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덤핑방지 관세부과규칙의 처분성 유무에 관한 연구

        최천식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관세무역연구 Vol.1 No.1

        The three major trade relief systems allowed by the WTO agreement are the anti-dumping tariff system, countervailing tariff system, and safeguards. The anti-dumping tariff system will be carried out by three organizations, the Trade Commissio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domestic manufacturers to investigate dumping damage. The Trade Commission will investigate and determine the dumping of foreign exporters and the real damage to domestic companies, whil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ill enact and promulgate anti-dumping tariff imposition rules aimed at granting anti-dumping tariff rates to foreign producers who have exported dumping goods,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will impose anti-dumping tariffs appropriate for dumping imported good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Foreign producers who have exported dumping goods have objections to the anti-dumping tariff rate and if they want to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they will consider which of the government agencies of the importing country will be the parties to the lawsuit. Academia and courts have also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on this point, which has continued to be controversial. In addition, it has not been established whether to grant the status of a litigation party to foreign exporters who are not Korean nationals(importers).In principle, legal decree such as the Customs Act,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ustoms Act, and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Customs Act have no disposition and thus a lawsuit cannot be filed.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ruling, a foreign exporter can only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after the customs authorities has the final disposition to impose anti-dumping tariffs. At this time, the foreign exporter has no choice but to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lawsuit with the importer who is trading as a party to the lawsuit. In this way, when the customs authorities and the importer are parties to the lawsuit, various problems arise. The customs authorities is not involved in the dumping judgment performed by the Trade Commission and the subsequent imposition of the anti-dumping tariff rate, so the customs authorities cannot actively engage in litigation, and the Trade Commission can passively respond to the request of the customs authorities for data submission due to the obligation to maintain confidentiality of corporate information. Importers also need to receive dumping-related price information from foreign exporters, but most of these data belong to trade secrets, so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this data. The lawsuit consists of the responsibility for assertion and the burden of proof between the parties, and only the claims are scattered, and they face a limitation without data to prove this.As a result, the ‘disposition positive’ and the ‘disposition negative’ theory on anti-dumping customs imposition rules were opposed. This paper supports the positive disposition of disposition, and on the macroscopic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herent in international trade and the sincere implementation of the WTO anti-dumping agreement, Korea, which ranks second in the world after China in dumping complaint rates, presented a wide range of problems based on the experience of working as a dumping practitioner at customs.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urt’s position that the tax authorities should prove the facts of the taxation requirements for anti-dumping tariffs through the theory is problematic in the nature of the quasi-judicial institution of the Trade Commission and the granting of broad discretion. Finally, in order to clarify the objection system to the imposition of anti-dumping tariffs and strengthen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axpayers, a legislative proposal was made to amend the Customs Act, which calls for granting disposition to the anti-dumping tariff imposition rules and recognizing exceptions to administrative trial prepositionalism. WTO협정이 허용하는 3대 무역구제제도로서 덤핑방지관세제도와 상계관세제도 및 세이프가드가 있다. 덤핑방지관세제도는 국내 제조업체의 덤핑피해조사신청에 따라 무역위원회와 기획재정부 및 관세청 등 3개의 기관이 참여하여 수행하게 된다. 무역위원회는 외국수출자의 덤핑사실 확인 및 국내기업의 실질적 피해를 조사・판정하고, 기획재정부는 덤핑물품을 수출한 외국생산자별로 덤핑방지관세율 부여를 골자로 하는 덤핑방지관세부과규칙을 제정・공포하며, 관세청은 동 규칙에 따라 덤핑수입물품에 합당한 덤핑방지관세를 부과한다. 덤핑물품을 수출한 외국 생산자는 덤핑방지관세율에 이의가 있어 행정소송을 제기하고자 할 경우 수입국 정부기관 중 어느 기관을 소송당사자를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학계 및 법원에서도 이러한 점에 대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계속 논란이 돼 왔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수입자)이 아닌, 외국 수출자에게도 소송당사자의 지위를 부여할 것인지에 대해서 정립되지 않았다. 관세법과 관세법시행령 및 관세법시행규칙 등 법규명령은 원칙적으로 처분성이 없어 이에 대해서는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대법원 판결에 의한다면 외국 수출자는 세관장의 최종 덤핑방지관세 부과처분이 있어야만 비로소 행정소송을 할 수 있다. 이때 외국 수출자는 거래하고 있는 수입자를 소송당사자로 내세워 간접적으로 소송에 참가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세관장과 수입자를 소송당사자로 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세관장은 무역위원회가 수행한 덤핑판정 및 그에 따른 덤핑방지관세율 부여 등에 대한 업무는 전혀 관여하지 않아 소송을 적극적으로 임할 수 없고, 더욱이 무역위원회가 기업정보 비밀유지의무를 이유로 세관장의 자료제출요청에 소극적으로 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입자 역시 외국수출자로부터 덤핑관련 가격정보를 받아야 하는데 그러나 이들 자료는 대부분 영업비밀에 속하므로 동 자료 입수가 매우 힘들다. 소송은 당사자간 주장책임과 입증책임으로 구성되는데 주장만 난무할 뿐 이를 입증할 자료가 없는 한계점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덤핑방지관세부과규칙에 대한 ‘처분성 긍정설’과 ‘처분성 부정설’이 대립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처분성 긍정성을 지지하고 있는데 거시적으로는 국제통상에서 내재되는 ‘상호주의’(principle of reciprocity) 및 WTO 반덤핑협정의 적극적 이행을 기반으로 하여 덤핑피소율이 중국 다음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대법원 판례와 같이 외국 법원도 동일한 관점에서 해석하게 된다면 오히려 우리나라 기업이 큰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과 미시적으로는 수입자와 세관장을 소송당사자로 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연구자가 세관에서 덤핑업무실무자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두루 제시하였다. 아울러 보론을 통해 과세당국이 덤핑방지관세의 과세요건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는 법원의 입장은 무역위원회의 준사법적 기관성격과 광범위한 재량 부여 등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덤핑방지관세부과에 대한 불복제도를 명확히 하고 납세자의 권익을 강화하기 위해서 덤핑방지관세부과규칙에 대한 처분성 부여 및 행정심판전치주의 예외인정을 골자로 하는 관세법 개정에 대한 입법적 제안을 하였다.

      • 국제법을 수용한 국내법 해석방안에 관한 연구

        한상필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관세무역연구 Vol.1 No.1

        When interpreting the legal text prescribed in the provisions of the 「Customs Act」, a domestic law that has accepted the 「WTO Customs Valuation Agreement」 containing substantive provisions on customs valuation, the study reviewed and studied which of the provisions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first in the definition provisions prescribed in the 「WTO Customs Valuation Agreement」 and the definition provisions of the 「Customs Act」. Through the announcement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decisions and precedents of the judicial authorities, the domestic legal status of the 「WTO Customs Valuation Agreement」 is a multilateral trade agreement that is a subsidiary agreement of the 「WTO Establishment Agreement」, which is a treaty, and is subject to domestic law pursuant to Article 6,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It has the same effect as. In addition, in case of conflict between domestic law and international law, which is a treaty,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new law’ or ‘principle of priority of special law’ is applied,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reaties, as international law, have a special legal priority status over domestic law, and are subject to interpretation. Therefore, it can be derived that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must be followed unless it is defined in the treaty. In interpreting the 「WTO Customs Valuation Agreement」, which has the status of a treaty in the target case precedents, and the 「Customs Act」, a domestic law that accepted it, that was possible to derive the principles of preferential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reaty through four factors, first, a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treaty, second, a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principles of legal application, and third, a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interpre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and fourthly, a review of definitions of domestic law in the applicable target case precedents. The legitimacy of the consistent interpretation principle of the Customs Authorities was secured through preferential application of the treaty to the part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domestic law definition provisions in the target case law. In addition, as a harmonization plan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WTO Customs Valuation Agreement」 and domestic law, domestic laws granting the treaty special law status were introduced and improvement measures to clarify this were also presented. 관세평가에 관한 실체적 규정을 담고 있는 「WTO 관세평가협정」을 수용한 국내법인 「관세법」 조문에 규정된 문언을 해석할 때 「WTO 관세평가협정」에 규정된 정의 조항과 「관세법」 정의 조항 중 어느 조항을 우선 적용하여 해석・적용하여야 하는지를 검토・연구하였다. 외교부의 발표자료 및 사법당국의 결정・판례를 통하여 「WTO 관세평가협정」의 국내법적 지위는 조약인 「WTO 설립협정」의 부속협정인 다자간무역협정으로서 「헌법」 제6조제1항에 의거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내법과 조약인 국제법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신법 우선의 원칙’ 또는 ‘특별법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는 바, 조약은 국제법으로서 국내법에 비하여 특별법적 우선 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으며, 해석에 있어 조약에 정의되지 않는 한 「조약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따라야 하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대상판례에 조약의 지위를 가진 「WTO 관세평가협정」과 이를 수용한 국내법인 「관세법」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첫째 조약의 적용방식측면 고찰, 둘째 법률적용 우선원칙 고찰, 셋째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따른 해석방법 적용 고찰, 넷째 적용 대상판례 국내법 정의조항 고찰 등 4가지를 통하여 조약의 우선 적용 및 해석원칙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대상판례가 국내법 정의 조항을 적용하여 설시한 부분에 대하여 조약의 우선적용을 통하여 관세당국의 일관성있는 해석원칙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추가하여 「WTO 관세평가협정」과 국내법 해석을 위한 조화방안으로서 조약의 특별법 지위를 부여한 국내법령을 소개하고 이를 분명하게 하기 위한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 디지털 전환 시대 디지털 무역의 통관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낙현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관세무역연구 Vol.1 No.1

        COVID-19로 인해 세계경제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격변의 시기를 겪고 있다. 특히, 새로운 디지털 신기술이 출현하면서 무역의 양상마저 변화하고 있는데, 상품과 서비스 교역 위주의 무역환경이 인터넷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 디지털화된 제품과 서비스, 데이터의 국경간 거래로 확대되고 있다. COVID-19 이후 디지털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다품종 소량방식의 전자상거래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무역에 있어 통관제도를 악용한 밀수, 관세포탈, 위해물품 부정수입 등의 위법적 통관행위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무역 통관에 있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고찰한 후 국내 디지털 무역 통관체제의 개선방안을 고찰하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WTO is to open trade for the benefit of all, and the mission of the WCO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ustoms authorities. And both organizations provide capacity-building and technical assistance aimed at facilitating trade and customs procedures. Due to COVID-19, the global economy is going through a period of upheaval called digital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with the emergenc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even the aspects of trade are changing, and the trade environment centered on trade in goods and services is expanding to cross-border trade in digital products, services, and data that can be supplied through the Internet. As digital trade becomes active after COVID-19, the number of e-commerce transactions involving small quantities of various products is increasing. However, despite this increase, illegal customs clearance practices such as smuggling, customs evasion, and illegal import of hazardous goods are also occurring in digital trade by abusing the customs clearanc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discusses problems occurring in digital trade customs clearance and then examines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digital trade customs clearance system.

      • 주요국의 소액물품면세제도 및 통관간소화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장효은,손명희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관세무역연구 Vol.1 No.1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입물품에 대해서 관세와 부가가치세를 부과한다. 하지만 개인이 자가사용 목적으로 수입하는 소액・소량의 물품에 대해서까지 모두 관세를 징수하게 된다면 행정상 낭비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관세법」 제94조에서는 해당 물품에 대하여 관세를 면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국의 관세법규에서도 이와 비슷한 규정을 찾아볼 수 있다. 소액물품은 일반 수입물품, 특송물품, 국제우편물 등을 통해 반입되며 별도의 예외규정을 제외하고는 통상 반입경로와 무관하게 모두 간소화된 통관절차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우리 관세법제상 의미하는 바에 따르면, 통관간소화제도는 반입경로와 무관하게 보다 간소화된 통관절차에 따라 신속한 통관을 진행하도록 규정된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의미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간이통관・목록통관・우편통관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세부적으로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소액물품면세제도 및 통관간소화제도를 비교법적으로 연구하고 나아가 관련 국내 관세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면세대상 소액물품에 대한 관련 규정 개정과 국경 간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에 맞는 완성도 높은 정책 환경을 구축하자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바이다. Generally, value-added tax and customs duties are levied on goods imported into a country. However, there is concern that the imposition of customs duties on low-value goods or goods imported in small quantities can cause an excessive administrative burden. Therefore, the Customs Law of Korea provides for customs duty exemption for consignments below the de minimis threshold, and such an exemption can also be found in the customs regulations of various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customs duty exemption for consignments below the de minimis threshold stipulated in Korean law and conducts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major countries that have adopted similar exemption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Korean customs duty exemption should be developed. Of particular note regarding the countries studied is that, with respect to consignments below the respective de minimis thresholds that are subject to customs duty exemption, value-added tax is levied at the time of sale if the total value of the amount imported is less than a prescribed level, while it is levied at the customs clearance like other imported goods if the total value exceeds a prescribed level. This trend in legisl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in alignment with the destination principle Commentary on the Value-Added Tax Act. under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the purpose of which is to maintain tax equity between exporting and importing countries and protect the domestic industries of importing countries by enabling importing countries to impose on imported goods the same burden levied on like domestic products. Therefore,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major countries that have adopted the said system, the relevant regulations in Korea should be amended so that value-added tax can still be levied on consignments below the de minimis threshold that are subject to customs duty exemption.

      • 온라인 해외직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상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24 관세무역연구 Vol.1 No.1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 결제시스템의 발달, 스마트폰의 대중화, 쇼핑몰의 확대, 배송업체의 물류혁신 등으로 전자상거래(e-commerce) 및 국경간전자상거래(cross-border e-commerce)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의 확장과 모바일을 통한 구매방식 선진화로 온라인 해외직구도 급증하고 있다. 해외직구에서는 소비자가 거래의 직접 당사자가 되고, 전자상거래업체(이커머스업체)가 거래정보를 보유하며, 소량다건(少量多件)의 거래라는 특징이 있다. 해외직구 증가에 따라 전자상거래업체들은 해외구매대행 서비스를 확대하고, 개인 해외구매대행업도 성행하고 있다. 해외직구에 대해서는 150달러 이하 자가사용 물품 소액면세, 150달러 이하(미국발 물품은 200 달러 이하) 물품 목록통관 등의 편의제도가 적용된다. 해외직구 급증에 따라 해외직구 편의제도 악용, 전자상거래의 오용, 해외직구 쇼핑몰 이용자의 불만, 전자상거래업체의 갑질, 해외직구 물품의 반품과 관세 환급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해외직구에서 국민 편의와 안전을 제고하고, 해외직구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직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E-commerce and cross-border e-commerce are growing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CT, smartphones, expansion of shopping malls, logistics innovation, etc. In addition, online overseas direct purchases are also increasing rapidly due to expansion of global online shopping malls and advancement of purchasing methods through mobile. In particular, the growth of e-commerce has been accelerated due to the recent COVID pandemic and home economy. Online overseas direct purchase types are classified into purchase agency, delivery agency, and direct purchase. With the increase in overseas direct purchases, e-commerce companies are expanding their overseas purchase agency services, and individual overseas purchase agencies are also flourishing. Convenience systems such as tax exemption for self-used goods under $150 and customs clearance for goods under $150 (not more than $200 for goods from the U. S.) will be applied to overseas direct purchases. Looking at global e-commerce retail sales, it more than doubled in five years from $1.336 trillion in 2014 to $3.351 trillion in 2019, and more than tripled to $4.248 trillion in 2020. It is expected to exceed $8 trillion in 2026. Major issues (or problems) related to overseas direct purchase include abuse of the convenience programmes for overseas direct purchase, misuse of e-commerce, complaints from user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shopping malls, return of overseas direct purchase, etc.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of overseas direct purchases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customers and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overseas direct purch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