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원격 개방대학의 기원

        남신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창설과정(1968~1972)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원격개방대학의 기원을 분석하였다. 원격개방대학 이념형의 세 가지 축을 ‘원격’, ‘개방’, ‘대학’으로 전제하였으며, 1972년에 창설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이 세 가지 이념형 이 특정한 방식으로 접합된 과정에 주목하였다. 한국 최초 원격개방대학의 기원을 분석 하기 위해 설명수준을 효시, 계기, 동인으로 구분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등장한 최초 원격개방대학은 외국의 사례를 모방한 것이라기보다는 근현대 한국 교육사 내부에서 태동한 자생적인 산물이다. 해방 전후 방송교육, 통신교육의 사례 중에서 원격개방대학의 맹아에 해당되는 대학확장형 형태의 통신학부가 자생적으로 존재하였다. 한국 최초의 원격개방대학이 국립 대학교 부설 통신학부 형태로 출현한 계기와 조건은 1960년대 이후 ‘중등교육 팽창과 고등교육 억제’라는 한국 교육의 특수한 상황에서 주어졌다. 애초 국가 교육정책 수준에서 마련된 ‘대학통신교육제’의 시안은 재수생 구제조치로 구상되었으나, 대학자강에 의해 방송통신대학은 성인학습자 본위의 개방형 대학으로 창설되었다. 방송통신대학이 개교 후에 짧은 시기 동안에 세계 수준의 원격개방대학으로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었던 동인은 민간영역에서 분출된 교육열의 자기전개과정이다. How wa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NOU”) able to develop into Korea’s most representative open university after being originally establish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students who failed university entrance exam?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subject matter into 3 categories, i.e. the origin of KNOU, system development and its execution, and examined a series of incidents and moments at the current level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sociology. KNOU’s idea of open university was materialized through the university’s subjective efforts rather than through any government education policy. In 1968, the government centrally controlled the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to limit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ho failed university entrance exam increased, the government embodied 'Air and Correspondence College' as a 2‐year junior college attach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procedure. Professors belonging to the college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cluding Seo Myeong‐won, the Chairman of the KNOU founding committee and Kim Jong‐seo, the first President and other social education practitioners devised a part‐time student ‐centered Open University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it. As a result, KNOU was launched in 1972 as a junior college open to all. Throughout its history, KNOU has used an open entrance system and distance teaching methods to deliver a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to the general public who have lost opportunities to go to school due to economic or other reasons. In 1994, the english name of the university was changed to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by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better reflect its purpose.

      • KCI등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비형식교육 참여 특성 분석

        이은경,양은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4

        평생교육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비형식교육 참여 양상을 분석하여 이론적으로는 특정한 배경/경험 공유 집단군의 학습패턴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실천적으로는 성인학습자 특성 변화에 따른 원격대학 교육내용의 변화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고등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집단군의 비형식교육 참여패턴을 탐색하고자 원격대학 재학 성인의 비형식교육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집단으로 선정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 중 비형식교육기관 참여를 보고한 36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변인에 따른 비형식교육 기관 및 프로그램 변인(참여 프로그램 수, 참여 기간 및 시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3년간 비형식교육 참여 총 시간은 평균 480시간이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성인학습자는 다양한 기관 유형 중에서 시민사회단체부설시설/NGO의 비형식교육에 가장 많은 시간 참여하였으며, 개인변인(성별, 연령대, 경제적 수준)에 따라 비형식교육의 참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형식교육기관인 원격대학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비형식교육 참여 양상을 설명하였으며, 원격고등평생교육 기관의 비형식교육 확대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the non-formal education patterns of adult learners attending distanc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xploring their education patterns has a significance not only in examining adult education participation by groups sharing specific background or experience in terms of adult learner’s theories, but also in considering implications for adult education program reformation of distanc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adult learners attending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analyzed 363 cases reporting non-formal education experiences. Differences in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grams (number, hours, and duration of programs) were examined by individual variables. In results, the hours of participating non-formal education was 480 hours for three years in average. Among types of institutions, adult leaners participated in civic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more than other institutions. By individual variables, patterns of participating in non-formal education were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as able to explain the non-formal education patterns of adult learners attending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ovided a suggestion in terms of expanding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대규모 국립원격대학의 고민과 과제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례연구

        윤여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6 평생학습사회 Vol.2 No.1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일반 대학교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규모 학생을 보유하고 있고, 복지적인 차원에서 저렴한 등록금으로 그들에게 원격의 방식으로 고등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교이다. 그러나 대규모 대학, 교육중심대학, 원격교육대학, 국립국민대학이라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특성은 그 자체로 여러 가지 문제를 잉태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교육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간단하다. 그것은 ‘과연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얼마나 교육적인 관점에서 작동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아직도 교육 중심의 관행이 정착되어 있지 않고, 교육 중심의 관행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체제를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일차적인 고민거리가 되어야 한다. 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격으로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1학년에서 4 학년까지 입체적으로 학교생활에 대해 안내하고, 자신의 학습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이것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또한, 이것은 포탈 방식으로 서비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설립 당시부터 가지고 있던 복지적 동 기를 계속 유지하면서 고등교육과 복지를 연계하는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KNOU) was established by Korea government in 1972 for people who had intense aspir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but had lost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it. KNOU has delivered contents via various media and has been a mega-university with nearly 200,000 enrolled student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and the change of people’s educational needs, KNOU is requested to reflect over all of present practices. First, has KNOU been try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s a education-centered university? Secondly, has KNOU been coping with the rapid change of educational media flexibly as a university of distance education? Last, has KNOU been trying to induce all people’s and government’s concerns and aids as a national university for all people? In order to perform KNOU’s mission, first of all, KNOU must inform students concrete schedule of first grade to fourth one, professors and tutors and educational process of each subject matter in detail in the unit of department. Also, every information must be approached easily in each department’s homepage via KNOU web site. Last, the motive of welfare that KNOU has maintained must be duly appreciated and government must support the specialization of KNOU as the national mega-university.

      • KCI등재후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원격교육체제의 도입을 위한 접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의 협력

        윤여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2

        본 연구는 ‘교육을 매개로 한 국가 간 협력 가능성’을 주제로 원격교육 분야에서 한 국방송통신대학교의 선진적인 경험에 콩고민주공화국이 접속하는 가능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하고 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장기연수를 진행하면서 킨샤사대학과 개방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원격교육의 경험이 전무하다. 국민들은 광활한 국토에서 경제적으로 어렵게 살아가며, 절대적으로 부족한 교통수단과 교수수의 부족으로 배움에 대한 갈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복지차원에서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원격교육체제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수의 분교를 가지고 있고, 수많은 조교를 활용하고, 저렴한 등록금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활용할 수 있고 휴대폰과 같은 기기의 보급률이 높다는 점에서 원격교육체제의 도입여건이 전혀 주어져 있지 않은 것은 아니므로 방송대는 교수요원 및 행정요원에 대한 연수, 교무 및 학생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자문, 교육 프로그램의 협력적 개발을 통한 조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ried for identifying directly the possibilities for DRC to connect to advanced experiences of KNOU in the field of distance education and proposing the strategies related to connection under the theme of 'possibility of cooperation mediated by education between n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related to the cases of Kinshasa University and Open University, undertaking my long-term research study in DRC. DRC has no experiences of distance education. People live with economically difficulty in the enormous territory, can't fulfil the desire of learning because of absolutely short of vehicles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As an alternative of these problems they ma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that provide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welfare. In that they have many local campuses, employ many teaching assistants, maintain low intuition fee policy, and have high rate of usage of instruments like cell phone, we can say that they have some conditions of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So KNOU may give hands in instruction to teaching and administrative personnels, consultancy of programs related to academic and students affairs,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 원격교육의 질에 관한 논의

        정인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5 평생학습사회 Vol.1 No.1

        질에 관한 논의는 원격교육 뿐만 아니라 전통적 교육에서도 핵심적인 주제이다. 지난 몇 년을 거치면서 원격교육과 사이버 교육이 범용화되고 또 다양한 테크놀러지에 기반한 이러닝이 등장하여 국경을 초월하여 교육을 제공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 말미암아 세계화된 새로운 환경에서의 교육의 질적 수월성과 질에 관한 보증의 문제는 교육적 중요성과 아울러 경제적 문화적 중요성까지도 더하게 되었다. 이제 원격 교육의 질에 관한 국계적인 논의와 그 논의에 기반한 정책의 수립 및 수행은 전통적 오프라인 중심의, 국내의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질 적 수월에 대한 정책수립이나 그에 따른 정책의 수행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진행되어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논문은 그간 연구되어 온 원격교육의 질에 관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그 실제 적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제시, 재해석함으로써 원격교육의 질과 관련된 새로운 정책적 지침과 연구 분야들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여 졌다. 이를 위해 원격 교육의 질에 관한 논의는 교육의 기회와 관련된 논의, 교육공학적 원리의 도입과 관련된 논의, 그리고 교육의 결과와 관련된 논의로 구분되어 분석되었으며, 실제적인 정책지침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국가차원과 기관차원의 원격교육 질관리의 메커니즘 개발 사례들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원격교육의 질과 관련된 정책방향으로 국제적 맥락에서의 질관리 체제 검토, 질관리의 조직 정비를 포함 하는 네가지의 방향이 제시되었으며 질에 관한 향후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Quality is at the heart of education, including distance education. Over the past years, quality assurance in distance education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as distance education gains popularity and faces a period of borderless e-learning. We have begun to observ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quality assurance policies for distance education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on- campus education, This paper is an effort to analyze important meanings of extensive research results in interpreting, integrating and evaluating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explore some selected distance education cas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quality assurance mechanisms at the n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and finally suggest some future research area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quality assurance in dista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북한의 성인대상 원격교육에 관한 연구 : 변천과정을 통해 드러난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이 연구는 북한의 성인대상 원격교육이 어떤 변천과정을 거쳐 발달해왔으며, 그 과정 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북한에서는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체계’의 중요성이 일찍부터 강조되면서 직장을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원격교 육이 1940년대 후반부터 발달하였다. 원격교육의 발달단계를 1단계는 우편제도를 활용한 통신교육 단계로, 2단계는 방송과 같은 대중전파매체를 이용하는 단계로, 3단계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e-Learning을 활용한 교육 단계라고 규정할 때, 북한의 원격교육은 1단계의 통 신교육을 활용한 원격교육이 1940년대 후반부터 국가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체계적으로 잘 발달하였고, 1970년대 이후에 라디오, TV와 같은 대중전파매체가 통신교육의 보조 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합되었으며, e-Learning을 활용한 원격교육은 2000년 대 들어서 강조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원격교육방식은 성인대상의 ‘일하면서 배우는 교 육체계’와 ‘학업을 전문으로 하는 교육체계’에 함께 도입되어 있다. 북한의 성인대상 원격교육의 특징은 첫째로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통신교육 이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로 북한 고등교육의 이원체제, 즉 ‘학업을 전 문으로 하는 고등교육체계’와 ‘일하면서 배우는 고등교육체계’의 분리를 반영하여 직장 을 다니면서 고등교육을 받는 통신교육기관은 일반고등교육기관의 부설기관으로만 설립 되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최근의 북한 성인대상 원격교육은 통신교육을 기본으로 방송교육과 e-Learning을 활용한 원격교육까지 포괄하는 통합적 원격교육의 방식을 취하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갔 는데, 이후 북한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발전과 이와 관련된 정보인프라 구축 여부가 새 로운 통합적 원격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In following research we studied changes that has happened in the distance education for North Korean adults during its development and what its specific character is as they developed. In late 1940's, North Korea strongly emphasized on 'Education system of learning as you work' when the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for the adult working class has happened. We can divide its development into 3 stages. First, using the postal system for correspondence education. Second, utilizing the mass communication media. Third, using e-Learning system that is based on development of ICT which you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government support North Korean distance education has grown and organized using the first stage correspondence education in late 1940's. After 1970's, North Korean distance education has combined with mass communications like radio and television supporting correspondenc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using e-learning has been emphasized after 2000's, which is introduced along with 'Education system of learning as you work' and 'Education system specialized in scholarship' In other words, recent North Korean distance education takes integrated way of distance education that includes broadcasting education and e-learning, on the basis of correspondence education. Distinguished characters of the distance education for the adults of North Korean are first, correspondence education which is organized and managed by the government is in its core. Second, dual systems of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which is divided into 'Higher education for the people specialized in scholarship' and 'Higher education for the people working and learning'.

      • KCI등재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한숭희,이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Currently the focus of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y has been converged on reducing the provi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acceptance rates in student numb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earchers, it is misleading in forcasting the needs as well as forumlating the future stage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global knowledge competition. The notion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urrent Korea are oversupplied is correct only if the dimension of youth initial education is concerned, which counts only those who apply colleges right after finishing upper secondary education, but incorrect if it considers the uprising demands of recurrent and continuing educa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This paper argues, in this context, three key issues: First, the universalization and ‘universal access’ to higher education is an inevitable global trend and unreversable in the stage of knowledge economy and learning societies. Second, the universalization is mainly driven by the demand for higher lifelong learning or higher-level continuing education. With both initial and continuing demands, universities are being restructured to meet the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functionalities and emerging complexities of sub-systems that embrace the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lifelong learning systems’ at the same time. Third, despite the logical streams,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is still dominated by the young adults in the ideology, and middle-aged learners and continuing education needs are excluded from the territory, rather re-located outside the territories of universities, caged in a provisional systems like cyber universities a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needs to be re-streered to make the notion of ‘universalization’ realized with the balance between initial and continuing needs, where a new concept of ‘higher lifelong learning complex system’ is useful to recapture the newly emerging perspectives beyond a limited scope in this vein. 최근 한국의 고등교육정책의 초점은 어떻게 하면 대학공급량을 줄일 수 있을지에 모아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접근의 근시안 한계를 지적하면서, 한국의 대학은 청년기교육에서는 과다공급일지 모르지만 여전히 지식경제의 계속교육 수요에는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첫째, 지난 1990년 이후 유럽에서 나타난 지식경제와 대학팽창 현상을 통해서 대학보편화는 이제 세계적 추세이며, 고등교육 진화의 필연적 단계로 규정한다. 둘째, 그러한 고등교육 수요의 상당 부분은 지식경제를 배경으로 하는 평생학습 수요이며, 대학은 이제 ‘고등교육체제’ 임과 동시에 ‘평생학습체제’를 동시에 껴안은 중층적 복합체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논증한다. 셋째, 이와 달리 우리나라의 대학은 여전히 청년층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독점적 순혈주의를 지향하며, 전체적으로 중장년층 학습자 및 계속교육 수요는 대학의 경계 밖에 형성된 고등교육 대안체제, 예컨대 사이버대학 및 학점은행 등에 갇혀 있다. 이 문제는 ‘평생교육단과대학’이라는 단기적 타협모형으로 해소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대학 과다공급현상은 청년층 초기교육 부문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서, 고등교육 보편화를 형성하는 또 다른 축인 성인계속교육이라는 차원을 간과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그 보완책으로 대학을 고등교육-평생학습이 연결된 포괄적인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함을 설명한다.

      • KCI등재

        ‘상대적 효율성’ 개념에 근거한국내 사이버 원격대학기관 운영 현황 분석

        권순형,남신동,황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1

        이 연구는 상대적 효율성 개념을 토대로 국내 사이버 원격대학의 기관 운영의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고등교육법상 설치 근거를 갖고 있는 17개 4년제 사이버 원격대학의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육과 연구 두 영역에 있어서의 투입-산출 간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각 기관 간 규모의 차이를 통제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초점을 투자지향 관점과 산출지향 관점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대학 간의 상대적 효율성은 산출지향 교육투자모형을 제외한 여타 모형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투입지향 교육투자모형에서 비효율의 원인은 주로 기술적 효율성에 문제가 있었으나, 산출지향 교육투자모형에서의 비효율의 원인은 규모에 있었다. 셋째, 연구투자모형에서는 투입 및 산출지향 관점 공히 비효율의 원인은 기술적 효율성과 규모 효율성의 문제가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원격교육 영역의 질 관리 쟁점과 관련하여 기관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 측면이 새롭게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s operating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To this en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ive efficiency to take advantage of 17 Cyber university in Korea through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relative efficiency in other models except the education-investment model of out-oriented perspective. Second, the cause of Cyber University’s inefficiency in education-investment model was revealed a main problem with the technical efficiency(combination of input resources). Third, the cause of Cyber University’s inefficiency in research model was mixed technical efficiency, economies of scale of Cyber Univers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facts in order to establish Cyber University’s quality management policy.

      • KCI등재

        스웨덴 교육과정에 나타난 민주주의 이념분석 :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

        황선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1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type of democracy that Sweden seeks to realize in its educat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the article compared the curriculum between 1940s-1960s and the period after 1990s and employed governmental research papers used as basic data to revise the above curricula. Contending theoretical perspectives are raised here as individual-centered and society-centered democracy. From the two differing view points on democracy, it analyzed the changes in democracy that Sweden have pursued. Using the analysis of ideas, this research dissected the views on democracy, perceptions on social realities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democracy shown in the governmental research papers.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Educating the young to inculcate their democratic civic attitudes is one of the highest values of the Swedish education. Yet, this pursuit of value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periods. In the 1940s, only the democracy was touted as a system to ensure the future society enshrined in reason and peace. It was promoted as the only way to eradicate the totalitarianism culpable of the World War I and II. To this end, emphasis was put on the social role of education to teach the young to be independent, critical and cooperative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social reform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more focus was placed on the individual capabilities of the young so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and demand, listening to others’s views. That is, education in the 1940s emphasized the active role for building democratic society, while the decades after 1990s the passive role for transmitting democratic thought and principles. These divergent views on the role of education seems to reflect the Zeitgeist of the periods under research. Moreover,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9-year-long universal compulsory education system, suggested in the 1940s and completed 60s, is the heart of the endeavor for educational democracy. School choice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seems to overlook the pursuit of public good in education and lead to seeking private good. In a nutshell, Sweden tried to realize society-centered democracy in the 1940s and individual-centered democracy in the post-1990s in its educational system. 이 연구의 목적은 스웨덴은 교육을 통해 어떤 민주주의를 추구하는가이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교육과정과 이들 교육과정 개정에 기초가 된 교육 분야의 정부연구조사보고서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이론적 배경은 많은 점에서 서로 대칭되는 개인중심 및 사회중심 민주주의다. 방법론으로는 이념분석(Analysis of idea, ideology)을 사용하여 민주주의에 대한 시각, 현실인식, 민주주의 창달을 위한 교육적 제안 등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민주주의의 원칙과 철학을 신봉하는 아이들을 키우는 민주주의 시민양성이 스웨덴 교육의 가장 큰 가치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가치 추구가 194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두 시기 사이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1940년대엔 세계 대전의 주범인 전체주의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으로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민주사회만이 이성과 평화가 깃든 미래 사회를 보장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교육이 독립적이고 비판적이며 협력하는 학생들을 길러내어 사회개혁에 기여하는 사회적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반면 1990년대 이후에는 학생 개개인의 자질에 초점을 두어 자신의 의사와 요구를 표시하고 남의 의사를 존중하며 경청하는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교육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즉 1940년대는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교육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한 반면에 90년대 이후는 민주주의 사상과 원칙을 전달하는 소극적 역할에 치중하고 있다. 나아가 40년대에 제안되고 60년대 초에 완성된 9년제의 보편적 의무교육은 교육민주화의 꽃이라고 한다면 1990년대 초의 도입된 학교선택제(school choice)는 교육에 있어서의 공공선의 추구라는 임무를 저버리고 사적인 선의 추구로 전락한 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스웨덴 국가가 추구한 민주주의는 1940년대의 사회중심 민주주의에서 1990년대 이후의 개인중심 민주주의로 뚜렷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실제 분석과 방향

        김진희,윤한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3

        The Korean society, currently, have been quickly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concern about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has deep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pects and the main discour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view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discuss the limit and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dult mu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 adult multicultural education aimed to cultivate ‘multicultural citizenship’ such as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that both immigrants and permanent residents should ha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 review of preceeding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cultureal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nalyzing a couple of adult multicultural programs according to its objective, subjects and practitioners, and contents and methods. We also discussed the limits and direction of adult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the adul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on mutual recognition of diversity and building multicultural community, but multicultural citizenship with civic participation was neglected. Second, it has been expanding to both immigrant and permanent residents. Third, its contents and methods consisted mainly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However, the emphasis on critical and participatory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have been insufficient. Lastly, there is a demand for expansion of adult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grass-root level engaging with local community.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학령기의 정규교육과정에서 전개되는 다문화교육을 넘어서, 평생학습 차원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방향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다문화교육의 제 측면과 주요 담론을 고찰하고 특히 성인대상 다문화교육 실제 분석을 통하여 한계 및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은 이주민과 정주민 모두가 다문화사회에서 지녀야 할 지식, 태도, 기능 등 총괄적인 맥락의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지향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의 평생교육적 접근을 살펴보고,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중요한 이슈를 목적, 대상 및 주체, 내용과 방법으로 나누어 도출하고 사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의 한계 및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은 목적상 표면적으로는 상호 다양성 인정과 다문화공동체 만들기를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 시민성 함양에 대한 강조는 미흡하였다. 둘째,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은 이주민과 정주민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 대상이 확대되고 있다. 셋째, 성인대상 다문화교육은 문화의 다양성 존중과 이해에 대한 피상적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평생교육학이 고민해 온 비판적이고 참여적인 시민성 함양에 대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필요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가치를 논의하는 세계시민성에 대한 내용도 미흡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중심 시민주도적 다문화시민교육의 확대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