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in-between):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

        염은열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0 No.-

        This study, authored by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who has closely observed the academic growth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y, propose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o the collaboration to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at Twenty. This research examines what literary therapy, from both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humanity and counseling, can achieve, and what tasks must be prioritized for this purpose. First, while literary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cious, cognitive, public, and social practice, literary therapy is distinguished by its unconscious, personal, and emotional na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are essentially and structurally similar, centered around the triad of teacher [or counselor], literary works, and learners [or clients]. The paper argues that literary education and therapy must eventually simultaneously operate separately and together, focusing on students as both social and individual entities. It emphasizes the need to focus on student agency and assets for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suggesting that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an approach based on storytelling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enhancing the emotional assets of learners in classrooms. Post-pandemic, there is a dire need for literary-educational approaches and literary-therapeutic support in our schools and classrooms, which have lacked sufficient consolation and reflection time. As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there is hope that literary therapy, while expanding its scope, will internally pose introspective questions and eventually collaborate with literary education in the school setting.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성장과 임상적 효과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문학교육연구자로서, 성년이 된 한국문학치료학학회를 상대로,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한 논문이다. 인간학이자 상담학으로서의 문학치료학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과제가 선결되어야 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문학교육이 의식적·인지적·공적·사회적 실천의 성격을 지니는 반면에 문학치료는 무의식적·개인적·정서적 실천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구별되지만, 교사[혹은 상담가], 작품, 학습자[혹은 내담자] 셋을 축으로 하는 문학경험이라는 점에서는 본질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회적 주체이자 개인적 주체로 살아가는 학생들을 중심에 두고 보면,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이 때로는 따로 결국에는 같이 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협력과 연대를 위해 학생 행위주체성과 자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학치료학의 관점과 설화를 바탕으로 하는 접근 방법이 교실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적 자산을 파악하고 확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팬데믹 이후 충분한 위로와 성찰의 시간을 갖지 못한 우리 학교와 교실에 문학교육적 접근과 더불어 문학치료적 지원이 절실하다. 문학교육연구자로서, 문학치료학이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내적으로 성찰적 질문을 던짐으로써, 결국에는 학교 현장에서 문학교육학과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대안 이야기 탐색을 위한 서사 결합에 대한 연구 -<여우구슬> 설화를 중심으로-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4 No.-

        이 논문의 목표는 설화와 설화 간의 결합이 갖는 치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우구슬>이라는 설화 유형이 어떤 설화들과 주로 결합해 왔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결합 양상별 치료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이야기치료의 대안 이야기 개념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야기치료에서는 사람과 문제를 분리시키고 문제의 원인을 내담자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있는 지배이야기에서 찾는다. 이것은 문학치료학에서 인생살이의 근원적 원인을 자기서사에 있다고 보는 것과 같다. 또 이야기치료에서 이야기를 지배 이야기와 대안 이야기로 구별하고 병의 원인과 치료의 출발로 삼는 것처럼 문학치료에서도 고착된 자기서사와 개선된 자기서사를 구분하고 자기서사의 개선은 고착된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에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를 동일한 서사로 다루는 문학치료의 이론에서 보자면 작품서사가 형성되어 가는 양상으로부터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의 모습들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단일 설화가 서로 결합하면서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 과정은 문학치료에서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와 함께 대안이 되는 자기서사로의 이동 과정에 해당한다. 분기점에서 다른 설화와 결합하는 것은 지금까지 배제해 왔던 서사의 길을 복원하는 것으로 기존 설화 흐름에서 누락했던 문제에 대한 재검토와 관련되며 그것은 자기서사에 대한 거리두기와 연결된다. 배제한 서사의 복원은 다른 유형의 설화 결합을 추동하는 바, 서사의 결합은 기존 설화의 정체성을 변화시켜 새로운 지향을 지닌 설화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치료적 기능을 담보하고 있다. 따라서 서사 간 결합은 작품서사의 생산 원리인 동시에 그와 유사한 내용을 자기서사로 전유하는 내담자들의 서사적 성장 및 인간적 성숙을 가능케 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therapeutic meaning of combining two or more story types. For this reason, this paper analyzed the aspect of the types of narrativ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story “Fox Jewel.” Furthermore, in order to explain therapeutic meaning, we used the concept of “Alternative Story: which attracts attention in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Narrative therapy separates the problems from the people. Narrative therapy can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which is the story of control that defines the client`s identity. This is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a lifestyle is related to the concepts of “self-epic” from literary therapeutics. Treatment with narrative therapy also starts with dismantling the story of control and discovering alternatives. Likewise, literary therapeutics think that improvements in self-epic begin with putting a fixed self-epic distance. However, the epic theory espoused by literary therapeutics treats the concepts of self-epic and work-epic as the same . The process by which the story type changes the orientation and identity through Story Binding is very important. It is a key indicator that can guide the client especially when placing a distance to his or her self-epic. Through comparison with < Fox Jewel > combined with other story, we realize another possibility of < Fox Jewel > hiding. Every story has a branch point that can connect with other stories. If there is a connection with other types of stories at such a branch point, the specific type of story will change its grand identity. The changing of the identity of a story by combining with other stories means that reviews are being reexamined on issues that have been missing from a story type. In conclusion, the material on connection between stories is important. It provides a good model for the client`s self-epic to grow.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적 무용치료의 가능성 모색

        최미연 ( Choi Mi-ye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문학치료연구 Vol.9 No.-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병증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의 상황에서 무용치료의 확산은 대중들에게 심리의 치료와 삶의 활력을 찾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에서는 현재까지의 무용치료 활동과 무용치료 연구사에 대하여 살펴보고, 문학치료학적 방법론을 통해 무용치료의 가능성을 찾도록 시도하였다. 현재 무용치료가 안무자나 무용전문가를 위한 무용치료나 일반인들을 위한 대중적인 무용치료로까지는 아직까지 확대되지 못한 상황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용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서사와 무용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 창작의 치료적 본질을 강조하고, `작품서사`를 통해 `자기서사`를 수정하여 심리를 치료할 수 있다는 이론인데, 무용동작도 분석하면 각기 `서사`를 가지고 있으며, `무용서사`를 해석하여 분류한다면 개인의 창작물인 `무용작품서사`를 통해 창작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하고, `무용작품서사`를 활용하여 개인의 `자기서사`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se days, when modern people`s psychological symptom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t is expected that spreading of dance therapy can have a good effect on treating people`s psychology and recovering their vitality.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dance therapy activity and historical study on dance therapy, and in terms of dance, seek the effective methodology of dance therapy in relation to Literary therapy theory. At present, dance therapy has not yet been provided as a popular dance therapy for choreographers or dance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For this, in a little more choreographic perspective, a study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 epic and dance is needed. It is an established theory that Literary therapy can treat human psychology by emphasizing the therapeutic bottom of literary creation and modify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Careful analysis of these dance movements shows that they have the epic respectively. Therefore, if the epic of dance movement is found out properly,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e methodology of literary therapy in order to diagnose a creator`s `Self Epic` and modify a personal `Self Epic` by using `the literary work epic` through `the dance work epic`, a personal artistic creation.

      • KCI등재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문학치료연구 현황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학치료학 연구를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 별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연구들을 개괄하면서 문학치료학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 방안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학치료학의 태동기에는 전통적인 문학론을 통해 문학의 본래적 기능이 치료에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그리고 문학을 통한 치료는 뒤틀린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과 관계된다고 하면서 올바른 관계 회복은 개인의 차원에서는 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사회 전체가 건강성을 회복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것도 주목하고 있었다. 이로써 집단 전체의 외상이면서 구성원 간의 인간관계를 뒤틀린 결과이기도 한 역사적 트라우마와 같은 대사회적 문제도 문학치료학 연구에서 반드시 회복시켜야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성립기에서는 문학의 치료적 기능을 심리학의 용어를 빌어서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작품서사, 자기서사와 같이 본격적인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세워가는 연구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은 원초적 사건과 관련된 기억을 자초지종을 밝혀 재생시키는 것이기에 경험을 반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해를 재조정하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었다. 두 번째 연구들에서는 작품과 인생의 심층에는 작품서사와 자기서사가 존재하는 것처럼 특정한 역사나 사회의 근원에도 자기서사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트라우마도 인간 삶의 모든 활동처럼 서사적으로 구조화되어 운영된다고 보았다. 이에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은 사실을 밝히고 사실과 사실 간의 관계를 따지는 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특정 사실을 선별하고 서사화하는 일종의 트라우마서사의 실체를 드러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개발연구에서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심층에 자리한 서사의 전모를 밝히려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상호 조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서사 16가지 영역에 대한 진단과 8종류의 이상 심리서사진단도구를 활용하게 되면 자기서사의 일반적인 특징 뿐 아니라 특수한 국면까지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을 활용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 역시도 그것을 강화시키고 고착시키는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서사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변화를 위해서는 서사의 다기성이 활용 될 필요가 있는데 다른 선택 가능성들을 보여주는 작품서사를 구축하고 이해하게 되면 역사적 트라우마를 유발시키고 강화시켜 왔던 서사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했다. 이렇게 역사적 트라우마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연구 현황들을 점검한 것은, 문학치료학이 사회 변화에는 관심이 없이 오로지 개인의 문제해결에만 관심을 두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거나, 문학치료학은 문학을 치료에 이용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오해들을 풀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러기 위해 직접적으로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작품에 대한 연구 동향 대신 문학치료학의 핵심이론이 서사이론과 치료적 활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들이 본질적으로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진단하고 극복할 수 있는 유효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This paper aims searches Research Status on Literary Therapeutics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To this end, First, the Literary Therapeutic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Remarkable discussion related to historical trauma were examined for each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eginning period, therapy through the literary is to recover the twisted relationship. The correct recovery of relationships should go beyond the personal level. Correct relationship is completed when society is restored to health. Historical trauma is collective injury, and is that human relation is twisted. Historical trauma is a Literary therapeutic challenge. Historical trauma is a target that must be recovered. On Literary therapeutic,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in the work and life origin. Likewise, the epic of self is working in history or social origi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root cause of the historical trauma is epic related to the trauma. This is because the Epic is to be making by screening,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fact. In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treatment, the epic of self can be seen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the epic of literary work. Starting from the change in the epic of self know the Divergence of Epic. The historical trauma begins to be overcome when the road of Epic to move our society for a long time is emerged. The historical trauma can be overcome when the other turning point of Epic is found.

      • KCI등재

        영화 <인셉션>과 문학치료학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2 No.-

        이 연구는 <인셉션>의 주요 발상이나 개념이 어떤 문학치료적인 함의가 있으며, 그에 대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떤 접근이 이루어졌는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영화의 `꿈`과 문학치료학의 `꿈`을 비교해 보았다. 영화에서는 공유하는 꿈과 그 속에서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인물의 생각이 변하였고, 그 삶의 계획이 이전과 달라졌다. 문학치료학에서도 남의 꿈이라도 자기 것처럼 여길 때 사람과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학치료학은 꿈과 문학의 형성 원리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즉, 작가의 백일몽과 같은 문학작품도 심도 있게 체험하고 자기 것으로 삼는다면 독자 자신 및 독자의 삶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영화 속 인물의 서사적 삶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영화에서 인셉션의 표적 인물이 되는 피셔는, 순응의 자녀서사를 가지고 있으나 아버지의 법이 너무 높아 자책하는 내향적인 인물이다. 피셔는 아버지가 죽은 후에 아버지의 뜻을 따라 회사를 경영해 보고자 하는 자기 기획을 품었다. 이러한 자기 기획도 넓은 의미에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가 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인지적, 정서적 방응이나 행동 방식을 자기서사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기초서사 영역으로 자기서사를 분류하여 문제적 상황이나 심리적 문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게 해준다. 셋째, 영화의 `인셉션 과정`과 문학치료학의 `문학치료 과정`을 비교하였다. 영화는 인셉션의 대상이 되는 생각이 문학적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고 보는 한편, 문학적 감동과 내면화가 정신적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인셉션의 과정은 기존의 자기서사에 대해 의심하고(1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쓰기 위한 힘을 기르고(2단계), 새로운 자기서사를 완성하는(3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는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 변화 과정, 즉, 다른 선택 가능성에 대한 이해, 자기서사와의 거리두기, 새로운 서사의 길내기 등의 단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film, < Inception > and the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two exist in different areas, but they share the assumptions that everybody has their own stories which direct and shape their decisions and acts. The film title, `inception` means that seeding the new idea which is formed as a story in a targeted one`s mind. Meanwhile, the literary therapy`s main process of treatment is to change the story which located in the mind and cause troubles in the real life. First, the dream is very important for the two. < Inception > uses dreams for changing one`s ideas. Dream experts, Cobe`s team plan, plot, and concrete dreams in various levels for successful inception. The literary therapy considers literatures as dreams which can make changes and substitute audience`s ideas and patterns of thinking. Second, the two have the assumption of existing stories in everybody`s mind. The literary therapy calls the stories `self-epic`, because it has the structure of `beginning, middle, and end`. And th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to analyze self-epics and the crucial problems of them. Thir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lf-epic` has structural homology. The process of inception start from the doubt about his existing self-epic(step 1), raising the power to write a new one(step 2), completing new self-epic by the catharsis(step 3) This process is similar to the literary therapeutic one: understanding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self-epic(step 1), putting some distance between his established one and new one(step 2), making new ways for fresh self-epic.

      • KCI등재

        불경 본생담의 치유적 해석- 종교서사의 문학치료적 활용을 위하여 -

        신동흔 한국문학치료학회 2022 문학치료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종교서사를 해석해서 그 치유적 의의와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다. 경전에 수록된 이야기들은 오랜 세월 동안 치유적 역할을 해왔음에도 그간 문학치료학에서 이를 다룬 사례가 거의 없었다. 이 논문은 불경에 수록된 붓다의 전생담들을 대상으로 서사(stori-in-depth) 차원의 문학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 과제로 삼았다. 이야기들의 전생에 대해 이를 탄생 이전의 지난 생으로 보기보다 현재의 삶을 현생의 제반 업[karma]들로 보는 관점의 분석이었다. 그 업에는 실제 행위나 사건 외에 무수한 생각들이 포함된다. 불경 본생담에서 전생의 붓다는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사제나 수행자, 현자, 왕, 상인 등으로 나오는가 하면 코끼리와 토끼, 소, 말, 비둘기, 메추리, 도마뱀 같은 여러 동물로 나오며, 목신이나 산신, 해신, 제석천 같은 신적 존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본생담의 등장인물은 붓다만이 아니다. 붓다의 제자와 가족을 포함한 현생 속 여러 인물들의 전생이 함께 이야기된다. 그들의 다양한 캐릭터와 사연에서 현실세계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자기서사와 만날 수 있다. 본생담은 종교적 견지에서 삶의 이면을 밝혀주는 밝고 큰 거울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전생담에서 붓다는 길고 힘든 수행의 과업을 감당한다. 자기 온몸을 바치는 극단적 보시를 행하며 선업을 쌓는다. 그렇게 누적된 인연의 힘으로 붓다는 현생에서 깨달음을 얻었던 것으로 말해진다. 주목할 것은 그 과정이 초월적 숭고함 외에 인간적 고통과 좌절이 결합돼 있다는 점이다. 전생 속의 붓다는 견디기 힘든 수많은 고통 속에 신음하기도 하며,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공격과 폭력을 당하기도 한다. 자기 내면의 어두운 그림자와 길고 힘겨운 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그 형상은 생사병고의 굴레 속에 현생을 살아가는 세상 모든 사람들의 일로 연결되면서 치료적 힘을 낸다. 그 이야기들을 일러서 수행과 자기초극의 치료서사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생담들에서 붓다는 주인공이 아닌 관찰자나 계시자로 등장하기도 한다. 그는 세상사람들의 이면적 진실을 발견하고 성찰하면서 세상살이의 이치를 깨닫는다. 아울러 조언자나 계도자로 나서서 사람들을 깨우치거나 구원하기도 한다. 이야기 텍스트 밖에서 제자와 비구들을 깨우치는 것도 붓다의 중요한 역할이다. 과거형으로 대상화된 미적 이야기를 통해 사람들의 이면적 진실을 드러내고 변화의 길을 짚어주는 붓다는 문학치료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생담을 만나는 여러 수용자들은 붓다의 제자 입장이 되어 스스로를 돌아보고 치유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자질이 부족함에도 긴 수행 끝에 도(道)를 이룬 아난다는 여러 전생담과 일반 사람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종교서사로서 본생담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서사를 투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삶의 변화를 이뤄내는 실천의 힘을 지니고 있다. 종교서사가 실천적 수행의 이야기로서 오랜 세월에 걸쳐 갈무리해온 힘이다. 그로부터 문학치료에서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연결할 수 있는 유의미한 단서들을 찾을 수 있다. 종교서사의 치유적 힘을 찾아내고 이를 실제 치료 활동에 적용하는 노력을 통해서 문학치료학은 현시대의 단절과 대립을 넘어서 연결과 화해의 길을 찾아 나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religious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in order to explore their therapeutic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Although the stories contained in the scriptures have played a healing role for many centuries, there has been little literary therapeutic research on them.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literary analysis at the level of story-in-depth, targeting the stories of the Buddha's past live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life as the result of karmas of this life rather than of the previous lives, including countless thoughts apart from actual actions or events. In past lives, the Buddha appeared in different forms: a priest, a monk, a sage, a king, a merchant, etc.; animals such as an elephant, rabbit, cow, horse, pigeon, quail, and lizard; and also as a divine being such as a mogul, mountain god, sea god, and Jeseokcheon. The Buddha is not the only character in previous life stories; the past lives of various characters in the present world, including his disciples and family, are also told. These characters and stories reflect stories-in-depth of people in the real world. From a religious point of view, the stories of past lives constitute a bright and large mirror that illuminates the inner side of people's lives. In many previous life stories, the Buddha undertakes long and arduous training tasks. He performs extreme devotion (for charity) with his whole body, and accumulates good karma. With the power of this karma, accumulated over various previous lives, the Buddha was able to attain enlightenment in his present life. It was not only the sublime, but also human suffering that was included in the process. The Buddha, in his previous life, groaned in unbearable pain and suffered injustice and violence. He also engaged in a long and arduous battle with the dark shadows within himself. This image is connected with that of people living in the bondage of life-and-death pain and healing power. On the other hand, in past lives, the Buddha also appears as an observer or a follower. As he discovers and reflects on the hidden truths of the world, he realizes the meaning of his life. At the same time, he comes forward as an evangelist to enlighten and save people. The Buddha also performs the important role of awakening the various disciples outside the narrative text. The “recipients” of these stories can gain healing power by taking the position of the Buddha’s disciples and reflecting on themselves. The Buddha, who reveals the hidden truth of life and opens the way for change through aesthetic stories, can be seen as an excellent literary therapist. As religious narratives, previous life stories allow people to see their own story-in-depth of self. Furthermore, they express the power to achieve practical changes in life. This is the power that religious narratives have shown over the years as stories of practical training. Literature therapy can find meaningful clues that connect knowledge and practice. By discovering the healing power of religious narratives and applying them to actual therapeutic activities, the field of literary therapeutics needs to find a way of connection and reconciliation beyond the current severance and confrontation.

      • KCI등재

        문학치료에서 자기이해의 필요성과 방법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5 No.-

        문학치료에서는 한 사람이 구성하는 이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자기서사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작품서사’를 꼽는다. 작품서사가 치료적 효과를 가지려면 변화시키고자 하는 자기서사와 일부 상동성을 지니면서도 차이를 갖는 것이어야 한다.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와의 차이를 메우려는 시도를 통해서 변화하게 된다. 이것이 문학치료에서 말하는 치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치료현장에서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와의 차이를 메우기 위한 시도로써 구체적 방법을 제안한다. 그것은 자기서사와 간극이 존재하는 작품서사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하고 자기서사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과정으로서 ‘자기이해’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기존 문학치료 이론의 자기서사 변화 과정에 대해 언급한 것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를 문학치료학 내에서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인간의 변화를 연구하는 심리학, 교육학, 철학 등의 논의를 바탕으로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교류과정에서 자기서사의 변화를 매개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논의한 자기서사 변화의 매개가 실제 문학치료 현장에서 어떻게 계획될 수 있는지 그림으로 제시하고 그 과정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as a prerequisite in therapy practices. The interaction with epic of literary work is required to lead the change of epic of self. To do so, the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n the process of epic of self change in the existing literary therapy theories, in the second chapter. Moreover, it explores room for further discussion. In the third chapter, the study deduces the idea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narratives and self-narrative may mediate epic of self change. The argument is based on theories from psychology, pedagogy and philosophy - the subjects which investigating mental changes of human nature. In the fourth chapter, the study explains how the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 a mediation of epic of self change- can b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literary therapy practices. The process will be demonstrated with illustrations and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