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철도의 운행시간 단축을 위한 급행열차운행에 관한연구

        이기형,이태규,김흥기,이한용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2

        Korea’s urban railway was opened in 1974. This is in third opening in Asia. Urban railway contributed to shortening commute time of users. However, recent commuting time is continuou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Express train and Metro operation at seoul and Kyungi province. After trade-off study of side track, headway, train diagram, the paper suggest how to speed up Kyung-ui, Suin, and Ansan line. This shows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oming metro line construction to improve efficiency and reduce commuter time. 한국의 도시철도는 1974년 개통하였다. 이는 아시아에서 3번째로 도시철도를 개통한 것이다. 도시철도는 도시인의 출퇴근시간 단축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시철도의 출퇴근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도시철도의 노선별 급행열차 운행현황 및 기존의 연구내용을 조사하고, 대피선 적정성 검토, 열차운행간격, 열차 다이어그램 분석을통하여 경의선, 수인․안산선의 급행화 방안을 제시하고, 중장기적으로 도시철도 건설에 반영해야 할사항을 제시하여 향후 도시철도 건설에 효율성을 향상하고, 출퇴근시간을 단축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시철도 무임수송 복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정수,류경수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1

        Based on inexpensive fares and welfare systems, the urban rail has become an indispensable transportation system to common people and social minority. In the 21st century, the population of the aged grew rapidly increased, reaching a society of advanced age of 14 percen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it would become a super high aged society over 20 percent in 2025. Accordingly, the number of free people transportation in urban railroads is increasing and the financial burden of railroad operating agency is increasing as well. Also, in the case of subway corporation, there is a huge loss in management because the legal system is not specifically stipulated about Framework Act on the Development of Railroad Industry.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ought out the free transit system using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Part of the national welfare policy, that suggested efficient method of operation about free transit system. 도시철도는 저렴한 운임과 복지제도를 바탕으로 서민과 사회적 약자에게 없어서는 안 될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21세기가 되자 국내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노인비율 14%의 고령사회로 접어들었고, 통계청에 의하면 2025년에 20%가 넘는 초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시철도의 무임수송인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철도운영기관의 재정적 부담이 갈수록 크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경우 철도산업발전기본법에 무임수송에 관한 법제도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 경영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임수송제도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비교 및 분석하여 각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가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무임수송 복지제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철도 서비스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박정수(Park Jung Soo) 한국도시철도학회 2021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9 No.1

        본 연구는 도시철도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도시철도 이용승객 불만족현황을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계량화된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도시철도 서비스의 품질 요인 변수 간에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가? 둘째, ‘도시철도 서비스품질 요인 관계성을 근거로 향후 주요 변수들이 어떠한 정량적 행태를 보이는가? 셋째, ‘도시철도 이용 승객 증가에 따라 도시철도 서비스 품질이 정부의 우수품질 향상 노력의 지지에 정량적으로 어느 정도에 미치는가? 넷째, ‘도시철도 열차운행 서비스품질 불만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정량적으로 어느 정도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월간 평균 승객수요 증가는 고객 이용시 안전보안에 대한 불만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월간 평균 지연건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열차운행서비스 불만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곧 고객(역)정보 불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분석할 수 있었다. 도시철도 이용 승객의 증가는 정부의 도시철도 우수품질 향상 노력의 긍정적인 효과로 상호 피드백이 되며, 도시철도 이용 시 열차운행 서비스품질에 대한 불만 증가는 이용자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도시철도 이용 승객의 꾸준한 증가 등으로 인한 여러 부분의 부수적인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요소에 대하여 시스템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관련 주무청이나 철도운영자등은 적극적인 고객만족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연구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rban railway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by focusing on quantified methods using system dynamics, first of all,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factor variables of urban railway service? Seco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urban railroads, what quantitative behavior do the major variables show in the future? Thirdly," To what extent quantitatively does the quality of urban railway service depend on the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quality as the number of passengers using the urban railway increases? Fourth, the research question has been set to how quantitatively the effect of complaints about the quality of trai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of users of urban railroads. An analysis of the above research problems shows that the increase in monthly average passenger demand affects the increase in complaints about safety and safety when using the customer. An in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delays per month affected train service complaints, which in turn negatively affected customer (station) information complaint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ssengers using urban railroads is a positive feedback due to the positive effect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the excellent quality of urban railroads, and the increase in dis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rain operation service when using urban railroads was able to be quantitatively predicted through simulation that it had a negativ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 KCI등재

        도시철도 서비스 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이호(Ho Lee) 한국도시철도학회 2020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8 No.3

        정부는 보다 나은 도시철도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2006년부터 매 2년마다 도시철도 서비스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평가항목과 기준은 이용자 관점의 서비스 평가가 아닌 공급자 위주의 획일화된 평가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 도시철도 서비스 평가체계의 한계를 평가항목의 중요도 및 적정성, 평가항목의 변별력, 평가지표 및 산정방식의 적정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시철도 서비스 평가영역을 열차와 역사로 구분하고, 평가의 변별력을 갖추면서 이용자들의 불만족한 서비스가 평가될 수 있는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시철도 평가체계는 공급성, 신뢰성, 편리성, 안전성, 고객만족으로 구분하였다. 평가항목으로 혼잡도, 기대초과통행시간, 열차지연시간율, 차량 및 시설 현장점검, 외부 출입구 접근도, 역사 및 열차 사상자수, 안전사고 건수, 안전시설고장률, 고객만족도 등이 제안되었다. This paper proposes urban railway service evaluation from user’s perspective. Limitations of current evaluation are examined in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items, distinction of evaluation items, and appropriateness of scoring method. The difference of the proposed urban railway service evaluation is the division of service area such as train and station and development of valuable evaluation item. Evaluation items contained in the proposed method are congestion, excess expected travel time, train delay duration rate, field inspection of train and facility, accessibility of exterior entrances in station, casualties in station and train, number of safety accident, failure rate of safety facility, and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서울 도시철도 연장노선 운영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안창규(Chang-Kyu Ahn),정성봉(Sung-Bong Chung) 한국도시철도학회 2021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9 No.3

        최근 수도권 신도시와 서울시와의 연계 발전 및 교통 개선대책의 일환으로 국가 철도망 구축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이러한 신규 철도노선 대부분이 기존 도시철도 노선과 직결 연장하는 방안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신규 철도노선 연장이 수도권의 광역 교통망 구축을 위한 신설노선 연장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어 기존 노선 운영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이 충분히 검토되고 반영되지 못함으로써 직결연장 이후 노선 전 구간에 대한 운영상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결 연장노선의 수요분석을 통한 비효율성의 확인과 승객 혼잡 및 열차 운행지연 가중, 운행시격 확대에 따른 승객편의 저하, 영업거리 연장으로 시설 및 차량의 유지보수 시간 부족과 운행시간 증가로 인한 적정 운행계획 수립의 제약 그리고 차량, 신호, 관제 등의 시스템다원화에 따른 안전성 저하 요인들을 분석하여 승객불편 가중과 사고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신규철도 노선 구축이 직결연장이 아닌 종착역 ‘평면환승’ 이나 본선과 분리된 지선운영, 운영기관 분리운영 등의 실무적 대안을 제시하여 기존 노선의 안전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신규 철도망 구축이 적정하게 추진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Recently,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railway network has been continuously promoted as part of measures to develop new c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mprove transportation, and most of these new railway lines are being extended directly with existing urban railway lines. However, the overall impact on the operation of existing routes is not fully reviewed and reflected as the extension of new railway routes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wide-area transportation network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confirmed that inefficiency through demand analysis of direct extension routes, increased passenger congestion and train operation delays, decreased passenger convenience due to increased operating hours, insufficient maintenance time of facilities and vehicles, and increased operating hours. I tried to contribute.

      • KCI등재

        도시철도운전관련 종사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황보작 한국도시철도학회 2022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10 No.3

        본 연구는 도시철도 운영기업에 종사하는 철도관제사와 기관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고 있는 타 종사원과 경영진 간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하여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의사소통은 변화관리와 자기진단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관리는 안전행동에 정(+)의 관계, 자가진단 안전행동에도 정(+)의 관계가 있었다. 비록, 의사소통은 안전행동과 직접적인 무의미한 관계로 나타났지만, 의사소통과 안전행동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변화관리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도시철도 운영기업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전행동의 최전방에서 업무를 하는 철도관제사와 기관사를 주축으로 한 역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타 조직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 주요한 안전행동에 미치는 변수의 긍정적인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 제도적, 시스템적 개선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환승저항 및 노선우회를 고려한 광역도시철도 경로선택모형 구축

        이장호,양수정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route choice model considering transfer penalty and angular cost in the metropolitan urban rail net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route choice such as the total travel time, the number of transfers, and the total scaled distance in the transfer st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angular cos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oute choice. It was suggested that the transfer penalty was perceived additional 8 minutes on average by the transfer itself. This study allows to simulate the route choice behavior in the metropolitan urban rail network.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odel may be appli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optimal route. 본 연구는 환승횟수, 환승통로에서의 수직 및 수평이동거리 등 환승에 따른 저항과 이용경로의 우회에 따른 우회비용을 변수로 반영하여 광역도시철도망에서의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자료는 수도권 교통카드 이력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모형구조는 이항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총 통행시간과 환승횟수, 환승통로에서의 총 환산거리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우회비용은 통계적 유의성이 떨어졌다. 모수추정결과로부터 통행시간대비 환승역 총 환산거리와 환승횟수에 대한 한계대체율을 분석하였는데, 실제 환승시간 이외에 약 8분 정도를 추가적인 환승저항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광역도시철도 이용자의 경로선택행태를 모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통행배정의 알고리즘 개선, 광역도시철도 최적경로 정보제공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도시철도 기관사의 인적오류 위험 비교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김동원,이희성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4

        To reduce conducted a survey on human error risk factors and related experience frequency to drivers of Seoulmetro and Korail. The human error arising from systems operating urban railway aimed at eliminating and reduc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urban rail accidents is based on research from a factorial point of view, since it contains problems dealing with the types and situations of accident generation. It is required to contribute to reducing human error so that urban railway accidents may be reduced and safe operation will be continuedly seared. 본 논문은 서울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의 기관사를 대상으로 인적오류 위험요인과 관련 경험빈도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여 기관별 운행시스템과 호선별 운행시스템 관점에서 오류유발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시철도 사고유발의 근본적인 원인 제거와 감소를 목적으로 하며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인적오류는 사고발생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문제와 인지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요인별 관점에서의 연구를 기반으로 접근하고자한다. 인적오류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여 도시철도 사고를 저감 하고 지속적으로 안전한 철도 운행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시부 철도 지하화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 경인선 지하화사업 사례

        김정현,곽호찬 한국도시철도학회 2022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10 No.3

        본 연구는 도시부 지상에서 운행되고 있는 철도의 지하화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방법론과 효율적 사업추진 방안을 경인선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부 지상에서 운행되는 철도는 지역의 단절과 더불어 소음, 진동 등의 환경문제 등으로 인하여 개발이 낙후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어 왔기에, 지하화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어 왔다. 현행 타당성분석 방법으로는 경제성을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었으나 2021년부터 상부부지의 가치를 편익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를 계량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론이 미흡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화 사업 이후 상부부지의 가치를 편익으로 산정하는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단순한 현재의 상부부지 가치만으로는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상부부지의 개발 가능성과 이에 따른 가치의 상승을 편익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도시부 철도의 지하화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개선하고 사업추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철도 지하화사업을 위한 절차 및 재원조달방안등의 제도개선 과제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통하여 도시재생사업으로서 철도 지하화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도시철도 정거장 규모의 효율화 방안 연구

        이용재(Lee Yong Jae),박용걸(Park Yong Gul) 한국도시철도학회 2020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정거장의 과도한 구조부재와 내부 칸막이 등이 개방감을 훼손하고 정거장 전체 면적에 비해 승객공간. 역무공간, 임대공간 등이 부조화하여 기능실 면적과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부분적으로는 정거장의 공간이 협소 또는 과다하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도시철도가 1호선에서 9호선을 건설하는 과정에 단계별 진행으로 인한 정거장 규모의 변천과정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서울지하철 정거장 규모변천 사례 등을 비교 조사·분석하고, 승강장층 연결계단부, 대합실층의 승객, 역무, 임대공간 등에 필요한 무주공간 구성 등 예측모델을 선정·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규모의 축소 또는 과다 현상을 조정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외에서 도시철도 정거장 규모의 효율화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xcessive structural members and internal partitions of the station reduces the sense of openness, passenger, work and rental space, and the area management was shown to be inconsistent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station, where the spacing is either too narrow or too excessive. These circumstances were compared,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case of changes in the Seoul subway station based on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station by a step-by-step progres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the Seoul Metro Line 1 to Line 9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diction model was selected for the passenger, stationary, and rental spaces of the connecting stairs of the platform lever and the waiting room lever, and the prediction model such as column-free space composition was selected and simul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e necessity to adjust the size reduction or excessive phenomenon. It has been analyzed that this can be used as an efficient measure for the scale of stations in domestic an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