육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R-러닝의 고유한 올바른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advantages of the R-learning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three times on 20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s advantages of R-learning including supporting software for Robot based learning, interest, curiosity, immersion, concentration, media literacy, and easy maneuverability. Second, the study finds better management of daily routines including attendance, large-small activities, transition activities, after-school program. Also, the study identifies the contents of R-learning including language, cognition, literature, creativity-character, and melody. Finally, the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effective R-learning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Ⅲ

        김숙자(Kim, Suk-Ja),김현정(Kim, Hyun-Jung),박인아(Park, In-Ah),박현진(Park, Hyu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다문화’, ‘다문화 교육’, ‘다문화적 인성’ 등을 검색어로 하였을 때 검색되는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을 수집하여 문헌분석을 하였다. 먼저, 다문화교육의 흐름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연구에서 분석되는 교육목적과 목표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유아 인성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교육목적과 목표는 동화주의, 문화다원주의를 넘어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지향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문화, 협력, 정체성 형성, 평등성, 다양성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에서 추출된 유아 인성교육의 내용을 개인 영역(자아확립, 기본생활습관)과 공동체 영역(타인존중, 공동체 의식, 민주주의)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은 다문화적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실제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실천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was a funda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hich has the purpose of discovering its desirable path through examining previous stud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ers first tried to understand the general trend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by looking at 134 numbers of academic papers under the following keywords; “Multicultural Childr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Character.’ Then, the character education related contents from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papers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the aim of children’s education were transitioning from assimilation, and cultural pluralism, to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the contents of current children’s education were mostly related to these following topics: culture, cooperation, children’s characterization, formation, equality, diversity and so forth. Second, the content of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in the preceded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subdivided into private domain, and public domain. The establishment of one’s character and learning cultural manner were regarded as private domain, and being respectful of others, social conscious and Democracy were regarded as public domain, Third, the critical multiculruralism came to the fore in the stud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clusion, th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needs to go beyond the borders among nations and their cultural barriers, be well aware of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rights, and should be practiced to cultivate children with multicultural mind who will create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일주(Lee, Yil-Ju),장인영(Jang, 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연구 중 생태교육연구에서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2년 2월까지 발표된 유아교육 연구 분야의 생태, 자연교육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23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태교육 용어는 크게 생태유아교육, 자연친화?자연체험?자연교육, 생태중심?생태지향?생태주의, 생명교육, 숲유치원, 생태+교과목,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용어는 자연친화?자연체험?자연교육 66편(28.3%), 생태유아교육 52편(22.3%), 기타 47편(20.2%), 생태+교과목 37편(15.9%), 생태중심?생태지향?생태주의 교육이 16편(6.0%), 숲유치원 9편(3.9%), 생명교육 6편(2.6%) 순이었다. 한편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따른 논문의 발표연도, 논문유형, 연구유형, 연구내용, 연구대상, 연구자 전공에서는 논문유형을 제외하고 모두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연구의 특징은 생태유아교육, 자연친화교육, 자연체험교육, 생태지향 교육, 생태중심 교육, 생태주의 교육, 생태체험교육 등 유사한 용어들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없이 다양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논문 제목에 사용된 용어와 본문에 사용된 용어가 불일치하는 연구도 많았는데 이런 현상은 연구자들도 생태관련 용어들에 관하여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를 사용할 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용어 정의 분류에 따라 그 의미를 통일시켜 나아감으로써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in ecology education, we analyzed 233 theses of masters and doctors degree on ecology education from 1997 to 2012 (Feb.) in Korea. The Terminologies for ecology education in the theses were classified as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nature-friendly, nature experience, nature education’, ‘ecology centered, ecology oriented, ecological education’, ‘life education’, ‘forest-kindergarten’, ‘ecology + a subject’ and the others.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nature-friendly, nature experience, nature education’(28.3%), ‘eco-early childhood education’(22.3%), ‘ecology + a subject’(15.9%), ‘ecology centered, ecology oriented, ecological education’(6.0%), ‘forest-kindergarten’(3.9%), ‘life education’(2.6%), and the others(20.2%). In case of ecology centered and ecology oriented education, regardless of using the terms in the title, the word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mostly used in the text, and follow the ideals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it. The correl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ar,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s,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er"s major except for thesis type. Like this, it tends to use the terms having similar meaning without verific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nature experience education, etc. Some theses were found not to correspond with the title and the text in terminology. It derived from the not-clear terminology.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e cognition of ecology education specialists and on-site teachers for standardization of the terminolo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그리고 그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는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와 M시에 소재하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221부를 배부한 후 회수된 182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아교육을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의 방향으로 전환해야 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가장 주된 이유는 자연에서 생명존중 소양과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둘째, 교사들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생명존중 문제는 타인을 위한 생명존중이고, 그 다음이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 나를 위한 생명존중이며, 따라서 타인을 위한 생명존중, 자연환경을 위한 생명존중, 나를 위한 생명존중 순으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생명존중교육의 실시를 원하고는 있으나 프로그램 및 자료의 부족, 주변 환경의 여건 부족, 교육과정 운영상 시간 내기의 어려움 등으로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천도를 보였다. 넷째, 교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교사들은 유아와의 구체적인 대화법이나 생명존중교육을 위해 유아와 함께 할 수 있는 일과 같이 유아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적 측면에 대한 교사교육과 생명존중교육을 위한 자료에 관한 정보나 생명존중교육의 중요성과 같은 생명존중교육 관련 전문 지식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to develope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The study qu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Second, what ar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LENFM)? The subjects were used in this study were 182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ed in kindergarten in G city and M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was high, but teachers" practice of life-esteemed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onverting for LENFM. Third, with regard to how to operate LENFM, many of kindergarten teachers replied that such programs should be executed regularly as planned, and should build contents on direct experiences of nature(living th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developments of various LENFM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